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의미성서학습 모형

        임애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4 No.-

        Dominated by relative values in postmodern and information society,to keep universal value of faith is a task of faith communities in 21st Century. Personal faith identity has been formed in traditions and sharing of faith communities. However, if lives of faith communities are not related to an individual’s life, their traditions and sharing does not affect a person’s faith formation anymore. Meaningful Bible learning aims to establish a community through individual faith formation. Meaningful Bible learning has an educational purpose for faith learners to learn the Word in Bible as meaningful ones to them by restructuring and delivering Bible learning tasks to them, to lead these learning practices to traditions and sharing of faith community and to realize them in personal daily lives. As Jesus Christ incarnates for the encounter of God and humanity, Meaningful Bible learning suggests a teaching design model for it through advanced organizer to connect study tasks and learners. 포스트모던 시대, 정보사회의 상대적 가치 속에서 보편적인 신앙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지켜가는 것이란 21세기에 주어진 신앙공동체의 과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지금까지 개인의 신앙정체성은 신앙공동체의 전통과 나눔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신앙공동체의 삶이 개인의 삶과 관련이 없을 때 더 이상 신앙공동체의 전통과 나눔은 개인의 신앙형성과는 무관하게 된다. 본 글에서 논의하고 있는 유의미성서학습의 목적은 개인의 신앙형성을 통해서 공동체를 세워가는 것에 방향을 두고 있다. 유의미성서학습은 신앙학습자로 하여금 학습과제인 성서를 의미 있게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것을 통해서 성서의 말씀이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말씀으로 학습되고, 그러한 배움의 실천이 신앙공동체의 전통과 삶으로 이어지고, 개개인의 삶의 자리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목적을 갖는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인간을 만나러 오신 성육신 사건처럼, 유의미성서학습에서는 학습과제와 학습자를 연결하기 위한 선행조직자를통하여 의미 있는 성서학습이 될 수 있도록 교수설계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Bruner의 발견학습과 Ausubel의 유의미학습에 내포된 창의성 교육방법 분석

        하수연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ity education methods in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and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theory.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Bruner’s discovery learning and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are both suitable for knowledge education, thinking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to foster creativity. But Both theories require more active involve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Especially,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needs to be given more active thinking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to use the instructional theory to foster creativity. 본 연구는 Bruner의 발견학습이론과 Ausubel의 유의미학습이론에 담긴 창의성 교육 방안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지식, 사고, 인성, 환경 등 창의성 4요소를 중심으로 분석기준을 설정・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창의성 함양을 위해 Bruner의 발견학습과 Ausubel의 유의미수용학습은 모두 지식교육, 사고교육, 인성교육으로 활용하기에는 적합하나, 두 이론 모두 환경교육에서 좀 더 적극적인 관여가 필요하고, Ausubel의 유의미수용학습은 좀 더 적극적인 사고기회의 부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함양을 위해 수업이론을 활용하는 방법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Bruner의 발견학습과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의 유아주도적 놀이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하수연 ( Sooyeun Ha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주도적 놀이의 수행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의 수행과 관련되는 방안을 찾기 위해 Bruner의 발견학습이론과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관련 논문 및 문헌, Bruner의 발견학습이론과 Ausubel의 유의미학습이론에 관련된 논문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선택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발견학습, 학습계열성, 지식의 표상방법 등이, Ausubel의 이론에서는 유의미 수용학습, 선행 조직자, 학습위계 등이 적용 가능하다. 둘째, 자유로운 상상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지식의 구조가, Ausubel의 이론에서는 선행조직자, 발달준비도, 포섭의 원리가 적용 가능하다. 셋째, 내적동기에 의한 즐거움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는 내적보상, 학습경향성 등이, Ausubel의 이론에서는 인지범주와 정서-사회범주, 학습태세가 적용 가능하다. 넷째, 주변과의 관계 맺음을 위해 Bruner의 이론에서 내러티브 사고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주도놀이에서 교사의 참여방안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child-directed play and to analyze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and Ausubel’s meaningful acceptance learning theory in order to find methods related to this standards. To this end, the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2019 Revision Nuri Course, play,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and Ausubel’s significance learning theor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self-directed selection, heuristic learning, learning sequence, and representation method of knowledge can be applied in Bruner’s theory, and meaningful acceptance learning, advance organizer, and learning hierarchy can be applied in Ausubel’s theory. Second, for free imaginati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applicable in Bruner’s theory, and advance organizer, developmental readiness, and subsumption is applicable in Ausubel’s theory. Third, for enjoyment by inner motivation, inner compensation and learning tendency can be applied in Bruner’s theory, and cognitive structure, emotion-social category, and learning attitude can be applied in Ausubel’s theory. Fourth, narrative thinking is applicable in Bruner’s theory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s.

