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음음운장애의 하위 유형과 읽기장애의 관련성 연구

        김기주,김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reading disabilities. Sixty-two 4 to 6 years old children with SS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Dodd's classification of AD (articulation disorder), PD (phonological delay), CPD (consistent deviant phonological disorder) and IPD (inconsistent deviant phonological disorder). The SSD group was compared with the group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ND, N = 67) in their pre-literacy skill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and letter knowledge. The results indicate that AD group is higher than PD, CPD, IPD and CPD groups, and IPD group is lower than PD group,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wareness. AD group is faster than CPD and IPD groups in the area of RAN. The RAN of PD group is not different to ND group. The letter knowledge of CPD group is lower than AD, PD, and IPD groups. In a conclusion, the pre-literacy skills of AD group is not different to ND group. Although the RAN skill of PD group is not different to ND group, the group shows lower abilities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letter knowledge. The pre-literacy skills of CPD and IPD groups are lower than ND group.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PD, CPD and IPD groups may be at-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after they enter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조음음운장애의 하위 유형별 사전문해 능력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조음음운장애와 읽기장애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세 조음음운장애아동을 Dodd의 모델에 따라 조음장애(AD), 음운발달지연(PD), 일관된 일탈을 보이는 음운장애(CPD), 비일관된 일탈을 보이는 음운장애(IPD)의 네 가지 하위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사전문해 능력(음운인식, 빠른 명명하기, 글자지식)을 또래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음장애(AD)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명명하기, 글자지식은 일반아동과 차이나지 않았으며, 음운발달지연(PD) 아동은 빠른 명명하기에서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운인식과 글자지식에서 일반아동보다 낮았다. 그리고 일탈을 보이는 두 가지 유형의 음운장애(CPD, IPD) 아동은 음운인식, 빠른 명명하기, 글자지식, 세 가지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낮았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사전문해 능력들은 학령기 읽기 능력을 예측해주는 주요 변인이다. 따라서 음운인식과 글자지식에서 낮은 능력을 보인 음운발달지연 아동(PD)은 학령기에 읽기장애 위험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운인식과 빠른 명명하기에서 모두 문제를 가질 경우 읽기장애의 심각성은 더욱 높다는 이중결함가설에 근거해볼 때, 세 가지의 사전문해 능력에서 모두 낮은 능력을 보인 일탈을 보이는 음운장애아동(CPD, IPD)은 학령기에 읽기장애 위험을 가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말소리장애 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비교 연구

        피민경(Minkyeong Pi),소금빈(Geum-Bin So),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말소리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라 음운처리능력의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말소리장애 아동 32명과 일반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을 조음장애, 음운지연, 음운장애 유형으로 나누어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음운 인식 능력은 음절, 음소 수준으로 나누었다. 음운단기기억 능력은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와 숫자 따라말하기, 음운작업기억 능력은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빠른 자동 이름대기 능력은 숫자와 글자 자극을 사용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 간에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를 제외한 모든 음운처리과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말소리장애의 하위 집단 간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본 결과,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는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 과제는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 과제는 음운지연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말소리장애 아동을 단일 집단으로 일반 아동과 비교했을 때에는 음운처리과제 중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과제의 임상적 유용성을 시사하고 있다.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음운처리능력이 유의하게 다른 것은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중재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PPA)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and to examin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ccording to subtypes of SS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2 children with SSD and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first to the third grades. Children with SSD were divided into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The tasks for PPA consisted of (1) phonological awareness (PA) tests at syllable and phoneme levels, (2) phonological memory (PM) tests including non-word repetition (NWR), digit forward recall (DF), and digit backward recall (DB), and (3)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tests conducted by numbers and letters. Results: Children with SSD and T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W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PA among subgroups of SSD,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NWR and the RAN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lso, children with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DB task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hildren with SSD and TD in NWR task among the PPA tasks, suggest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NWR task.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SD form a heterogeneous group who differ in terms of involvement of other aspects of speech processing model.

