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학 3.0과 미래 학습 : 관계 학습의 원리와 실천 전략

        송재홍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3

        최근 심리학의 지평 확대는 근본적으로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에 기초한 20세기 심리학의 패러다임 관점을 극복하고 맥락주의 은유와 내러티브 관점에 기초한 세 번째 심리학을 탄생시켜 과학적 심리학의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주요 담론은 연결주의의 등장과 지능 개념의 확장, 체화된 인지와 정동신경과학의 발흥, 양자 인지와 내러티브 사고의 확산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20세기 후반 이차 인지혁명 이래 새로운 형태로 진화한 후기 과학주의 심리학의 지배담론을 통칭하여 ‘심리학 3.0’이라고 명명한다. 이 용어는 과학주의 심리학의 새로운 변화 물결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과학주의 심리학의 대립하는 두 가지 관점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제3의 관점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다. 연구자는 먼저 21세기 후기 과학주의 심리학의 지배 담론을 묶어서 ‘심리학 3.0’이라고 명명하게 된 배경을 기술하고, ‘심리학 3.0’을 구성하는 지배 담론의 전개 양상과 각 담론이 미래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데 어떤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미래 학습은 읽기와 쓰기를 위한 사고 능력의 향상에 집중된 학문 중심의 교과 학습에서 좀 더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으며, 그 대신 존중과 화합을 위한 소통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람 중심의 관계 학습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미래 학습의 요체로서 존중, 소통, 화합의 세 가지 기본요소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사회정서 유능성을 증진하기 위한 관계 학습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계 학습의 핵심 원리와 실천 전략을 제안한다. 이는 무미건조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사막화된 교수활동 중심의 전통적인 학문 학습 환경을 대신하여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활동 중심의 새로운 사회정서 학습 환경을 모색함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Currently the extension of psychology has led to essentially new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leading to the third psychology based on contextualism and narrative perspective rather than the paradigmatic perspective of psychology which had been based on behaviorism and cognitivism. Major discourses of post-scientific psychology include connectionism and the extended conception of intelligence, the ‘embodied cognition’ and the emergence of affective neuroscience, and the quantum cognition and the extension of narrative thinking. In this review, researcher has employed the called ‘Psychology 3.0’ to refer to these new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which reflected the current wave of changes in psychology as well as in scientific psychology: It means the post-scientific psychology, according to historical periodization of pre-scientific psychology, scientific psychology, and post-scientific psychology; it also refers to the extended cognitive science as the result of the called cognitive revolution, following behaviorism and cognitivism that had been the major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during twentieth century; and importantly, it implies the called third conceptions, including quantum cognition and narrative thinking, which could integrate two opposite concepts of the commuting observables in classical scientific thought system. Researcher have reviewed several aspects of the dominant discourses that constitutes ‘Psychology 3.0’,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each discourse for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nature of future learning. Future learning needs to be more liberal in curricular learning centered on reading and writing. Instead, it should focus on relational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based on three basic elements of respect, communication, and resolution. The researcher have suggested the principles and practice strategies of relationship learn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s the essence to future learning. These would be an important milestone in seeking out the new way to improv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academic learning that might be at stake in the aftermath of the nonsense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어의미론과 인지심리학의 접점 및 전망