      • KCI등재

        오수벨(D.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을 적용한 피아노 교수방안 연구

        박영주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0 음악교수법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heory of meaningful learning by Ausubel and to apply his theory to the field of piano teaching as a new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ful learning theory by Ausubel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tents related to piano education were extracted. Therefore, the five teaching principles and three conditions of meaningful learning by Ausubel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piano education. It wa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Ausubel’s theory of meaningful learning to piano education, which was noted in educational psychology, and a new perspective on teaching-learning theory was presented to music educators as well as piano teachers. 본 연구는 오수벨(D.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피아노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피아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오수벨이 제시한 유의미 학습 이론의 특징을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피아노 교육과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였다.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은 학생이 포섭과정을 통해 인지구조가 변화하는 학습으로써, 학습의향, 학습과제, 정착지식의 3가지 조건이 모두 성립될 때 일어나며, 이를 위해 5가지 교수원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과 교수원리를 바탕으로 피아노 교육에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유의미 학습을 위한 5가지 교수원리를 피아노 교육에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심리학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이론을 피아노 교육에 적용한 기초 연구로, 피아노 교사는 물론 음악 교육자에게 교수・학습 이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피아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김효원(Hyowon Kim),김누리(Nooree Kim),육진경(Jinkyoung Yo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자발적 원격수업이 실시된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와 변화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전라남도 소재 2개 대학의 1~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020년에는 327명, 2021년에는 461명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집단 간 학습성과(핵심역량과 전공능력) 차이가 나타나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그리고 학습성과인 핵심역량과 전공능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낮은 수준 학습경험형’, ‘중간 수준 학습경험형’, ‘높은 수준 학습경험형’의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경험이 낮은 집단의 특징을 확인한 결과, 2020년은 새로운 원격교육 환경에서 인지적 어려움을 보인 반면, 2021년에는 원격교육 환경에 적응하면서 인지적 학습경험은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20년과 2021년 도출된 잠재집단에 따른 학습성과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과 전공능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지속된 원격수업 환경에서도 자기주도학습전략 및 학습기술, 학습동기가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학습회복과 학습성과를 높여주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 whether latent clas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hanges, focusing on 2020 and 2021, when involuntary distance classes were conducted due to COVID-19.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K-NSSE survey conducted in 2020 and 2021 targeting the first to fourth grader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were used. Finall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327 people in 2020 and 461 people in 2021. Also, one-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which are learning outcomes,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2020 and 2021 years : an ‘high-level learning experience’, a ‘medium-level learning experience’, and a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ifficulties were shown in 2020 in the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ype, whil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lowered in 2021.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groups derived in 2020 and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technique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even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at has continued due to COVID-19. Also,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recovery and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목적 이론에 기반한 학습 동기와 학습 성향, 한국어 쓰기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이주미 ( Lee Ju-mi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본고는 대학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학습 성향, 그리고 대학에서 학업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한국어 쓰기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가장 변별력 있게 적용되는 동기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암기적 학습 성향을 가진 학습자들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학습을 하려고 하는 능력 중심의 목표를 지향하는 경우가 많았고 유의미한 학습 성향을 가진 학습자들은 자신의 능력을 뛰어 넘는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학습 중심의 목표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유의미적 학습 성향을 하며 학습 중심의 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이 T1과 T2의 성취에서 평균 이상의 성취를 보였으나 능력 중심의 학습 목표를 가지고 있더라도 유의미한 학습 성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은 쓰기 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 동기의 구성 요소인 자기 효능감과 자아 개념 능력, 자아 가치, 자아 기대와 쓰기 성취의 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이나. 자아 개념에 대한 능력, 자아 기대가 높은 학습자들의 쓰기 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 개념에 대한 능력과 자아기대의 요소였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능력에 맞는 명확한 학습 목표(i+1)를 지향하면서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현재의 쓰기 과정이 앞으로의 학업 성취에 중요한 가치가 있는 학습이라는 것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 하고 있는 쓰기 과정이 끝나면 이후 쓰기를 더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거나 쓰기 과정에 대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의미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otivation factors applied to foreign learners' writing having the highest discrimination capacit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foreign undergraduat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Korean writing achievement which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ir studies in university structurally. The overall analytical results have found that learners with memorizing learning orientation often aim at ability to try learning within which they can learn and learners with significant learning orientation often aim at learning to make efforts towards goals beyond their ability. Generally, the learners who are significant learning-oriented and aim at learning to make efforts towards goals beyond their ability showed above-average achievement in achievement of T1 and T2. However, the learners who are significant learning-oriented in spite of having ability-centered learning goals showed high writing achievement.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iency, self-concept ability, self-worth, self-expectation, and writing achievement, components of learning motivation, has found that writing achievement of learners with the high self-concept ability and self-expectation is high. Among them, the factors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foreign learners were components of the self-concept ability and self-expectation. Therefore, teachers need to instruct learners to aim at specific learning goals (i+1) that suit their ability and do significant learning and have them understand that the current writing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and valuable learning for next learning achievement. The teachers also need to give them faith that they will be able to write better after the current writing curriculum or instruct them to have a learning motive to do writing activities actively and meaningfully.

