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데이터 요금제 가입 선택의 결정요인 분석

        백지원(Ji Won Bae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는 모바일 서비스의 확산 및 진화를 앞당긴 동시에 가계통신비가 증가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인터넷 시장에서 소비자의 데이터 무제한요금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요금제 간의 변경 선택이 소비자 편익에 어떤영향을 주는지 실증 분석하였으며,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9년~2022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연령이 낮고 소득이 높을수록 요금제 변경확률이 높았으며, 결합서비스 가입 고객이 사용량 기반 요금제에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변경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조건부 로짓 모형의 추정 결과, 사용량 기반 요금제에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변경하는 경우 효용이 감소하는 반면 그 반대 방향으로의 변경 시 효용이 증가하는 것으로추정되었다. 무제한 요금제의 예측 가능성과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구간의 데이터 제공량을 제시하는 세분화된 요금제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고객의 최적 사용량을 초과하는 높은 요금의 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비효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이는 향후 데이터 요금 전략 및 정부 정책에 시사점을 주는 결과이다. The unlimited data plan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increase in household communication costs while accelerating the spread and evolution of mobile servic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consumers' unlimited data plan choices in the mobile Internet market and how switching between data plans affect consumer benefits, and data from the period 2019 to 2022 of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Probit model suggest that the lower the age and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anging the data plan, and the customers who subscribed to the bundling service are more likely to change from a usage-based plan to a data unlimited plan. The results from Mixed Conditional Logit model suggest that the consumers’ benefit decreases when changing from a usage-based plan to a data unlimited plan, while the benefit increases when chang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Despite the predic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unlimited plan, it can be interpreted that disutility occurs when a customer chooses a plan with a high rate exceeding the customer's optimal usage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few subdivided data plans, which has implications for operators’ pricing strategies and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모바일 서비스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광훈(Gwanghoon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본 논문은 무선 인터넷의 광대역화 속에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데이터 요금제가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들의 이용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해, 한국 미디어 패널의 원시 자료를 바탕으로 2012년-2017년간의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고정효과와 시간효과를 포함한 패널 모형의 추정 결과,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가입은 모바일 실시간 방송의 시청을 증가시키고, 방송 이외의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도 함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은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음성통화와 문자 서비스의 이용은 감소시키는 반면에, 채팅 서비스의 이용은 증가시켰다. 한편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가입이 모바일 영상 서비스의 이용을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가정용 TV를 통한 방송 시청 역시 같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의 광역화와 데이터 이용비용의 감소가 스마트폰과 가정용 TV 간의 대체를 결과하기보다는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진행 중인 4G에서 5G 서비스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더욱 넓어지게 되는 대역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확산이 결합하여, 향후 모바일 서비스 이용을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nel data constructed from Korean media panel survey to gain implications as to how the unlimited data plan affects the usage of various mobile services. The estimation of panel model with fixed effects and time effects provides the results that subscription of unlimited data plan increases the viewing of mobile real-time broadcasting and increases usage of non-broadcasting mobile video service. In addition, subscriptions to unlimited data plans have reduced the use of traditional communications services such as voice and text services, while increasing the use of chat service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subscription of unlimited data plan increases the viewing of mobile broadcasting, it also increases TV viewing. This implies that the broadband wireless internet and reduction of data usage cost result in complementarity rather than substitution between smartphone and home TV in viewing broadcasting. These findings will ha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mobile servic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4G to 5G services.

      • 스마트폰 시대의 이동통신 요금에 관한 소고

        이명호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4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4 No.1

        최근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와 4G망으로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트래픽이 이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매출 측면에서 데이터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아서 음성-데이터 간 비용과 수익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서킷기반 음성서비스를 중심으로 설계된 기존의 이동통신 요금제를 대신할 패킷기반 데이터서비스 중심의 요금제에 관해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데이터 트래픽 확산 동향과 국내외 최근 요금제 동향을 검토한 후, 가치기반 요금설정, 유무선 요금제간의 차이, 서비스별 요금제 및 요금관련 규제적 이슈 등을 검토하고 있다.