        임지룡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이 글은 인지언어학에 바탕을 둔 '한국어의미론'과 '인지심리학'의 접점 및 전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인접 학문 분야 간의 상관성을 탐색함으로써 제 홀로서 보기 어려운 점을 찾아내고, 우리가 본유적으로 발 딛고 있는 분야에 이 대해 창발적인 인식에 이르기 위함이다. 이 글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영역의 전형적인 여섯 가지 접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1) 범주화의 원형이론과 기본층위 (2) 머릿속 사전의 작용방식·실체·단어의 이해 (3) 비유의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 (4) 주관적 이동의 상대적 이동과 심리적 이동 (5) 해석의 범위·시점·전경과 배경 (6) 언어·사고·심상의 영향 관계와 작용 양상 둘째, 두 영역의 두 가지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1) 장차 한국어의미론은 인지언어학의 방법론과 호흡을 같이할 것이다. 또한 인지과학의 일환으로서 인지심리학의 유용한 기법인 실험 기법의 실증적 연구와 신경과학을 수용함으로써 한국어의미론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이제까지 언어의 의미에 대한 인지적 논의는 인지심리학에 기반을 두거나 영향을 받아온 사례가 흔하다. 이러한 일방향성은 장차 언어 연구의 결과가 심리 연구와 쌍방향성으로 발전되거나 심리 연구로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interfaces between Korean seman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their prospects. Such an attempt aims to identify what is hard to discover in one field of scholarship by explor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lated academic areas and so to reach a creative understanding of what is being inherently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ypical interfaces of the two fields of study are discussed: (1) the prototype theory and basic level of categorization, (2) the working ways, substance of the mental lexicon, and the understanding of words, (3) conceptual metaphor and metonymy of figures of speech, (4) relative motion and psychological motion of subjective motion, (5) the scope, time, and figure and ground of construal, (6) the cor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thought, and imagery, and their working aspects. Second, their prospects are discussed: (1) It is suggested that Korean semantics will make use of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make up for its vulnerabilities by receiving the empirical research of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2) So far, the cognitive study on linguistic semantics has usually been based on or affected by cognitive psychology. Such unilateral research is likely to develop into the bilateral study of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research, or to be changed into psychological research.

      • KCI등재

        인지과학과 현상학적 심리학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이 글은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관련된 논의들을 실마리로 현상학적 심리학의 위상을 재검토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 후설은 자신의 심리학주의 비판을 통해 현상학적 심리학의 과제와 특성을 구체화시켜 나간다. 그러나 후설의 비판이 자연과학적 심리학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후설은 현상학적 심리학이 자연과학적 심리학의 학문성을 더욱 철저하게 해 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이나 인공지능 이론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그러한 인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선입견을 낳고 있다. 나는 이 글에서 그것이 그야말로 선입견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즉, 엄격한 학문성과 학적 심리학의 법칙적 설명에 대한 후설의 요구는 적어도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현상학적 심리학의 설명모델과 인지과학적 설명모델 간의 차이를 불분명하게 만들어 버린다. 물론 이것이 현상학적 심리학의 타당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논의는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현상학적 심리학과 인지과학 혹은 실험 심리학의 공동작업의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다.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o neutralize the preconception that Husserl's phenomenology, or phenomenological psychology is incompatible with naturalized cognitive science or the project of A.I. This preconception is due to Husserl's critic of psychologism, and partially to Dreyfus's famous arguments. But if we follow the Husserl's argument, we have a fresh possibility which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y cooperate with cognitive science. I have tried to show this possibil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Husserl's demands on psychology 'as a exact science'.

