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 놀이치료의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석원(Park Suk Wo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유아 발달에서 언어발달은 중요한 부분으로 차지하고 그 중 의사소통 행동, 즉 의사소통행위의 증가를 통해 유아는 의사소통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보아 유아의 언어기능 발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모와의 언어 및 의사소통행동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로 시도하려 한다. 그로인해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 행위의 질적 변화에 대해 검증하고,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제시하기 위해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발달에 어려움으로 지체를 보이는 유아 5명과 그들의 부모인 모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대상 유아는 유의미한 발화보다는 발성을 통한 의사소통이 주로 나타났으며 첫 낱말 출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일상적인 구어나 낱말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언어적 발달 연령은 언어발달검사(SELSI)결과 20개월 이하이며 생활연령이 32개월에서 40개월 사이에 유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들이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놀이적 방법을 치료실에서 치료자가 직접 교육을 하고 훈련을 하여 부모가 직접 적용 해 보도록 하고 매회기는 녹화를 통해 유아와 모의 행위를 관찰하고 모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기는 주 2회씩 12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은 약 2개월간 소요 되었다. 사전평가는 부모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기 전 장난감 교구를 이용하여 20분간 녹화하였다. 사후평가는 프로그램 12회기를 모두 마치고 치료사의 개입 없이 유아와 모의 놀이상황을 20분간 녹화를 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나 자녀들의 치료로 인해 빈도가 낮은 행위에 대해 의사소통행위의 주요 13개 요소가 모두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중재 전후 유아와 모는 의사소통을 위한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첫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5명의 유아 모두 의사소통 행위의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의사소통 유형에서도 분석내용으로 선정한 의사소통 유형들이 증가하고 질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모든 모가 유아와의 부족했던 의사소통행위가 상호작용 상황이 증가하고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의 의사소통행위에 질적인 변화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부모나 자녀들의 의사소통행위의 주요요소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시키고 모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해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로 언어적 기능의 발달에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views linguistic development as a significant part of infantile development and also believes that infants a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by increasing communication behavior, or the acts of the acts of communication, hoping to attempt parent-child play therapy to promote linguistic and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mother - an act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inf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to verify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and to propose play therapy of the parents-children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ve infants who are showing developmental delay and the five mothers. The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communication through voices rather than significant speech, started speaking their first words, and have difficulty in everyday colloquial language and words. Also, the age of linguistic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0 months or less according to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living age between 32 months and 40 month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hod of the therapist educating and training the mothers on the playful methods that may be applied by the parents to the children in the treatment room, with each sessio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observing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rough video recording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mother.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two weekly sessions, with the study period extending over approximately 2 months. Preliminary exhibition was conducted by recording for about 20 minutes by using toy teaching aid before carrying out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arent; post-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video-recording the playing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therapist afte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verified that play therapy of the parents and the child could bring qualitative changes to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e key 13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all increased for the low-frequency behavior due to the treatment of the parents or the children, and qualitative changes for communication behavior were observed after mediation. As a conclusion, firstly,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increased in all five infants as the result of parent-child play therapy, and the frequency of the types of communication selected as the content of analysis increased and showed qualitative change. Secondly, parent-child play therapy increased interaction in the lack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all mothers and infants and furthermore led to qualitative changes of behavior. In summary of the results, play therapy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is able to lead to qualitativ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also led to increase of the key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arent-child play therapy capable of promot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would lead to qualitative changes to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parent-mother play therapy serving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the qualitativ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 KCI등재

