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여성적 섹슈얼리티 -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는 플랫폼과 장르 -

        한유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The market for web novels is growing every year. Although there is constant discussion of web novels, there is no accurate definition of media and attributes. In this book, we w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web novel's character as a media transition, which has changed the way it is viewed and read as a popular novel. Romance Web novels are eventually adding genre attributes through a platform that the romance genre is a web novel. The market for romance web novels is gro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dult romance web novel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profits. To this end, we wanted to look at where the sexiness in adult romance web novels is coming from. It noted that the nature of romance web novels for adults is inherited from popular novels, and that the popularity of newspaper-released novels and the sexiness of magazine-released novels have been continuously revealed in Korean literary circles. Since then, the no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60s shows sexual desire of women, which is similar to the current romance web novel. Also, writers such as Park Kyung-ri and Kang Shin-jae, who conducted newspaper series, have also been in fashion because they are short-lived and lack of discussion over their popularity. This part of the project was to look at continuity, which is a common character but has a popular popularity. Adult romance web novels should also note that the speaker of sexuality has become a woman. The woman is showing her own desires. Let's look at how the feminine sexuality of adult romance web novels is expressed. 웹소설의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다. 웹소설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매체와 속성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웹소설 성격의 기원을 대중소설로 보고 읽히는 방식이 변화한, 매체 전환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로맨스 웹소설은 결국 로맨스 장르가 웹소설이라는 플랫폼을 통해장르적 속성을 더하고 있다. 로맨스 웹소설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때 성인용로맨스 웹소설이 수익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에서 나타나는 섹슈얼리티가 어디에서 기인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성격을 대중소설로부터 이어받고있으며 신문연재소설의 통속성과 잡지연재 소설 속의 섹슈얼리티는 지속적으로한국 문단에서 드러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후 60년대 여대생 소설에서는여성이 직접 여성의 성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지금의 로맨스 웹소설과 비슷한 섹슈얼리티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신문연재를 진행한 박경리, 강신재와 같은 작가 또한 섹슈얼리티를 그리고 있으나 기간이 짧고 인기에 비해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유행에 그치고 말았다. 이러한 부분을 살펴 통속적인 성격이지만 대중적 인기를 지니고 있는 연속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은 또한섹슈얼리티의 화자가 여성이 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여성이 직접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여성적 섹슈얼리티는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웹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오태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web novel research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web novel research. To this end, domestic academic papers derived as a result of keyword search for web novels in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from 2015 to 2022 were reviewed. Since the papers a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etailed analysis of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will inevitably be limited. Nevertheless, in the academic discourse,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main trends in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the past 10 years.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n the research on web novels is the discussion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web novels. In this regard, it is largely divided into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a new novel genre or genre novel, and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web platform.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eb novel research is the analysis of the web novel narrative structure for each genre and the discussion of its effects. These discussions have largely focused on revealing how genre recognition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web platform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b novels.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of web novel readers, discussions on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reading behavior center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were the main focus. Web novel research like this will b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in the status and cultural performativity of web novel writers-readers, the vitalization of the web platform, and the spread of cultural contents. 이 글의 목적은 웹소설 연구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후 웹소설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웹소설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도출된 국내학술논문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웹소설 연구사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학술 담론장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온 웹소설 연구사의 주요 경향을 조망할 수 있었다. 웹소설에 관한 연구에서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웹소설의 발생 및 전개 과정에 대한 논의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웹소설을 새로운 소설의 장르 또는 장르소설로 보는 입장과 웹 플랫폼 기반의 문화 콘텐츠로 보는 입장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웹소설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각 장르별 웹소설 서사 구조의 분석 및 그것의 효과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장르 인식 및 웹 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웹소설의 서사 구조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 웹소설 독자 연구에서는 독자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 행위의 조건 및 과정에 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웹소설 연구는 웹소설 작가-독자의 위상 및 문화적 수행성, 웹 플랫폼의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의 확산 속에서 이후에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웹소설 제목의 어휘 기호적 특징: 문장형 제목의 증가와 장르 교섭의 실상 - 2011~2022년 웹소설 제목 코퍼스를 기반으로

