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시티건설법과 정보통신망의 법적 지위

        김종보(Kim Jong Bo)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09 경제규제와 법 Vol.2 No.1

        유시티건설법이 제정되어 시행됨으로써 가장 크게 변화를 겪게 되는 것이 유시티기반시설로 설치되는 정보통신망의 법적 지위이다. 기존의 정보통신망이 도시가 개발되는 과정에서 기반시설과는 별도로 부수적인 물리적 공사를 통해 설치되었다면, 유시티건설법은 신도시가 개발되거나 기성시가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기반시설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정보통신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정보통신망의 사회적 기능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정보통신망을 언제, 누가, 어떠한 기준으로 설치할 것인가에 대한 규율필요성도 점차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유시티건설법에 의하면 정보통신망은 유시티기반시설로서, 일정한 경우에 사업시행자가 이를 사전적으로 설치하여 공공시설로 귀속시켜야 한다. 이것은 정보통신망에 대한 종전의 규율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유시티 건설사업으로 정보통신망이 일단 설치되고 나면 정보통신망을 규율하던 전기통신기본법과 전기통신사업법의 적용을 받는다. 정보통신망 중에서 실시계획에서 무상으로 행정청에 귀속되도록 정해진 정보통신망은 행정주체에 속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기성시가지에서 사업자들이 보유하는 사업망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정보통신망이 된다. 이러한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통신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사업법이 개정되어 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The legal position of networks as ubiquitous infrastructure are seriously affected by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Act. Formerly network was constructed in the course of work, but in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Act it’s constructed as infrastructure. This is caused by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crease of understanding about network’s function, and the need for regulation on the subject, a time to construct and the conditions for work.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law, network as infrastructure has to be constructed in early stage by developer and as public facility become vested in the competent authority. This is a radical difference. Once network is constructed,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nd Telecommunications Framework Act are applied to it. The network that is vested in the competent authority is also business network. To be in telecommunication busines with it,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will be revised.

      • KCI등재
      • KCI등재

        유비쿼터스도시산업진흥법(가칭)의 필요성과 입법방향연구 ― 주요 산업진흥관련 법률의 구조분석을 통하여 ―

        최용전,권준철 한국공법학회 2011 공법연구 Vol.39 No.3

        Until recent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showed a lively interest in building the Ubiquitous City. However, they have faced difficulties of construction costs and ubiquitous service lack to the residents. So they are finding the U-City Model which makes profit and causes actual service through ubiquitous city industrial activation. How to solve this problem is role division of civil sector and public sector in the ubiquitous industry. For role division of civil and public sector, This paper seeks how to improve law system of ubiquitous city industrial activation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laws for industrial promotion. The Law of U-City Industry Promotion of this paper is not public law but private sector law which promotes conditions and systems of U-City industry. The U-City Industry Promotion Law should reflect ide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hould stipulate establishment of the U-City Industrial Promotion Plan including urban development plan and IT law according to ubiquitous city master plan. And private enterpriser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U-city industry easily through the law. In addition, legal system to develop U-City services and technologies should be completed. Finally I want the law to be of help in having standardiza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to become institutional base to serve disclosure and distribution of U-City information. 유시티건설에 의욕적이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최근에 이르러 유시티의 건설비용과 건설 이후의 운영비조달이라는 재정적 어려움과 주민체감서비스 부족에 봉착하면서 유시티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수익창출과 체감서비스 활성화 모델을 탐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시티산업의 활성화 방법은 결국 유시티산업분야에 있어서의 민·관간의 역할분담이라는 전제하에 국내 주요산업진흥법을 분석하여 유비쿼터스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유시티산업진흥법은 한마디로 유비쿼터스건설에 관한 일반법이 아니라 산업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과 체계구성 등을 위한 민간부문지원법이라고 하겠다. 유시티산업진흥법은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반영하고, 유시쿼터스도시기본계획에 따라 관련 도시개발계획와 IT법제 등을 포함하는 진흥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민간사업자의 사업참여가 원활하고 유시티서비스의 개발과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법제도적 추진체계가 완성되고, 표준화와 인증제도가 구비되며, 유시티정보의 공개와 유통이 활발히 전개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법제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러한 산업활성화를 위한 진흥체계도 함께 갖추어지기 바란다.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유시티 비디오 빅데이터 분석

        이학건 ( Hak Geon Lee ),윤창호 ( Chang Ho Yun ),박종원 ( Jong Won Park ),이용우 ( Yong Woo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3

