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외국인 근로자 고용실태에 관한 연구

        오민홍 ( Min Hong Oh ),( Xixi Bu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3

        본 연구는 2017년 조사된 부산일자리종합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외국인 근로자 실태와 함께 이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의 고용성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지역 자치구군은 입지 및 경제발전과정에 따라 산업구조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외국인 고용의 업종별,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외국인 고용 여부 및 공석 여부별로 사업체 유형을 분류하여 이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첫 째,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는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 비정규직에 비해 생산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내국인 비정규직에 비해 높은 수준의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 둘 째,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사업체에 비해 내국인 근로자에 대해서도 보다 높은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 근로자의 보완적 생산요소로 역할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다만 문제는 기업의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 관행이 정부가 고용허가제를 도입한 의도와는 다른 것으로 평가된다는 점이다. 한편, 외국인 근로자 고용 결정요인은 업종, 사업체 규모, 노조 유무, 매출액 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고용이 가장 활발한 업종은 제조업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체 중 무노조 상태의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업체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체 비중은 무려 55.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외국인 근로자 고용의 직접요인으로 평가되는 사업체의 공석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외국인 고용결정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인을 채용한 사업체와 그렇지 않은 사업체 간 매출액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외국인 고용이 비용절감을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것이라는 기대는 사실이 아님을 시사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활용이 사업체의 경영성과에 긍정적 기여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선호하는 경향성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여, 내국인 근로자의 일자리 확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s the employment structure of foreign workers in Busan and its impact on performances of firms that hire those foreign workers, using Busan Job Survey. First of all,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reign workers vary upon the industrial structure by subregion, Si, Gun, and Gu in Busan. Based on the criteria of foreigner employment and establishment type, we devide firms by 4 categories and explore thos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ir practice of foreign worker employment. Firms with foreign workers evaluate that foreign workers tend to be more productive over native non-regular workers, thus pay more to the foreigners. Furthermore,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pay higher wages than firms not hiring foreign. These findings support the view that firms with foreign workers are more profit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 and foreign worker would be complementary each other, boosting productivity of the firm. However, these phenomenon seems to out of the intention of the Work Permit System that allows to hire foreign workers only in certain sectors and firms not being able to find native workers in it. The results of logit and decision tree model to find determinants of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revealed that industry, firm size, union and sales volume a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hether a firm hires foreign worker.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with higher sales volume and no union tend to hire more foreign workers. However, job vacancies does not seem to have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firms’ decision to hire foreign workers. In the sense that the Work Permit System in Korea only allow firms with vacancies to hire foreign workers, this is a important check point whether the system works properly. Finally,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re are variances in firms’ performances by hiring foreign workers.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utilized 1-to-1 matching and PSM together.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controlling firms’ characteristics between firms with and without foreign workers. Based on our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policy measure for firms to hire more native workers if the practice of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dose not related with their job vacancies and sales volume.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 교재 제작