      • KCI등재

        일상인지연구의 인식론적 전제에 관한 고찰

        박동섭 ( Dong Seop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1

        이 글에서 나는 소수파에 속하면서도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해온 일상인지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전제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일상인지연구의 인식론은 개인과 상황을 철저히 분리해서 ‘개인’ 만 을 연구 분석 단위로 삼아온 전통적인 인지심리학의 그것과는 획을 긋는 대안적인 인식론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전통적인 인지심리학의 인식론을 철저히 비판한 Gibson의 인식론을 음미하였다. Gibson은 ``어포던스``와 ``생태학적 적소``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는데, 이 개념은 개인의 행위, 인지, 상황과 같은 개념에 대한 ``재고’를 가능케 하였다고 평가 가능하다. 둘째, 일상인지가 일어나는 곳 예컨대, 바텐더의 칵테일 만들기, 다이어트 강습소, 방과 후 요리클럽 그리고 학교와 같은 공간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유능함을 발휘하는지, 혹은 그렇지 못하는지에 관한 몇몇 경험적인 연구를 검토하였다. 셋째, Gibson의 대안적인 인식론에 대한 음미와 일상인지에 관한 몇몇 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얻은 아이디어에 기초해서 개인의 능력, 상황에 관한 ‘새롭게 묻기``에 대해 정교화된 대답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얻은 첫 번째 함의는 일상인지와 학교인지를 상황구속적인 활동과 상황독립적인 활동으로 이분화해서 보는 것의 무모함에 대한 자각이다. 그러한 이분법을 전제로 하지 않는 인식론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가시화되는 학교는 다름 아닌 ‘특수한 일상``이다. 즉, 학교에서의 활동 또한 저잣거리의 일상과 마찬가지이면서 동시에 저잣거리와는 구별되는 다양한 도구, 매체, 사람들과의 독특한 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철저히 ‘상황구속적인 활동``인 것이다. 학교를 이와 같이 ‘특수한 일상``으로 상대화해서 보는 것은 연구자가 등에 업고 있는 자신의 인식론에 대한 자각 그리고 반성을 통해서 가능하다. 둘째, Gibson의 생태학적 심리학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와 몇몇 일상인지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얻은 식견이 학교교육과 교육학 연구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essay, I conduct an epistemological inquiry on some studies of everyday cognition that have survived since 1980s, even though they are a minor field of study. The epistemology operative in these studies i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pistemology in which individual and situation are entirely separated and individuals are regarded as the unit of analysis. To this end, I first examined the epistemology of Gibson who criticized and tried to overcome the traditional psychology`s epistemology. Gibson developed the concepts ``affordance`` and ``ecological niche`` which made it possible to question and re-inquire on some phenomena such as the individual`s action, cognition and situation. Secondly, I reviewed some studies dealing with so-called ``everyday cognition``: how people can or cannot display their competency in a variety of common settings, such as the workplace of bartenders, diet programs, after-school cooking programs and schools. Thirdly, on the basis of such considerations by examining Gibson`s alternative epistemology and reviewing the studies of everyday cognition, I attempted to provide an elaborate answer to the re-inquire on individual competency and situat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I first found that dividing everyday cognition and schooled cognition into situation-specific activity vs. situation-free activity leads to a danger of losing the essence of the problem. An epistemology which insists on the dichotomy "situation-specific activity vs. situation-free activity" prevents us from recognizing school as a specific routine. In other words, activity at school, which is similar to but distinct from daily routine, is accomplished with a unique constellation of tools, mediation and people. Taking a relativistic view of school activity as special routine is only possible when the researcher realizes and reflects on the epistemology that provides a background on his/her research.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ideas obtained from a review of theoretical accounts of Gibson`s ecological psychology and of a few empirical studies on Everyday Cognition, I discussed what implications those ideas might have on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공공쓰레기통의 사용 효과 향상을 위한 디자인 연구: 인지심리학 및 행동심리학을 중심으로

        허지현 ( Jihyun Heo ),김영윤 ( Youngyun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연구배경 본 연구는 공공쓰레기통에서 일어나는 투기 문제를 인지심리학 및 행동심리학이론의 관점에서 그 해결책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의 공공쓰레기통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존 공공쓰레기통의 종류를 크게 3가지로 분류하고, 분류된 사례에서 도출된 디자인 이슈와 비디자인 이슈를 발견하였다. 도출된 이슈들을 인지심리학 및 행동심리학에서 형태와 행동의 관계 분석에 따라 사용자 행동을 예상하는 3단계를 만들어 아이디어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인터뷰 조사와 관찰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가설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쓰레기통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해 사용자 행동이 인지심리학 및 행동심리학 이론이 적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카메라 촬영을 통해 쓰레기를 버리는 행태를 관찰하여 3가지 행동 유형의 패턴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심리 현상을 통해 공공 쓰레기통의 사용 효과 향상을 이끌어내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심리학과 디자인의 연계를 통해 투기의 효과향상을 도모하는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였다. 또한 심리학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학문이 아니더라도 그것이 규명되어있는 경우, ux디자인 기반 연구방법의 적용을 통한 효과를 파악하였다. Background This research determined various issues during the dispose of waste by UX design perspective and found out the solutions by the cognitive & behavioristic psychology theory to deduct the design ideas. Methods The researcher categorised 3 types of the current public waste bin and divided issues that can be able to handle in design area or not. The researcher designed 3 levels of design results and research hypothesis that ar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shape and bahavoir’ in the cognitive & behavioristic psychology. After this pharase, to varifiy the data, the researcher undertook field research and interview. Results The researcher determined the interview on the waste bin users to find effectiveness of appropriate the cognitive & behavioristic psychology. And the research undertook field research and found 3 types of behavior patterns. The end of this research, the report showed the design sketched based on research data from convergence UX and cognitive & behavioristic psychology. Conclusion This study derived the results of the desig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waste dumping through the link between psychological and design. If it is not a visually represented study such as psychology, the effe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X design-based research methods was identified.