        전성규,곽지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corpus for 48,530 web novel titles that can be found in ‘Naver Series’ from 2011 to 2022, and check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titles and vocabulary frequency of titles in each genr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genres and genre hybrid pattern. In 2022 alone, Naver web novels provided about 10,000 works, and even in 2023, hundreds of new web novels are newly created and uploaded in just one month. The exponential expansion of web fiction production is a testament to how hot this market is and how competitive it is. In this situation, the ‘titl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oviding primary information about the work in the selection of readers, or consumers. Because web novels are purchased with a payment method that pays for each episode, the information provided when web novel readers select content is relatively scarce. At this time, the ‘title’, as the uppermost skin covering the web novel product, should not only play a role in attracting the reader's attention, but also perform an implicit function of providing abunda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narrative structure. Each sub-genre of a web novel has its own cliché, and the creation of a web novel is done by combining standardized storytelling styles. Accordingly, the title of a web novel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way to engrave signs that reveal the elements and styles of the story of the work. In the title of a web novel, not only vocabulary, but also morphemes, final endings, and punctuation marks such as ellipses all play a role as ‘symbols’ of narrative. The title of a web novel is not a pure creation of the author, but a rearrangement of symbols commonly used in the world of web novels, and functions as a signifier that reveals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web novel titles is that sentence-type titles are steadily getting longer.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confirmed throughout, starting with modern fantasy and romance fantasy. However, in genres that have been enjoyed for a long time, such as romance, the change to sentence-type titles appears very slowly.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noticeable in relatively new genres, and it can be assumed that new genres with relatively low market stability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and appeal to readers by making the titles as long as possible. When it is said that the tendency to embody genre characteristics becomes more intense as the title gets long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ocabulary in the title needs to be performed to further support this. Since web novel titles are a set of symbols, genr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genres can be identified by examining prominent vocabularies. Through the aspect of marriage, divorce, contract, etc. appearing in the title being used in romance and romance fantas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ster plot of the romance novel causes variation. And also by confirming where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is through the vocabulary of the title, it can be impl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o make up romance is different. Vocabulary such as return, possession is used as a narrative in itself and serves as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both the modern fantasy genre and romance fantas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gender of the main characters, the difference in each abil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nverges them create a difference in genre. The clear difference in the nature of the Second World also serves as an index to distinguish the gen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connotative meaning of the vocabulary of the title by categorizing and clarifying the vocabulary of the tit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analyzing it based on the specific work. In that sense, the genre hybridiz...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네이버 웹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웹소설 전체 제목 48,530편에 대한 코퍼스를 구축하고 웹소설 제목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르별 제목의 어휘 빈출을 확인하여 웹소설 장르의 특성과 장르간 상호 교섭 양상을 확인하였다. 2022년 한 해에만 네이버 웹소설은 1만 개가량의 작품을 제공하였고, 2023년에 들어서도 한 달에 수백 편이 넘는 웹소설이 새롭게 창작되어 올라오고 있다. 웹소설 생산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은 이 시장이 얼마나 과열되어 있는지,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를 가늠하게 한다. 상황이 이러할 때 독자 곧 소비자의 선택 행위에 있어 ‘제목’은 작품에 대한 1차적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소설은 회차당 비용을 지불하는 결제 방식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웹소설 독자가 콘텐츠를 고를 때 제공되는 정보들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제목’은 웹소설이라는 상품을 감싸는 가장 위층의 표피로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용과 서사구조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함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웹소설은 하위장르마다 고유의 클리셰가 존재하며 웹소설 창작은 정형화된 이야기의 양식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웹소설의 제목은 점차 작품이 갖고 있는 이야기의 화소와 양식을 드러내는 표지들을 새겨 넣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웹소설의 제목은 어휘뿐만 아니라 형태소, 종결어미를 비롯 말줄임표와 같은 문장부호까지 모두가 ‘기호’로서 역할한다. 웹소설 제목은 작가의 순수한 창작물이 아니라 웹소설 세계에서 통용되는 기호들의 재배치이며 서사의 내용을 드러내는 기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창작자는 제목이 갖는 문법을 체현함으로써 독자가 알아차리게끔 작품의 장르적 특성과 이야기의 소재를 드러낼 수 있다. 독자는 창작자가 제시한 기호들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서사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웹소설 제목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문장형 제목이 꾸준히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현대 판타지에서부터 시작해 로맨스판타지 등에서 두루 확인된다. 다만 로맨스와 같이 오래전부터 향유되어온 장르에서는 문장형 제목으로의 변화가 매우 더디게 나타난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신생 장르에서 두드러지는데 상대적으로 시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신생 장르들이 제목을 최대한 길게 함으로써 정보 제공량을 늘리고 독자의 관심 분야를 어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제목이 길어짐으로써 장르적 특성을 체현하는 경향이 더욱 짙어진다고 할 때 이를 보다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제목에 나타난 어휘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웹소설 제목이 기호들의 집합이므로 기호성이 두드러지는 어휘를 장르별로 살핌으로써 장르적 특징, 장르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목에 등장하는 결혼, 이혼, 계약 등이 로맨스와 로맨스판타지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통해 로맨스물의 마스터 플롯이 변주를 일으키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목의 어휘를 통해 서사물의 배경이 어디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로맨스를 이루는 남녀의 관계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받을 수 있다. 회귀, 빙의, 귀환 등의 어휘는 그 자체로 서사물로 통용되고 있으며 현대판타지 장르와 로맨스판타지 모두...