        이승희(Lee Seung-hee),권순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노동 인력으로 입국하여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전문적인 교재 제작에 관한 것이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BR>  1장 머리말에서는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어 공부를 위하여 할애할 수 있는 시간적인 어려움을 고려하여 주 1회 1시간 반 정도의 시간을 소요하여 최소 25주 정도이면 한국어 능력 1급 정도의 수준에 준하는 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교재의 개발이 필요함을 서술하였다.<BR>  2장 교재 제작의 필요성에서는 우선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사용하기도 하는 기존에 제작된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교재가 근로자들에게는 사용이 부적합함을 설명하고 두 개의 선행 연구 논문의 결과에서 나타난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를 통하여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의 문법 체계의 약점과 어휘한정성으로 인한 약점을 보완하는 교재가 필요함을 서술하였다.<BR>  그리고 학습자들이 원하는 적정 한국어 학습 시간을 고려할 때 대학 어학당용 교재, 학원용 교재가 적합하지 않음을 분석하여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전문 교재 제작의 필요성을 논하였다.<BR>  또한 외국인 고용허가제에 의하여 고용이 허가된 국가들의 언어를 분석하여 대부분의 초급 교재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 일어, 중국어 설명이 부적합함을 논하였다.<BR>  3장 새로운 교재 제작의 목적에서는 우선 초급 교재가 누구를 대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을 논하였다. 선행 연구 논문의 결과를 사용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와 동기를 분석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어 학습 요구 사항의 순위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실제적인 필요와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를 선행 논문의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서술하였다.<BR>  4장 교재 제작의 방법과 내용 구성에서는 실제로 실험 제작중인 외국인 근로자용 초급 교재의 기존 교재와의 차별성을 소개하였다. 초급 교재의 내용을 단원별로 소개하면서 어떤 취지에서 순서를 잡았으며 내용을 실었는지를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작중인 교재의 제1과를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교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BR>  5장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를 만들기 전에 고려해야 할 점들을 기술하였다. 내용 면과 교재 제작 시 드는 비용 면의 어려움을 간단하게 언급하였다.<BR>  6장 맺음말에서는 초급 교재 제작의 필요성과 더불어 좀 더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외국인 근로자용 중급과 고급의 한국어 교재가 제작되어야 함을 논하였다.<BR>  이상의 논의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재는 기존의 대학 교재나 학원교재와 따로 구분하여서 시중에 출간되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재보다는 좀 더 심도 있고 세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고용이 허가된 국가의 공용어 상황을 고려할 때 이 교재에서 가르칠 문법 설명이나 어휘들을 영어와 같은 매개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더욱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이 개발되어 전문 제작된 교재가 외국인 근로자들이 언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소외되지 않고 한국 사회의 일꾼으로서,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받아들여지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This is a study about making a specific Korean textbook for immigrant workers who are working in 3D fields in Korea. The composit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BR>  In chapter Ⅰ, it comments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for a Korean textbook, that is specifically effective for immigrant workers. Considering immigrant workers" difficulty to spend time studying Korean, and the need of developing a textbook that can provide the ability that is equal to the level 1 Korean, if they spend at least half an hour each week for 25 weeks.<BR>  Chapter Ⅱ explains that while the textbook is inappropriat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occasionally used for Korean learning by immigrant workers, and through the evaluation, it i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two leading studies, by the learners about the exiting textbook for the immigrant workers, and the problems with the textbook are analyzed. The necessity of the book can complement the weak points of grammatical system and those caused from the limited vocabulary are described.<BR>  And when it comes to the proper learning time desired, this chapter shows that textbooks of universities and private academies" are not appropriate for foreign learners and, describes how to make a more effective textbook.<BR>  Moreover this chapter analyses the mother tongues of the 10 countries whose people were permitted to employers in Korea. According to it, this chapter comments on the inadequacy of English explanation, and Japanese, Chinese as well.<BR>  In chapter Ⅲ, the study comments on the priority of readers of this textbook. This part analyses the reasons and motivations of immigrant learners by quoting from the results that have been reached before. Through the analysis that is about the learners" request and the rank, it describes what are the immigrant workers" real needs and requests who want to study Korean language.<BR>  In chapter Ⅳ, it introduc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textbook and the book which is in the process of test production. It describes the purpose for the order of the units, and contents are revealed in this article, introducing each of unit in details. It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new textbook,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esson 1 of the book which is in the process of test production.<BR>  Chapter Ⅴ mentions the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making the book and the problems with making it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expenses.<BR>  With the necessity of making the beginner"s level text book for the immigrant workers, it joins in chapter VI the conclusion that the effective and specific intermediate and advanced textbooks for immigrant workers must be produced.<BR>  As stated above, the textbook for the immigrant workers must be produced in deeper detail, discriminating itself from the existing university textbooks or private academy textbooks in the market. When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official languages of the countries where employment is permitted, the effective teaching of grammar or vocabulary methods in the textbook must be developed so as not to need the mediation of a language such as English.<BR>  The textbook will be developed and produced by specialty. It seems to help the immigrant workers not to be alienated from Korean society but to be accepted as members of it.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 고용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권철우,전봉걸 한국은행 2009 經濟分析 Vol.15 No.1

