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청소년 연구의 10년 동향분석 -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

        송원일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1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의 관련 문헌을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국문논문 총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동향 을 살펴보기 위해 등재지 게재 동향,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을 파악하였 다. 이를 통해 중도입국청소년 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 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고, 총 31개의 학 술지에 수록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동향을 살펴보면,‘생활실태, 사회적 지원, 법ㆍ인권, 정체성, 적응ㆍ부적응을 포함하는 사회적 측면’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질적연구’가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양적분석’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첫째 KCI에 등록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의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주제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가 최초로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2011년부 터 2020년까지 10년의 동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9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middle-aged immigran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KCI) from 2011 to December 2020.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nt youth, the publication trend of registered site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th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ecking the current status of migrant youth research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6 to 2018, with a total of 31 academic journals. Second, looking 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the most studies related to social aspects are published.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type,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data analysis. Suggestion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research related to migrant youth registered with the first KCI.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pic. Third,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needed. This study can to the limitation that only papers that can be viewed in the original form of KCI-listed papers are subject to analysis, There may be errors in the qualitative studies classified in this study because each researcher has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s that define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시국의 중도입국청소년 이슈 분석

        송원일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2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언론보도 빅데이터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와 이 슈를 도출함으로써, 코로나19 시국의 중도입국청소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는 언론보도 빅데이터 서비스인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54개 언론매체에서 보도한 775건의 언론보도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 전문 소프트웨어인 넷마이너로 주 제어 분석과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① 중도입국청소년의 맞춤형 지 원을 위한 대면지도, ② 증가하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 ③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촘촘한 지원체계 구축 등 3개의 주요 이슈가 도출되었 다. 본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적 차원, 정책적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trend suggestions of migrant youth trends in COVID-19 by deriving key keywords and trends that appeared in media coverage big data related to migrant youth. To this end, Big Caines, a big data service run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collected 775 media reports from 54 media outlets. Then, subject word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ere conducted in NetMinor, a specialized software for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results led to three main trends, ① face-to-face guidance for migrant youth, ② community efforts for increasing migrant youth, and ③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you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erivation, suggestions are proposed in terms of educational and policy aspects of migrant youth.

      • KCI등재

        예비청소년지도자의 다문화청소년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분석

        송원일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3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8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ospective youth leaders. To this end, metapho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youth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was conducted on first to fourth graders of youth departments at P University in G-do, D University in D-metropolitan City, and D University in B-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prospective youth leaders recognized multicultural youth in the order of “youths who the same”, “different but the same youth”, “youths with special values” and “youths who live together”.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llowed by “education to live together”, “education to learn what you don't know”, “education to eliminate prejudice”, “education to prepare for” and “essential education”.

      • 국내 유기축산의 동향 및 발전방안

        송원일,장경만 한국가금학회 2005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2 No.-

        유기농 계란은 시중 판매되는 다른 계란에 비해 사양비, 사료비가 높아 가격이 기능성 계란에 비해 2배정도, 일반계란에 비해 3배정도 비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나, 유기농 축산물의 가격이 동일 축산물에 비해 2~3배 높은데다 소비자들의 인식결여로 대중적으로 구매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br/> 따라서 유기농 축산물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적정가격이 가장 큰 문제이며, 또 유기농 축산물의 우수성과 차별화된 생산과정을 통한 안전성에 적극적인 홍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 축산물을 구입하는 이유가 맛이나 환경문제보다는 가족의 건강, 식품의 안전성에 우선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선뜻 유기농 축산물을 구입하는데 꺼리는 것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것도 있지만 유기농 축산물의 신뢰성이 부족한 것도 그 이유 중의 하나로 밝혀져 유기농축산물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소비자의 불신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 The study was conducted on livestock farms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NACF) - Ansung that raised Hanwoo, dairy cattle, pigs and chicken. It focused on the trend, prospect, certification procedure of organic livestock in the world. However,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the organic livestock following standard of CODEX has never been existed in Korea. The results showed countermeasures against consumer, government, producer, marketing and certification of organic livestock produc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Korea.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인식 연구

