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상보적 의식의 테마

        백준현(Baik Joon Hye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논문의 주요 목표는 불륜(不倫)이라는 통속적 소재를 통해 인간 내면의식의 문제를 파헤쳐 보고자 했던 도스토예프스키(Ф. М. Достоевский)의 『영원한 남편(Вечныймуж)』의 궁극적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아내에 의해 배신당한 한 남성과 그녀의 정부였던 다른 남성 간의 갈등을 주요 구조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상대적으로 별다른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의 근저에는, 불륜의 테마를 정면으로 다룬다는 특이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다루는 과정에서 두 남성 인물 간의 갈등을 넘어서는 더 심오한 주제 의식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일반적 시각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시각에는 불륜이라는 표층 주제에 가로막혀 이 작품이 가지는 심층적인 예술적 완성도를 간과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작품의 완성도는 높은 평가를 받아온 외면적 형식과 아울러 ‘불륜과 관련된 갈등’을 단지 통속적 소재로서가 아니라, 인간의식 세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틀로 훌륭하게 형상화한 것에서도 나타난다. 이 작품의 두 남성 인물들의 복잡한 심리 세계에는 『지하생활자의 수기(Запискииз подполья)』에서 출발한 도스토예프스키 인간 의식에 대한 관심이 그대로 담겨 있으며 그러한 모순적 내면세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상보적(相補的) 의식으로 재형성되는 지가 본 논문을 통해 필자가 궁극적으로 규명해 내고자 하는 목표이다. 이 작품의 두 남자 주인공인 뜨루소쓰키(Трусоцкий)와 벨차니노프(Вельчанинов)가 빚어내는 갈등은 단순히 불륜을 사이에 둔 통속적 갈등이 아니라 왜곡된 의식세계를 가진 그들의 모습에서 더 큰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모순적 내면세계를 가진 두 남성이 자기가면을 쓴 상태에서 빚어내는 상황들은 그들을 더욱 상극적인 위치에 놓이게 만들고 이로 인해 그들의 화해는 일견 요원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도스토예프스키는 두 남성의 병적인 내면세계와 그로 인한 그들 간의 갈등을 그것을 극복하는 상호 이해의 장으로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생활자의 수기』에서 그려졌던 인간 내면의 문제를 좀 더 진지하게 접근해 보는 데 성공한다. 병적인 내면세계를 지녔던 두 남성이 상보적 인식과 상호 이해의 장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딸 리자의 모습은 까쩨리나가 보였던 부정적인 여성상을 단숨에 극복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불륜의 씨앗이었던 그녀가 오히려 두 아버지 남성을 구원하게 되는 구조에서 우리는 불륜 주제가 작품의 깊이를 떨어뜨린다는 피상적 시각을 거부할 수 있는 본질적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도스토예프스키가 통속적 주제인 ‘불륜으로 인한 갈등’을 상정했던 것은 인간이 처한 가장 비속한 상황 속에서도 왜곡된 정신의 극복과 그것을 통한 상호 화합이 가능한가를 묻고자 했던 그의 진솔한 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ursue the main idea of 『The Eternal Husband』 by F. M. Dostoevsky which is ba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wo man characters having adultery affair. Many critics have focused on this work on the problem of what had been called ‘failured work’ which is, they consider, provoked in relation to the bulgar theme of adultery. But a close reading of this work reveals to us many elements of artistic and well-balanced inner structure. Distorted psychology which is one of the main theme of this work can be already found in 『Notes from underground』 which was written five years earlier than this work. The shape of ‘underground man' who struggles to maintain his own human dignity with contradictory attitudes to others is reflected in the two man characters of this work, Trusotsky and Vel'chaninov. Having distorted and contradictory self-consciousness in common, such a psychological problem makes their conflicts even more incompatible. But in comparison with 『Notes from underground』, we see in this work far more elements of overcoming the personal psychological problem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ccumulated conflicts, they gradually realized their own inner problems through complementary consciousness and thus slowly approached to the stage of mutual understanding. Death of Liza, who is in herself the daughter of the adultress Katerina,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of her two fathers. The ultimate message which Dostoevsky wanted to express with the shape of conflicts between two man characters was that the mutual and complementary understanding between me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overcoming of the personal distorted or contradictory psychology which can be truly found in any human situations, like in the conflicts related with adultery. In the shape of finding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consciousness through incompatible conflicts, we should realize not the literary paradox but a keen insight of Dostoevsky into human nature.

