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수광고유형과 제품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이장석 ( Lee Jang-suk ),김요한 ( Kim Yo-ha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향수광고유형의 효과를 검증하고 제품유형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조절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향수 경험 유형(체험적 향수/대리적 향수)과 의미 고정(고/저)을 결합한 향수광고유형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광고효과(긍정적 감정 및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용적/쾌락적 관점에서 제품 유형을 구분하고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수유형과 의미고정이 결합된 향수광고유형의 주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체험적 향수가 대리적 향수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리적 향수-고 의미고정` 향수는 체험적 유형의 향수광고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대리적-저 의미고정`에 비해서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향수광고유형과 제품유형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재에서는 `대리적 향수-고 의미고정`이 체험적 향수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리적-저 의미고정`이 효과가 가장 낮았다. 하지만 쾌락적 제품에서 의미고정 수준과 상관없이 체험적 향수가 효과적이었다. 이는 향수광고유형의 효과가 제품유형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수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의미고정과 같은 언어적 요소나 제품유형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수 광고의 전략적 관리를 위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nostalgia advertising type by product typ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is study adopted the experiment to explor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main effect of nostalgia advertising type consisting of nostalgia type and verbal anchoring. Also,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ostalgia advertising type and product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under utilitarian product condition, vicarious-high anchoring nostalgia type and personal nostalgia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emotion, Aad and Ab. While under hedonic product condition, while the effect of verbal anchoring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the nostalgia advertising type depended on product type. Therefor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the nostalgia advertising should be considered. Thes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som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 for future study on nostalgia advertising.

      • KCI등재후보

        성격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연구

        정예린 ( Yelin Jeong ),원미진 ( Mijin Wo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 유형 및 학습 유형의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교 언어 교육 기관 학생들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유형 선호도를 알기 위한 설문조사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라는 학습 유형진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 구체적 학습 유형 > 권위적 학습 유형> 분석적 학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 유형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분류한 뒤 4쌍의 지표별로 특정한 학습 유형을 선호하는 것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성격 이외에 개별 변인(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습자 숙달도, 문화권)이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유형에 대한 차이는 두 가지 하위 차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관형 학습자가 감각형 학습자보다 구체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판단형 학습자가 인식형 학습자보다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적 학습 유형은 성격, 거주 기간, 문화권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습 유형임을 알게 한다. 또한, 동·서양 문화권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을 때, 판단형의 학습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동양권에서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한다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앞서 판단형(J)-인식형(P) 지표와 분석적 학습 유형 간 유의미한 결과를 지지하였고 학습 유형과 성격 유형 간의 연관성을 좀 더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BTI 성격 유형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유형과 효과적인 교수 방법까지 예측 가능하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가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sp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of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To this end, students from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275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SPSS/win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to know learning type preferences used Willing (1988)'s Learning Type survey called 'How do you learn best?'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of Communicative > Specific > Authoritative > Analytical Learning Type. We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type of learning for each of the four indicators after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n addition to personality,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learning period in Korean,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arner proficiency, and culture) were analyzed to affect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ces in learning typ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two sub-dimensions, indicating that intuitive learners prefer specific learning types to sensory learners, and judgmental learners prefer analytical learning types to perceived learners. In particular, analytical learning type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and culture, making us aware that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learner variables.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learners according 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at judgmental learners preferred analytical learning type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Eastern regions, which earlier supported meaningful results between judgmental (J) and analytical learning types. This study means that MBTI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can lead to predictable learning typ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and expects to use them in Korean classroom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pla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

        장연주(Youn Ju Jang)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을 도출하고, 보험상품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양적 자료를 분석에 함께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합리형, 직관형, 의존형, 충동형, 회피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보험상품 유형별 속성의 차이에 따라 의사결정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품유형에 따른 속성의 차이와 소비자의 성향이 복합적으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험상품 유형별로 보험상품의 특수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 의사결정 결과의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 및 보험상품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실효성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elucidate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ecision making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 making processes according to insurance product types.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we appli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and use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was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styles: Rational, intuitive, dependent, impulsive, and avoiding, and depending on to which style they belong, the consumer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property by the insurance product type that the consumer perceived. Third, the difference of attributes and consumer tendency according to product type have a great effect on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specificity of the insurance product, the difficulty of the insurance purchase decision-making, and the decision-maling result by insurance product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approach of insurance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 and insurance product type in policy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예비 과학교사들의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동기요인, 교직인성, 진로성숙도 분석