        송원일,유진이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2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Korean identity among Naturalized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 By doing so, it also attempt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better embracing these youths to Korean society. Study subjects are young men and women aged between 19 and 24 who have naturalized during their school attending age or currently are preparing to do so.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From interviews, the youths expressed their impressions that Korean people are generally kind. According to the naturalized youths, being Korean means being born in Korea, have a Korean ancestor, being able to speak Korean, nationality should be Korea, being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respecting Korean political system and laws, being able to feel themselves Korean, and being proud of themselves as Korean. They also said that the identity as a Korean has undergone a change from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after acquiring their nationality. For the naturalized youths to minimize friction in becoming full-fledged Koreans, mainstream Koreans must change their idea of being Korean. Above all, people who are frequent contact with the naturalized youths, such as local government officials, bank tellers, nurses, as well as job placement office workers and factory workmen, must change their perception towards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s. To this end, the government needs to offer training and public campaigns to reduce discrimination and encourage cultural understanding. For the youth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without being confused, local community leaders must be able to offer them training programs so that they can become strong members of Korean society while retaining their naturalization, multicultural, and bilingual experiences. Finally, the initial acclimatization programs offered by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psychological,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language training. 본 연구는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관련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들의 인식개선 방향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학령기에 중도입국해서 귀화, 또는 귀화를 하기 위해 준비 중인 1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눈덩이 굴리기 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은 한국인에 대해 ‘친절함’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인식한 한국인 정체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태어나야 하고, 한국인 조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한국어를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한국문화에 익숙해야 하고, 국적이 한국이어야 하고, 한국의 정치제도와 법을 존중하고, 한국인임을 스스로 느끼며, 한국인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은 국적 취득을 기준으로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의 변화과정을 갖는다고 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적응 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류 한국인의 정체성 인식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을 다양하게 차별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을 비롯해 공공기관 및 외국인 취업관련 종사자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차별과 편견, 상호문화존중 등의 다문화인식개선교육 및 캠페인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현장 지도자들은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정체성이 통합되어 한국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시민교육을 제공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초기적응 프로그램들이 한국어교육 뿐만 아니라 심리정서 영역도 포함되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신(新)문화공간 사례연구: 메타버스 중 ‘제페토(Zepeto)’를 중심으로

        송원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1

        This study used a collec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what cultural activities youth are doing in Meta-verse platform Zepeto. In Zepeto, eight youth were interviewed in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through chat, voice chat, and zepeto message.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youth cultural activities that appeared in Zepeto include exchange activities, play activities, dance activities, peer activities, consumption activities, communication activities, idol activities, webtoon activities, activities to increase followers, and fashion activit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Zepeto can be similar because they use the same devices as the existing youth mobile culture. Third, Zepeto has activities related to messenger culture, social games and video sharing culture, SNS culture, and webtoon culture, just like youth mobile culture. Fourth, Zepeto has a chat, economic activities and ranking system just like the youth game culture. Fifth, it can be used as a space for people to be interested in and interact with other countries through Zepeto. Sixth, folk games that used to be played offline have been expanded to play online. Seventh, experience in Zepeto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dentity of the ego. Suggestions based on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on communication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Zepeto as an educational space. Third, online games needs to be extended to offline play.Fourth, Self-identity education is necessary. Fifth,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Meta-verse as an unfamiliar cultural space. 본 연구는 메타버스 중 ‘제페토'에서 청소년들이 어떠한 문화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집합적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제페토에서 청소년 8명과 채팅, 보이스(음성대화), 젶메(제페토 메시지)를 통해 반구조화 질문지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제페토에서 나타난 청소년문화 활동은 교류 활동, 놀이 활동, 댄스 활동, 또래 활동, 소비 활동, 소통 활동, 아이돌 활동, 웹툰 활동, 팔로워 늘리기 활동, 패션 활동 등이다. 둘째, 제페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은 기존 청소년 모바일문화와 동일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사할 수 있다. 셋째, 제페토는 청소년 모바일문화와 동일하게 메신저문화, 소셜게임 및 동영상 공유문화, SNS문화, 웹툰문화와 관련된 활동이 있다. 넷째, 제페토는 청소년 게임문화와 동일하게 채팅, 경제활동 그리고 랭킹시스템이 존재한다. 다섯째, 제페토를 통해 다른 나라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거나 교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오프라인 놀이였던 민속놀이가 온라인에서도 할 수 있는 놀이로 확장되었다. 일곱째, 제페토에서의 경험이 자아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사점을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제페토를 교육적 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온라인 놀이를 오프라인 놀이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아정체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메타버스를 낯선 문화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없다.