      • KCI등재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의 비교 및 상관

        고유경(Yu Kyong Ko),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에게 음운인식적 치료접근을 통해 조음에 개선이 있다는 주장은 있으나 조음음운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이 낮은지, 그리고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및 조음능력이 서로 상관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음운인식능력 및 읽기능력이 차이가 있는지, 음운인식능력,읽기능력, 조음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학령전기인만 5세에서 6세 사이의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 20명과, 말과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일반아동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을 평가하였다. 음운인식은 음소와 음절수준에서 탈락, 합성, 분절과제를 통해 측정하였다. 읽기는 37개 낱말을 글자로 제시하고 재인에성공한 확률로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비 교했을 때 음절인식과 읽기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 간에 음소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에게 있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그리고음운인식과 조음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조음능력과 읽기능력은 상관이없었다. 일반아동에게 있어서도 음운인식과 읽기만이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들이 음절인식과 낱말재인을 통해 본 읽기과제에서 일반아동에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이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낮은 음운인식능력이 읽기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조음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결과가 분분하였었는데 이 연구결과는 어느 정도 조음장애와 음운인식 및 읽기문제가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중재계획을 수립할 때 음운인식이 지체된 조음음운장애아동에 대해서는 음운인식과 읽기발달 측면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Our understanding of how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rticulation ability are related to the reading ability has been somewhat vagu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is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skills exist between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and age matched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Second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any meaningful correlation exists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skills, and articulation capabilities.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evaluated the phonological awareness-phonemic and syllable levels- and reading skillsword recognition- of 40 children, from ages 5 to 6, half of whom suffered from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the other half had normal articulation. Results: First, the group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yllable awareness and reading skills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 normal articulation. However, the two groups were indifferent regarding phonemic awareness, which neither group had yet to sufficiently develop.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reading and articulation skills in functional phonological disorders. The reading skill was explained by phonetic awareness with 64% accuracy in functional phonological disorders(R2=.64). In the group of normal articulati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only reading skills. Discussion &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performed well below than normal children in phonological awareness(syllable level) and reading disciplines. While existing research had shown that low phonological awareness could cause reading problems, its correlation with articulation disorder remained inconclusive showing inconsistent result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rticulation disorder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 indeed correlated to a certain degree.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reating preschool children with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and low phonological awareness

      • KCI등재

        비장애아동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음운처리와 쓰기능력 비교

        조성숙 ( Jo Sung-suk ),김정완 ( Kim Jung-w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단어와 문장 쓰기에서 나타난 비장애아동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변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두 집단 간 쓰기 능력을 예측하는 음운처리 능력 변인이 무엇인지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도 지적장애 아동(N=10)과 비장애아동(N=10)을 대상으로 단어 받아쓰기, 문장 서술하기, 음운인식, 음운기억 과제를 실시한 후 언어학적 유형별, 단위별 쓰기능력을 비교하고 음운처리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비장애아동은 경도 지적장애 아동과 음운기억 과제의 숫자폭 과제를 제외한 모든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비장애아동의 단어 받아쓰기 능력(R<sup>2</sup>= .667)은 음운인식 능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문장 서술하기 능력(R<sup>2</sup>= .842)은 음운기억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단어 받아쓰기 능력은 음운인식과, 문장 서술하기 능력은 음운기억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회귀모형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쓰기 과제에서 비장애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이지만, 과제의 언어학적 수준에 따라 개입되는 음운처리과정의 유형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다만, 그 설명력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향후 폭넓은 대상자를 확보하고 좀 더 다양한 쓰기과제를 통해 그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nd writing abilities of the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group (N=10) in the chronological age 6-8 by comparing this group to the normal children group (N=10). As the result of the study, norm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all tasks except digit span-recall task of phonological memory task compared to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word dictation ability (R<sup>2</sup>= .667) of normal children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sentence writing ability (R<sup>2</sup>= .842)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phonological memory. On the other hand, the word dic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honological memory, and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not valid. In conclus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howing slower language development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e performance in writing task was lower, but the type of phonological processing which intervene according to the linguistic level of task appeared similar. However, since the explanatory power has not been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road range of subjec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 through more diverse writing tasks.