        Fast growing on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is a recent phenomenon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are only countable numbers of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that hire foreign workers and the effect of increase in foreign workers on native workers in South Korea.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that affect on the employment decision on foreign workers. Further, we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on native temporary workers. The analysis shows that firms without labor union are less likely to employ foreign workers. Further, firms that hire more female workers, and use less numbers of computers are more likely to employment foreign workers. An additional analysis on manufacturing firms shows confirms above results. In addition, manufacturing firms that has incentive to reduce the labor cost is favorable to hire more foreign workers. We als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labor demand on foreign workers and native temporary workers. The evidence implies that labor demand on foreign workers is not substitute to the labor demand on native temporary workers, but complement. The results confir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foreign workers on native workers in South Korea. 최근 외국인을 고용하는 국내 기업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기업이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을 늘리는지,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증가가 국내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어떤 특성이 외국인 근로자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한편 외국인 근로자수요와 내국인 비정규직 근로자 수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업종을 대상으로 외국인 근로자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노조가 설립되어 있지 않거나 여성근로자 고용비율이 높을수록, 컴퓨터 사용률이 낮은 사업체일수록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제조업종 사업체를 대상으로 동일한 분석을 한 결과 임금수준이 동종업계 평균보다 낮을수록, 여성근로자 고용비율이 높고 컴퓨터 사용률이 낮을수록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채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업체의 경우 인건비 등 내부비용 절감 요인이 있는 경우 외국인 고용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과 내국인 근로자 고용간에는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게 보완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이러한 보완관계는 2006년 이후 동향을 포함하고 있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고의 분석 결과 향후 국내 노동시장이 더욱 유연해지면 국내 기업에 의한 외국인 수요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업종의 경우 내국인 근로자 고용이 어려운 3D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에 대한 고용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적절한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 확대가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의 추가 축적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본의 외국인 가사근로자 정책에 관한 연구

        박수경 한국사회법학회 2017 社會法硏究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외국인 가사근로자의 수용정책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쟁점과 개선사항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본은 외국인 근로자 수용에 소극적인 국가인데, 재생산 영역인 가사노동의 분야에 외국인 가사근로자를 수용하기 시작한 점은 특기할만하다. 이는 계속되는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대처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촉진을 도모하기 위함으로, 국가전략특구라는 일부의 지역에 한하여 외국인 가사근로자 수용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수용정책의 쟁점 및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가사근로자는 도급계약으로 가사노동을 제공하게 되지만, 가사노동이라는 특성에 대한 배려의 부족으로 이용자에게 직접 업무의 지휘감독을 받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사업무의 범위 및 내용에 대한 명확한 매뉴얼화가 필요하며, 이용자에게 도급과 파견 등에 관한 법령내용 준수를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일본인 가사근로자는 노동기준법상의 가사근로자로 인정되지 못하는데, 특구의 외국인 가사근로자는 노동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되는 점에서 일본인 가사근로자와 형평성ㆍ정합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일본은 ILO 가사근로자 협약에 비준하고 있지 않아 가사근로자에 대한 보호가 미비하다.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관련 지침을 마련하여 운영을 도모하고 있지만, 지침에는 법적 구속력이 없어 그 실효성이 의문이 남는다. 넷째, 외국인 가사근로자의 수용은 민간 가사노동시장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정책적인 목적으로 형성된 것인데, 특정기관이라는 민간주체에 많은 역할, 의무, 책임이 주어져 있다. 따라서 외국인 가사근로자의 활용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시 이에 대한 대응 및 해결을 위하여 특정기관의 역량에 대한 검증 및 담보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외국인 가사근로자 수용정책에 대한 정체성의 모호성이 존재한다. 여성정책의 일환으로 수용을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고려하면, 외국인 근로자 정책으로서의 미비 등이 존재한다. 외국인 가사가근로자의 노동권 및 인권 등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가사노동의 공식화를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현되고 있지 못하다. 그러한 가운데 여성의 경제활동 제고를 위하여 외국인 가사근로자의 도입을 확대하자는 의견 역시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가사근로자들은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또한 ILO의 가사근로자 협약에도 비준하고 있지 못하여, 가사근로자들의 노동권이 충분히 보호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일본에서의 외국인 가사근로자 수용에 관한 논의는 일본과 가사노동시장의 구조가 유사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가사노동의 공식화를 위한 정비 및 외국인 가사근로자 수용과 관련된 논의가 본격화 될 때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licies for accepting foreign domestic workers in Japan. With the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women’s rights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 obligation of females to care for their family members is being outsourced or marketed. In 2014, the Abe administration publicized a policy to accept foreign domestic workers in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through the Japan Revitalization Strategy. Foreign domestic workers have since been employed through subcontracts between a specified organization and household services. The main arguments about this policy are as follows. First, foreign domestic workers provide housekeeping services through subcontracts; however, domestic workers may be supervised or directed by employers or households. This can lead to a violation of labor laws and can be regarded as dispatched or disguised subcontract work. Therefore, defining a clear scope for and the contents of domestic duty and informing employers about labor law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ubcontracts and dispatched work are imperative. Second, although Japanese domestic workers are not recognized as employees according to the Japanese Labor Standards Act, foreign domestic workers working in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are acknowledged to be employees in the aforementioned act. This poses a serious equity issue between Japanese and foreign domestic workers regarding the right to work. Third, Japan is not currently ratifying ILO Convention 189, and domestic workers’ right to work is not fully protect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prepared guidelines for accepting foreign domestic workers; however, these guidelines are not legally binding, and policies that have legal effectiveness are still required. Fourth, the labor market for foreign domestic workers in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is formed not by the demands of the private labor market but instea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policy. However, many duti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re imposed on organizations, which are private actors. Hence, the capability of the specified organization to handle various issues concerning foreign domestic workers should be verified. Finally, the policies for accepting foreign domestic workers are vague. In light of the Abe administration’s gender policies to boost women’s rights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labor policies related to foreign workers are inadequate. Therefore, further discussions on the need to protect foreign domestic workers’ right to work and human rights are needed. When reviewing Korea’s situation concerning domestic workers, while discussions around formalizing domestic labor have been held, it has not yet been realized. Many have voiced their desire to accept domestic workers from overseas in order to improve women’s rights i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Korean domestic workers are not recognized as employees according to the Korean Labor Standards Act, and domestic workers’ right to work is not fully protect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is not currently ratifying ILO Convention 189. Since the conditions of their domestic labor markets are similar, examining Japanese policies for accepting foreign domestic worker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further measures to formalize domestic labor and the acceptance of foreign domestic workers in Korea.