      • KCI등재

        한국 웹소설의 매체 변환과 서사 구조- 궁중 로맨스를 중심으로

        한혜원(Han Hye-wo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1 No.-

        본 논문은 한국 웹소설 중 궁중 로맨스의 매체 변환 양상과 서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웹소설은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설의 창작, 소비, 유통, 비평의전 과정이 이뤄진다. 한국의 경우 특히 2013년 이후 모바일 플랫폼과 웹 포털 사이트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웹소설이 대중화 및 산업화됐다. 한국 웹소설의 경우, 장르적으로는 주로 로맨스를 마스터 플롯으로 삼으면서, 판타지, 무협, SF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특이할 만하다. 또한 모바일 중심의 웹소설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들을 사용자로 삼는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한국 웹소설은 웹소설 자체로 소비되는 것은 물론, 동일 서사가 이종 장르로도 매체 변환되고 있다. 웹소설은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를 기반으로 삼기 때문에 저작권 중심의 인쇄문학보다 각색(adaptation)과 매체 변환의 유연성이 높은 편이다. 웹소 설에서는 모달리티(modality)를 중심으로 서사 단위를 분절하고, 이를 매체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즉 웹 콘텐츠의 경우 웹소설 등 개별 텍스트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적 이야기 세계(story world)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매체적으로 볼 때 국내 웹소설의 경우 주로 TV 드라마로 변환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 웹소설과 TV 드라마 사이에 장르적 근접성(genre proximity)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3년 이후 국내 웹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연재된 웹소설 중 ‘조선’을 배경으로 삼는 ‘궁중 로맨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히 조선은 한국 로맨스 웹소설에만 등장하는 배경이자 서사적 특이점이다. ‘왓패드’ 등 영어권 웹소설 사이트 에서 ‘조선(Joseon)’을 핵심어로 삼는 영문 궁중 로맨스가 다수 업로드되어 있다. 장르적 으로 볼 때 한국 궁중 로맨스의 경우, 로맨스를 마스터 플롯으로 삼고 두 개 이상의 세부 장르가 혼합되는 가운데 한국적 환상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윤이수의 웹소설인 <구르미 그린 달빛>을 구체적인 서사 및 매체 전환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 소설은 TV 드라마로도 매체 변환되어 대중적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 소설의 배경이자 특이점인 조선은 로맨스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부조리하고 병폐한 사회로 설정되어 있으며, 젠더 정체성의 문제, 신분의 차별, 가족 로맨스 등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가 나타난다. 이에 등장인물은 당면한 현실을 비극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 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금기를 위반한다. 이들의 로맨스는 우연과 낭만을 통해 이뤄 진다기 보다, 필연과 이해를 통해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불평등과 부패의 현실 묘사는 2016년의 웹소설 독자에게 가상의 문제가 아닌 현실의 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 이처럼 궁중 로맨스 <구르미 그린 달빛>는 가상의 조선이라는 허구적 시공간의 배경 과, 로맨스라는 마스터 플롯을 기반으로 삼아 현대 한국 사회의 문제들을 허구적 인물과 사건을 통해서 재현한다. 결국 금기와 위반의 사건은 안정적인 가치와 질서를 회복하고 권선징악을 통해서 안전하게 종결된다. 이처럼 한국 웹소설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중심 으로 창작 및 소비되면서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면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매체변환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웹소설은 한국 대중문학의 표본이자 대안이라 할 만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and translation of the Korean web novels. The web novels are based on the web platform, and are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by portal sites for the majority of the public. In Korea, web novels have become more popular and industrialized especially since 2013, using various mobile devices. In the case of Korean web novels, romance is mainly used as a master plot, and covers various genres such as fantasy, martial arts, and SF. Korean web novels are translated into other media genres. Since web novels value IP (Intellectual Property), it is easy to adapt to other media. The Web novels focus on the narrative units of the modality and translate them accordingly to the media. Individual texts are linked together to form one integrated narrative world. In particular, the Korean web novels are mainly adapted into TV dramas because the genre proximity between Korean web novels and TV dramas are high. In this study, romance of royal court based on Joseon Dynasty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ext. In particular, Joseon Dynasty is only featured in Korean romance novels. There are a lot