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이부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4 No.-

        Korean history textbook 본고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고대 영토사 인식에 대한 국사교과서 서술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과서 서술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56년부터 검정제로 발행된 제1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에서는 민족적 과업을 강조하는 교육정책으로 인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이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실증주의가 국가별로 차별적으로 적용되었고, 식민사학적 흔적도 남아 있었다. 1968년부터 발행된 제2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는 이러한 문제를 안은 채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좀 더 강화한 반면, 실증주의적 인식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 여기에는 교육정책에 대한 군사정부의 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이에 따라 교과서들의 영토사 인식은 순치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4년 국정제가 실시되면서 국민적 일체감을 조성하려는 정책적 의도에 따라 국사교과서는 민족적 긍지를 유난히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더욱 크게 강조하여 일부 내용에서 다소 비약을 가하기도 했다 제 . 5차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민족주의를 조장하려는 정책적 의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그러나 국가정체성의 확보를 위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여전히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 더욱 심화시켜 왔다. 실증주의적 인식은 여전히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영토사 인식 변화는 주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교육정책이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고대 영토사에 대한 연구성과는 세부내용을 수정하는 데 머물렀다. 이는 교육적 정당성과 학문적 타당성이라는 기준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은 방향이었다. 앞으로 교과서에서는 학문적 근거를 담보하지 않은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지양하는 한편, 실증주의적 요소를 국가별로 고르게 적용해야 한다.

      • KCI등재

        한일 양국 간의 영토문제에 대한 상호인식 ‒ 독도문제 해결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최장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에 따라 연합국최고사령부는 독도에 대해 역사적 근거에 의거하여 한국영토로 처리했다. 연합국은 독도를 무인도로 간주하여 영토적 지위 결정을 피했다. 일본은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고, 한국이 평화선을 선언하여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독도를 고유영토로서 인식하고 있고, 일본은 ‘다케시마’가 근대 국제법의 영토취득 이론에 의해 취득한 영토라고 생각한다. 한일 양국 간에 이러한 영토인식 차가 있다. 지금은 세계보편적인 가치관을 추구하는 시대이다. 독도문제의 해결방법은 일본이 세계보편적인 가치관을 갖는 날까지 독도의 영토주권이 침탈당하지 않도록 해서 기다리는 것이다. The Second World War ended. Allies decided Dokdo is Korea’s territory with SCAPIN 677. Allies have not finally determine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Eventually the Allies had considered the uninhabited Dokdo and had avoided the decision of the territorial status. But Japan claimed that Takeshima became Japanese territory and were illegally occupied by occupying the Dokdo by the Peace Line of korea. Korea was saying Dokdo is a unique territory. On the other hand, Japan thinks that Takeshima is acquired as a new territory by international law. There are differences recognition of the territory between Korea and Japan. So Dokdo seems to conflict areas. Now is the time to pursue the universal values ​​of the world. The Japanese now have to admit that Dokdo is Korea’s territory. Because the Allied regarded Japan took the territory of Dokdo. Resolution of the Dokdo issue is to wait quietly until the day, Japan has a universal value of the world.