      •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최종락,임상혁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2 No.05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이 불가피함에 따라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를 증대시키고 불법체류자는 감소시키는 것이 중소기업의 숙원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의 자발적인 직무 정체성 인식, 직무수행능력, 긍정적 자아 이미지 형성, 개인-환경 적합성(Person-Environmental Fit) 및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국내에서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외국인 근로자의 채용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건이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보다 많은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가 취업 기간을 연장하여 중소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향상 및 인간관계 인식변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목적은 직무향 상 및 기업의 생산성 향상 보다, 한국 사회의 적응과 사업장 적응 및 귀국 후 취업이나 창업을 위한 지원, 불법체류자 예방을 위한 단기훈련에 치중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 및 개발훈련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E-9)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과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훈련교사는 과업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과정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환경은 모든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잡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조직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동료 적합성은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개인-직무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서는 훈련과 정이, 개인-환경 적합성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인 근로자가 단순한 반복적 업무수행을 탈피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적합성 강화 및 잡 크래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활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행 외국인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방식이 개선되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잡 크래프팅을 통해 자신의 업무 영역 확장이나 의미 있는 변화에 따른 직무의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근로자의 불법체류 예방 및 안정된 고용으로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한 연구로서, 표본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는 한정적인 연구대상자를 보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의 시계열 연구 등의 다면적 연구 및 취업 목적으로 입국한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외국인 노동문제 개선을 위한 입법적 검토 - 외국인 노동기본법 제정 방안을 중심으로 -