      • KCI등재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보편적 요금제 도입에 대한 고찰

        정낙원,김성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oon Jae-in administration’s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to lower communications fares can be justified. To do so, this work takes a look into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in our society based on a theoretical perspective as well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Also, it attempts to figure out whether mobile data servi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by analysing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and rethinking the basic concepts of universal service. As a result, this work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consider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and reform a universal service system in a different way. 지난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국민들의 기본권 확대 및 통신비 절감 방안의 하나로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보편적 요금제를 추진하면서 그동안 답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보편적 서비스의 역무범위 개편 및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한 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선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요금제 도입이 가져올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편적 요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보편적 서비스의 정의와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동전화의 데이터 서비스가 보편적 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 데이터 서비스가 보편적 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된다면 그 범위와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정부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무선데이터에 대한 보편적 요금제가 국내 통신 산업 및 통신서비스 시장에 미칠 영향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보편적 서비스 역무 개편 방안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 KCI우수등재

        수도권 버스요금인상에 따른 지하철 운송기관 수입금 변화분석

        신성일,이창훈,천승훈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지 Vol.37 No.6

        Seoul metropolitan area has adopted an integrated transfer and distance-based fare system that allows transfer discounts between different modes of travel. Given that the revenue allocation in the context of the integrated transit system is based on the revenues proportional to the basic fare, an increase in the basic fare of a certain mode is closely linked to the revenue allocation. A rise in the basic fare of a certain mode has caused a collective increase in the allocation of revenues derived from a transit mode with a fixed base fare. A reduction of that fare, on the other hand, has driven down the revenue allo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the lack of a systematic approach to analyze the public transport revenue has made the transport planning authorities nothing but pass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icing policy. In other words, a need has arisen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transport card data.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 fare increase of a transport mode on the revenue sensitivity of the other modes. To that end, this paper developed a methodology to calculate costs and revenues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ransfers were made between different transport modes using the transport card data. In terms of the use of inter-urban metropolitan bus services, this study simulated the effects of the basic bus fares that rose by 100KRW to 600KRW on the revenue from subway fares. The results indicated a reduction of the basic fare distribution ratio due to the decrease in the subway revenue when the base fares for buses increased by 100KRW. This was also evident when the paper reviewed that the Seoul Metro which accounted for 88.1% of the total revenue reduction and experienced a decrease of 7.7million KRW (approx. 2.8billion KRW/year). When fares were increased by 200KRW or more, the increase in the basic fares exceeded the basic fare distribution ratio, which, in contrast, caused a decrease of up to 500KRW for some of the other private train operators. The methodology evaluated in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the policy support systems related to the integrated distance-based pricing scheme in metropolitan areas using the transport card data in the years to come. 수도권 대중교통요금제도에서 승객의 연계수단이용에 대한 환승요금이 할인되며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이 산정된다. 부과된 요금은 수단의 기본운임비율에 따라 수입금으로 배분되므로 특정수단의 기본운임인상과 수입금배분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정수단의 기본운임증가는 기본운임이 증가되지 않는 수단에 총량적 수입금배분 중가효과와 기본운임비율감소에 따른 수입금배분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운송기관은 수입금에 대한 정확한 분석기반이 없어 요금정책에 대한 수동적인 대응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교통카드자료의 분석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수도권 대중교통요금제도에서 특정수단의 요금인상이 타 수단의 운영수입금에 미치는 영향을 민감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자료 연계수단의 순서에 따른 요금 및 수입금을 산정하는 방안을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시나리오는 수도권버스의 기본요금을 100원부터 600원까지 100원 단위로 인상에 따른 지하철 수단(운송기관)의 수입금 변화를 파악하였다. 버스기본요금 100원 인상에서 지하철 수단의 수입금이 감소되어 기본요금배분비율의 감소 영향이 나타났다. 특히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수단 총 수입금감소의 88.1%를 차지하여 일일 기준 770(만원)(약 28억/년)이 감소되었다. 200원 인상부터는 기본운임의 증가가 기본요금배분비율을 넘어선다. 그러나 일부 민자철도 운영기관에서는 500원까지 수입금배분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수도권 교통카드자료를 기반으로 수도권 통합거리비례요금제도의 정책지원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공교육의 u-러닝 도입을 위한 이동통신 데이터통화료 특성 분석