        정태섭(Jung, TaeSub),장영환(Jang, YoungHwan),장민지(Jang, MinJi),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인 동기요인, 교직인성,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유형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외적 동기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정·편안 유형과 결정·불편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 보다 내적 동기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결정·편안 유형이 미 결정·편안 유형보다 내적 교직인성과 사회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공동체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진로성숙도 중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 미하게 높았으며, 자신에 대한 평가는 결정·편안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직업에 대한 태도는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결정·편안 유형은 진로성숙도의 직업과 관련 지식 중 직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지식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요구하는 교육 수준에 대한 지식은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하는 일에 대한 지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내적 동기요인, 직업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태도, 진로성숙도를 높여 교사로서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교사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진로 결정 요인을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 극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ivational factors, teaching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which ar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of pre-science teach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e factor for the type of career decisions, and the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typ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nal motivations than indecision-discomfort types. Seco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ternal and social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ve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discomfort type. Third, among the career maturity, the job recogni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self evalua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discomfort type, and job attitude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ecision-discomfort. Fourth, among job knowledge the career maturity,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job skills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education level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what to d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discomfort 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s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in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전ㆍ중기 취락유적의 문화유형에 대한 시론

        홍주희 ( Hong Joo Hee ) 중부고고학회 2005 강원고고학보 Vol.4 No.0

        한강의 북동쪽 상류에 해당하는 북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전중기 문화유형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의 한강유역에 대한 문화유형을 재검토하고, 화천 용암리유적, 춘천 천전리유적 등의 북한강유역의 유적들을 대상으로 주거지의 내부구조 및 출토유물상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중기 문화유형이 크게 가락동-흔암리-역삼동유형으로 대별된 가운데 서로 다른 문화가 전승되어 온 것이 아니라 역삼동유형이 기층을 이루는 문화로 오랜기간 지속되면서 주거지의 노지형태나 기둥조성 방식, 새로운 유물의 도입 등에 의해 일부 변형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역삼동Ⅰ~Ⅳ유형으로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북한강유역의 청동기문화를 살펴보면 전기에서 중기로 이행되면서 주거지 내부에 이색점토다짐구역의 배치와 이에 따른 정형화된 내부구조를 보이는 등 주거지 구조상의 특징과, 흑갈색 마연토기류의 등장과 소멸, 소형 호형토기 및 적색 호형토기 출현과 등장, 일체형석촉, 유경식 석창의 증가 양상에서 ‘북한강유형’이라 명명할 수 있을 만큼의 특징적인 점들이 간취된다. 그러나 평면형태 즉, 장단비에 따른 주거지의 내부시설의 배치와 노지 및 저장공 시설과 같은 기본적인 모티브는 한강유역의 역삼동유형과 매우 유사한 점이 많고, 출토유물의 연원과 계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문화유형 설정에 무리가 따른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유형 설정에 앞서 북한강유역과 관련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층문화에 대한 파악과 특징적인 유물의 연원을 밝히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시점에서는 성급히 유형화하기 보다는 독특한 북한강유역의 문화를 천전리식의 주거구조에 새로운 문화요소가 도입된 역삼동유형의 주변문화 즉, 亞類型의 하나로 파악하는 등 다양한 가능성을 재고해 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o examine cultural patterns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at the Bukhan River basin, the upper stream of northeastern Han River, the existing cultural patterns of the Han River basin were reviewed. In addition, focusing on remains of the Bukhan River basin such as Hwacheon Yongam-ri and Chuncheon Chejoen-ri,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tructure and excavated remains of dwelling sites were investigated. The existing cultural patterns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in the central region based on the Han River basin are classified into patterns of Garak-dong, Heunam-ri and Yeoksam-dong, which had not been formed by different cultures. The pattern of Yeoksam-dong was maintained as the basic culture for a long time and some were changed by the shape of bare ground on dwelling sites, the mode of establishing pol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remains.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Yeoksam-dong pattern was itemized into Ⅰ to Ⅳ. From this viewpoint,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at the Bukhan River basin showed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of dwelling sites: the arrangement of unique area of hardening clay inside houses and its standardized interio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se, distinctive points were found in the advent and extinction of dark brown burnished earthenwares, the advent and appearance of small jar and red jar, and an aspect of increase in integral stone arrowheads and stone spears without shaft, which may be called the pattern of Bukhan River. However, plane pattern or basic motive such as arrangement of interior equipment depending on length ratio, and facilities including bare ground and storehouse are similar to the Yeoksam-dong pattern at Han River basin. Furthermore, research has not been done on the history and lineage of excavated remains. So it wa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culture of Bukhan River basin as another cultural pattern. In this respect, before a cultural pattern is determine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tudie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Bukhan-River basin. In this point of time when the basic culture has not been studied yet and the history of characteristic remains has not been clarified,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ssibilities should be reconsidered by regarding the unique culture of the Bukhan River basin as a peripheral culture of the Yeoksam-dong pattern, in which new cultural factor was introduced to the residential structure of Chenjeon-ri style, or one of the same patterns of Yeoksam-dong rather than patternizing it hastily.