      •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에 근거한 서양음악사 수업 모델 연구

        정유진,윤성원,조대현 한국음악응용학회 2018 음악응용연구 Vol.1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음악사를 교과서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유 의미 학습이 일어날 수 있게 수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usubel의 유의미 학습과 학습의 위계 를 고찰하였으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0종 교과서를 조사 분석 하고 학습을 위한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서양음 악사의 내용을 조금 더 체계적이고 유의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과제를 제시할 수 있게 교과서를 개선하고 둘째, 교과서에서 부족한 내용을 교사들이 지도 할 수 있도록 교사연 수를 확대할 것, 셋째로 음악과 사범대나 비사범대학등의 교원양성대학에서의 서양음악사를 유 의미 학습 학습법을 미리 공부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eaching students to create meaningful learning with music histo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usic, focused on the textbook. For this, it is to examine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and learning hierarchy and analyze ten kinds of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also suggest teaching models for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 from this study, I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make content of western music history more systematically and be able to suggest various learning tasks which can create a meaningful learning. Second, expanding teacher training to be able to guide students for insufficient contents in textbooks. Third, In college for teacher education, such as the major of music education and non education college, Western music history could be studied in advance.

      • KCI등재

        대학생의 ‘유의미한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탐색 : A지방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송이(Han Songie),황수정(Hwang Soo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지방 소재 A대학의 대학생이 인식하는 ‘유의미한 학습 경험’의 양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대학의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42명의 학생이 대학 생활 과정에서 겪은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해 작성한 성찰적 에세이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질적 내용분석 방법인 문서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학생들은 ‘심층 학습과 전공 및 진로에 대한 확신’, ‘배운 내용과 실생활의 연결’,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성찰 및 자기주도적 참여’, ‘전환’과 ‘성취’,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성장’을 유의미한 학습 경험으로 인식하였다. 본연구 결과는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한 이론적 발달에 기여하며, 대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촉진할 수 있는대학 차원의 전략 마련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by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provincial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reflective essay written about the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of 42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lasses at A University was used as an analysis data. A document research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deep learning and confidence in their major and career’, ‘connection between what they learned and their real life’, ‘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transition’ and ‘achievement’, ‘growth through faculty-student interaction’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university-level strategies that can promote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for university students.