        이재원(Lee Jae-Won),송길주(Song Gil-Ju),나은구(Na Eun-Gu)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7 전자상거래학회지 Vol.8 No.1

        국내의 높은 휴대폰 보급과 무선인터넷의 이용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공교육에 휴대폰을 이용한 u-러닝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의 원인의 하나가 u-러닝 학습자인 학생층의 무선인터넷 이용의 비용문제로 판단하고 이 문제점의 해결 방안의 도출을 위하여 국내의 이동통신사들의 데이터통화료 요금제를 분석하여 공교육의 u-러닝의 합리적인 요금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진은 이동통신 3사의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데이터종량 요금제와 월정액요금제를 조사하고 매일 일정한 분량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학습콘텐츠를 휴대폰 무선인터넷으로 학습할 경우에 대한 비용을 시뮤레이션한다. 연구결과 월정액 요금제 중에서 3,500원 수준의 요금제는 비교적 적절한 요금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휴대폰을 통한 u-러닝에서 학습량과 월정액 요금간의 적합성을 최초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spite of the high rate of use of the mobile phone and mobile internet in Korea the u-learning with mobile phone in the public education is rare. We think that one of this reason is due to the data communication cost of the mobile internet and try to suggest a resonable cost by analysing three korean telecommunication carriers" data communication cost.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se companies" monthly-based fixed cost of data communication and simulate the cost of sending the daily fixed amount of the text-based mobile internet content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monthly fixed based cost 3,500 korean won cost system seems to be a proper.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rying to quantify the suitability of the monthly-based fixed cost of the data communic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u-learning in the public domain education.

      • KCI등재

        통신서비스 사용량 기반 요금제의 영향에 대한 고찰

        백지원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1

        As the usage of data communications service increases, how to restructure the tariffs in response to the data traffic explosio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briefly surveys the academic literature on usage-based pricing of communications services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ree-part tariffs on consumer welfare. A three-part tariff is one of the price discrimination strategies to enhance firms’ profits, but the example of this study suggests there exists parameter ranges that light users can rather increase consumer surplus under three part tariffs. 다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서비스 이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사용량 기반 통신요금 구조로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서비스에서의 삼부요금제(Three-part tariffs)를 비롯한 사용량 기반 요금제(Usage-based pricing)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이론 및 실증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간단한 이론적모형의 예시를 통해 삼부요금제가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삼부요금제는 기업의 이윤을 증대시키는 가격차별 전략이지만 본 연구의 예시에서는 요금을 구성하는 파라미터 범위에 따라 소량이용자의 소비자 후생은 오히려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TCS 자료를 이용한 고속도로 화물자동차 O/D 구축방안

