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수관거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우점종 및 DNA 분석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정상철 ( Sang-chul Ju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8 No.1

        하수도 시스템의 효율향상 및 방류수계의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해 하수관거의 유량 및 수질분석을 수행하고, 미생물의 우점종 및 DNA분석을 통하여 하수관거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한 본 연구에서 얻어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하수량은 A 지점 349.1㎥/일, B 지점 640.9㎥/일, C 지점 209.1㎥/일, D 지점226.2㎥/일으로 조사되었다. 수질조사 결과의 평균치는 A 지점의 경우 BOD 11.8 mg/L, COD<sub>Mn</sub> 11.6mg/L, SS 11.2mg/L, T-N 11.327mg/L, T-P 1.319mg/L, 퇴적물량 0.08%, B지점의 경우 BOD 10.0 mg/L, COD<sub>Mn</sub> 11.2mg/L, SS 13.2mg/L, T-N 11.219mg/L, T-P 1.423mg/L, 퇴적물량 0.10%, C지점의 경우 BOD 13.3 mg/L, COD<sub>Mn</sub> 11.3mg/L, SS 12.0mg/L, T-N 12.041mg/L, T-P 1.197mg/L, 퇴적물량 0.06%, D지점의 경우 BOD 12.1 mg/L, COD<sub>Mn</sub> 10.4mg/L, SS 13.7mg/L, T-N 12.484mg/L, T-P 1.215mg/L, 퇴적물량 0.08%로 나타났다. A지점의 미생물은 총11종, 총세균수 3.45×10<sup>4</sup> CFU/mL중 우점종이 차지하는 비율은46.7%, B지점의 미생물은 총10종, 총세균수 6.2×10<sup>4</sup> CFU/mL중 우점종이 차지하는 비율은48.3%, C지점의 미생물은 총10종, 총세균수 36.5×10<sup>5</sup> CFU/mL중 우점종이 차지하는 비율은34.2%, D지점의 미생물은 총11종, 총세균수 6.0×10<sup>3</sup> CFU/mL중 우점종이 차지하는 비율은40.0%로 나타났다. DNA 분석결과 A지점의 우점종은 Kluyvera sp., B지점의 우점종은 Aeromonas hydrophila subsp., C지점의 우점종은 Pseudomonas sp., D지점의 우점종은 Pseudomonas sp.로 판명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and to know the microflora by analyzing dominant species and DNA for supplying basic information to upgrade the sewer system an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y. Average flow rate of sewage was measured as 349.1㎥/d, 640.9㎥/d, 209.1㎥/d, and 226.2㎥/day in block A, B, C, and D, respectively. Water quality in block A were as follows; BOD 11.8 mg/L, COD<sub>Mn</sub> 11.6mg/L, SS 11.2mg/L, T-N 11.327mg/L, T-P 1.319mg/L, sediment 0.08%, those of block B were BOD 10.0 mg/L, COD<sub>Mn</sub> 11.2mg/L, SS 13.2mg/L, T-N 11.219mg/L, T-P 1.423mg/L, sediment 0.10%. And th water quality in block C were as follows; BOD 13.3 mg/L, COD<sub>Mn</sub> 11.3mg/L, SS 12.0mg/L, T-N 12.041mg/L, T-P 1.197mg/L, sediment 0.06%, those of block D were BOD 12.1 mg/L, COD<sub>Mn</sub> 10.4mg/L, SS 13.7mg/L, T-N 12.484mg/L, T-P 1.215mg/L, sediment 0.08%. Total species of microorganism, total bacterial number, and its share of dominant species in block A were eleven, 3.45×10<sup>4</sup> CFU/mL, and 46.7%. Those of in block B were ten, 6.2×10<sup>4</sup> CFU/mL, and 48.3%, respectively. Total species of microorganism, total bacterial number, and its share of dominant species in block C were ten, 6.5×10<sup>5</sup>CFU/mL, 34.2%. Those of in block D were eleven, 6.0×10<sup>3</sup>CFU/mL, and 40.0%, respectively. From the DNA analysis the dominant species in block A, B, C, D were Kluyvera sp., Aeromonas hydrophila subsp., Pseudomonas sp., and Pseudomonas sp..