of English court romances that use Joseon as a key word in Wat pad . In the case of Korean court romance, romance is used as master plot, and two or more genres are mixed. In this study, Yun Yi-soo s web novel <Moonlight(Groom-ie-grin-dal-bit)> was selected as a specific analysis text for translation. This novel was adapted into a TV drama, and it was also very popular with it. The setting of this novel, Joseon is depicted as a corrupt society, and reflects a variety of contemporary social issues such as sexism, discrimination and family problem. The characters perceive them as tragic and strive to solve them positively. The descriptions of these inequalities can be accepted as a matter of reality not a virtual matter, for the readers of web novels in 2016. In the end, it regains a vested right and cares for morality. As a result, Korean web novels are expanding and consumed through public. They are being actively translated into various media. Therefore they can be considered and expected to be the alternatives of Korean pop literature.

      • KCI등재

        웹소설 시장 변화에 따른 웹소설 창작자 의식 변화 연구: 웹소설 작법서를 중심으로

        이융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70

        The Korean Web Novel market has expanded at a faster rate than any other market in the domestic publishing market, and now has a weight comparable to that of the book publishing market. Thanks to this expansion, research on Web Nove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a as well, but most of the research on Web Novel has been carried out by transplanting the methodology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as it is, and the limitations are also clear. This is because ‘Genre-Munhak’, the origin of Web Novel, has been rejected as a naive and bourgeois text based on fantasy in the research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has not been laid due to the failure to establish proper aesthetics in the process. Because. Web Novel are not a form that was born with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ut have continued the genealogy of ‘Genre-Munhak’ that grew spontaneously in the Internet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PC communication. was appropriated and created according to a unique creative method. Then, when we look at these Web Novel writing methods, it is thought that we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what Web Novel creators and consumers think of Web Novel and what functions Web Novel writing can do.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syntactically analyzes the Web Novel Writing book published in Korea, and the mentality of how Web Novel creators and educators define Web Novel, and how they signify their work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wanted to check. 한국 웹소설 시장은 국내 출판 시장에서 그 어떤 시장보다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 이제는 도서 문고본 출판 시장과도 견줄 수 있을 정도의 무게감으로 자리하였다. 이러한 확장에 힘입어 학계에서도 웹소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웹소설 연구는 근대문학 연구의 방법론을 그대로 이식하여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고, 한계 역시 뚜렷하였다. 이는 웹소설의 원류인 장르문학은 근현대 한국문학의 연구사에서 환상성을 기반으로 한 나이브하고 부르주아적인 텍스트라며 배척받았고, 그 과정에서 제대로 된 미학을 정립하지 못 한 탓에 연구의 토대가 마련되지 못 했기 때문이다. 웹소설은 근현대 한국문학의 자장 안에서 탄생한 형식이 아니라 PC통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공간에서 자생한 장르문학의 계보를 이어온 존재로, 기존의 문학적인 방법론이 아니라 기존의 문학 방법론을 모조리 웹소설 방법론으로 전유해 고유한 창작법에 의거하여 창작되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웹소설 작법을 톺아볼 때, 우리는 웹소설 창작자와 소비자들이 웹소설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웹소설 쓰기란 무슨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집단의식을 들여다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에 출간된 웹소설 작법서를 통사적으로 분석하여 웹소설 창작자와 교육자는 웹소설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그들의 작업을 어떻게 의미화하여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지 창작자의 의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웹소설의 전용과 재매개 양상 연구 -『구르미 그린 달빛』의 드라마화 과정을 중심으로 -