      • KCI등재

        장용학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필자는 장용학 전기소설에 비해 연구가 미미한 실정인 후기소설에 대한 주제의식과 후기소설 연구와 같은 상황인 에세이를 천착함으로써, 장용학이 교육자이면서 한때 언론인으로서 비평적 태도를 보여준 지성적인 작가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다.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장용학 에세이 가운데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만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화로 인한 소외양상을 보여준 에세이에서는 善, 自由, 그리고 現代人에 대한 장용학의 소견과 자본주의 사회와 근대화의 병폐를 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의 주제의식에 연계된 또다른 에세이로는 도시계획을 강행하는 서울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독재정권의 고발을 보여준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대통령선거 여부에 대한국민투표 자체를 비판하고 있다. 왜곡된 일본사를 비판한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일본인의 통념을 비판하고 있는 글이 있다. 이상으로 장용학 후기소설에 나타난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은 장용학 전기소설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장용학 연구에 있어 총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Until recently, studying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was considered immaterial when compared to studying his earlier ones. A study of the author’s essay was also considered immaterial . This thesis is a review of a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This study, however, helped us re-identify Yong-hak Jang for his intelligence and critical temper in his capacity as author, educator, and journalist. We closely examined a part of the affiliated essay on subject consciousness seen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These essays reveal his critical bent of mind toward modernization, especially his views regarding the alienation of people from one another caused by modernization. His essay looks at not only the positive aspect of freedom and of modernization, but also at his opinion of the twofold capitalist society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so-called modernization. His essay is a reflection of his opinion about the city planning enforcement of a Seoul mayor. The essay criticizes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In the essay, he emphasizes the role of the plebiscite in long-term seizure of power from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of Jeong-hee, Park. In the same critical fashion, his essay mentions the distortion of history introduced by Japan and his opinions about Japanese conventions . To conclude,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general study of the literature world created by Yong-hak Jang.

      • 남북한 역사소설 연구를 위한 시론

        문흥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논총 Vol.31 No.-

        남북한으로 갈라져 체제와 이념상의 차이로 대립하는 ‘한민족’이지 만, 갈라진 민족을 하나의 민족으로 묶을 수 있는 민족적 공통분모가 분단 민족의 의식의 저류에 흐르고 있다. 남북한 민족의 심층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집단무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남북한 역사 소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남북한 역사소설은 연속성과 동질성 회복으로서의 통일문학사 기술에 중요한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남북한 역사소설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할 때, 먼저 연구방 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남북한 역사소설 전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민족의 집단무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야 한다. 둘째, 작품 자체의 구조를 충실하게 고찰함으로써 각 작품의 미학적 특질을 추출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한 역사소설을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당의 공식적 문예 이론이라는 제약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북한 작가들의 한계로 인해 작품 대부분이 형식과 내용면에서 도식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기에 유형화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남한 역사소설을 먼저 유형화한 후, 그 유형과 같은 범주에 포섭될 수 있는 북한 역사소설을 선별해 동시에 논의하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 다음, 연구 대상 작품 선정과 관련된 측면이다.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남한 역사소설과 북한 역사소설을 시기별로 그 특징을 분석해 보면 남북한 역사소설의 이질성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 북한 역사소설에 나타나는 사회주의 체제 선전과 김일성 우상화로 인한 역사의 왜곡을 들 수 있다. 특히 분단 이후를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곧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 작품들과, 동일하게 분단 이전을 다루는 남한 역사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역사적 인물이나 동일한 역사적 사건 혹은 동일한 시대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현재로서는 가장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민족적 집단무의식이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어떻게 변모되어가며, 그 편차는 무엇이고, 그리고 민족적 동일성을회복할 수 있는 공통인자는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속성과 동질성의 측면에서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구전설화 동학란(東學亂) 이야기에 나타나는 작폐(作弊)의 문제

        박상란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2

        I attempted to study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eller and audience ofDonghak revolution through the aspects of exerting an evil in Donghak Riots asoral folk tales in this essay. Donghak Riots is the type of tales that narrate the outbreak, development,and end of Donghak revolution and see the cause of failure as the exerting anevil Donhak peasant army to non-combatan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Donghak Riots tales reflect the negative awareness about Donghak revolution. I believe that the negative awareness results in the distortion of Donghakrevolution. And the main medium is the mainstream discourse of aboutDonghak revolution that was espoused and spread by ruling power. Lastly, itcan be said that Donghak Riots continue to exist, because the awareness hasbeen handed down among people through education. 본 논문은 동학란이야기에 나타나는 작폐 양상을 통해 동학혁명에 대한 향유층의 역사의식 문제를 논구한 것이다. 논의 대상은 현전하는 동학란이야기9편이다. 동학란이야기는 동학혁명의 발발 및 전개, 종결을 중심 소재 혹은 배경으로삼은 이야기인데 서사의 초점에 따라 ‘학정으로 인한 발발’과 ‘작폐로 인한 종결’ 등 두 가지 서사로 나뉜다. 이 중 후자는 민간에 대한 동학군의 작폐를 강조함으로써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작폐 양상은 두 가지 서사에, 그리고 다양한 텍스트 층위에 걸쳐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동학란이야기는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혁명 당시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동학혁명의 실상에 대한 은폐 및 왜곡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주요 매개체는 지배 권력에 의해 조장되고 유포되어온 동학혁명에 대한 주류 담론이다. 이러한 것이 공사 간의 교육에 의해 전승됨으로써 현전하는 동학란이야기가 존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사회복지역사연구의 가치, 필요성과 연구방향