        마을공동체 회의에서 주민의 의사소통행위 분석

        김보경,박상옥 한국NGO학회 2023 NGO연구 Vol.18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Maeul community meetings as a type of public sphere in the life-world. Therefore, an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communicative ac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ilding at Maeul community meetings. Based o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communicative action is performed in terms of subject, behavior, and reason, and what are the foundations and limitations that enable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meeting case of Dreamlight Happiness Mom, one of the Maeul communities in Daeje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subjectification of communication based on positive mutual recognition and autonomy, second, behavioral coordination through common understanding and voluntary consent, and third, community rationa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t the Maeul community meeting was the process of sharing the life-world, relational time, horizontal mediator of behavioral coordin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eul community as a voluntary association of the villag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communicative action, the identification of opinions and identity, and other practical problems were found to be limit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ducational approach to the possibility and scalability of Maeul community meetings as a public sphere to defend the life-worl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action and social capital, thir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and limitation, fourth, the need to design a public sphere for the 'sharing' process, and fifth, the role of a mediator to help communication. Accordingly, as a way to revitalize the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it is necessary to link it with various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at supports communicative action of residents at Maeul community meetings. 본 연구는 생활세계를 방어하는 공론장의 한 유형으로 마을공동체 회의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주목하여, 공동체회의에서 나타나는 주민들의 의사소통행위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토대로 주체, 행위, 이성의 측면에서 의사소통행위가 어떻게 이뤄지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대전시 마을공동체 중 하나인 ‘꿈빛행복맘’ 사례를 중심으로 공동체회의에서 주민들의 의사소통행위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긍정적인 상호인정과 자율성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주체화, 둘째, 공동의 이해와 자발적 동의로 이루는 행위조정, 셋째, 공동체적 합리성과 타당성 검증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소통행위의 바탕에는 생활세계를 공유하는 과정과 관계적 시간, 행위조정의 수평적 매개자 역할, 마을의 자발적인 결사체로서 마을공동체라는 특성이 작용하였다. 반면, 실천과 의사소통행위의 관계성, 의견과 정체성의 동일화, 그 외 경제활동 및 육아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공동체회의에서 의사소통행위를 이루는데 제한적인 부분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을공동체에서 주민의 의사소통행위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제안하였다. 첫째, 생활세계를 방어하는 공론장으로서 마을공동체 회의의 발전 가능성과 확장성, 둘째, 의사소통행위와 사회적자본의 관계성, 셋째, 기반과 한계의 상호연관성, 넷째, ‘공유’과정에 대한 공론장의 구조적인 설계 필요성, 다섯째, 의사소통행위를 돕는 매개자 역할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다. 이에 풀뿌리 영역의 의사소통적 힘을 기르고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주민들의 민주적 의사소통행위 역량을 지원하는 다양한 민주시민교육과의 실천적이고 학문적인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 하버마스 의사소통 행위이론에 기초한 모-청소년자녀 의사소통행위 분석