      • 산림작업과 수종이 나무좀류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전성재,고상현,최원일,남영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04

        산림작업과 산림수종 구성이 나무좀류 군집구조와 계절적 변이에 미치는 영향 을 평가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의 활엽수림에서 산림작업별(산벌림, 이단림, 택벌림, 대조림), 침엽수림에서 수종별(잣나무림, 낙 엽송림, 소나무림) 조사지를 선정하였다. 산림작업별, 수종별로 조사지 당 3개의 Lindgren funnel 트랩을 설치하여 시기별 발생하는 나무좀류의 종수 및 개체수를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4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산림작업과 수 종별 종 다양도(H)와 균등도(E), 우점종의 우점비율을 비교하였다. 가리왕산의 조 사지에서 5속 36종 36,999개체의 나무좀류가 확인되었다. 다양도와 균등도는 활 엽수림에 비해 침엽수림에서 대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침엽수림 중 소나무림에서 다양도와 균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H=1.87, E=0.56), 활엽수림의 경우에는 이단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H=0.92, E=0.34). 4월에서 10월까지 모든 조사지 에서 종과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산벌림, 이단림, 택벌림, 대 조림에서 우점종은 단풍나무좀이었다. 낙엽송림과 잣나무림에서는 북한나무좀이 우점종이었지만, 소나무림에서는 단풍나무좀이 우점종이었다. 잣나무림을 제외 한 다른 조사지에서는 한 종의 우점도가 높았지만, 잣나무림의 경우에는 우점종의 우점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 만석골저수지 수계의 수서곤충과 수질의 관계연구

        권동주,최민기,장태훈,김범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만석골저수지 수계의 수서곤충의 군집과 그에 따른 수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7년 9월 9일~9월 17일 까지채집을 하였다. 채집은 그물망을 이용하였고 총 6개의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각 지점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7목18과 30종이었다. 노린재목이 31.8%, 잠자리목이 21.9%였다. 그 뒤로 날도래목 18.7%, 딱정벌레목 11.3%, 뱀잠자리목5.7%, 강도래목과 파리목은 5.3%였다. 우점도지수로 살펴본 결과 전체에서는 장구애비가 최고우점종이었고 물자라가2차 우점종이었으며 우점도지수는 7.4%였다. 조사지점별로는 조사지점 1~4까지의 최고우점종은 날도래류였으며그뒤는 강도래류, 뱀잠자리류, 잠자리류 등 다양했다. 5~6지점은 물자라, 줄동애등에가 각각 최고 우점종이었다.1~4까지의 지점의 최고우점종을 봤을때는 수질이 청정함을 알 수 있었고 5~6의 수질도 2~3급수 정도이나 줄동애등에의개채수로 봤을 때는 수질에 의심이 가나 수질조사와 충분한 개채수가 확보될 떄 판단이 가능하다.

      • KCI등재

        낙동강 하류지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군집 변화

        손희종(Hee Jong Son)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4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낙동강 하류 물금지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군집비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a 농도)은 점진적인 감소 추세였던 반면, 우점종의 개체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종별로 우점종의 연도별 개체수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감소 추세를 보인 반면, 남조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점기간의 경우 매년 우점기간의 75% 이상을 규조류가 차지하였다. 연중 식물플랑크톤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11월에서 5월까지 매우 높은 우점비율을 보였고, 6월부터 9월까지도 우점일수의 56%~74%를 차지하여 연중 규조류가 300일 정도 우점하였다. 남조류는 6월부터 9월까지 개체수 및 우점기간의 68%~94% 및 26%~36%를 차지하였으며, 녹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낮은 우점률을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남조류 우점종들의 연중 천이패턴은 규조류의 경우 12월~5월은 Stephanodiscus spp., 5월~10월은 Aulacoseira spp.와 Fragilaria spp.가 대부분 우점하였으며, 남조류의 경우 5월~11월에 Microcystis spp.가 대부분을 우점하였다. 또한, 녹조류는 4월~9월에 Actinastrum spp., Pediastrum spp., Micractinium spp. 및 Pandorina spp.가 우점하였다. The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from 2002 to 2012 was investigated.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but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was gradually decreased. In changes of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from 2002 to 2012, Diatoms was gradually decreased, but blue-green algae was gradually increased. In changes of annual percentage of dominant period, Diatoms showed high percentage from November to May, and dominant period (%) of diatoms was 56%~74% from June to September, also dominant period of diatoms was about 300 days every year.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and dominant period of blue-green algae was 68%~94% and 26%~ 36% from June to September, respectively. And green-algae showed low percentage from April to September. In the transition patterns of diatoms and blue-green algae, Stephanodiscus spp. was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from December to May, and Aulacoseira spp. and Fragilaria spp. were showed high dominant percentage from May to October. In the case of blue-green algae, Microcystis spp. was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from May to November, also in the case of green algae, Actinastrum spp., Pediastrum spp., Micractinium spp. and Pandorina spp. were dominant species from April to September.