        박종삼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연사연구계의 공통관심인 ‘연구의 가치, 필요성, 그리고 연구방법의 방향성’ 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 역사는 아직 ‘통사’로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 한국사회복지의 역사적 정체성 정립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된 사회복지 자료에서 왜곡된 사실들이 발견 된다. 비전공 사회복지 역사연구자들에 의하여 근대사회복지역사가 연구되어, 사회복지 역사연구의 주제 선정, 사료의 수집과 분석 등에서 사회복지의 역사적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사회복지의 일차적 사료가 급속히 상실되어 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 그리고 방법론 방향 제시의 학술 적, 실용적 배경이 된다. 지금까지 객관성이 결여된 역사연구의 방법을 탈피하기 위하여 ‘역사학’적 학문 기반의 연구이론을 제시하였다. ‘병시적 관찰과 통시적 관찰’ 그리고 ‘사회복지역사관의 정립’등이 그 예 이다. 타 인접학문에 종속되어 있거나 파묻혀 있는 한국사회복지 역사를 독립적으로 연구해야 하며, “누 구를 위한 사회복지 역사연구인가?”의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가들의 시대적 ‘역사 의식’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research on 'value, necessity and research methods of Korea Social Welfare History.' Korean Social Welfare (hence, KSW) History has not yet been compiled as a whole set, and thus creates historical identity formation problem The issues of 'distortions'' in current KSW history caused by non-social welfare scholars' (ie., church historians etc.) writings, such as selecting KSW historical issues, collection of researech materials, and analysis of the data, which are lacking in historical identity of KSW. Another issue is the fast loss of historical materials of KSW. These are some of the academic and pragmatic reasons for this study. The objective scientific nature of historical study is reviewed, and propose some theories of "historical science", such as 'Synchronische and Diachronische approaches', and a View of KSW History" "For whom KSW history should be researched ?' is the proposed queston for establishing "Historical Consciouness" of KSW historical researchers.

      • KCI등재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해변의 카프카(海邊のカフカ)』고찰 -가족의 해체에 따른 잠재적 폭력의 발현 양상을 중심으로-

        조주희 ( Joo Hee C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1 No.2

        村上春樹の第2期の作品は第1期に比べて何点かその趣きを異にしているのが目立つ。まず、第1期では狀況に受動的で順應的であった主人公が第2期に入っては狀況に主體的に反應、ひいてはその社會や組織を積極的に受容する能動的人間型が登場するということである。2002年9月にセンセ一ションを呼び起こしていた海邊のカフカで春樹は、少年犯罪という新しい領域へ目を向ける。ここで春樹は解體された家族の中で育った<カフカ>という少年の目を通しての家族や社會を描いている。彼は四歲に母親に捨てられ、父親の呪詛を聞きながら育っていく。彼の心の中には旣成世代に對しての不信や憎惡、反抗の念だけが根强く、そのような憎惡は極端的な暴力にて表れることになる。よく目にする素材といえるかもしれないが、<家族>というテ一マは春樹には決して有り촉れたものではない。これは家族だけではなく、新しいテ一マへと目を移りつつある作家の社會へのコミットの一環ともいえると思われる。21世紀、家族の意味が變わり、家族の形態も槪念も崩れつつあり新しいスタイルの家族が續續と登場している。ところが、その中で變わらない眞實といえばそれは、個人の人格の形成において兩親の役割はどんな形の家族をとわず一番重要な位置を占めるということであろう。海邊のカフカで春樹の意圖は何であるか。それは十五歲の目を通してみた世界に對しての批判である。その世界というのは我我の內部にも外部にも存在していて、人間はそのような葛藤を乘り越えることによって自分の存在を認め、成長していくので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