        임순선 한국시민청소년학회 2013 시민청소년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갈등과 위기를 내포하고 있는 모-청소년자녀의 의사소통행위 를 담론이라는 과정을 거쳐 상호이해를 전제로 합의점을 도출해내는 하버마 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배경으로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시사점 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 위이론에 관한 문헌고찰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 으며, 연구대상자(사례 1, 사례 2, 사례 3)들이 자기보고식으로 기술한 사례 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모-청소년자녀의 의사소통은 자녀 가 하는 말을 경청하기 보다는 모의 의사를 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모의 권위에 자녀가 도전하게 되면 갈등은 언제든지 유발될 가능성을 내포 하고 있어 모의 권위를 사용한 의사소통방식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호이해를 기반으로 한 강제가 없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양방향적 의사소통을 하고,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는 담론이라는 과정을 거 쳐 상호이해를 전제로 한 합의점을 도출해낼 때 행위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하버마스의 합리적 의사소통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녀의 사회 적응과 긍정적 발달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넓게는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할 시민성 함양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하버 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배경으로 한 부모교육,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술관의 공간역할과 의사소통행위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이근우 ( Geunwoo Lee ),박상일 ( Sangil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미술관은 예술작품을 관람하는 시각적 감상의 공간과 함께 ‘소통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미술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의 전통적 기능에서 교육과 체험의 기능을 활성화한 확장된 기능으로 변화하였다. 확장된 기능으로 인하여 미술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며, 공간과 역할의 변화도 가져오게 되었다. 변화하는 미술관의 공간구분은 전시 공간, 교육 공간, 업무 공간, 공공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미술관은 다양한 공간 활용을 통하여 관람객의 요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술관의 공간 활용을 함에 있어, 관람객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무엇인지, 각각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관람객을 위한 공간의 구성과 활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구방법) 미술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의 주체와 유형을 알아보고, 하버마스의 소통행위이론의 타당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미술관 각각의 공간역할에 적용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타당성 기반의 소통행위에 관한 관계성을 파악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미술관의 공간은 의미전달을 위한 전시 공간, 의미생산을 위한 교육 공간, 운영지원을 위한 업무 공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공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역할을 가진 공간들은 그 안에서 관람객과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관람객은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데, 관람객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 미술관은 각각의 타당성을 기반으로 관람객과의 소통행위를 해야 한다. 전시 공간 의사소통행위의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객관적 진리성과 사회적 정당성, 교육 공간 의사소통행위의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객관적 진리성, 업무 공간 의사소통행위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사회적 정당성, 공공 공간 의사소통행위 기반이 되는 타당성은 주관적 진실성으로 파악되었으며, 타당성 가운데 이해가능성은 모든 공간에 공통으로 기반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오늘날 대중은 미술관을 통한 문화적 향유와 삶의 질적 향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미술관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를 통하여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미술관은 기능 확장으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미술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의 변화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사회 미술관은 시각적 볼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희의 공간, 즉 복합 문화시설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소통행위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본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에서 발생하는 소통행위에 관하여 각각의 공간역할과 함께 보다 나은 소통행위의 질적 향상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art galleries are turning into a "communication hall" with a space of visual appreciation for artworks. Art galleries in modern society have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to the expanded function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Because of its extended functions, art museum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y have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space and role. The space division of changed art museums can be divided into exhibition spaces, education spaces, work spaces, and public spaces, and art galleries make efforts to improve visitors' need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space utiliz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organize and utilize the space for visitors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role of space for visitors and the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each space.(Method) The main body and type of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in the museum space were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Harbormas was stud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levance of feasibility-based communication behavior in each space was identified and concluded by applying the space role of each museum.(Results) The space of an art museum appears as an exhibition space for meaning transfer, an education space for meaning production, a work space for operational support, and a public space where interaction takes place. Spaces with such a role will satisfy visitor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with them, and art galleries must communicate with visitors based on their respective validity to give them satisfaction. The validity on which the basis of wartime spat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found to be the objective truthfulness, social justification, and validity on which educational spatial communication conduct is based is objective truthfulness, the validity on which work space communication activity is based has been identified by subjective truthfulness, and understandability among the validity is found to be common in all spaces.(Conclusions) Today the public calls for cultural enjoyment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through art galleries, and we believe that these demands can be addressed through communication in art galleries. Art galleries are changing a lot due to their expanded function, but most of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in museum space are thought to be slight The Museum of Contemporary Social Art will be established as a space of diverse entertainment, or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s well as visual attraction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havior will grow. Therefore, I believe that there should be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 along with each other's space roles regarding communication behavior in art museums in the future.

      • KCI등재

        부모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행위 및 의사소통단절에 미치는 효과

        조여진(Jo, Yeo jin(),정경희(Jung,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머니에게 부모중심 언어중재를 실시하여 유아와 어머니간의 의사소통행위 빈도 및 유형과 의사소통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 5명과 각 유아의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부모가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중재기술을 회기별로 구성하여 치료실에서 매회기마다 치료사가 직접 개입하여 실시하였다. 회기는 주 2회씩,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6주가 소요되었다. 의사소통행위와 의사소통단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중심 언어 중재를 실시한 결과 5명 모두 유아의 의사소통행위 빈도와 유형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행위 빈도와 유형이 증가하거나 변화되었다. 셋째, 유아와 어머니의 의사소통단절 빈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행위의 증진을 위한 부모중심 언어중재는 효과적이며 주 양육자를 참여시키는 것은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의 촉진을 가져온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gap of infant and mothers with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to mothers of infant with communication breakdown. Study Objects were 5 young children with communication breakdown who has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 and 5 of their mothers. Intervention skill which the parents could apply to the child was made up for every session and therapist directly involved to had parents education at treatment room to teach those skills in every session. Pre/post design was perform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gap. The study results are; First, with the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all of 5 children showed the increased in frequency and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 Second, frequency and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had increased or changed. Third, communication gap between the young child and mother decreased. Thus, we discussed that the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is effective to progres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 and also the communication behavior with mother so participation of major care giver would promote the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