        김경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7 No.-

        In this paper, considering web fictions are a new source of content and therefore a dedicated study is needed, I studied on the diversion process of a web novel as a original source. Web fictions are highlighted as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Wave’ in Korea which will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hin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following webtoon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consideration of the ‘creativity’ of producers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into media, and the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of cultural products. The original web fiction, 『Moonlight Drawn by Clouds』 is considered to have tried to embrace the historical truth within the framework of a web fiction. Although the author's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truth has diluted a lot in a work adapted into a drama, it is clear that half of the success of the drama is attributed to the original novel. There is a great deal of romance in web novels, considering the group of the drama being viewed, this means that web novels meet many of the requirements to be made into dramas. But the reason why web fictions are so romantic is because readers are demanding it. As writers and readers of web fiction communicate directly through blogs and comments, often the reader's needs are directly reflected. But the comment says that, as the word ‘a kiss every one chapter’ implies, readers ask to describe more of the main character's affection, or to demand to get the obstructor of love out of the way. Since web fictions employ on a given day of the week serial system, the writer would have to accommodate this request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Focusing on only what the reader asks for,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the story lines to become weaker and the story lines not to be varied. Currently web fictions are divided into romance, science fiction fantasy, martial arts, mystery, and light Nobel, so it has a limitation as a genre novel as it is constructing narrative structure within these. Considering webtoons produce good works a very social, historical and a work of high quality dealing with the mundane part, critics, who say the maturity of the web fiction is not yet equal to the webtoons, should also be accepted.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web fiction and the dramas, and looked at what changed and why they were made out of. These studies will continue to be necessary because they will form the basis for digitally driven storytelling studies and will provide valuable materials for conducting predictions and instruction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한국에서 웹소설은 웹툰에 이어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차세대 ‘한류’ 주자로 주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웹소설이 새로운 콘텐츠의 원천 소스로 주목되고 있으므로 그 전용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원천 소스로서 웹소설의 전용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이야기를 중심으로 매체 변용 시 개입되는 제작자의 창의력과 문화상품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재고해 보는 맥락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작 웹소설 『구르미 그린 달빛』은 웹소설이라는 틀 안에서 역사적 진실을 수용하려고 노력했던 작품으로 평가된다. 역사적 진실에 대한 작가의 해석이 드라마에서 많이 희석되기는 하였으나, 드라마의 절반의 성공은 원작소설에 힘입은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이 글에서는 작품의 품격 차이가 매체의 차이가 아니라 스토리와 담론, 곧 이야기의 구조화 과정 중 발생한 이념 및 주제, 작자의 현실인식 차이에서 빚어졌다는 결론을 얻었다. 현재 웹소설은 로맨스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드라마의 시청층을 고려해 보건대 드라마화될 요건을 상당부분 충족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로맨스 위주의 장르소설로 흘러가고 있는 점은 웹소설의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가령 웹소설에서 작가와 독자는 블로그와 댓글 등으로 직접 소통하기 때문에, 독자의 요구가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경우도 많다. 웹소설이 요일별 연재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조회수 획득을 위해 작가는 독자의 요구를 수용해야만 하는 형편이다. 독자가 요구하는 남녀 주인공의 로맨스, 곧 메인 스토리라인에 집중해 이야기가 전개되다 보면, 서브 스토리가 다채롭지 않고 스토리라인이 빈약해지는 양상도 나타난다. 현재 생산되는 대부분의 웹소설은 로맨스, SF 판타지, 무협, 미스터리, 라이트노벨 등으로 갈래가 나뉘어 있는데, 그 안에서 서사구조를 구성하다 보니 장르소설로서 한계점도 내포하게 되었다. 현재 웹툰이 매우 사회적이고 역사적이며 일상적인 부분을 건드리는 수준작들을 내놓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웹소설의 완성도가 아직까지 웹툰에 못 미친다는 비판은 수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창의적이고 신선한 소재를 지닌 웹소설 양산에도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원작 웹소설이 드라마화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달라진 점을 분석하여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고 그것을 추동한 원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문화 콘텐츠 산업의 전망과 이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웹소설의 미감과 장르교섭 양상

