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백미열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한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4,5세 부모 296명과 담임교사 17명을 선정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능력, 주도성, 창의성, 의사결 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리더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layability of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children recognized by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96 parent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and 17 homeroom teachers enrolled in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e study tested the playability of parents,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factor of infant leadership according to infants' gender, pro-social ability, initiative, and creativity.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 making.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perceived by the parents,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recognized by the teacher, and the leadership of the child.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children's leadership, children's play perceived by the teach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voluntary commitment among the subfactor of children's playability recognized by the parents. Among the gender sub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s and teachers to recognize children's playability, and for children to happily participate in play and grow into competent leaders in peer groups.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김수미,최진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5 놀이치료연구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other's playfulness, child's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a mediated by self-regulation in child. Participants consisted of 281 child's mother and child's teachers. The mothers of all children completed the measures of 'Adult Playfulness Scale'. The teacher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ren Playfulness Scale',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Self-Regula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however mother's playfulness was not correlated with child'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playfulness was not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child's playfulness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Forth, child's self-regulation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Fifth,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hild's playfulness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hild's playfuln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lso had and indirect effect on mediated by self-reg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regulation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child's playfulnes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3∼7세 유아 281명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유아변인은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놀이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은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성은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회적 유능성에 있어서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이 중요한 변인임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증진을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겠다.

      • KCI등재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

        강희정,이지연 미래유아교육학회 202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30 No.3,4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buffering effect)하는 요인으로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5세 유아의 어머니 21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유아 그릿 및 유아 놀이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은 평균보다 조금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놀이성은 평균보다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 유아 그릿 및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 유아 놀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그릿과 놀이성 수준이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유아 놀이성과 그릿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유아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 놀이성 수준도 높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 간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어, 유아 놀이성은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놀이성이 어머니의 과보호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놀이성 및 그릿과 관련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overprotection on young children’s gri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this study, the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grit were selected as a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selected as moderator. The participants included 260 mothers of 4 to 5 year-old children in J area, and 218 participants were finally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ternal overprotection and grit were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whil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much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with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grit. This means that as the level of mother’s overprotection increases, the level of a young children’s grit and playfulness decreases. Moreover,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with young children’s grit. This shows that as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creases, the level of a young children’s grit also increases. Thir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gr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firming that children’s playfulness serves as a mitigating factor against negative influences on childre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ternal overprotec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playfulness and grit.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신념의 다중매개효과

        김미란 ( Miran Kim ),서현아 ( Hyunah Se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신념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반 교사 290명, 재원 유아 8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높아질수록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신념이 높아지므로 유아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신념은 각각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 형성을 위한 교사 관련 변인이 무엇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 교육 등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에 의미를 둘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layability of early childhood by examining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and children’s play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870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the higher the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belief,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playabilit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belief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and children’s playability.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in clarifying teacher-related variables for the form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and children’s playability, and based on this, it can be meaningful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such a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Soonock Song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According to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 A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fathers’ playfulness, parenting behaviors and young children’ playfulness was conducted on 200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city were selected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software.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 playfulness ha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athers’ playful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 playfulness ha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Key Words: Father, Playfulness, Parenting Behaviors, Children, Playfulness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송 순 옥**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대상은 J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 200명과 그의 아버지를 선정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놀이성은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시사한다. 핵심어: 아버지, 놀이성, 양육행동, 유아, 양육행동 □ 접수일: 2022년 7월 10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원광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Wonkwang Health Science Univ., Email: ock3441@hanmail.net)

      • KCI등재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성의 매개효과

        이지연(Lee, Ji-Ye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9

        본 연구에서는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언어발달 간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32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고, 놀이성과 언어발달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 놀이성 및 언어발달 간 상관 분석에서 먼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 언어발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낮은 언어발달 수준을 보였다. 또한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 놀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낮은 놀이성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놀이성과 유아 언어발달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놀이성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언어발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과 언어발달 간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유아일수록 놀이성 수준이 떨어짐으로서 언어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유아의 놀이성이 관여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부모 교육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e data of 327 participants in J area was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playful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asure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layfulnes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playful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ird, the playfulness played a role as mediator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김상겸 ( Kim Sangkyum ),서소정 ( Seo So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에 관한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02명이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17년 5월 2주에서 5월 4주까지 기본움직임기술은 연구자가 직접 측정하였으며,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은 담임교사가 평정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 자기조절력, 놀이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일련의 절차에 의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의 이동기술, 물체조작기술이 좋을수록 놀이성 및 자기조절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의 이동기술과 물체조작기술이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력을 부분매개로 하여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이 낮을 경우 주의집중력 수준에 따라 놀이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누리과정과 연계한 신체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undamental movement skill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Further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playfulness in preschoolers. The study subjects were 202 preschool children (aged 5 years old)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in Seou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locomotion skills and object-control skills were found to show higher levels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Second,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playfulness on the locomotion skills and object-control skills. In addition, the effects of preschooler’s fundamental movement skills on their levels of playfulness were moderated by one of the sub-scales of self-regulation, which was concentration. In line with those finding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효과분석

        허혜경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인 중 유아의 성별과 기질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54명과 이들의 양육을 담당하는 어머니 254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기질특성 중 가장 높게 나타난 특성은 정서성이며 가장 낮게 나타난 특성은 규칙성이었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과 놀이성에서는 기질 중 활동성과 놀이성 중 신체적 자발성 영역에서만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다른 영역들에서는 모두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질과 놀이성과의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유아의 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정서성과 활동성으로 유아가 활동적이고 정서표현력,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성차가 확인되었고,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중요성과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temperament,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on playfulness. Data on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ere collected from 254 children of 4 to 5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variable of the subject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was emotionality and the lowest was regularity. Male subjects showed higher results only in activeness and physical spontaneity while female subjects showed higher results in all other variables of temperament and playfulnes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playfulness was explicitly shown, confirming that the study of temperament has greater influence on playfulness development than on personality; and gender, temperament,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have the greatest effects on emotionality and activeness,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higher activ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pathetic capacity are likely to demonstrate higher playfulness. Based on thu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gender-difference in relation to temperament of child and playfulness, and that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is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temperament of child and playfulness.

      • KCI등재후보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

        전일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creative characteristics in half-day programs and full-day programs. The subjects included 286 preschool children, composed of 133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53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t-test,Pearson's-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playfulnes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creative characteristic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both the half-day and full-day programs. In the half-day program, social spontaneity and children's humor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In the full-day program, children's humor and cognitive spontaneity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3명, 종일제 유아는 153명이다.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 놀이성 척도와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에 대해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이 창의적 행동 특성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역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유머감각과 인지적 자발성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도연주,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여 놀이교수효능증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경북 P시와 G시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277명이다.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2022년 1월21일~2월25일까지 총 300 부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중 불성실한 23부를 제외하고 277부의 설문지를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간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 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즉흥성을 제외하고 모두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은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 하위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놀이성,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놀이 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유아의 놀이성도 높아짐을 해석 할 수 있다. 연구결론: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능 력 관련 연수나 교육이 필요함을 시시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play teaching efficacy by analyz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empathy on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P-city and G-city, Gyeongbuk.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anuary 21 to February 25, 2022 to find out the playfulness, empath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 Resul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ability, empathy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verall,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The play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y teaching efficacy except for improvis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layability. Secon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performance and empathy ability on play teaching efficacy were analyz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performance and empathy abil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playability and empathy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which in turn increases the playability of children.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ability and empathy on play-teaching effica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below Conclusion: The playability and empathy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play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raining or education related to the playability and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