      • KCI등재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연구

        장우린(Chang, Woo R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후기구조주의가 대중들에게 생산한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상대성으로 말미암아 주체와 타자간의 이성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회의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디지털 네트워크화 된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는 타자들과의 복합적 대화의 관계망에 위치하면서 소통의 요구에 늘 직면하게 된다. 이제 다시금 대화하는 주체와 이해 가능한 타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해진 것이다. ‘체계’에 의한 중재 자체가 목적이 아닌, 타인에 대한 이해가 목적이 되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은 후기구조주의적 상대성과 후기자본주의의 파편화된 대화 모두를 비판한다. 이를 통해 후기구조주의를 거치며 플라톤과 데카르트로부터 절대적 지위를 부여 받은 이 이성적 주체는 이제 반성적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이제 이 주체는 생활세계에 기반한 의사소통행위로부터 디지털 네트워크 속에서 자정작용을 갖는 건강한 유기체로 거듭날 수 있다. 하버마스는 이 지점에서 긍정적 가능성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후기구조주의의 시대를 거쳐 비판적 해석학으로 새롭게 주체를 부활시키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살펴보면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이론적 대변자로까지 일컬어지기까지 했던 후기구조주의의 대표자 푸코를 뛰어넘어, 하버마스로부터 이제 소통할 수 있게 된 창조적 주체를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연구의 방법론이기도 하다. 디지털 노마디즘은 이제 대화와 소통의 관계망 속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것이다. 후기구조주의에서도 우리는 체계에 대한 거부를 목격한다. 그러나 그 회의 이후 우리는 어떤 추구에 대하여도 항상 회의적일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그러므로 후기구조주의는 보수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하버마스는 이해와 소통의 조건으로서, 즉 의사소통행위의 가능조건으로서 "생활세계"를 지향하며 "체계"를 거부한다. 이해와 소통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이러한 적극적인 소통행위는 체계로부터 자유 하는 주체, 즉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생활세계 속의 주체를 필요로 한다. 이 주체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지향이 본 연구에서 디지털네트워크에 대한 의사소통행위 전략들을 수립하게 만들었다. 이 전략들의 요지는 첫째, 생활세계를 지향할 것, 둘째, 이해는 언어적 발화로부터만 기인할 것, 셋째, 텍스트 자체만을 대상으로 삼을 것, 넷째, 이해 목표가 설정될 것, 다섯째, 자정작용이 작동할 것, 여섯째, 객관세계로 이끄는 촉매역할을 할 것, 일곱째, 삶을 통해 실천될 것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입장은 소통을 위해 스스로 겸비하는 겸손한 주체, 늘 타인에게 귀 기울이는 주체의 원형을 마름질해 낸다. 한때 절대 이성의 소유자였던 주체는 후기구조주의를 통해 그 이념적 고착을 자각하고 진실하게 소통하려는 주체로서 하버마스에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이러한 반성적 주체는 우리로 하여금 디지털 네트워크가 새로운 소통과 이해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다시 꿈꾸게 하는 것이다. The postmodernism produced by the poststructuralism, it is skeptical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and others, but living in a digitally networked world we are not possible to avoid th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s, in the network which has a complex and massive interactivity; now again we need to have the definition of the others who could communicate with ourselves. Not a purpose to arbitrate by the System but to understand the others,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criticize the relativity of poststructuralism and the partial communication of postcapitalism, so the reborn has been accomplished: the rational subject has become self-reflecting one. And so on, this subject could become a complete organism which has a self-purification due to Communicative Action based on Lifeworld; here is Habermas" positive point of view. Researching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hich resurrects a new subject using a critical hermeneutic through out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and then overcoming Foucault who was considered the academic voice of digital technology, we could discover up the creative subject who is sufficient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s; it is also the main method of this research. Digital Nomadism becomes Digital Communication in the network of Communication Action, at last. In the field of poststructuralism, we could observe a strong rejection against System, but after this rejection, it is inevitable for us to be negative in front of all kind of pursuit, and therefore the poststructuralism takes a ply of being conservative. Meanwhile Habermas denies System for permit Lifeworld as a condition for potentiality of Communication Action. This Communication Action which tends to "communicate actively" needs to bring the liberal subject in Lifeworld: the term of Habermas. This positive and aggressive pursuit has produced the strategies about Communication Action in the field of digital network. Here are the essentials of these strategies: (1) Pursuit of Lifeworld, (2) Understanding coming from Speech Act, (3) Only the Text as Target, (4) Setting up a Goal for Understanding, (5) Activating the Self-purification, (6) Catalysis toward Objectivity, (7) Practice in Life. This kind of stand point allows to produce a prototype of subject which has a modesty to communicate and to listen always carefully to the others. The subject which had once a absolute rationality has arrived at Habermas, as one who has realized his ideological attachment and who is eager for sincere communication, and this existence of self-reflecting subject makes us dream of this: the digital network is capable to be a new space of communication.

