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관련 개인 및 학교요인 탐색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요인을 개인과 학교수준에서 탐색하는 데에 있다. 분석결과를 통해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해 학교교육 차원에서 어떠한 교육적 개입이 중요한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PISA 2018 참여국 33개 지역의 46,580명의 이주배경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문해역량과 관련이 있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분석방법으로 3수준 위계적 선형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풍토로서 이민자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고 협력적 풍토가 높은 학교에서 이주배경 청소년은 높은 문해역량을 보였다. 학교수준 요인으로는 농촌지역에 위치하며, 학교 ESCS가 낮고, 이주배경 청소년 비율이 높은 학교에 재학하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문해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이 낮은 집단의 문해역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읽기효능감이 높고, 자신에게 교사의 학습지원이 있다고 인식하는 청소년의 문해역량이 높았다. [결론] 이주배경 청소년에게 문해역량을 학습하고 활용하는 행위는 자신을 억압하는 거주 사회의 문화자본을 습득하는 동시에 해방을 위한 투쟁적 도구를 얻는 모순적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학교교육은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쳐야 할 책무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한 정책의 대상과 영역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특성을 밝혀냈다.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해 학교 내 비이주배경 청소년들은 이민자에 대한 권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또래들끼리 협력적인 학교 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iteracy competency of immigrant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acquisition mechanism literacy competencies of immigrant students and discuss specific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policy support directions. [Methods]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33 countries participating in OECD PISA 2018 and targeted 46,580 students. Also,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as been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explore factors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related to the literacy competency of immigrant students. [Results]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factor of the school leve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show higher literacy capabilities in a school that has a positive immigrant attitude and a highly cooperative climate. And the literacy capacity of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tends to be lower in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in schools with low school ESCS, and in schools with a high proportion of adolescents from migrant background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iteracy than male students. Groups with low socio-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tended to have low literacy. The adolescents who have high reading efficacy and consciously have teacher’s learning support have high literacy ability. [Conclusion] The state and schools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literacy skills of immigrant students. In terms of the subject and area of active policies to improve the literacy of immigrant adolescents, the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of boys and families, the first generation of adolescents, and the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rural schools should be considered as school characteristics. To support the literacy competencies of immigrant students, non-immigrant students nee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immigrants.

      • KCI등재

        독일의 이주배경청소년 직업진로 지원정책의 보편성과 특수성

        정수정(Jung, Sujung),최순종(Choi, Sunj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이주배경청소년의 직업진로 지원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독일의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의 틀로서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정책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구분하고 사회통합의 일환인 독일 이주민 정책의 방향과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직업진로 정책의 지향점, 직업진로 지원정책의 주요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독일 이주배경청소년 직업진로 지원 정책의 방향과 정책사례들이 한국의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직업진로 지원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독일 사례분석의 주된 결과로는, 우선 정책의 보편적 측면에서, 사회통합의 핵심적 요소로서 이주 배경청소년을 그렇지 않은 청소년과 구분하지 않고 이들을 성공적 사회 참여가 가능한 자립적 직업인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정책의 특수성 측면에서는 이주배경이 있는 청소년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빌둥스케테 정책, 빌둥스케테 정책 하 유사한 배경과 경험을 지닌 이주배경이 있는 자영업자들의 자원을 활용하여 이주배경청소년의 직업진로를 지원하는 KAUSA사업, 그리고 이주배경이 있는 자를 교사로 양성하는 학생캠퍼스(Schulercampus)제도 등을 통해 이주배경으로 인해 야기되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지원한다는 것이다. 독일 사례 분석결과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정책이 이주배경청소년을 특정집단으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 학생이나 취약계층 청소년 전부를 포괄하여 지원하는 보편성과 이주배경청소년만의 고유한 특성과 여건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고려한 특수성, 이 두 가지 모두를 고려하여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article at hand analyses Germany’s exemplary approach to provide adolescent immigrants in Germany with educational support. The research approach refers to the distinction between generality and specifics in policy for adolescent immigrants in Germany. In this regard, generality is a matter of immigration policy as social integration and particularity contains concrete political measures. From both cases, it is possible to derive lessons and good practice models from Germany’s approach and apply some of these to Korean policy. The promotion of occupational skills a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social integr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immigrant’s special conditions and the efficient use of the “KAUSA-program”, “student-campuses”, etc. were seen as being the most essential conclusions derived from these studies. In summary, the key lesson for Korean policy is not to regard adolescent immigrants as a special social group but as an equivalent part of the society.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f both generality and specifics is necessary.