      • KCI등재

        Die U¨bertragbarkeit kognitiver und konstruktivistisch orientierter Psychologie in die Landeskundedidaktik

        Lee, Hae-Wook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11 No.-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에 관한 이론의 토대를 제공해주는 인식론과 인지 이론의 변화동향이 객관주의에서 구성주의로 변화해 온 과정을 개괄적으로 검토하면서 오늘날 대학에서의 독일어 지역사정 수업교육방안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행동주의 심리학의 접근방식에 대해 회의를 품기 시작한 심리학자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인간의 행위에 대한 설명방식을 찾기 시작했으며, 이들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방치해 두었던 인간의 인지과정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하여 인간의 능동성과 인간 인지가 행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지심리학은 80년대 후반을 넘어서면서 구성주의 인식론과 그의 학습 및 수업설계 이론들과 결합함으로써 교수-학습에 있어서 객관주의적 틀을 허물고, 그 자리에 인간이 어떻게 외부의 실체를 정보를 처리하여 의미를 구성해 내는가 하는데 구성주의 패러다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구성주의는 지식은 인간의 마음 밖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지각하고 인식하는 주체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봄으로써 근본적으로 행동주의 심리학을 비판한다. 구성주의에서는 기존의 기억과 기계적 암기를 위한 반복 연습에 의한 주입식 교육은 학생들의 사고와 원리 산출에 아무런 기여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전적으로 타파되어야 된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구성주의에서는, 남에게서 전수 받은 지식의 양의 많고 적음으로 지식을 판가름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학습자 스스로가 기존의 지식사항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해낸다. 결국 학습자 중심의 교육의 체계수립을 위한 오늘날의 인접 학문들은 인지심리학이나 구성주의적 동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인지심리학과 구성주의 교육의 주요 학습 개념들은 '학습자 중심교육', '통합교육', '협력학습', '과정중심, '활동중심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 강조'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제시한 인지심리학과 구성주의의 학습관을 소개하고 이들의 독일 지역사정 수업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우선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한 교육 개념들을 선택하여 설명하고 이를 근거로 독일어 지역사정 수업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이 수업 모형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생중심, 과정중심교육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미래전에 대비한 한국군 인지전 발전 방향: 인지전 개념, 전개 양상, 그리고 전략적 대응

        김진호,최영찬 한국국방연구원 2023 국방정책연구 Vol.39 No.3

        인지전이 새로운 전장으로 부상한 이유에 대해 인지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뇌과학, 인지과학 등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인지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기존에 미국, NATO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지전 개념과 유사한 개념인 정보전과 심리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인지전 개념을 목표, 방법, 수단 등으로 구체화 했다. 특히, 권위주의 국가인 중국 및 러시아의 인지전략과 내러티브, 프로파간다 등의 인지전 전개양상을 제시하여 인지전의 실체에 대해 분석했다. 우리군도 이론적 논의를 넘어 인지전의 역량을 구비하고 필요시 공세적인 인지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동전투발전(DOTMLPF-P)의 틀에 맞추어 한국군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Scientific ground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neuroscience, brain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were presented to enabl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ognitive warfare as to enabl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ognitive warfare. In addition, the concept of cognitive warfare was embodied in goals, methods, and means through discussions on information warfare and psychological warfare, which are similar to the concept of cognitive warfare previously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and NATO. In particular, the reality of cognitive warfare was analyzed by presenting cognitive strategies, narratives, and propaganda of authoritar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Russia. Beyond theoretical discussions, the Korean military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 in line with the framework of Joint Combat Development (DOTMLPF-P) so that it can have cognitive capabilities and carry out aggressive cognitive warfare if necessary.