      • KCI등재

        말소리장애 아동의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와 말 지각 및 음운기억 간의 관계

        원호슬,하승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 아동의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과 비교해서 어떠한지 살펴보고,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와 말 지각, 음운단기기억, 음운작업기억, 자음정확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만 5-6세인 순수 말소리장애 8명,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7명, 일반 아동 9명이 참여하였다.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검사와 일음절 낱말의 초성과 종성 자음에 대한 말 지각 검사, 단어 순행 및 역행 지적 과제를 이용하여 음운단기기억과 음운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는 전체, 인출, 배열정확도로 분석하였으며, 오류 유형은 9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전체 정확도와 인출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조음 위치 대치 오류가 모든 집단에게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나, 말소리장애 아동만이 음절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를 보였다. 말 지각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음운단기기억에서는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수행력이 낮았다. 음운작업기억에서는 순수 말소리장애와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모두 유의미하게 낮았다.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의 전체 정확도는 말 지각, 음운기억, 자음정확도와 모두관련이 있었고, 특히 음운단기기억과 자음정확도의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상의 두드러진 어려움을 보이고,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의 수행력이 음운단기기억과 말 산출능력과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지지한다.

      • KCI등재

        Phonetic Accuracy on a Delayed Picture-Naming Task in Children with a Phonological Disorder

        임동선(Dongsun Yim),벤자민 먼슨(Benjamin Muns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음운장애 아동의 근본적인 특성을 어휘 접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연상황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여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능력을 정상아동과 비교하고, 이 과제에 있어서 이름대기의 정확도를 설명해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예측해 보았다. 방법: 총 38명의 아동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19 = 일반아동, 19 = 음운장애 아동), 실험과제는 지연상황 그림이름대기 과제로 아동이 그림을 보고 반응을 시작하는 속도를 0㎳, 500㎳. 1000㎳로 지연하여 구성하였다. 반응지연속도가 0㎳ 인 상황은 어휘접근 단계와 어휘접근 단계-후 두 과정 모두를 포함하며, 지연시간이 500㎳, 1000㎳인 상황은 어휘접근 단계-후 과정을 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능력을 정상아동과 비교한 후, 어휘력이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과제의 수행력을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음운장애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모든 상황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음운오류를 보였다. 그러나, 각각의 모든 상황에서 같은 비율의 차이를 보여 두 그룹간 단어유출 능력은 유사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 어휘력 (수용과 표현)은 지연이름대기 상황에서 음운장애 아동의 수행력을 예측해주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음운장애 아동의 오류율은 정확한 음운 산출 능력으로만 설명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두 그룹의 오류율 차이는 아동이 그림이름을 음운적으로 정확하게 산출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차이로 설명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음운장애 아동은 어휘유출 능력에 있어서 정상아동과 차이가 없으며, 지연상황에서 그림이름대기 과제 수행 시 두 그룹의 오류율 차이는 음소산출에 어려움이 주 원인으로 밝혀졌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 were: (a)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 (PD) differ from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TD) in the time-course of lexical access and (b) to expl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icture-naming accuracy by children with PD. Methods: Thirty-eight children consistingof 19 with PD and 19 with T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completed experimental tasks including a delayed naming task in which children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that they were instructed to name after a 0 ㎳, 500 ㎳, or 1,000 ㎳ delay interval. Responses atthe 0 ㎳ delay intervalwere presumed to reflect the combined influence of lexical access and post-access processes. Responses at the longer-delay intervals were presumed to primarily reflect post-access processes. Results: Children with PD produced a higher proportion of phonological errors at all three delay intervals.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orter delay intervals in children with PD. Based on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vocabulary size did not predict any additional variance in naming accuracy. Only the production accuracy of phonemes comprising the nonwords predicted error rat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PD have the same lexical access as children with TD. In other words, the group differences in error rates appeared to be entirely attributable to children’s difficulty producing the phonemes in the pictures’ names. The results discuss the potential underlying reasons for PD including weak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기술

        하승희,하승희,피민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음운처리능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음운지연 및 음운장애 아동이 음운처리 영역에서 보편적인 어려움을 보이는지, 또는 특정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지 살펴보면서, 음운처리능력으로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서로 구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말소리장애 아동 27명, 일반 아동 20명으로, 말소리장애 아동 중 음운지연 아동은 10명, 음운장애 아동은 17명이었다. 음운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인출에 대한 과제를 실시하였다. 음운인식은 단어, 음절, 음절체-종성, 음소 수준에서 말소리를 조작하는 과제를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음운기억은 무의미낱말과 문장을 따라말하는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음운인출은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단어 수준에서 음운인식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운지연 및 일반 아동에 비해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비해 음운인출 수행력도 유의하게 낮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음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이나 음운지연 아동에 비해 음운처리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음운기억을 확인하는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에서의 결함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와우이식 아동의 음운발달에 관한 문헌고찰 : 건청아동 및 청각장애 아동과의 비교