      • KCI등재

        동해 연안 수괴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

        심정민,권기영,김상우,윤병선,Shim, Jeong-Min,Kwon, Ki-Young,Kim, Sang-Woo,Yoon, Byong-Se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5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times}10^3-246.6{\times}10^3cells/L$(평균 $24.8{\times}10^3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as well as the effect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 investigated 18 stations i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in 2009. The taxa of phytoplankton observ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37 Bacillariophyceae, 22 Dinophyceae, 1 Euglenophyceae, 3 Dictyophyceae and 1 Cryptophyceae. Phytoplankton abundance ranged from $1.2{\times}10^3cells/L$ to $246.6{\times}10^3cells/L$(with a mean value of $24.8{\times}10^3cells/L$), the highest biomass was observed in May. The dominant species were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nd et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hytoplankton abundance and other water parameter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H, DO, Secchi-disk depth, and SS, th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iO_2-Si$. Seasonal pattern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we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based on T-S diagram analysis. In particular, phytoplankton distributional patterns were 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in May and salinity in Augus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DS(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the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ere characterized with Ganwon(Group A) and Gyeongbuk(Group B) at the coastal areas of Jukbyeon or Uljin.

      • KCI등재

        2016년 한국 수산자원보호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및 해역별 분포

        유만호,박경우,오현주,구준호,권정노,윤석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of Korea (FRPA). W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abundance and 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regions (Cheonsu, Tongyeong-I, Tongyeong-II, Hansan, and Jindong) in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s.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 (SPM) on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The mean abundance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13 to 4,062 cells·ml-1, with large spatio-temporal fluctuations. In particular, the bloom of phytoplankton (>103 cells·ml-1) in Cheonsu Bay occurred in April and October with Skeletonema spp. and Chaetoceros socialis being the dominant species during these two season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in the FRPA were diatoms (Pseudo-nitzschia spp., Skeletonema spp., and Chaetoceros pseudocriniuts) and dinoflagellates (Scrippsiella trochoidea and Tripos furca).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s, i.e., that diatoms usually dominated in winter and autumn, while dinoflagellates tended to dominate in spring and summer. Meanwhile, the dominance rate of diatom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Cheonsu Bay, which is located in a high-turbidity region, was 9~27% greater than that of diatom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found in the south coastal waters, which is a low turbidity region. 수산자원보호해역의 계절 및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천수만, 통영(I, II), 한산만, 진동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환경요인(수온, 염분, 영양염류)은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한 반면 부유물질은 해역별 차이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평균 13~4,062cells·ml-1의 범위로 조사시기 및 해역에 따라 큰 변동범위를 보였다. 특히 천수만은 4월과 10월에 식물플랑크톤 대량증식(>103cells·ml-1)이 발생하였고, 우점종인 Skeletonema spp.(4월)와 Chaetoceros socialis(10월)가 시기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 Skeletonema spp., Chaetoceros pseudocriniuts 등의 돌말류와 와편모류인 Scrippsiella trochoidea, Tripos furca 등이 출현하였다. 계절적으로는 돌말류가 동·추계에 우점하는 반면 와편모류가 춘·하계에 우점하는 일반적인 연안특성을 보였다. 단, 지역적으로는 고탁도 해역인 서해에 위치한 천수만이 남해 해역보다 돌말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9~27%가 높았다.