      •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종합지원모델 개발

        연보라,이윤주,김현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체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를 위한 종합지원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포럼 및 전문가자문(TF운영), 설문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실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 및 사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기관 연계 지원사업과 관련된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아동·청소년 분야 및 국내외 이주배경 아동·청소년과 관련된 지역기관 연계지원사업 사례 분석을 토대로 모델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덧붙여 전국의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도입국 자녀나 외국인가정 자녀의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관련 정책과 사업이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대상 주요 부처별 정책 및 사업의 기능들이 유사하며, 정책 수혜 대상이 다수 중복되는 등 지역 단위에서 분산되고 파편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지원사업 사례 분석에서도 지역 차원에서 현장 대응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수립이나 지속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전문가들은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에 대하여 매우 필요하지만 실제 연계 현황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지역에 따라 환경과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연계 현황에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연계사업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요구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모델(안)의 세부 내용별로 관련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전술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델 개발의 3가지 원칙을 도출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종합지원모델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오성배,이유정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수준을 밝혀, 이주배경청소년 진로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非)이주배경청소년 및 이주배경청소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및 현장 전문가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진로탄력성 구성요인 및 하위변인의 수준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 간의 차이는 대부분은 중도입국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에 근거한 것이었으며, 이들은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의 차이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진로교육에서 비(非)이주배경청소년과 이주배경청소년 간의 특성 차이 그리고 이주배경청소년 내의 유형간 특성 차이를 고려한 접근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 생활실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한 교회 지원방안 모색

        오혜정 ( Hye Jeong Oh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근거하여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교회의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이들의 발달과 삶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2021년 이주배경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먼저 신체적·심리적 건강 차원에서 이주배경청소년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지역사회 환경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 하위 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부모와의 활동 빈도 및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탈북 및 탈북배경 청소년에게서 가장 낮았고, 사회적 지지인식은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에게서 가장 낮았으며, 지역사회 내 차별 경험 역시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및 학교생활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은 대체로 비(非) 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 수업이나 학원, 과외 수업 외에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많고 사교육 경험 및 사교육 시간은 적었다. 한편, 학업 및 학교생활에 있어 코로나 19로 인한 영향과 변화는 비(非) 이주배경청소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원 경험과 욕구에 대하여는, 이주배경청소년은 하위집단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교과목 학습지도, 견학 및 체험 활동, 물적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한국어 교육 등의 지원 경험이 많았고, 필요한 지원에 대하여는 취미여가 지원, 현금 지원, 학습 지원, 진로 지원 등의 욕구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교회 지원방안을 유형별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는 맞춤형 지원,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지원, 신체적·정신적 건강 지원, 기독교 세계관에 기반한 취미·여가 및 진로 지원의 네 가지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in the COVID-19 context and to explore the support plans of church for thes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eliminary studies on development as well as definition and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vestigation results conducted in 2021, which showed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As a result, first,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lower subjective percep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higher stress than adolescents without such a background. Secondly, different sub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related to family and community variables, which appeared that both frequency of activity with parents and time spent with parents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with a defector background from North Korea while social support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community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born abroad. Thirdly, regarding study and school life,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They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lone and less experience and time in private tutoring than non-migrant background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s of COVID-19 on study and school life were not significant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migrant background. Finally,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 had a lot of experience in study guidance, field trip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material support, mentoring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necessary support, there were many needs such as hobbies and leisure support, cash aid, learning support, and career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following suport plans of church - customized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subgroup, active response and support for migrant adolescents born abroad, support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upports for hobbies, leisures and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의 운영현황 연구