        한권탁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아주법학 Vol.17 No.2

        우리나라에 외국인근로자들이 대규모로 유입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단순기능 산업인력이 부족함에 따른 조치로 산업연수생제도를 거쳐 고용허가제를 근간으로 하는 외국인고용법에 따른 상당한 규모의 비전문 외국인근로자들이 우리나라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국인고용법의 적용을 받는 비전문 외국인근로자 외에도 전문인력, 단기취업, 계절근로, 재외동포 등 다양한 형태의 외국인근로자들이 존재한다.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명백히 예상되는 상황에서 여성, 고령자의 고용확대와 더불어 외국인근로자의 고용확대가 인력부족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도입과 관리는 비전문분야와 전문분야로 나누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통일적이지 못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권문제, 불법체류자 문제, 노동관계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 등 많은 노동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동문제에 대해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조치만 검토할 것이 아니라, 기존의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노동법제를 재정비하고 개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하에 가칭 ‘외국인 노동기본법’을 제정하여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와 외국인근로자의 노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입법론으로 제시하였다. 외국인 노동기본법은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기본적 인권과 평등권, 노동3권, 주거권의 보장을 기본원칙으로 하며,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노동정책의 기념이념과 방향을 정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기본법’, 외국인근로자의 인권의 보장과 침해를 금지하는 ‘인권보장법’, 외국인근로자의 근로관계에 최저근로조건을 보장하기 위한 ‘노동보호법’, 외국인근로자와 사용자간 근로계약을 규율하는 ‘근로계약법’, 외국인근로자의 노동3권을 구체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노사관계법’의 의미를 가진다. It was after the 1990s that foreign workers flowed into Korea on a large scale, which was a measure due to the lack of simple functional industrial personnel as the Korean economy grew rapidly. A considerable number of non-professional foreign workers are providing work in Korea under the Foreign Employment Act, which is based o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rough the industrial trainee system. In addition to non-professional foreign workers subject to the Foreign Employment Act, there are various types of foreign workers such as professional manpower, short-term employment, seasonal work, and overseas Koreans.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working-age people is clearly expected to decrease due to the deepening low birth rate and aging phenomenon, employment expansion for foreign workers along with employment expansion for women and the elderl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manpower shortage. However,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in Korea have been divided into non-specialized and specialized fields, but they are not unified and have a complex structure, and have caused many labor problems such as human rights, illegal immigrants, and labor-related laws. This study not only reviewed fragmentary and individual measures for these labor issues, but also proposed a legislative plan to systematically protect foreign workers and revitalize foreign workers' labor by enacting a tentatively named "Basic Labor Act"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reorganize and improve the existing labor law for foreign workers. The Framework Act on Foreign Labor i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guaranteeing basic human rights, equal rights, labor rights, and housing rights for foreign workers. In addition, it is a "basic law" in the sense of setting the ideology and direction of labor policy for foreign workers, a "human rights guarantee law" that prohibits the guarantee and infringement of foreign workers' human rights, and a "labor protection law" to guarantee the minimum working conditions in foreign workers' working relations. In addition, it has the meaning of the "Labor Contract Act," which regulates labor contracts between foreign workers and employers, and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Act" to specifically guarantee the three labor rights of foreign workers.

      • KCI등재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법상 지위 - 외국인고용법이 사회보장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조성혜 한국사회법학회 2020 社會法硏究 Vol.0 No.40