        유비쿼터스 시티(유시티)에서는 수많은 비디오 카메라들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많은 카메라로부터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유시티의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유시티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유시티 비디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근래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 병렬처리 프레임워크인 Hadoop MapReduce를 이용하여 이러한 빅데이터 비디오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우리의 성능 평가를 소개한다. The Ubiquitous-City (U-City) is a smart or intelligent city to satisfy human beings` desire to enjoy IT services with any device, anytime, anywhere. It is a future city model based on Internet of everything or things (IoE or IoT). It includes a lot of video cameras which are networked together. The networked video cameras support a lot of U-City services as one of the main input data together with sensors. They generate huge amount of video information, real big data for the U-City all the time. It is usually required that the U-City manipulates the big data in real-time. And it is not easy at all. Also, many times, it is required that the accumulated video data are analyzed to detect an event or find a figure among them. It requires a lot of computational power and usually takes a lot of time. Currently we can find researches which try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the big video data. Cloud computing can be a good solution to address this matter. There are many cloud computing methodologies which can be used to address the matter. MapReduce is an interesting and attractive methodology for it. It has many advantages and is getting popularity in many areas. Video cameras evolve day by day so that the resolution improves sharply. It leads to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produced data by the networked video cameras. We are coping with real big data when we have to deal with video image data which are produced by the good quality video cameras. A video surveillance system was not useful until we find the cloud computing. But it is now being widely spread in U-Cities since we find some useful methodologies. Video data are unstructured data thus it is not easy to find a good research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with MapReduce. This paper presents an analyzing system for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which is a cloud-computing based video data management system. It is easy to deploy, flexible and reliable. It consists of the video manager, the video monitors, the storage for the video images, the storage client and streaming IN component. The “video monitor” for the video images consists of “video translater” and “protocol manager”. The “storage” contains MapReduce analyzer. All component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requirement of video surveillance system. The "streaming IN" component receives the video data from the networked video cameras and delivers them to the "storage client". It also manages the bottleneck of the network to smooth the data stream. The "storage client" receives the video data from the "streaming IN" component and stores them to the storage. It also helps other components to access the storage. The "video monitor" component transfers the video data by smoothly streaming and manages the protocol. The "video translator" sub-component enables users to manage the resolution, the codec and the frame rate of the video image. The "protocol" sub-component manages the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 and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RTMP). We use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HDFS) for the storage of cloud computing. Hadoop stores the data in HDFS and provides the platform that can process data with simple MapReduce programming model. We suggest our own methodology to analyze the video images using MapReduce in this paper. That is, the workflow of video analysis is presented and detailed explanation is given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experiment and we found that our proposed system worked well.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with analysis. With our cluster system, we used compressed 1920x1080(FHD) resolution video data, H.264 codec and HDFS as video storage. We measured the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ame per mapper. Tracing the optimal splitting size of input data and the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node, we found the linearity of the system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 유시티 도래에 따른 도시민 생활양식 변화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신동빈,Lee, Jin Hui,Shin, Dong B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유시티에 따른 생활양식 및 도시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도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시티에서의 도시공간 변화 분석에 있어서는 도시민 설문조사를 통한 생활양식 변화를 예측하여 추론하는 행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을 주요 활동공간으로 하는 도시기능에 있어 통행량 및 이용의 감소와 입지 선호도의 변화로 도심 집중화 약화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예상되었다. 개별 용도에 있어서는 통행량과 이용의 감소에 따라 규모나 개수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존 공간의 재편에 있어서는 특히 공공공간에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앞으로 유시티가 정착하면 도시의 공간구조와 시설별 수요가 도심과 비도심에 따라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를 반영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유연한 도시공간이 조성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urban spac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ries to propose a direction of urban policies reflecting them. For this, it investigates lifestyle changes to predict the phase of urban spaces in the future. In a survey on urban functionalities with downtown as the main space of activities, it was expected that traffic for the use of these functionalities would be reduced. Traffic reduction was predicted to restrain downtown from growing and weaken the concentration of downtown activity. For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spaces, in particular, public spaces would be changed to multi-purpose spaces in which various urban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using ubiquitous technologi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he various changes of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land use and urban planning facilities would be altered by downtown and peripheries. A planning tool with a more concrete demand estimation of the future demand in individual areas of usage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be reflected in urban planning. Also, with the integration of functionalities so that more efficient land use will be possible, flexible designation of usage areas is necessary. Along with this, to prevent the decline of old downtown areas and provincial cities, the balanced installation of IT-related infrastructures will preced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시티 도래에 따른 도시민 생활양식 변화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신동빈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urban spac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ries to propose a direction of urban policies reflecting them. For this, it investigates lifestyle changes to predict the phase of urban spaces in the future. In a survey on urban functionalities with downtown as the main space of activities, it was expected that traffic for the use of these functionalities would be reduced. Traffic reduction was predicted to restrain downtown from growing and weaken the concentration of downtown activity. For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spaces, in particular, public spaces would be changed to multi-purpose spaces in which various urban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using ubiquitous technologi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he various changes of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land use and urban planning facilities would be altered by downtown and peripheries. A planning tool with a more concrete demand estimation of the future demand in individual areas of usage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be reflected in urban planning. Also, with the integration of functionalities so that more efficient land use will be possible, flexible designation of usage areas is necessary. Along with this, to prevent the decline of old downtown areas and provincial cities, the balanced installation of IT-related infrastructures will precede. 이 연구의 목적은 유시티에 따른 생활양식 및 도시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도시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시티에서의 도시공간 변화 분석에 있어서는 도시민 설문조사를 통한 생활양식 변화를 예측하여 추론하는 행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을 주요 활동공간으로 하는 도시기능에 있어 통행량 및 이용의 감소와 입지 선호도의 변화로 도심 집중화 약화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예상되었다. 개별 용도에 있어서는 통행량과 이용의 감소에 따라 규모나 개수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존 공간의 재편에 있어서는 특히 공공공간에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앞으로 유시티가 정착하면 도시의 공간구조와 시설별 수요가 도심과 비도심에 따라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를 반영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유연한 도시공간이 조성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