        유진이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0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이주배경청소년 지원기관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이주배 경청소년 지원기관의 미래지향적 운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고찰과 면접 에 의한 해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정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레인보우스쿨, 다문화특별학급, 다문화중점학교, 다문화예비학교 등이며,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기 관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단순한 통계작업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학교 밖 이주배경청소년을 찾아내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로 대 두되었으며, 학교 밖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지원제도의 강화와 보다 실효성있는 진로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지역내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담당자 및 학교 교사들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과 실효 성 있는 교류⸱협력을 위한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used an interpre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related to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suggest future-oriented management and development plans of organizations supporting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The institutions included in the study were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Special Class, Multicultural Critical School, and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 located in P-city,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cilities capable of accommodating youth from immigration background compared to the population of immigrant background youth residing in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task of finding out-of-school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not found in statistics was identified as an urgent task, and the need for more effective career support along with reinforce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outside of school was required.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mechanism for reinfor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f projects and school teachers targeting young people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in the hall, and to prepare a plan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이주배경 청소년 연구 동향 분석

        장은아,백예은,정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1

        This study applied topic modeling based on th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sequentially to examine current and emerging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Korea. For this purpose, 1,253 papers published in KCI-listed academic journals from 2006 to 2022 were col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s on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ended to focus discussion around four topics: multicultural policy,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 adaptation of these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to Korean society. Second, time-series analysis revealed that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represent a rapidly emerging area of interest for researchers, whereas multicultural polic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discourse studies were topics which are exhibiting a general decline in interest. Third, the topics and areas of interest and research which tended to focus on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research were linked to the following keywords: education, program, and school. Education was an important word linked to the most topics. Fourth, the degree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 education is a keyword with a high level of influence and connection to other keywords in multicultural polic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discourse studies. However, in the case of studies into the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factors had a great many connections with other keywor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so as to better facilitate the exploration of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 기반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 기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교육 지원 정책이 처음으로 수립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53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논문의 키워드 간 관계와 주요 토픽의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이주배경 청소년 연구는 다문화 정책, 다문화 교육, 다문화 담론, 이주배경 청소년 적응의 4개 토픽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주요 연구 주제는 이주배경 청소년 적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배경 청소년 연구의 17년간의 비중 변화를 시계열 분석한 결과, 이주배경 청소년 적응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그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는 상승 토픽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 달리 다문화 정책, 다문화 교육, 다문화 담론 연구는 연구의 비중이 감소하는 하강 토픽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이주배경 청소년 연구의 토픽은 토픽별 할당 확률이 높은 주요 키워드인 ‘교육’, ‘프로그램’, ‘학교’를 중심으로 키워드들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교육 키워드가 가장 많은 토픽을 연계하는 중요한 단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이주배경 청소년 연구의 각 토픽별로 연결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 정책, 다문화 교육, 다문화 담론 연구에서는 ‘교육’이 다른 키워드와의 연결이 많아 영향력이 높은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주배경 청소년 적응 연구의 경우 ‘요인’이 기타 키워드와 많은 연결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준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장은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이주배경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가운데 6 차(중3) 자료에 응답한 654명의 이주배경청소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SPSS,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주배경청소년의 학교 내 사회적 자본, 진로인식 수준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은 진로인식 수준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한국어 능력은 매개변인의 역할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도 이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이주배경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 각각이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진로인식 수준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주배경청소년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위해 필요한 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도 중요하지만, 변인 간의 연계·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준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가 비(⾮)이주배경청소년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causalities among such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ors as social capital, Korean language competence, and career awareness adaptability, which are known as principal factors affecting school achievement in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and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 expected results from the review and wor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data from approximately 654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in the sixth (for ninth-grader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processed analysis by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ocial capital within school, Korean language competence, and career awareness adaptability directly affected school achievement in the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Social capital within the household indirectly affected school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career awareness adaptability. Second, Korean language competence failed to serve as a mediator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chool achievement and only directly affected school achievement in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Third, each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household and social capital within school indirectly affected the association with school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career awareness adaptability in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e need to lay emphasis on the inter-variable association and cooperation as well as on the independent effects of the variables required to develop a plan for improving school achievement among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Consideration can be given to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 for each type becaus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Korean language competence, career awareness adaptability, and school achievement can depend on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play crucial roles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relieving multiple disadvantages from adolescents with non migrant backgrounds.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사회참여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신난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tual world of migrant youth's life-world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y work.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intensive interviews, FGI methods, and life history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migrant youth differed depending on the overall condition required to grow into a personal being. They didn't violate the general rules of society or cause accidents, but they were deeply embedded in the pain and atrophy of their migrant background. They had deeper ties with peer groups in a similar position than public institutions and teachers. To the migrant background youth, part-time jobs were 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ir lives. They enjoyed the independence and freedom of pseudo-adults through part-time jobs, SNS, and media, and endured the vacancy of insufficient nurture and support. Migrant background parent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youth'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owever,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mmunity network between home-school-community (including migrant background-based civic groups)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migrant parents as individuals and the total difficulties faced by the migrant background youth. At the same time, a new educational philosophy paradigm that does not exclusively target or instrument migrant background families and youth should be built, and critical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itizen youth. 본 논문은 이주배경 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사회참여활동의 실제를 살펴보고 이에 작동하는 문화적 맥락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에는 문헌조사, 집중 인터뷰, FGI 방법, 생애사 수집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분석에 의하면,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은 인격적 존재로 성장하는 데 요구되는 총체적 조건이 어떤 상태인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들은 드러나게사회의 일반 규칙을 어기거나 사고를 일으키지 않지만, 마음에 이주배경으로 인한 아픔과 위축을 깊이 담고 있었다. 이들은 공적 제도나 교사보다비슷한 처지의 또래집단과 더 깊은 유대관계를 맺었다. 이주배경 청소년에게서 아르바이트는 생활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SNS, 미디어, 아르바이트 등을 통하여 의사 성인의 독립성과 자유를 향유며 충분하지 못한양육과 지지의 공허함을 견뎠다. 이주배경 부모의 사회참여활동은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능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개인으로 이주배경 부모가 겪는 한계와 이주배경 청소년이 겪는 총체적 어려움에 대하여 가정-학교-지역사회(이주배경 시민단체 포함) 간의 교육공동체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이주배경 가정 및 청소년을 배타적으로 대상화하거나 도구화하지 않는 새로운 교육철학 패러다임의 구축, 시민청소년 관점에 기반 한 비판적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갈등과 대응전략