      • KCI등재

        인지주의와 영화학의 융합 -인지주의 영화이론 메타분석

        이상욱 ( Sang Uk L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 아시아영화연구 Vol.5 No.2

        인지주의는 1960년대 이후 ‘마음’에 대한 공통된 주제를 심리학, 신경과 학, 컴퓨터 공학, 과학철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하며 학제 간 연구로 발달된 학문의 흐름이다. 인지주의는 이후 다양한 학문분야에 자극을 주며 확대 발전되었다. 영화학에서도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 노엘 캐롤 (Noel Carroll), 그레고리 커리(Gregory Currie), 조셉 엔더슨(Joseph D. Anderson), 워랜 벅랙드(Warren Buckland) 등의 학자들이 적용시키기 시작 했다. 이 글은 이런 일련의 인지주의와 영화학의 만남을 추적하고 이후 발 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인지주의는 앎의 과정을 즉 ‘인지’와 이것이 이루어지는 ‘마음’을 철 학이나 관념의 영역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살펴보기를 주장한다. 우리가 앎을 획득해 가는 과정, 나아가 정서, 판단, 사고, 학습, 언어, 문화, 사고체계 등 다양한 ‘마음’의 작용을 연구하여 얻어진 결과를 다양한 학문분야에 적용하고 발전시켜나간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학제 간 연구, 융합적 학문으로의 성격을 지닌다. 인지주의에서는 우 리의 ‘마음’을 정보처리체계로 간주하고, 그 구성을 그물망형태로 형성된 우리의 뇌 신경계형태로 구성, 작용된다고 여긴다. 그리고 최근에 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ve)’ 관점에서 마음이 단순히 한 개체 의 뇌 안에 머무르지 않고, 뇌-신체-환경 3자가 괴리되지 않는 총합체 로 보며 ‘마음’의 상호작용, 능동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조셉 엔더슨은 제임스 깁슨(James Gibson) 등의 지각심리학의 성과를 가지고 ‘잔상’효과의 허구성을 밝히고, 영화 제작의 기법들을 설명 하는 인지주의 영화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영화제작과 이해의 실질적 인 문제들을 인지심리학적 입장에서 실증적으로 밝히는 선례를 남겼으나 주로 할리우드의 서사영화 형식을 주로 옹호하고, 지각의 상하향처리 모두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데이비드 보드웰, 노엘 캐롤, 그레고리 커리 등의 영미학자들은 인지주의 영화학을 주장 하면서 기존의 ‘거대 담론’, 즉 기호학-정신분석학-비판이론이 중심인 현대영화이론 연구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은 인지 주의 연구를 일부만 차용하고, 거대담론을 반대하기 위하여만 차용하 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영화인지기호학은 주로 유럽학자들에 의하여 기호학적 입장에서 인지주의 연구를 받아들여, 영미 인지주의 영화학 자들과 논쟁을 벌였으나 그들 역시 인지주의적 흐름을 받아들이기보다 기호학을 옹호하기 위한 노력에 열의를 보였다. 인지주의에서 최근 논의되는 ‘체화된 인지’ 및 다양한 연구 결과들은 영화학에서 더욱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이 높고, 인문학적 연구들과 연계하여 서로 대치되지 않으므로 영화학에서 학문적 융합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Cognitivism was started as a flow of study ``minds`` with scientific methods during 1960`s. It was an interdisplinary movement acrosspsychology, neuroscience, computer science and scientific philosophy.It enlarges their boundary of study to other disciplines. In film study, David Bordwell, Noel Carroll, Gregory Currie and Joseph Anderson apply cognitivism. And some European semioticians try to cognitive approach. Joseph Anderson`s ecological cognitive approach to film was very successful to explain ``the myth of persistence of illusion`` and filmmaking grammar. But his studies focus on only Hollywood`s feature film and ``bottom-up`` visual perception. Bordwell, Carroll, Currie use few and old cognitive researches only to oppose to semiotic-psychoanalysis-critical theory film study, call as ``grand theory``. Cognitive film semiotics of film study use cognitive approach on semiotics side, but they usually apply just small parts of cognitivism. ``Embodied cognitive`` is a new paradigm of cognitivism, they explain ``mind`` is not only in brain. They insist ``mind`` is a nexus of brain, body and environment. If we apply ``embodied cognitive`` to film study, we could explain various problem of film, like ``narrative in film``, ``new filmic phenomenon`` and ``gap of film-making and film-theory.``

