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중부 연안 환경 변화에 따른 명태 개체 크기 및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정해근,이충일,박현제,박주면 한국어류학회 2020 韓國魚類學會誌 Vol.3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and inter-annual changes in vertical distribution and size spectrum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middle eastern coast of Korea (hear after pollock). Pollock was distributed between 50 m and 600 m depth range, and body size (total length) ranged from 16.6 cm to 81.5 cm. The trends of population body size were increased in autumn and winter and decreased in spring and summer. Vertical distribution of pollock showned depth-dependent patterns with distributing smaller individuals mainly in the upper layer (shallower depth), while larger fish in deeper habitats. Those patterns in vertical distribution of pollock population is probably due to be the results of energy-saving strategy, metabolic effects, and changes in prey selections according to pollock growth, derived from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oceanic condition in habitat grounds. When water temperature in upper layer were increased and that of below thermocline depth became decreased in 2017, the ratio of smaller (<35 cm) and larger (≥35 cm) individuals was biased toward larger fishes, extending their distribution into shallow depth, and consequently main fishing ground was formed in far from coastal area. In addition, the ratio of smaller individual distributing between 100~300 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below thermocline and bottom layer. Changes i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pollock population likely be related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oceanic conditions and, consequently food supplies. 본 연구는 동해 중부 연안에 서식하는 명태의 연직 분포와 개체 크기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채집된 명태 개체의 전장은 16.6 cm~81.5 cm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0~600 m 사이의 수심대에서 어획되었다. 이 중 25~3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45.5%, 35~4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27.2%를 나타내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전장은 1월에 가장 크고, 6월에 가장 작았으며, 6월 이후 점차 증가하는 계절주기 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25 cm 미만 그룹은 100~200 m 수심에 서식하는 비율이 겨울철에 가장 높으며, 이후 봄, 여름, 가을에는 보다 깊은 수심으로 주 서식처를 변화하여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25~35 cm와 35~45 cm 개체 그룹의 겨울철 연직 분포는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5%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봄과 여름에는 보다 얕은 수심영역으로 서식처를 변화하여 200 m 미만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후 가을부터는 다시 서식하는 수심대가 깊어져 300 m 이상 수심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45 cm 이상 개체 그룹은 뚜렷한 계절 변동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3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명태의 연직 분포는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상층부의 수온이 상승하고 수온약층 아래 100~300 m 수심대의 수온이 하강한 시기에는 300 m 이상의 깊은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수온이 하강한 100~300 m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 KCI등재

        저변성퇴적암 사면에서 지질특성이 차별풍화에 미치는 영향

        정해근,서용석,임명혁,Jeong, Hae-Geun,Seo, Yong-Seok,Ihm, Myung-Hyeok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5 No.4

        This study evaluates correlation between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grade of low-graded metasedimentary rocks mainly consisting of phyllite. Weathering grade of rock material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geological survey. The Schmidt hammer test was carried out to obtain estimates of strength of rock materials. Point counting and microscopic observation were also conducted to analyze mineral composition and to measure spacing of foliation for 9 rock specimens. As a result of microscopic analysis, as the weathering grade was lower, the quartz was found more in quantity, consequently making rock stronger against weathering process. On the other side, lower weathering grade of rock resulted in less content of mica which is weak against weathering process. In addition, the rock materials with closer foliation spacing are found to be weaker in strength and have higher weathering grade. 본 논문에서는 천매암을 중심으로 저변성퇴적암류에 속하는 암석을 대상으로 암석학적 특징과 풍화도의 상관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현장 지질조사를 통하여 암석의 풍화도를 결정하였고, 구성암석의 강도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슈미트해머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9개 시료의 현미경 박편 관찰을 통하여 주구성광물의 부피비와 엽리의 간격을 측정하였다. 암석시료의 현미경 분석 결과에 의하면 풍화도가 낮을수록 풍화에 강한 석영성분이 많고, 풍화도가 높을수록 풍화에 약한 운모성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엽리 간격이 좁을수록 강도는 낮고 풍화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연 상태 강우입자 특성을 반영한 강우재현 장치설계

        정해근,채병곤,최정해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국내의 산사태 및 토석류 모형실험들은 토조설계와 계측장비에 대해서는 많은 고려를 함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면의 거동을 유발하는 가장 근본적인 강우특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형 산사태 및 토사유출 모형실험을 위한 국내의 자연강우입자 변화 특성이 반영된 최적의 인공강우기를 설계함이 목적이다. 자연강우의 입자 크기분포와 입자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옵티컬 디스드로미터를 이용하여 강우에너지 지시자(KEtime, KEmm, Momentum)를 측정하여 강우강도와 non-linear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멘텀과 강우강도와의 power law 관계가 국내의 강우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고 토양의 해체 및 침식을 측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시자 이므로 자연상태의 강우 운동에너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인공강우기의 강우입자 특성을 평가를 위해 입력 수량을 조절하여 9 ~ 14.5L/min의 범위에서 6번의 반복 실험을 통해 실험공간 내의 DSD(Drop Size Distribution)이 비교적 일정하고 입력수량 크기에 상관없이 강우입자의 크기는주로 3 ~ 6mm에서 많이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입력수량에 따라 전체적으로 강우입자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강우강도에 따라 일정하게 속도와 강우입자개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상태의 강우입자 특성을 유사하게 재현 할 수 있도록 인공강우기를 설계하고, 향후 소규모 산사태 모형실험에 활용하여 최대한 자연상태에 가까운 강우실험을 보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터널 갱구지역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 평가

        정해근,서용석,Jeong, Hae-Geun,Seo, Yong-Seok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터널 갱구사면을 대상으로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구간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붕괴규모를 파악하였다. 해석결과 해발고도 485~495 m인 구간은 강우시 안전율이 0.99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났다. 이 때 붕괴심도는 최대 2.1 m이며 붕괴 길이는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18.6 m로 분석되었다. 해당구간에서 사면붕괴 시 파생되는 사태물질의 이동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터널 갱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산사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사태물질은 7.74 m/sec의 평균속도를 보이며 주로 계곡부를 따라 산 하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태물질은 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산되며 10초 후에 터널 갱구부 위를 지나고 20.2초 후에 산하부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터널 갱구부는 사태물질 이동경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산사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the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unnel portal slope were carried out. First, we selected highly vulnerable areas to slope failure using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analyzed the slope failure scale. According to analyses results, high vulnerable area to slope failure is located at 485~495 m above sea level. The slope is stable in a dry condition, while it becomes unstable in rainfall condition. The analysis results of slope failure scale show that the depth of slope failure is maximum 2.1 m and the length of slope failure is 18.6 m toward the dip direction of slope. Second, we developed a 3-D simulation program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unout behavior of debris flow.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highly vulnerable areas to slope failure. The result of 3-D simulation shows that debris flow moves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valley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landslid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slope. 3-D simulation shows that debris flow moves down to the bottom of mountain slope with a speed of 7.74 m/s and may make damage to the tunnel portal directly after 10 seconds from slope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