        김예니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Nowadays, the standard of division of fine novel and genre novel is getting ambiguous. In this situation, web novel becomes a new cultural content which has a literary value, and researches about various aspects of web novel are proceeded. The main idea of past researches were to investigate about the methods how modern society produces, distributes and shares a story, but for now, the researches of context about condition of time period, needs of readers and public awareness of this situation are needed. There are the reasons why web novels are developed quickly as an industry. First, it is easier to be an author than before. Secondly, new technology and circumstance offer to readers easier accessibility. It creates bigger markets. But the biggest reason is that web novels become a merrymaking space beyond a reading content because readers can be involved in the web novels through development of fandom. The active readers can think significant aesthetic sense of web novel is a subjectivity of aesthetic experience. Web novel has a unique circumstance which all readers can hide their taste of the real world. This unique circumstance makes readers recognize various genre and characters equally, and that is the main aesthetic sense of web novels. In this merrymaking space, not only the boundary of genres is unclear, but also hybridity is appeared by mixing between genres. It is a new challenge for an amusement such as diverse stories are produced by combination of different motifs or a new genre is created by mixing multiple genres or rewriting is invigorated by change of media. It means web novels are used as a cultural content. The important thing is readers who form the fandom are not impersonal beings that are possessed by watching. The active readers of web novels can investigate and explore their objects sufficiently with their individualities.They do their role to form the fandom and to expand merrymaking space as a collector for satisfying their entertaining purpose even though there are no practical purpose. In other words, the media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has a potential a public can be a ‘light examiner’ who experiences and criticizes out of dichotomous thinking such as author and reader or artist and audience. 출판시장과 매체환경의 변화에 따라 웹소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고는 웹소설을 대중소설의 연장에서 새로운 소설장르로 인식하는 논의에 문제제기하면서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 웹소설에 주목하여 이전 인터넷소설과 어떤 점에서 달라지며 웹소설이 보여주는 변화의 징후가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인터넷소설과 웹소설을 가르는 결정적인 차이는 ‘출판’을 목적으로 하느냐 여부에 따른다. 수익구조가 딱히 없었던 인터넷소설의 경우 연재와 동시에 출판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면, 웹소설의 경우 회당 결재라는 수익구조모델을 통해 거의 출판이 아닌 웹상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연재된다. 이런 차이는 서사상의 차이로도 이어지는데, 인터넷 소설이 종이책 출판을 목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기존 소설작법에 기대어 개작을 하는 것에 반해, 웹소설은 ‘읽기’보단 ‘보기’ 위한 콘텐츠로서 가독성이 높은 서사양식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더불어 웹소설이 현재 하나의 산업으로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첫째, 작가 진입의 장벽이 비교적 낮다는 점, 둘째, 모바일 보편화로 매체환경이 변하면서 웹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유통구조가 독자의 진입을 용이하게 만들고 더 많은 수요를 창출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매체인 웹소설을 통해 새로운 서사콘텐츠를 생산하여 이전과는 전혀 다른 작품생산과 유통, 향유의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된 조건의 산물인 웹소설의 중요한 미감은 미적 체험의 주관성에 있다고 할 것이다. 웹소설의 하위장르마다 고유의 클리셰가 존재하여 독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장르를 중심으로 팬덤을 형성하는데, 이제 독자들은 작품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만을 전하는 수용자가 아니라 원천 서사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매체로의 변환을 꾀하고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취향과 선호, 감상과 비평을 타인과 적극적으로 공유한다. 이렇듯 유희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이유는 웹소설이 ‘보는’ 소설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기에 무엇보다 시각화에 유리하다는 것이 이유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웹소설은 다양한 매체의 원천소스가 되어 다양한 스토리텔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웹소설은 기존의 장르규범보다 더 느슨한 규범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매체로의 전환에 용이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웹소설이 기존의 카테고리와는 다른 분류체계를 가진 것도 장르간의 교섭을 통한 새로운 장르의 생성이 가능할만큼 장르규범이 느슨한 탓이다. 로맨스와 판타지가 결합하여 로판, 현대라는 시간적 배경에 판타지 세계관을 결합하여 현판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새로운 독자층을 겨냥하여 생성된 것도 웹소설의 장르간 교섭양상이라 하겠다. 그리고 장르간의 교섭에 머물지 않고 정형화된 클리셰 속에서 새로운 이야기 창작을 위한 시도 차원에서 ‘∼물’간의 다양한 결합도 웹소설의 유희경험을 확장하는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록을 쌓듯 놀이처럼 각 모티프들의 서로 다른 결합을 통해 다양한 이야기가 직조되는 방식으로 웹소설마다 10개 이상 달린 해시태그는 이를 방증한다. 이렇듯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 변화된 조건 속에 빠르게 적응하여 다양한 유희경험을 통해 저변을 넓히고 있는 웹소설에 대해 문학비평이 해야하는 역 ...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시대의 소설 쓰기 연구 -웹소설작법을 중심으로-