      • KCI등재

        형사법의 판단에 작용하는 동기식 인지에 관한 시론적 연구 -미국 법심리학의 논의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강우예 ( Wu Ye¸ K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3

        형사절차의 참가자들에게 나타나는 동기식 인지(motivated cognition) 현상은 특정한 결과를 선호하는 심리적 경향이 합리적인 논증을 배후에서 지배하거나 이끌어가는 패턴을 보여준다. 동기식 인지라는 심리학적 현상에 비추어 볼 때 종래 형사법에서 크게 환영받지 못한 결과고려의 방식이 사실상 만연해 있으며 심지어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동기식 인지에서 작동하는 결과고려는 상당부분 법적 쟁점과 무관한 이념(ideology) 내지 집단적 정체성(group identity)과 결부되어 있으며 심지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동기식 인지는 법판단자가 무의식적 편향에 완전히 종속된 기계라고 믿게 만드는 확고한 근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판단의 자유를 누리는 존재는 아니라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동기식 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절차법적인 대응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절차참가자들 특히 배심원과 판사가 동기식 인지를 의식하도록 하여 그 영향을 줄이는 방안이 있다. 동기식 인지는 배심설시, 변론, 전문가증언, 교육 등의 방법으로 그 편향의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증거 제출의 기준과 방법의 변화를 통하여 동기식 인지을 일부 통제 할 수 있다. 우선, 편향적 성격 증거에 대해서는 공판정에서 반대 성격 증거를 제시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나아가, 위법수집증거배제 법리에 있어 예외 요건에 대한 증명을 조금 더 엄격하게 요구하는 것과 같은 개선을 도모해 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동기식 인지의 편향을 회피할 수 있는 형사 절차를 구성하는 것 또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동기식 인지 편향이 있는 배심을 선정절차에서 질의응답을 통해 파악하고 기피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하면 형사절차는 합의부로 구성하거나 동기식 인지를 이유로 단독판사에 대한 회피 내지 배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판사의 편향이 재판 결과를 좌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게다가, 오랫동안 주장되어온 것이기는 하지만 유·무죄 심리절차와 양형절차가 분리되어야 관련성 없는 정보들이 유·무죄 판단에 개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제안도 동기식 인지 현상에 비추어 보면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동기식 인지 현상에 대응하는 형사법 제도의 개선방안의 제시는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케이한은 정당방위 상황과 관련해 집단적·문화적 정체성에 따라 사실관계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에 대해 현재로서는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없다고 단언한다. 케이한은 이러한 동기식 인지는 법판단자가 선의로 공정한 판단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완전히 별개로 이루어지는 심리적 현상이 아니라고 했다. 이렇게 되면, 형사절차 참가자들이 과연 법적 원칙과 기준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하고 적용하는 존재인지에 대한 의문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어쩌면 합리적 이성의 능력을 우리 스스로 지나치게 과대평가하지 않는 것이 보다 나은 해결책으로 가는 실마리가 아닐까라고 생각해 본다. The phenomenon of motivated cognition that happens in decision makers in criminal law is the psychological pattern of controlling and leading rational reasoning. This psychological concept shows that the method of consequentialism that is not very welcomed is widespread and even unavoidable. Moreover, the consequentialism regarding motivated cogni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ies or the group identities, which do not have any relevance of legal issues. Also, it works unconsciously. The motivated cognition is not a firm ground that makes legal decision maker totally subject to determinative causation but is not a concept of explaining about total free-will of our capacity. To cope with motivated cognition, some countermeasures can be suggested. The participants of criminal process, such as jurors and judges, can consciously understand motivated cognition and reduce the effect of it. It means that jury instruction, arguments, expert testimony, education can reduce the effect of the bias. Moreover, the reformation of standards and methods of submitting evidence can get rid of the effect of motivated cognition. Most of all, against one-sided biased character evidence, the opposite side’s character evidence can be submitted. In addition, we can require the stricter proof of exceptional requirements of the exclusionary rule. Besides, the construction of bias-free process can be another option. The preemptory strike against biased jurors will be an alternative choice by a counsel. Simultaneously, the legal means to avoid a judge who has a serious motivated cognition should be constructed. To deter baised sentencing informations from being heard in a guilty trial, the bifurcation between guilty and sentencing process is seriously asked for. Nontheless, providing the countermeasures against motivated cognition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s not so simple. For example, Dan Kahan assures that we don’t have any effective means to cope with the phenomenon, that the determination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dentity based on a group or a culture. Kahan argues that motivated cognition is not the process that is made in completely different mode from the fair effort of good-faith. Also, even though there happens motivated cognition, it is hard to tell that it is wrong. If this difficulty is true, we cannot avoid the suspicion of if individuals who participates in a criminal process can rationally and reasonably use and apply legal principles and standards. Probably, trying not to exaggerate the capacity of rational reason may be the first step toward a better solution.