      • 연하장애 재활치료 프로토콜 제작을 위한 국내 연하재활치료 실태조사

        송원일,정민예 대한연하재활학회 2019 Swallowing Rehabilitation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작업치료사에 의해 시행되는 연하장애 재활치료의 현황을 파악하여, 작업치료사들의 의사결정을 도와 효율적인 근거 중심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하장애 재활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6월 10일부터 6월 11일까지 대한연하재활학회의 ‘연하재활전문가 성인기본과정’을 수강한 작업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배포·회수한 총 14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임상경력은 3년 미만이 89명 (65.5%)으로 가장 많았고, 3~5년 미만 39명(28.7%), 5년 이상 8명(5.9%)이었다. 연하장애 재활치료는 치료 수요의 증대 로 인하여 전국의 재활병원 및 요양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 등에서 다양한 치료적 테크닉을 바탕으로 활발히 시행되고 있 지만, 복잡한 임상의 치료 환경, 근거에 기반한 치료를 계획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 치료사의 경력에 따라 제공되는 치료의 방법과 양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임상의 치료 환경에서 다양한 증상의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거기반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프로토콜이 절실할 뿐만 아니라, 작업치료사의 경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질적 인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dysphagia and rehabilitation treatments implemen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clinicians develop a dysphagia treatment protocol and make clinical decisions. This study used a total of 143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returned to work therapists who took the 'Adult Basic Courses' of the Korean Academy of Dysphagia Rehabilitation from June 10 to June 11, 2017. The dysphagia therapy is actively implemented using various therapeutic technique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nursing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due to increased demand for treatment. However, occupational therapist had problems with complex clinical care environments, a lack of time to plan evidence-based treatments, and a considerable discrepancy in the method of treatments provided depending on the therapist's career. Since dysphagia therap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 variety of patients in clinical care environments, a comprehensive and well-structured protocol is urgently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treatment protocol for dysphagia which can reduce the quality difference of treatment caused by the differ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career.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송원일,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연하재활치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연하재활치료에 영 향을 주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연하장애 증상과 치료의 효과에 따른 연하재활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체크리스트 및 흐름도를 이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국회 도서관(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헌의 수는 총 18편이었고,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였다. 문헌에서 사용한 연하재활치료들은 치료의 효과와 연하장애 증상에 따라 각각 분류하였다. 결과 : 분석된 논문에서 병변 부위는 대뇌반구와 뇌간 부위가 혼합된 연구 10편, 대뇌피질 부위 연구는 6 편, 뇌간 부위 연구는 1편이었고, 병변 부위가 기록되지 않은 연구가 1편이었다. 발병 시기는 급성과 만 성이 혼합된 연구 13편, 3개월 미만의 급성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3편, 3개월 이상의 만성기 환자 를 대상으로 한 연구 1편이었고, 발병 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연구가 1편이었다. 총 14가지의 치료방법 중 인두기에 효과를 보인 치료가 14건, 구강기에 효과를 보인 치료와 식이 단계에 효과를 보인 치료가 각각 1건이었다. 연하장애의 임상 증상에 따라 치료방법을 분류하였다. 가장 많은 치료방법이 적용된 증 상은 구강인두 기능저하로 총 7가지의 치료 방법이 제시되었다. 설골과 후두의 앞-위쪽 움직임 저하는 6가지, 흡인과 침습은 4가지, 삼킴반사 지연은 3가지, 혀의 근력 약화, 후두개 잔여물, 음식덩이의 인두 통과시간 지연, 그리고 삼킬 때의 통증은 각각 1가지의 치료 방법이 제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 증상에 따라 다양한 치료방법을 적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연하재활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s a systematic analysis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pplied to stroke patients. The method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of swallowing disorder and the effect of treatment wa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for selecting the effective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PRISMA checklist and flow charts. The database used PubMed, Medline Complete (EBSCOhost),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A total of 18 articles were used in the study and the PEDro scal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swallowing rehabilitation treatm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reatment effect and swallowing disorder symptoms. Results: In the analyzed study, 10 lesions were mixed with brain hemispheres and brainstem, 6 lesions were examined in cerebral cortex lesion, 1 brain lesion was examined, and 1 lesion was not recorded. There were 13 episodes of acute and chronic mixed episodes, 3 episodes of acute episodes of less than 3 months, and 1 episode of chronic episodes of 3 months or more. . Of the 14 treatments, 14 were effective on the irritation, and 1 was effective on the oral cavity and one on the diet. Methods of treatmen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of dysphagia. The most common treatment modalities were oral pharyngeal dysfunction and total 7 treatments. There are six different types of frontal and laryngeal movements of the hyoid and larynx, four types of aspiration and invasion, three delays in swallowing reflexes, weakness of the tongue, epiglottis residues, food pockets and temporal lag, Each treatment method was presented. Conclusion: This study may help occupational therapists to provide effective swallowing rehabilitation by applying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according to swallowing disorder symptoms of strok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