        윤미선,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3 특수교육 Vol.2 No.1

        신생아는 모국어를 계속 들음으로써 모국어의 음운체계를 습득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 아동은 조음과 발성기관에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음운발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선천성 심도 청각장애 아동 중에서도 어린 나이에 와우이식을 받은 아동은 보청기를 사용하는 아동보다 소리에 대한 인식력이 좋고 음운발달에서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정상청력의 건청 영유아와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발달 과정을 비교해보고, 와우이식을 통해 보다 소리를 잘 듣게 된 청각장애 아동에서 나타난 음운발달 상의 변화를 보고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들이 보이는 음운발달 상의 차이는 음운발달에서 청각적 자극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확인하는 증거가 될 것이다. 또한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즉 음성언어를 의사소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며 충분한 음성언어의 자극을 주는 환경이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 되었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 나타난 결과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발달을 위한 중재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Auditory feedback is essential for phonological development in infancy. If the hearing problems begin in the early age, the children can have the impairment in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Therefore,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patterns of the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ing impair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hearing children. Many of them don't develope canonical babbling in the first year, which are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year of hearing infant. But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as reported 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ir patterns were similar to the pattern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hen the cochlear implantation was performed in the early age. The linguistic and social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should be discussed and considered for phon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김나연(Na-Yeon Kim),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표상의 질(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 QPR)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을 비교하여 조음음운장애아동의 말처리과정 상 나타나는 기저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 5, 6세 조음음운장애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을 선정하였다. QPR 비교를 위하여 음운표상 판단과제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 비교를 위하여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음운표상 판단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하였고,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는 따라말하기의 정확도와 오류유형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 내에서 음운표상 판단과제 수행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음운표상 판단과제에서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정반응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반응시간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따라말하기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오류유형의 비율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에서 두 과제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QPR 자체가 미성숙할 뿐 아니라, 음운표상을 부호화하는 능력 또한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두 집단 간 오류유형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표상 능력은 일반아동과 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 단지 음운표상을 활용하고 접근하는 경로가 취약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underlying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in their speech process by comparing the 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QPR) and the ability to encod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o that of normal children. Methods: A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task and a non-word repetition task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QPR and their encoding ability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task of judgment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he scores of correct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were examined. Regarding the non-word repetition task,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peated accuracy and the percentage of error types were analyzed.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asks was analyzed for each group. Results: In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judgment tas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correct response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reaction time. In the task of non-word repetition, the degree of repetition accuracy for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was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to that of normal childre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error typ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asks of both groups. Conclusion: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had less distinct and less accurate QPR than normal children, and the former’s ability to encod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were lower than the latter’s ability quantitatively but not qualitatively.

      • KCI등재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정필연(PilYeon Je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조음음운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반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음운인식능력과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연구대상은 32명으로 생활연령 평균 70.81개월의 일반아동 16명, 생활연령 평균 70.62개월의 조음음운장애아동 16명이 참여하였다. 카우프만 아동지능검사 II, 수용 및 표현어휘력 검사, 우리말 조음•음운 검사, 음운인식능력, 순서학습과제(정확도, 암묵적 학습능력)를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순서학습 정확도와 암묵적 학습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셋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정확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있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조음음운장애의 평가 시 음운인식능력과 함께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을 고려하고, 음운인식능력의 중재에서 외현적 학습이 음운인식능력 발달을 촉진하므로 이에 대한 중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PD) have impaired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brain regions. Controversi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between children with APD and normal children. The main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PD.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een children with APD (70.81 months) and 16 matched normally developing (ND) children (70.62 months) were administered five tests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Korean Children-II,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sequence learning test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est).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phonological aware¬ness score of children with AP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quence learning task (accurac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the two groups. Lastly, children with APD and 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quence learning accura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valuation of sequence learn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 useful clinical approaches for studying AP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