        외국인근로자는 외국인이기 때문에 출입국관리법 및 외국인고용법의 규제를 받지만 근로자이므로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 사회보장기본법 제8조는 외국인의 사회보장 적용과 관련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사회보장제도를 적용할 때에는 상호주의의 원칙에 따르되,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근로자들은 우리나라의 필요에 의해 송출국과의 양해각서에 따라 일정 기간 국내 고용이 허용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일반 외국인과 동일하게 대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호주의에도 불구하고 송출국에서 우리나라 국민에게 사회보장 혜택을 주느냐 여부와 관계없이 법적으로 보호할 의무가 있다. 다른 한편 외국인근로자들에게는 체류기간 제한으로 인해 사회보장법적으로 내국인근로자와 동일하게 대우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 예컨대 이들은 사업장 변경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실업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실업의 위험도 없는데 고용보험에 가입하여 보험료만 납부한다면 오히려 임금만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수도 있다. 또한 국민연금법에 가입한다 해도 체류기간이 짧아 연금의 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밖에 외국인근로자는 임금 소득이 있기 때문에 공공부조의 수급자가 될 확률도 낮다. 이와 같은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여 사회보장법에서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하여는 특별 규정을 두어 규율하고 있다.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법상 지위는 출입국관리법과 외국인고용법상의 규제와 근로자라는 지위에서 비롯된 보호의 필요성이 공존하는 영역이라 일반 외국인과도, 내국인근로자와도 차별화될 수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는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법상 지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헌법상 외국인의 기본권(특히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보장기본법상의 상호주의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어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법적 지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외국인고용법의 주요 내용과 사회보장법적 성격의 규정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보장법이 외국인근로자를 어떻게 대우하고 있는지, 특히 이들에 대한 특별 규정이 외국인고용법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또 그 문제점과 개선과제가 무엇인지를 자세히 살펴본다. Foreign workers are regulated by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the Foreign Employment Act because they are foreigner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in the status of workers, so they should be protected by the Labor Law. In fact, foreign workers are guaranteed basic rights as workers under the application of labor-related laws such as the Labor Standards Act, the Labor Union Act and the Minimum Wage Act, equally with Koreans. Also, they should be subject to the Social Security Law just like Korean workers. Article 8 of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stipulates that “when apply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it shall be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but shall be governed by the provisions of the relevant statutes.” However, foreign workers cannot be treated the same as ordinary foreigners, because they are allowed to be employed in Korea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under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f the two countries. Therefore, despite reciprocity, South Korea is obliged to pay social security benefits to foreign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ircumstances under which foreign workers cannot be treated the same as Korean workers under the Social Security Law because the length of their stay is set. For example, foreign workers have little risk of unemployment because changes of their workplaces are restricted. Therefore, if one subscribes to employment insurance and pays only insurance premiums without the risk of unemployment, it will only result in lower salaries. Also, they do not meet the pension requirements because the length of stay is limited. In addition, foreign workers cannot be beneficiaries of public assistance because they have income by receiving salaries. As such, the Social Security Law treats them differently because they are in a special situation different from Korean workers. In this paper, the basic rights of foreigners under the Constitution (especially social basic rights) and reciprocity under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re first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of foreign workers under the Social Security Law. It will then review the main contents of the Foreign Employment Act, which directly affects the legal status of foreign workers, and the provisions of the Social Security Law. Based on this, I will take a closer look at how the Social Security Law treats foreign workers, especially how the special regulations on them are related to the Foreign Employment Act, and wha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are.

      • KCI등재

        미등록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관련 정책의 문제점

        이연옥(Yeon-Ok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1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력을 외국인의 이동으로 보기보다는 생산요소 중 노동력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단기순환 정책을 기조로 하는 단순기능 외국인력제도를 시행해 왔다. 그 결과 미등록외국인근로자가 생겨났고 현재에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이 현실적으로 중요한 다문화구성원이 되어있고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여기서는 출입국관리법과 외국인고용법을 어기면서 체류하는 외국인근로자의 법적지위와 정책에 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체류자격을 위반하여 취업하는 것이 근로자로서의 지위마저 박탈할 수 있는지, 사회보장법상의 지위의 변화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용허가제 4대보험에서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불법취업이라 하더라도 근로자로서의 지위는 변하지 않으며 사회보장 관련법상의 권리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신분 노출의 위험으로 인하여 권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관련 정책들 중 어떤 문제점들이 미등록외국인근로자를 발생시키는지를 논의하고 시정되어야 하는 정책 부분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즉 사업장이동제한의 문제, 공무원의 통보의무가 어떠한 점으로 인해 외국인근로자를 미등록외국인근로자로 전락시키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구체적인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기간 근로하는 외국인근로자의 체류권에 대해 논의해봄으로써 외국인근로자의 체류권 문제의 해결이 미등록외국인근로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임을 제시해 보았다. 특히 미등록외국인근로자의 체류를 엄격히 해석하는 문제를 이주아동의 교육권과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우리나라의 미등록외국인근로자의 법적지위는 상당한 정도로 보장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권적 차원에서는 개선되어야 할 여지도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orean policy of foreign manpower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short-term rotation, because it assumes that labor power is just one factor of production, like capital or raw materials. As a result, it was inevitable to generate many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whose number has not much changed from the past.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and their family frequently suffer from human rights violations and do not dare to appeal for correction officially. This article probes into court cases in order to see whether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could retain the legal status as worker, and whether they could get benefit guaranteed in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Act. Existent court cases show that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are qualified to retain the legal status as worker, and that they are also entitled to industrial accident benefits. Nevertheless, they rarely show up to assert their rights in fear of deporta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improve those factors that make foreign workers degrade into undocumented status. After looking into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it is found that administrative codes about ‘regulation of workplace changes’ and the ‘duty to notify’ are main culprits. And it is necessary to reformulate the current immigration policy so that immigrant children’s right to education is assured.