      • KCI등재

        아동의 성격유형과 동화 속 인물에 대한 독자반응의 관계

        간정선 ( Jungsun Gan ),정옥년 ( Okryun Jung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5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6 No.-

        본 연구는 아동의 MBTI 성격 유형과 동화 속 등장인물에 대한 독자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초등학생을 선정하여 MMTIC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아동이 수행한 독서 토론 자료를 수집하여 아동의 4가지 선호 지표와 독자반응, 성격의 기능유형과 독자반응, 성격의 기질 유형과 독자반응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격 선호 지표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외향형은 내향형에 비해 토론활동에서 발언 횟수가 많았으며, 감각형은 부분적인 것에 집중, 책임의식이 표출되었다. 반면 직관형은 자유스럽고 전체적인 것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고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객관적이면서 원인 결과를 분석하는 반면, 감정형은 등장인물에 대해 감정적, 주관적 해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단형은 목적의식을 분명하게 표출하는 반면, 인식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허용적, 개방적 반응을 보였다. 둘째, 성격의 기능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T유형은 성실, 근면, 책임감, 전통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해석하였으며, SF유형은 헌신, 인화, 책임, 화해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선호하였다. NF유형이 등장인물에 대해 열성, 통찰, 인화, 성장의 가치관으로 바라본 반면, NT형은 독창성, 지식추구, 논리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의 행동을 해석하였다. 셋째, 성격의 기질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J유형은 SJ의 MBTI 일반적인 특징 중 안정지향의 욕구, 성실 책임의 욕구를 나타내었으며, SP 유형은 자유, 충동의 욕구, 나눔의 욕구, 협상가적 경향을 드러내었다. NF와 NT의 유형에서도 MBTI 일반적 특징 중 자신과 타인의 성장지향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와 지식추구, 논리적, 객관적 성향, 자신감 실현의 욕구를 각각 나타내었다. 추후 연구방향이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과 함께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response to the characters in fairy tales. A total of six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readers’ response to fairy-tale characters were consistent with general features of the preferred directions, function type, and temperament type of personality. Second, child readers preferred fairy-tale characters whose types were different from their types and wanted to be like those characters, which suggest that it be educational and effective to expose children to different fairy-tale characters. Third,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other people’s behavior or thinking in reality. The reading has potentials to become the springboard for the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Lastly, sinc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ader response patterns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both children’s personality types and fairy-tale characters when parents read the fairy-tale books to their children. Future direc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前期文化의 特徵