      • 문경새재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상 및 군집변동에 대한 연구

        김명은,이종은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5 No.-

        문경새재 수계의 생물학적 수질 평가 및 생태보고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경새재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동정 분류한 결과 총 5문 6강 9목 32과 88종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Ephemeroptera(하루살이류) 33종, Odonata(잠자리류) 3종, Plecopetera(강도래류) 9종, Trichoptera(날도래류) 23종, Diptera(파리류) 15종, 기타(Tricladida, Mestropltda, Archioligochaeta, Amphipoda) 4종이 채집되었다(Tabel 1). 2. 지점별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우점종, 종다양도 등의 군집변동을 보면, 5지점에 4문 6강 9목 26과 53종으로 가장 높은 종점유율을 나타냈으며, 3지점에는 1문 1강 5문 14과 30종으로 가장 빈약한 상태를 나타냈는데 이는 5월 이후 하상공사로 인한 수 환경의 변화로 사료된다. 각 지점별 우점종은 St. 1에서 St. 4까지 공통적으로 띠무늬우묵날도래가 나타났으며, 그 외에 개꼬리하루살이, 가시날도래, 큰개꼬리하루살이, 흰꼬리하루살이 등이 각 지점의 특성에 따라 나타났다. St. 5는 타 지점과 판이한 종구성을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우점종 또한 꼬마하루살이nla와 플라나리아로 판이하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5지점에서 가장 높게, 3지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지점은 내성을 가진 종들이 다양하게 서식하는 지점이며 3지점은 하상공사로 인해 종다양도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3. 문경새재 조사지점의 군오탁지수에 의한 수질 급수 판장은 St.2. St.3에서 수질 1급수, St. 1, St. 4, St. 5는 각각 II급수로 판정되었다. 하천의 수질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계는 절지동물문의 곤충강의 서식흐름과 더블어, St. 3의 하상공사와 강수량의 증가. 감소로 인한 유속과 유수량의 변화,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온도상승.용존산소의 감소 등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그 중 국가적 보호를 받는 도립공원인 문경새재 또한 하천 주변의 변화에 하상공사와 주변인가, 농공업시설 및 관광시설이 생태계 파괴에 큰 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문경새재의 올바른 생태계 및 수질 보존에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We studi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fauna in the Munkyungsaeje from April to October 1997.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rom the surveyed sites sere composed of 88 species, 36 families, 9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of platyhelminathes, Aschelminthes, Mollusks, Annelids, Arthropoda. Among these phyla, aquatic insects in Arthropoda were 85 species, 32 families, 5orders. At the all surveyed sites, Hydatophylax nigrovittatus in Trichoptera was dominant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H') showed highest at St. 5(an elevation of 250m), 3.64 and lowest at St. 3(an elevation of 350m), 2.652. The Group Pollution Index (GPI) surveyed lowest at St. 2(an elevation of 450m), 0.91 and highest at St. 4(an elevation of 300m), 1.35. The water quality estimated by Group Pollution Index were β-mesosaprobic (the Second degree) at St. 4(an elevation of 300m), St. 5(an elevation of 250m) and Oligothesaprobic (the First degree) a the other surveyed sites.

      • 산림작업과 수종이 딱정벌레목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전성재,고상현,남영우,이총규,최원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산림작업과 산림 수종 구성이 딱정벌레목 곤충상과 계절적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조사지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고정 조사지로 산림작업별 4 임지 (산벌림, 택벌림, 이단림, 대조구), 산림 수종별 3 수준 (잣나무, 낙엽송 조림지, 소나무 천연갱신지) 1임지를 선정하였다. 각 임지별로 각 3 개의 Lindgren funnel 트랩을 설치하고 2011년 7월부터 10월까지 30일 간격으로 딱정벌레목 성충을 채집하여 산림작업별, 수종별 개체수, 종풍부도, 종다양도(H), 균등도(E), 시기별 우점종 밀도를 비교하였다. 수종별로는 소나무림에서 채집된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아 다양도와 균등도가 가장 높은 반면(53 종, 152 개체, H=3.23, E=0.81), 잣나무림에서 채집된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적어 종다양도와 균등도 역시 가장 낮았다(39 종, 104 개체, H=2.86, E=0.78). 산림작업별로는 택벌림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채집되어 종다양도와 균등도 또한 가장 높았다(59 종, 171 개체, H=3.26, E=0.80). 반면에 이단림에서 채집된 개체수가 가장 적어 종다양도와 균등도도 가장 낮았다(24 종, 133 개체, H=2.00, E=0.63). 모든 처리구에서 7월에서 10월로 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산림작업, 수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단림을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는 우점율이 유사하였지만 이단림의 경우에 한 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생태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조구, 택벌림 이단림에서는 단풍나무좀, 소나무림에서는 목련나무좀, 낙엽송림에서는 오리나무좀 등 천공성 해충이 우점종이었다. 이와 상이하게 잣나무림에서는 포식자인 넉점박이송장벌레, 산벌림에서는 균식류인 어리방아벌레가 우점종이었다.