      • KCI등재

        외국인고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규제와 보호를 중심으로 ―

        조성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3

        With the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of the nation 1980s there was severe shortage of unskilled workers in Korea. Korea’s well educated young people avoided so-called “3D” jobs - dangerous, dirty and difficult. Many industries have solved the problem by looking for foreign workers. Although the use of unskilled foreign workers has never been officially allowed by immigration authorities, many unskilled workers have entered the country to fill the demand.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Industrial Trainee Program, which allows the industries to import foreign workers from developing Asian countries in 1993. It provided work for foreigners as trainees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owever, these workers were considered trainees and not official employees, so they could not receive protection under Korean labour laws. On 14 February 1995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Foreign Industrial Trainees provided legal and social welfare for migrant workers. On 16 August 2003 was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which states that “a foreign worker shall not be given discriminatory treatment on the ground that he/she is a foreigner”, put into force, The E-9 Non-professional Employment visa was launched in order to hire foreigners to work in the manual labour field. The visa is only limited to people that come from 16 Asian countries. Howev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hinders foreign workers from choosing their workplaces without permission from their employers. The workers can work for up to three years, after which the stay can be extended for another one year and 10 months, if the employer agrees.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in 2011 it is not a violation of rights to regulate foreign laborers in changing their workplace. On the other side, Korea has appeared to largely accept overseas ethnic Koreans such as the Koreans of China and other Asians.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launched in 2004 for foreign worker registration. Most of those registered are Koreans, mostly Chinese nationals of Korean descent. The vast majority of foreign workers in Korea come from other parts of Asia with most coming from China, Southeast Asia, South Asia, and Central Asia. In view of the decline of birthrate and the increase of the aged over 65, migrant workers have played an unprecedentedly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economy. So without them the Korean industries would be paralyz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legal status of migrant workers. Especially, it is to ask, if all foreigners who are members of a liberal society enjoy the fundamental (social and political as well as civil) rights and what kind of related issues are there with regard to the status of foreign employees.—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고 젊은 고학력자들의 3D업종 기피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외국인 단순기능인력의 유입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근로자가 없이는 중소기업이 마비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외국인근로자가 우리나라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다른 한편으로는 경기침체로 내국인 실업자수가 늘어나게 됨에 따라 내국인일자리 창출 문제도 정부가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단순기능직 외국인근로자의 규모가 커지면서 중소기업들이 내국인보다 외국인을 사용하여 고용환경 개선에 저해요소가 된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또한 업무의 스마트화로 중소기업의 단순기능직 일자리가 감소하는 가운데 외국인력을 계속 도입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외국인고용법은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견 외국인근로자 보호를 위한 노동법적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닌가 라는 선입견을 갖게도 한다. 그러나 이 법은 명칭에 ‘근로자’라는 표현이 들어갔을 뿐 외국인근로자의 보호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출입국관리법의 외국인근로자 관련 규정과 마찬가지로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을 제한하고 규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전형적인 노동법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기는 어렵다. 일부 외국인근로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적 보호 규정들이 있기는 하지만, 내국인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법령과는 상당한 차이가 난다. 외국인고용법이 외국인근로자를 규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내국인고용우선의 원칙과 정주화 방지의 원칙에 있다고 할 것인데, 이 원칙들에서 보자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규제는 불가피하다. 다른 한편 외국인근로자도 존엄한 인간으로서 인권이 보호되어야 하고, 근로자이므로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적 보호를 받아야 한다. 외국인고용법은 이렇게 양립하기 어려운 가치가 공존하며 충돌하는 영역이기에 사안에 따라 관점의 대립이 있을 수밖에 없다.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들이 국내 고용시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자국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려 하기 때문에 외국인근로자에게는 내국인에게 부여하는 자유나 권리를 제한하고, 입국, 체류 및 고용에 대하여도 일정한 규제를 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고용법의 과도한 규제와 그로 인한 외국인근로자의 인권침해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기본권이 어느 정도 보장 또는 제한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외국인(근로자)의 헌법과 출입국관리법상의 지위를 살펴본다. 