        金奎正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9 No.-

        호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아직까지 조사예가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고 있고, 유구의 밀집도는 떨어지지만 호남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미사리유형을 비롯하여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 흔암리유형 등이 모두 확인된다. 이들 각 유형은 분포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미사리유형은 현재 순창 원촌과 담양 태목리에서 확인되었으며 미사리유형의 한 요소인 미사리식토기는 익산 영등동, 섬다리에서도 확인된다. 가락동유형은 대체로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동부내륙과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호남지역에서 조사된 전기유적은 주거지와 출토유물을 통해 모두 3기로 분류하였다. Ⅰ기는 각목돌대문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미사리유형과 이중구연단사선문을 특징으로 하는 가락동유형으로 미사리유형은 동부내륙의 순창 원촌유적에서 확인되며, 가락동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부내륙지역에서 확인된다. Ⅱ기는 가락동유형이 북서부지역은 물론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새롭게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는 이중구연의 요소가 퇴화되지만 아직까지 이중구연의 요소는 남아 있다. Ⅲ기는 (세)장방형 주거지의 비율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방형으로의 평면이 정형화된다. 전기의 특징적인 노지는 설치되지만 Ⅲ기 후반의 가장 늦은 단계에는 일부 지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원형 송국리형주거지가 등장하고 그 영향으로 방형주거지에 설치된 노지가 사라지고 원형 송국리형주거지의 특징인 타원형구덩이가 설치되는 등 주거지의 변화가 확인되고 토기의 문양은 대부분 사라지고 무문화된다. 그러나 동부내륙지역과 동남해안지역과 같이 일부지역에서는 역삼동식토기의 특징인 공열문 요소가 늦은 시기까지도 지속된다. The number of material showing the relics of the former Bronze Age in Honam (Jeollaprovinces) area has been increasing lately and their evidences, though small in number, havebeen identified across the whole area. Clear differences have been confirmed in thedistribution ways of the former Bronze Age culture in this area between Misari-type,Garakdong-type, Heunamri-type and Yeoksamdong-type assemblages. Relics of Misari-typeassemblage were surveyed in Wonchon, Sunchang, eastern inland of the provinces, and inTaemokri on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Misari-style pottery which is characteristic ofMisari-type assemblage was once unearthed in Yeongdeungdong, Iksan and from the remainsof Seomdari. Garakdong-type assemblage has been found in wide areas ranging from thenorthwestern and midwestern parts of the country to the central inland region. Garakdong-style pottery, characteristically of Garakdong-type assemblage with clear form of double rim atthe mouth, was found to have been changed to the one with the vestige of double rim leftonly vaguely. Although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 assemblages were identifiedin Jangdong, Jeonju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region and among shell mounds in BieungIsland along the west coast of the country, lots of them are spread mostly in the east inlandregion and along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the central inlandregion.Judging from the remained settlements and unearthed relics, all the remains of the formerBronze Age surveyed in Honam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3 phases. The phase I referred tothe period when Misari-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Gakmokdoldaemun pottery, as wellas Garakdong-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double-rimmed pottery, appeared for the firsttime in Honam area. Among them, Misari-type assemblage was confirmed at the relics ofWonchon, Sunchang and Garakdong-type assemblage was ascertained in the northwesternpart of the country and at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phase Ⅱwas the period whenGarakdong-type assemblage started spreading not only toward the northwestern region buteven toward other surrounding areas and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assemblages made appearance newly. Garakdong-style pottery had double rims degeneratedbut still reminiscent. In the phase III, the proportion of rectangular (narrow) settlementsreduced drastically and square-shaped ones became typified. The remains of firing places,characteristic of the former Bronze Age, remained to be seen but pattern in potterydisappeared gradually and even tended to be patternless. During the latest part of the phase Ⅲ, new type of circular Songgukri-type assemblage made entry exercising influence upon thesquare-type settlements, forcing out firing places and introducing oval-type pits, characteristicof circular Songgukri-type settlements. Most of patterns existed no more in pottery andpatternless stamp paddled deep bowl pottery became prevalent. In some of areas like easterninland and southeastern coastal area, Yeoksamdong-type pottery lasted upto the later periodof the phase.

      • KCI등재

        MBTI(R) 보고유형과 최적유형의 관계연구

        신영규 ( Young Gyu Shin ),김재형 ( Jae Hyoung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0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5 No.-