      • KCI등재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석유 저류층 미생물 군집 분석

        임경철,백경화,김진수,손한암,김현태 한국자원공학회 201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inant microorganisms in oil reservoirs to apply for MEOR. Oilsand from Canada and mid-heavy from Myanmar were sampled for the research, and the microorganisms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 The research started with DNA extraction and amplification from the samples, and analyzed the DNA for dominant species. Throughout the research, it was able to confirm the appropriate dominant microorganisms for MEOR in Canada and Myanmar. For oilsand in Canada, Streptococcus, microorganism which degrades hydrocarbon to separate oil and sand by using produced organic acid and bio gas, was found. In reservoir of Myanmar, and Clostridium was found that it is able to improve immobility of oil by decreasing oil viscosity from CO2, H2, CH4 produced. The processes from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to develop MEOR technique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미생물을 이용한 석유회수증진기술에 적용 가능한 우점종 미생물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미생물 시료는 캐나다 오일샌드와 미얀마 육상유전 것을 사용하였으며, 미생물 군집 분석은 최신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파이로시퀀싱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먼저 시료로부터 저류층 미생물의 DNA를 추출한 후, 증식과정을 거쳐 우점종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캐나다 오일샌드 지역과 미얀마 육상유전 지역의 MEOR 적용 가능한 우점종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캐나다 오일샌드 지역은 유기산과 바이오가스 등이 산출되어 탄산을 용해시켜 오일과 암석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Streptococcus 미생물이 발견되었고, 미얀마 유전은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이 생성되어 오일의 점도를 낮추어 주는 Clostridium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정립된 미생물 군집 분석 공정은 향후, MEOR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울진군 대형산불 발생 인근 마을어장의 해조류 군집 특성

        심정희,최희찬,정해근,갈종구,심정민,홍석익,권철휘,김상우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울진군 대형산불 발생이 연안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울진군 나곡(F-1), 후정(F-2), 봉평(F-3), 공세항(F-C)에서 수질과 함께 해조류의 종조성, 우점종 및 군집 특성을 분기별로 조사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 산불에 대한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수소이온농도(pH)는 표․저층에서 각각 8.07~8.30과 8.12~8.48 이었다. 본 연구의 pH 값은 동해의 연안 해수에 있는 일반적인 농도 범위에 포함된 값으로 산불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볼 수 없었다. 연안 조하대에서 조사한 해조류의 분석 결과, 전 시기에 대한 해조류의 종조성 비율은 홍조류(58.1%) > 대롱편모조류(갈조류, 25.8%) > 녹조류(14.5%) > 현화식물(1.6%) 순이었다. 시기별 해조류의 우점종은 3월과 6월에 나곡(F-1)과 후정(F-2) 해역에서 대롱편모조류(Ochrophyta, 갈조류)의 미역(Undaria pinnatifida)이 가장 우점하였다. 9월과 11월은 봉평(F-3) 해역과 공세항(F-C)에서 각각 홍조류(Rhodophyta)인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와 혹돌잎류(Lithophyllum sp.)가 가장 우점하였다. 군집분석에서는 그룹이 계절에 따른 특정 해조류의 출현 유무에 따라 2개(A, B)로 나누어졌다. 우점종은 그룹 A에서 미역, 우뭇가사리, 미끈뼈대그물말, 그룹 B는 주로 혹돌잎류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해조류 종조성과 군집구조는 전형적인 수온에 따른 계절변화와 함께 대조구와의 유의미한 차이도 보이지 않아서 산불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