        박민철,형한우,성홍모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4

        Toll collection system (TCS) data which includes entry and exit travel information on expressways was used to validate regional truck travel demand estimates. There were, however, some limitations to estimate a zonal truck OD on expressways using the data. Vehicle classifications in TCS did not separate freight trucks from other vehicle types such as cars or buses, and an original departure before entering an expressway and a final destination after exit an expressway were not collected in TCS. Fortunately, new information is suggested that helps solve existing problems as current travel information such as OD is collected for commercial trucks using highway tollgates and some tollgates example the proportion of vehicle typ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how to estimate a zonal truck OD on expressway using both TCS and survey data. In this study, a truck OD between tollgates operated b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was adjusted considering traffic information at privately operated tollgates and vehicle classifications was re-specified by truck type (small/medium/large) through survey data. Consequently, a zonal truck OD travel on expressways based on truck OD between tollgates was estimated, and the reasonability was presented through trip assignment results and generations/ attractions by region. 고속도로요금소(TCS)에서 수집되는 자료는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진입/진출 요금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간 화물통행수요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요금징수를 위한 차종분류체계가 승용차, 버스, 화물자동차가 혼재된 분류체계로 제시되고 있어 화물자동차만의 O/D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요금소 전·후의 최초출발지와 최종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시군구 존 간 O/D와 대응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 고속도로 요금소별 화물자동차의 최초출발지와 최초목적지를 포함한 통행정보와 세부 차종별 비율을 조사하는 등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료가 수집되어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속도로요금소 조사자료와 TCS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고속도로 이용 화물자동차의 시군구 존 간 O/D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최초출발영업소 또는 최종도착영업소가 아닌 민자고속도로의 본선영업소가 포함된 TCS O/D를 민자고속도로 본선영업소가 배제된 영업소 간 O/D로 보정하고, 1~5종 차종분류의 TCS O/D 자료를 이용하여 소형, 중형, 대형 화물자동차 차종별 O/D로 작성한다. 그리고 고속도로요금소 조사의 최초출발지와 최종목적지 자료를 활용하여 시군구 단위 지역 간 교통존 체계를 기반으로 한 고속도로 화물자동차 O/D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배정결과 및 지역별 발생량/도착량 규모를 분석함으로써 구축된 화물자동차 O/D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이동전화 이용행동 유형화 및 요금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조향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1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phone and internet technology, the types of mobile phone use by consumers are diversified. There is more dissatisfaction with mobile phone rate plan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onsumers’ mobile phone use behavior and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s’ mobile phone use behavior on the satisfaction with rate pla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consumer's mobile phone use behavior, i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cluster 1 ‘use of various expensive services’, cluster 2 ‘low use of cheap services,’ and cluster 3 ‘use of cheap WiFi services.’ Second,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the mobile phone charges, the less the household income, the lower the proportion of mobile phone charges to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mobile phone charges to pocket money, the less the use of free Wi-Fi, th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mobile phone plan was higher. Thir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mobile phone plan shows different interaction effects depending on age group even for the same consumer type. Accordingly,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policies and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should improve their rate plans, taking into account consumers' various age ranges and types of use behavior. 최근 이동전화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소비자의 이동전화 이용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요금제로 인한 이용요금과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이동전화 이용행동을 유형화하고 소비자의 이동전화 이용행동이 요금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소비자의 이동전화 이용행동을 군집분석 한 결과 1군집 ‘고요금의 다양한 서비스 이용형’, 2군집 ‘알뜰요금의 소극적 서비스 이용형’, 3군집 ‘알뜰요금의 와이파이서비스 중심형’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연령이 어릴수록, 이동전화 요금이 많을수록, 가계소득이 적을수록, 가계소득대비 이동전화요금비율이 낮을수록, 용돈 중 이동전화요금비율이 높을수록, 무료 와이파이 이용량이 적을수록 소비자의 요금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소비자의 이동전화 요금제 만족도는 동일한 소비자 유형이라도 연령대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이용행동 유형과 연령대를 고려한 정부의 정책마련과 통신사의 요금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복합적 경쟁환경에 대응한 전용회선 사업자의 경쟁요금전략

        염명배,송우용 정보통신정책학회 2001 정보통신정책연구 Vol.8 No.2

        현재 우리나라의 전용회선서비스 시장은 동종의 전용회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간 경쟁과 전용회선 유사서비스가 출현하는 양면적인 복합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용회선 임대사업자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쟁요금전략을 수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경쟁환경에 전용회선 요금체계를 원가구조로 접근시킨다. 통신사업자의 원가산정 이전에 항상 원가의 절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시외부문은 거래적 고객을 확보하고, 시내부문은 관계적 고객확보에 주력해야 한다. 규격별, 거리별 시장규모와 주요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차별가격전략이 필요하다. 전용회선의 고속화추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품목별 요금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전용회선 유사서비스와의 경쟁에도 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금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