        본 연구는 MBTI 검사결과로 드러난 보고유형과 내담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평정한 최적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BTI 자격교육 초급과정 참가자 499명을 대상으로 MBTI 검사결과와 최적유형 설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유형과 최적유형에서 4가지 선호 모두 일치하는 비율은 57.9%, 3가지 선호에서 일치하는 비율은 30.1%로 나타났다. 보고유형에서 최적유형으로의 변화의 방향은 사고형(T)에서 감정형(F)으로, 판단형(J)에서 인식형(P)으로, 감각형(S)에서 직관형(N)의 순으로 변화가 두드러졌다. 가장 혼란스러워 하는 지표의 경우는 TF 27.5%, SN 23.2%, JP 16.6%, EI 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유형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해석과정과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MBTI를 활용한 유형 학습과 진정한 자기이해를 돕는 해석과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유의할 점과 MBTI 실시와 해석을 하는 전문가의 역할을 재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ported type(Indicator results) and best-fit type to be based on the client`s self-knowledge. Subjects were 499 adults who participated in MBTI Qualifying program(Step I). 57.9% had no change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that is, all four preference scales were the same, and 30.1% had one scale change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Significantly more subjects shifted from T to F, J to P, and S to N in this study. Scales that clients were in confusion were in order of TF 27.5%, SN 23.2%, JP 16.6%, EI 13.8%. This results can help lots of clients to be hard to find out true type grasp the best-fit type. First of all, this study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o try to find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of MBTI and workshop program`s method. Thus, this study tries to reconsider the directions of workshop programs, the interpretation process to help a client to identify his or her actual type, and the administrator`s role to have charge of the MBTI administration and interpretation.

      •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남궁경현 ( Kyung Hyun Nam Gung ),이승아 ( Seung A Lee ),정다운 ( Da Woon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입학년도별 입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 입학사정관전형 유형별로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의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입학사정관전형은 다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만들었다.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서는 학생부교과유형 입학생의 GPA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모든 계열에서 동일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계열별로 볼 때, 인문, 자연, 예·체능계열에 비해 한의과대학에서 전형유형 간 GPA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전형 내에서는 일반유형과 학생부교과 유형, 학교장추천유형이 GPA가 높았으며, 고른기회유형과 특기자유형이 낮은 GPA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GPA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based on their year of entrance as part of an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 System(AOS), which has been executed extensively since 2009.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system is now possible as the students who had enrolled through the AOS are now graduating, and their GPA can b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GPA of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09 to 2014,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o form the analysis framework, stud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more specific subcategories, six from the Admission type and five from AOS. In the AS category,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consistently across all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rts, and Athletics,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howed the biggest GP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mission system. In the AOS category, the highest GPAs was in the Regular Type, the Grade Type,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Type while Equal Opportunities System and Talented Students System showed the lowest GPA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GPA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his study inspects student adaptability in relation to their attributes, and seek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admission systems planning.

      • KCI등재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

        김현식(Kim Hyun Si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검단리유형은 검단리식토기와 울산식주거지라는 2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 영남지방 동남해안지역의 고고학적문화이다. 검단리식토기는 혼암리토기의 복합문양이 단순모양으로 변화하고 시문수법이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토기이며, 울산식주거지는 혼암리유형의 관산리식·미사리식주거지 등의 대형 주거지가 주거면적의 소형화, 노지의 감소, 노지위치의 정형화, 주혈배치의 4각구도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주거지이다. 검단리유형은 동남해안지역에 들어온 혼암리유형이 進化한 유형이며 시기상으로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의 송국리유형과 동시기에 해당된다. 울산식주거지의 내부공간은 작업·저장·수면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개별세대가 거주했던 주거로 추정된다. 검단리식주거지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 중기의 주거지인 송국리식 주거지와 공간구조, 취락에서의 면적분포, 증축행위의 존재, 환호취락의 존재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은데 이는 양 주거지가 주거양식, 사회발전단계에 있어 동일한 단계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혼암리유형의 대형주거지에서 울산식주거지로의 변화는 단위집단이 세대공동체에서 개별세대로 분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검단리식토기는 토기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에서 출현한 토기이다.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의 흔적은 다른 물질문화의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단위집단의 변화와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으로 사회전체의 생산성이 향상되었을 것이다. The Goemdan-ri Assemblage can be represented by the Ulsan Type dwelling structure, the Goemdan-ri type pottery, and small stone coffins. Although the Goemdan-ri Assemblage shows unique regional characterisics, it contains some elements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e Goemdan-ri pottery had been transformed from Heunam-ri pottery and Ulsan type dwelling sites had been changed from the type of large dwelling structure which shows many similarities to the Heunam-ri type dwelling structure. This transition in dwelling structure shows that residing practice had been changed from the extended family to the nuclear family. The Goemdan-ri Assemblage is the unque one having developed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at had come into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of Korea, and can be chronicled into the same period with the Songguk-ri Assemblage of Yongnam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