      •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의 통합

        아부 라이한(Md. Abu Raihan),한승록(Han, Seung Loc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유의미 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현장 에서 교사들이 구성주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전통적이고 비교육공학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다른 상황에서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다. 교육공학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교육학적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비퀴터스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고, 이런 환경변화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공학적 기법을 유의미 학습과 통합시키 려는 교사들 많지 않다. 교육공학적 기업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교사들은 학생이 수행하는 학습의 범위와 깊이를 넓히려고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이다. 더더욱 이런 교사들은 그들의 학습 패러다임을 바꾸고 구성주의적 교수방법을 선호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육학적 통합방벙을 4가지로 고안하였다. ➀ 구성주의에 기초한 교육공학의 통합목표, ➁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방법, ➂ 교육공학 교사, ➃ 교육공학을 활용하는 교사. 필자는 교육공학과 구성주의를 통합하는 종합점검표를 고안하였으며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을 통합하기 전에 종합점검 표를 가지고 점검하기를 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ism, technology, and meaningful learning and provides suggestions to help teachers translate constructivist methodologies into their own realities in teaching.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ies that could benefit student learning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practiced in traditional, non-technological classrooms. Technology and constructivist theory is changing pedagogies. We are moving toward a future in which computing is becoming more ubiquitous and there is evidence that technology is changing the way teachers conduct their teaching. Even so, few teachers are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ir teaching in ways that can support meaningful learning. Those who are usually successful in teaching with technology are those who constantly strive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improve the depth and scope of student learning (Cuban, 2001; Ertmer, 1999). Further, they a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shifts in their learning paradigms and embraced constructivist teaching styles. In this regards, the authors have designed four models for technology integ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such as (1) technology integration goals based on constructivism, (2) ways to use technology in real classrooms, (3) technology teacher and (4) teacher with technology. The authors of this article also designed a comprehensive checklist and recommended it to follow before integrating technologies in the real classroom for meaningful learning.

      • Technology Integration for Meaningful Learning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Md. Abu Raihan;Han, Seung Lock 公州大學校 敎育硏究所 2012 교육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ism, technology, and meaningful learning and provides suggestions to help teachers translate constructivist methodologies into their own realities in teaching.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ies that could benefit student learning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practiced in traditional, non-technological classrooms. Technology and constructivist theory is changing pedagogies. We are moving toward a future in which computing is becoming more ubiquitous and there is evidence that technology is changing the way teachers conduct their teaching. Even so, few teachers are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ir teaching in ways that can support meaningful learning. Those who are usually successful in teaching with technology are those who constantly strive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improve the depth and scope of student learning (Cuban, 2001; Ertmer, 1999). Further, they a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shifts in their learning paradigms and embraced constructivist teaching styles. In this regards, the authors have designed four models for technology integ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such as (1) technology integration goals based on constructivism, (2) ways to use technology in real classrooms, (3) technology teacher and (4) teacher with technology. The authors of this article also designed a comprehensive checklist and recommended it to follow before integrating technologies in the real classroom for meaningful learning. 본 연구는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유의미 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구성주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전통적이고 비교육공학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다른 상황에서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교육공학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교육학적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비퀴터스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고, 이런 환경변화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공학적 기법을 유의미 학습과 통합시키려는 교사들 많지 않다. 교육공학적 기업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교사들은 학생이 수행하는 학습의 범위와 깊이를 넓히려고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이다. 더더욱 이런 교사들은 그들의 학습 패러다임을 바꾸고 구성주의적 교수방법을 선호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육학적 통합방벙을 4가지로 고안하였다. ➀ 구성주의에 기초한 교육공학의 통합목표, ➁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방법, ➂ 교육공학 교사, ➃ 교육공학을 활용하는 교사. 필자는 교육공학과 구성주의를 통합하는 종합점검표를 고안하였으며 유의미 학습과 교육공학을 통합하기 전에 종합점검표를 가지고 점검하기를 권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