      • KCI등재

        <기획> : 공감과 치유의 언어,문학 ;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근거

        이민용 ( Min Yo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내러티브는 상담과 치유?치료에서 소통의 기본 질료로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내러티브 그 자체의 체계적인 치유적 활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치료 혹은 내러티브 테라피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래서 인지과학의 분과학문들인 뇌과학, 인공지능학, 인지철학, 인지심리학, 인지언어학, 인지서사학 등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내러티브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우선 뇌과학적으로 보면 내러티브는 삶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해 ‘체화된 인지’ 개념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우리의 뇌에는 거울뉴런이 있어서 내러티브가 공감과 미메시스에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지심리학적으로는 마크 터너에 의하면 내러티브는 마음의 기본 원리이다. 마음이 구성되는 기본원리가 내러티브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인지철학에서도 로이드에 의하면 내러티브는 마음을 구성하는 세 층위 중에서 두 번째 층위로서 사고의 일차적인 패턴으로 간주된다. 한편 내러티브의 이런 성격은 진화심리학적으로도 인간에게 아주 중요하다. 내러티브가 기억의 부담을 줄여주고 관심을 인간중심적으로 이끌어주며, 인간이 상상하고 시나리오를 짜서 연습하는 과정에서 하등동물을 능가하는 존재로 진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인지인어학자 레이코프와 인지철학자 존슨에 의하면 우리 인간의 사고 개념은 은유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은유는 넓은 의미의 은유로서 내러티브나 문학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내러티브가 이렇게 마음을 구성하는 기본원리로서 작용한다면, 마음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마음을 치유하는 데에도 내러티브를 치유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치료에서는 우리 인간이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견지하며 외부와 내부의 문제들을 이야기로써 해결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여기서 우리 마음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은 그 마음을 지배하는 지배적 스토리에 문제가 생겼고, 이런 스토리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인지프레임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럴 때 그러한 이야기 혹은 스토리로 된 인지 프레임을 치유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심리적 문제에 물든 인지구조를 바꿔서 새롭게 치유된 인지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내러티브로써 인간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근거들을 인지과학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While narrative has been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counseling and therapy, in recent days narrative is being applied for itself to narrative therapy. Due to the structual similarity to life, narrative is a key element of embodied cognitive theory. There are brain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philosophy,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narratology under the cognitive science. Narrative has been explored in view of these disciplines of cognitive sci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issues about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iplines in cognitive science, and to research the healing grounds of the narrative. Section one of the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 of narrative therapy activities and cognitive science. Section two examines the principle of mind b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narrative in mind, and identifies the narrative as the basic principle of mind. Section three analyzes mind model in cognitive psychology and tries to seek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by utilizing narrative mind model. We can reach to happiness and mental well-being by modifying narrative cognitive frame, the narrative identity and self stories therapeu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