      • 인터넷 토론공간에서의 의사소통행위양식에 대한 연구

        이광수(Lee Kwang-Su),김병석(Kim Byung-Su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소통 확대를 위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였다. 가상공간(假想空間)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사회적인 활동, 즉 토론과 타협, 여론의 수렴과 전파, 온라인(online) 정치 행위 등을 수행한다. 가상공간은 실재 공간과 구별되지만 참여자 사이에서 실재와 똑같이 일상적인 사회활동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공동체가 형성된다. 온라인 공동체에서 익명의 참여자들은 참여자간에 댓글을 통하여 양자간, 일 대(對) 다자(多者),다자 대 다자간 등 여러 형태로 각자의 지식, 감정, 주장을 전달하고 공유하는 의사소통행위가 이루어진다. ‘댓글’은 전자적인 텍스트(electron text)로써 인터넷 이용자들은 텍스트를 통해 동의, 반대, 칭찬, 비난, 조소 등의 실재 공간에서와 똑같은 다양한 의사소통행위양식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언어행위인 ‘댓글’에 주목하여, 화행론적 분석틀인 단언, 정표, 지시, 언약, 선언이라는 다섯 가지 언어 행위 분류 기준에 따라 ‘댓글’을 통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의사소통행태의 규칙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공간의 토론과정에서 주요한 의사소통방식은 현재 드러나 있는 사실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보다 강하게 주장하는 단언행위적 표현과 사실에 대한 자신의 느낌,의견을 감정적 언어로 나타내는 정표행위적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 의사소통과정이 단순히 자기 주장만 하거나 감정을 발산하는 현재지향적 의사소통양식을 띠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다른 사람들과의 토론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의미하는 미래지향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지시행위, 언약행위, 선언행위는 상대적으로 적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이는 온라인 토론공간에 게재된 게시물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댓글의 반응도 관련성을 보이고, 동시에 인터넷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익명성에 따른 임시적이고 무책임한 의사소통형태의 특징이 발견되었다. Virtual communities are opened, and all members of virtual communities are free to discuss and access information, etc. members under opened environment activity perform a various social act. Text is remained by a result of these activities remain. Speech acts consist of speech and written text. There are written text electronically in the virtual community, for text analysis, we applied speech acts theory by Searle( 1969),originator Austin: Assertives, Expressives, Directives, Commissives, and Declarations. Through speech acts analysis, we discovered a type of speech acts and communication of speech acts by members in the virtual community. Research finding is many assertives of members own view and expressives of members’ own feeling and a few of Directives, Commissives, and Declarations. Through a analysis of posting about specific social issues on-line forum,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n the virtual community is isolated, and speech acts is factual, emotional.

      • KCI등재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

        유명환(Myeonghwan Yu),강지숙(Jisook Ka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연구 및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조명하는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IRB 승인을 받은 후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병원 및 관련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와 구글엔진을 통한 온라인 자료수집을 병행하여 진행되었고, 총 292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과 ANOVA,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의사소통장애는 감소하고 의사소통 행위는 좋아지며 노인과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 노인을 만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교육과 함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관련된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또한, 관련하여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의사소통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tilize for foundation data of research related nursing communication and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elderly, communic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fter IRB approval, data were collected either face-to-face survey or by online survey. A total of 292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26 program. As a resul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behavior,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 found that nurses who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had less communication disorders,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From this result, we suggest that nurses caring for the elderly should receive education on communication methods with elderly to improve their perception. Furthermore, we suggest future studies to improve nurse 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타난 의사소통 행위