이어 외국인고용법의 양면적 성격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규제, 외국인 근로자간 차별 및 노동법적 보호 규정 등으로 분류해 쟁점별로 검토한 후 필요한 경우 개선책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변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희성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圓光法學 Vol.32 No.2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2016년 4월 현재 약 197만 명이며, 이 중 일반고용허가제로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는 약 27만 명으로 매년 체류자는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은 외국인근로자를 체계적으로 도입‧관리함으로써 원활한 인력수급 및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모적으로 제정되었다. 다시 말해 내국인근로자의 고용기회의 보호라는 원칙하에 중소기업 등의 인력부족을 해소하고,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효율적인 고용관리와 근로자로서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그에 따라서 고용허가제를 도입하였으나 불법침해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권침해 및 차별에 관한 문제점과 사업장변경사유의 지나친 제한으로 불법체류자를 양산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에 관한 문제는 외국인근로자의 강제근로성문제, 인권침해 문제, 균등대우원칙의 실현 등과 관련하여 중요한 보호가치의 의미를 지니지만, 내국인 고용기회 보장 내지 중소기업 사용자의 인력확보라는 가치가 서로 충돌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국가의 외국인 인력정책측면에서 보면 원칙적으로 국내근로자의 고용기회를 우선적으로 보장하려 하기 때문에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이동의 자유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사용자입장에서는 외국인근로자의 불합리한 이유로 잦은 사업장 변경은 안정적인 인력확보를 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피해, 인건비 등 추가비용 상승 등 큰 피해를 받게 된다고 보기 때문에 사업장 변경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국가의 외국인력 도입취지나 사용자입장에서 보면 사업장 이동은 제한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므로, 사업장변경의 문제는 국가와 사업주 및 외국인근로자간의 서로 추구하는 가치가 상반되거나 충돌하면서 좀처럼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이다. 반면에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은 내국인의 고용기회나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제한되고 있으나 외국인근로자와 내국인근로자간 일자리 경쟁관계는 이미 그 의미가 약회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그동안 외국인고용법상 사업장변경의 제한에 대해 그 동안의 많은 비판적인 견해와 개선방안이 있어왔고 앞으로도 계속 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변경 제한제도가 존속하는 한 외국인근로자의 노동권과 인권은 어느 정도 침해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변경에 관한 제한이 필요 없는 노동허가제의 도입 등 노동선진국들의 제도와 정책들을 연구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oreigners who live in Korea are around 1.97 million people on April 2016 now, of which foreign workers who stay as status of general employment permit system are estimated as approximately 0.27 million people. In this regards, emigra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Our country’s current Act of Foreign Workers' Employment, Ect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nsuring smooth manpower supply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systematic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In other words, under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the domestic laborer's opportunity in employment, it has been devised to resolve the problem of manpower shortag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manage effective employment for foreign workers and protect the rights of employees. Accordingly, employment permit system has been introduced, but nontheles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blems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rkers, and over-restrictions on the changes of the business rather might cultivate an illegal immigrant. As such, the problem of changes of business workplace for foreign workers has a significant value of protection for foreign workers in relation to problems such as forced labor,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equal treatment principle, but on the contrary it conflicts with domestic employment opportunities secutiry and small business users’ human resources. Therefore, in the point of view on foreign workforce policy of the country, in principle, domestic worker's employment opportunities have most priority so that passive situation in giving foreign workers freedom of movement between business workplaces is unavoidable. In users’ standpoint, they have no choice but to be passive in workplace change due to the potential risk of economic loss, labor costs and the rise of additional fees, which all were caused by difficulties of stable human resources security and by frequent business workplace changes for migrant laborers’ absurd reasons. It turns out limitations to the country’s intention to introduce overseas manpower and in the point of view of users, limitations to business workplace change. What is worse, the issue of movement between business workplaces is contradictory between the country, employers and foreign worker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issue is limited on the ground that it affects Korean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working conditions, competition for jobs between domestic laborers and foreign workers is gradually weaked so that such effects seems open to be mediated. Opinions on the limits of movement between business workplaces in foreign employment law, along with improvement plan have been suggested so far and further, it seems to be continued. As far as there is the certain extend of limits for foreign workers to freely change between business workplaces, the rights and human rights workers in foreign workers cannot help but get an infringement. Consequently, the general resuls of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institutions and polici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an introduction of the labor certification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limits for foreign workers to freely change between business workplaces, are needed to reflect and stud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