        송명진 ( Song Myung-jin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웹소설을 중심으로 새롭게 소설의 지형도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일상의 언어를 웹소설어로 변화시키는 웹소설작법의 특징에 대해 고찰했다. 첫째, 웹소설작법은 웹소설 유통망을 소설작법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기존의 소설작법에서 강조했던 것이 창작이었다면 웹소설작법에서 강조하는 것은 소설의 생산과 소비와 관련된 유통이었다. 웹소설작법은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전에 우선 여러 플랫폼의 특징을 고찰해야 하며, 이에 따라 소설 쓰기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웹소설의 여러 서사적 특징들 역시 웹소설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려는 플랫폼의 전략에서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소설작법은 장르소설로서의 웹소설의 특징을 강조했다. 이는 웹소설이 주로 모바일을 통해서 소비된다는 매체 환경에서 비롯되었다. 디지털 읽기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웹소설은 장르소설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즉흥적인 감정에 기초하여 웹소설을 소비하게 되었으며, 웹소설작법은 독자들의 이러한 감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장르소설의 관습을 작법화했다. 이상의 연구는 기존의 소설작법과 변별되는 웹소설작법의 특징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여러 매체들을 통해 실현되는 다양한 웹소설작법을 아우를 때, 웹소설작법에 대한 더욱 심화된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novel writing method that transforms everyday language into a web novel. First, the method included the web novel distribution network in the novel writing method. The existing novel writing method emphasized creation, but the web novel method emphasized the distribu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novels. The latter method insi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platform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writing a novel. Furthermore, the method states a novel should be written accordingly. The various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are also derived from the platform’s strategy to maximize the marketability of web novels. Second, the method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as genre novels. This originates from the media environment where web novels are mainly consumed through mobile devices. For readers accustomed to digital reading, web novels have chosen genre fiction. Readers are consuming web novels based on improvised emotions, and web novel writing has used the conventions of genre novels to elicit these emotions from readers. When including various web novel writing methods realized through various media, this study can be further deepened.