        정승조 ( Seung Jo Jeo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3 No.-

        사뮤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의 작품은 등장 인물들간에 의사소통행위가 결여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각각의 등장인물은 마치 서로 대화가 잘 되는 것처럼 자신의 주장이나 이야기를 자신 있게 전개해 나간다. 그들간의 대화는 때로는 짜증나게 하거나 또한 부조리하기까지 하다. 작품 속의 고도는 구체적인 인물이나 이미지도 아니면서도 블라디미르나 에스트라곤에게는 희망을 주는 존재이다. 그러나 두 사람이 실체가 불명확한 고도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는 의사소통을 한다고 볼 수 없다.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과 소쉬르의 언어 이론을 결합하여 작품 속의 등장 인물들이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못하는 원인을 밝혀내고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이기 때문에 소쉬르의 언어 체계 이론이 다양하게 적용된다. 언어 이론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표와 기의의 개념을 우선 설명하는데 즉, 모든 언어는 언어 그 자체 즉 기표, 다음은 의미인 기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는데 편리한 것이다. 그리고 사회적 언어인 랑그, 개별 언어인 빠롤을 구별할 줄 알아야 대화가 서로 가능해진다. 이처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인들이 베케트의 작품 속에는 서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이 대화를 하는데 고충을 겪게 된다. 또 데리다는 모든 언어는 반드시 기표와 기의를 항상 드러내는 것이 아니고 순간적인 문맥에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베케트의 등장인물들은 문맥에 맞는 기표와 기의를 서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올바로 행하지 못하고 있다. 소쉬르의 기표와 기의, 랑그와 빠롤, 데리다의 차연은 모두 언어 체계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소들이다. 그리고 각각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 요소들이 의사소통과는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주로 블라디미르나 에스트라곤의 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들 간의 대화는 겉으로는 서로 대화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종종 서로 상관없는 주제를 가지고 자신의 이야기만 계속 전개해나갈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들의 대화중 가장 적절한 시례가 될 수 있는 대화들을 선정하여 소쉬르나 데리다의 이론과 연결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조규락 ( Kyoo Lak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수업상황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고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및 학업 성취도 도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사용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언어(눈맞춤, 얼굴표정, 신체적 접촉, 제스처), 유사언어(어조, 말의 속도, 표준어/사투리), 공간적 행위(거리), 가공적 행위(의상, 화장)의 10개 요소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거의 모든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안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비언어적 행동은 교사의 부정적인 비언어적 행동보다 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예컨대, 눈 맞춤 유형에서 "따뜻한 눈 맞춤"이 "찡그린 눈 맞춤"보다, 얼굴 표정 유형에서 "웃는 얼굴"이 "화난 얼굴" 보다 유의하게 더 도움을 주고 있음). 둘째,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들 사이에서는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밝은 표정"과 "웃는 얼굴"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부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화난 얼굴"이 "걱정스런 표정"보다 더 부정적인 결과를 보임). 셋째, 연구참여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도 있는 연구결과도 있었다(예컨대, 지방에서는 사투리가, 수도권 지역은 표준어가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연구대상의 연령대에 따라 의상유형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해야 할 경우에는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교수매체라는 시각에서 조망할 필요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eachers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Nonverbal communi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included kinesics(eye contact, countenance, physical contact, gesture), paralanguage(tone, speed of talking, dialects), proxemics(distance/closeness), artifacts(clothes, make-up). Major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ed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more than the negative ones of teachers did.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e warm eye contact, bright and smiling countenance, patting one`s head, shoulder, and back, proper gestures, teaching at close, louder voice, proper speed of talking, and clean and neat clothes, while the negative ones included frowning, unsatisfied eye contact, angry and worried countenance, teaching without looking at students, teaching without moving, punching on the head, slow or fast speed of talking, and heavy perfume sme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negative nonverbal ones of teachers. Finally, if subjects would be different from the study, the results could be different from in dialects teachers use and clothes teachers wea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affect students` learn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need to be dealt with as instructional media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