      • KCI등재

        일제강점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장영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7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17 books and 23 maps on Historical Geography published from the time of the Residency-general of Japan in Korea and the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Considering the overall tone of these Historical Geography book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ose that clearly describe Dokdo as a Korean territory, those that classify Dokdo as a part of Ulleungdo and a Korean territory without any specific description, and those that do not include Dokdo in the territories of Korea or Japan with or without description. In case of maps, some maps clearly locate Dokdo next to Ulleungdo to mark it as Jukdo, while other maps do not even mark Dokdo or mark it without any name. Close to the late 1920s, Ulleungdo and Dokdo were not confused with each other anymore. Comparing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Geography books and maps, more Historical Geography books described Dokdo as a part of Korean territory throughout the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On the other hand, more maps tended to omit any markings for Dokdo. Nevertheless, some of them still marked Dokdo separate from Ulleungdo until the 1930s to perceive Dokdo as a Korean territory. In this aspect, I can assume that the government could not manipulate and distort Korea’s ownership of Dokdo and Japan’s forceful domination of the territory did not led to the perception of Japan’s ownership of Dokdo.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he needs to introduce Korea as its new colony to clarify the new borders and territories, but it ignored the needs to describe Dokdo due to confusion. Based on examples that either describe or omit Dokdo as a Korean territory, I can conclude that Japan did not have uniform and consistent perception and policy over Dokdo. This clearly shows that Japan’s distortion of history to argue that Dokdo is Japan’s territory lacks supporting historical facts and persuasiveness. 이 글은 통감부시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출간된 역사지리서 가운데 울릉도 및 독도에 대한 인식을 살필 수 있는 17종의 책과 23종의 지도류를 분류하여 분석한 글이다. 이를 통해 역사지리서에 반영되어 있는 일본의 독도 및 울릉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역사지리서의 전체적인 서술경향을 볼 때 독도에 대해서는 한국영토에 속하는 섬으로 구체적인 서술을 하는 경우, 울릉도의 부속도서로서 한국령으로 분류는 하되 구체적인 서술을 않는 경우, 한국영토나 일본영토 어디에도 포함시키지 않으면서 서술을 하는 경우와 생략하는 경우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지도서의 경우에도 독도를 울릉도 옆에 확실히 위치지운 상태에서 죽도라 이름붙인 것이 있는가 하면, 아예 독도 표시를 하지 않은 지도도 있고, 표시는 하였으나 죽도라 명명하지 않은 지도도 있는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1920년대 이후로 갈수록 울릉도의 별칭을 쓰지 않고도 독도와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두 섬을 더 이상 혼동하지 않는 모습도 보이고 있었다. 역사지리서와 지도류의 서술경향을 비교해보면, 역사지리서에서는 한일합방 직후와 일제강점기 후반까지도 독도를 꾸준히 조선영토에 편입시켜 서술한 도서들이 더 많았다. 이에 반해 지도류에서는 독도 표기를 생략하는 경향이 점차 늘고 있었다. 그런 속에서도 부분적으로는 1930년대까지도 여전히 울릉도와는 별도로 독도를 표기함으로써 독도를 한국령으로 인식하는 일정한 흐름 또한 있었다. 이 점에서 독도에 대한 주권의식을 정부가 강제로 조작ㆍ왜곡해 나가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일본의 일방적인 영토편입이 그 자체로 영토의식의 확대로 이어지지는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본정부 스스로 자국에 편입된 신영토로서 한국을 소개하고 새로운 국경과 영토에 대한 범주를 정확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독도에 대한 서술을 무시해 왔고 혼란된 시각 속에 있었다. 한국영토에 포함시켜 서술하거나 애써 제외시키는 사례 등을 통해 독도에 대한 통일되고 일관된 인식과 정책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현재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저들의 역사왜곡이 얼마나 역사적 사실성과 설득력을 결여한 채 진행되어 왔는가를 자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체형의식에 따른 의복관여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경숙(Kyung Sook Jeon) 한국복식학회 2002 服飾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ship of awareness of body type and clothing behavior.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57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body type. In total `high-aware group`(that is, more aware their body type than normal) was 54.9%. but in high school-girls `high-aware group` was 60.1%, The ideal height and weight did not differ regardless of their body type. Even though their real weight is normal and under the average, the awareness of body type was very severe. The distortion of body type was observed. The more she were aware their body type, the more felt risks of clothing purchase. Also `high-aware group` considered symbolic function of clothing more seriously. The satisfaction of clothing were partly influenced by the awareness of body type. The factor analyses of clothing satisfaction of two groups ended with different factors.

      • KCI등재

        공적 자기의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및 신체상에 대한 태도가 성형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은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 body surveillance, and body distortion on the intention of plastic surgery based on Sarwer et al. (1998)'s the mode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class in the University in Seoul, and 222 women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a) 6 paths except one path from public self-consciousness to body distortion were significant, (b) all four variables affect the intention of plastic surgery directly or indirectly. (c) and body distor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f thes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four variables among (a) risk group for plastic surgery, those who took plastic surgery and the intention of plastic surgery were high, (b) normal group for plastic surgery, those who took plastic surgery and the intention of plastic surgery were low, and (c) contrast group, those who didn't take plastic surger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between the risk group and the normal group for plastic surger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surveillance, body distortion,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 between the risk group and the normal group or between the risk group and the contrast group. In body distortion, there were the highes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ses results indicated that body distortion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mong these four variables, and it is likely that the people who took plastic surgery is rather dissimilar than similar grou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