      • KCI등재

        웹소설 시스템이 서사구조에 미친 영향

        박수미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7

        The web novel sales system introduced in 2013 has completely changed the dynamics of South Korea’s story contents market. The annual sales of web novels, which have nearly doubled every year and continued to grow, have exceeded 600 billion won, and are currently cited as taking the lion’s share of the story industry. The web novel market has grown at such a steep pace because it has continued to transform itself to meet the needs of readers. The system of the platform that provides web novels has also continued to seek improvement, and the authors have also pursued writing that thoroughly satisfies readers’ tastes. As a result, web novels gradually formed a typical form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to the volume. Examples include the reduction of categories, extreme feature length, happy ending without exception, and narrative strategy of unique delays. The longer the history of the industry, the stronger its typicality is, and at the base of such a phenomenon lies the web novel-providing platform and the system created by readers. This paper outlined how the web novel-providing system has changed over the 10 years from Naver’s launch of the Today’s Web Novel service in 2013 to 2022, and analyzed the impact of a series of changes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b novels. This study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recent trends and causes of web novels more deeply. 2013년 IT 기기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입된 웹소설 판매 시스템은 한국 이야기 콘텐츠 시장의 판도를 완전히 변화시켰다. 매년 두 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며 계속 그 규모를 늘려온 웹소설의 연간 매출은 6천억 원을 넘어섰고, 현재 이야기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로 지목된다. 웹소설 시장이 그렇게 가파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시대의 변화와 독자들의 요구에 맞춰 계속 자신을 변모시켜왔기 때문이다. 웹소설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의 개선을 모색해왔고, 작가들 역시 철저히 독자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글쓰기를 추구했다. 그 결과 웹소설은 서사의 구조부터 분량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종이책과 차별화되는 하나의 전형을 이루게 되었다. 카테고리의 축소, 극단적인 장편화, 예외 없는 해피엔딩, 독특한 지연의 서사 전략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산업의 역사가 길어질수록 그 전형성은 더욱 강화되어가는 중인데, 그러한 현상의 기저에는 웹소설 제공 플랫폼과 독자들이 만들어낸 시스템이 원인으로 존재한다. 본 논문은 2013년 네이버가 ‘오늘의 웹소설’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부터 2022년에 이르기까지 10년 동안 웹소설 제공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개관하고, 일련의 변화가 웹소설의 서사구조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시대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은 웹소설 서사의 최근 경향과 그 원인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웹 2.0 시대와 웹소설—웹 로맨스 서사를 중심으로

        류수연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4

        웹소설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에 가장 능동적으로 적응해온 장르소설의 한 형태이다. 디지털 매체 위에서 구현된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당연하게도 디지털 매체의 환경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웹 플랫폼의 정체성 위에서 촉발된 웹소설 역시 마찬가지이다. 특히 웹소설의 경우에는 그것을 제공하는 플랫폼 자체가 장르의 코드와 독서방식 등에 직접적인 변화를 촉발해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 위에서 본고는 웹 플랫폼 환경 위에서 콘텐츠이자 상품이 된 웹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전략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는 통신소설로부터 인터넷소설, 웹소설에 이르는 형성과정을 통해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과 장르소설 시장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이는 장르소설로서 웹소설의 연속성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로서의 전환점까지 함께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또한 웹소설이 웹 2.0시대의 가치를 내면화한 디지털 콘텐츠이자 그 자체로 시장의 파이를 키워나가는 핵심적인 상품이 되어야 한다는 소비적 가치를 내재화한 콘텐츠임에 주목하였다. 이에 현재 형성된 웹 기반 서사의 시각화와 상품화 전략이 무엇인지, 그러한 상품화 과정 속에서 가장 능동적으로 OSMU를 견인하고 있는 상품이자 콘텐츠로서의 웹 기반 로맨스 서사의 현재를 짚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로 흡수 발전된 장르소설로서 웹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분절성과 장르 균열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