        송원일,유진이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0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 중 귀화를 선택한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인 정체성 관련 갈등 경험, 극복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 해 한국인 정체성 갈등현상을 파악하고 갈등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은 개인적 기준과 사회적 기준의 간극에서 오는 갈등이나, 포함과 배제에서 오는 갈등 등 다양한 한국인 정체성 관련 갈등 경험 을 가지고 있었고, 이 외에도 한국국적을 취득으로 인한 갈등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은 한국인임을 숨기거나 대상에 따라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는 상황별 직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을 있 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행동화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전체 직면을 하는 경 우도 있으며, 거짓말을 통해 ‘타자화’를 회피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 문제로 고민을 하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직접적으로 돕거나 조언을 해주겠 다는 지지적 관계 형성을 통한 대응과, 귀화 사실을 숨겨서 문화 갈등 및 위장 결혼 요구를 거부하는 등의 대응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먼저 갈등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류 한국인이 갖고 있는 국가 구성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둘째, 이주배 경 귀화청소년들이 주류 한국인의 인식을 미리 인지하고 차별과 편견에도 굳건히 버티고 이겨낼 수 있도록 내면을 강화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주배경 귀 화청소년이 한국에서 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 설립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conflicts related to Korean identity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m through the voices of migrant and naturalized youths who chose naturalization among middle-aged Koreans. Through this, we wanted to propose ways to help identify and resolve the Korean identity conflict. As a result of the study, migrant naturalized youths had various experiences in conflicts related to Korean identity, such as conflict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personal and social standards, and conflicts arising from inclusion and exclusion, as well as conflicts caused by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n response, they were found to hide their identity or display coping measures situation by situation. Some of them accepted the reality and revealed their identity without worrying about consequences. Some others avoided otherization by not telling the truth. Still others are willing to help other naturalized youths who are in dilemma about whether to naturalize and dispense advice. In some cases, there are some naturalized young men and women who refuse to reveal the fact that they have naturalized and thus avoid demand for marriage of convenience from other unnaturalized part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national members by first as a way to prevent conflicts mainstream Koreans should be changed. Second, the inner circle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immigrant background naturalized youths can recognize mainstream Koreans' perceptions in advance and firmly withstand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Finally,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 where migrant and naturalized youths can receive the minimum education needed to liv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