      • KCI등재

        전근대 시기 '釣魚島諸島'에 대한 中·日의 영토인식 고찰

        신동규(申東珪)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본고는 전근대 시기에 한정해 중국과 일본이 釣魚島諸島에 대해서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고찰한 것으로 그 요점을 두 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明代에 류큐로 파견된 책봉사들의 기록들로부터 조어도제도가 중국영토로서의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1543년 陳侃의 『使琉球錄』과 1562년 郭汝霖의 『重編使琉球錄』에 의하면, 姑米山(현 久米島)은 류큐(琉球)에 속하고, 조어도제도의 동쪽 끝에 위치한 赤嶼(현 大正島)는 류큐와 경계가 된다는 기록이 보이고 잇다. 즉, 조어도제도 8개의 섬 중에서 제일 동쪽에 있는 赤嶼가 류쿠의 경계라는 인식은 조어도제도가 중국 측의 영토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明代의 해상방어책을 서술한 鄭若會의 『鄭開陽雜著』에 기재된「福建界」를 보더라도 조어도제도가 포함되어 있어 조어도제도에 대한 영토인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淸代에 들어와서도 明代의 조어도제도 인식, 즉 赤嶼와 姑米山 사이를 국경으로서 보는 영토인식이 더욱더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1683년 책봉사였던 汪楫의『使琉球雜錄』을 보면, 赤嶼(다이쇼지마)와 姑米山(쿠메지마)사이에 “郊(또는 溝)’라는 곳을 중국과 류큐의 경계로서 인식하고 있었고, 또 1719년 책봉사절의 일원이었던 徐?光는 현재의 쿠메지마가 류큐의 서남단 마지막 영토라는 인식을 가지고 『中山傳信錄』에서 姑米山에 대한 附記로 “류큐의 서남쪽 방면 경계의 鎭山”이라고 한 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서 전근대 시기의 조어도는 ‘無主의 땅’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영토문제로서 조어도제도에 대한 선점권은 이미 전근대 시기에 중국이 먼저 확보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일 양국 간의 영토문제에 대한 상호인식 -독도문제 해결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최장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에 따라 연합국최고사령부는 독도에 대해 역사적 근거에 의거하여 한국영토로 처리했다. 연합국은 독도를 무인도로 간주하여 영토적 지위 결정을 피했다. 일본은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고, 한국이 평화선을 선언하여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독도를 고유영토로서 인식하고 있고, 일본은 ‘다케시마’가 근대 국제법의 영토취득 이론에 의해 취득한 영토라고 생각한다. 한일 양국 간에 이러한 영토인식 차가 있다. 지금은 세계보편적인 가치관을 추구하는 시대이다. 독도문제의 해결방법은 일본이 세계보편적인 가치관을 갖는 날까지 독도의 영토주권이 침탈당하지 않도록 해서 기다리는 것이다. The Second World War ended. Allies decided Dokdo is Korea’s territory with SCAPIN 677. Allies have not finally determine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Eventually the Allies had considered the uninhabited Dokdo and had avoided the decision of the territorial status. But Japan claimed that Takeshima became Japanese territory and were illegally occupied by occupying the Dokdo by the Peace Line of korea. Korea was saying Dokdo is a unique territory. On the other hand, Japan thinks that Takeshima is acquired as a new territory by international law. There are differences recognition of the territory between Korea and Japan. So Dokdo seems to conflict areas. Now is the time to pursue the universal values of the world. The Japanese now have to admit that Dokdo is Korea’s territory. Because the Allied regarded Japan took the territory of Dokdo. Resolution of the Dokdo issue is to wait quietly until the day, Japan has a universal value of the world.

      • 영토 교육에 관한 지리교과서의 비교 연구

        김민정(Minjung Kim),이자원(Jawon Lee)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3 應用地理 Vol.- No.30

        최근 주변 국가들과의 역사인식과 영토분쟁 문제가 심화되면서 지리 교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점에서 지리 교과목의 개편과 축소는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인접 국가인 중국 및 일본과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중국과의 이어도 문제 등 영토 문제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영토분쟁은 과거에도 존재했고, 앞으로도 계속될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영토 분쟁에 대하여 바로 알아야 하고, 잘못된 인식이 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 특히 앞으로 우리가 짊어지고 갈 학생들에게 올바른 영토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은 더욱 중시되어야 할 사안이며 우리 국토의 소중함도 함께 인식시켜야 한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교과서와 다른 매체들을 통해 자기 나라들의 영토와 국토 교육이 이루어져 왔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학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접하는 영토교육은 당연히 지리교과서가 중심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국토교육이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독도와의 외교적 마찰이 지속되고 있는 일본고등학교 지리 교과서의 국토교육 내용과 비교해 다루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도 최근 교과서가 개정되면서 우리의 국토 단원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많은 예시문과 자료를 제시함으로 교과서를 통해 우리 영토와 국토를 제대로 공부할 수 있게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보편적인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리적 인접국가의 영토와 국토교육에 대한 이해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는 지리 교과서에서 영토 문제를 인접국가의 지리교육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우리나라 국토의 소중함과 함께 우리 학생들이 올바른 국토관을 갖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꾸준히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한다. Recently, problems caused by territorial disputes have been aggravated and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geography has increased greatly. Because of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not only Japan, but China has also started to develop some territorial problems with Korea. A typical example would be problems related to ‘Leodo’. Now, these territorial problems we are facing attract a lot people’s attention and we have to realize that we should be the ones who have to solve them in the near futur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system incorporates basic elements from geography textbooks and countries apart from Korea are also believed to have utilized their own system through a variety of medias and textbooks. Therefore, territorial education will play a big role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This helps us show how territorial education is being handled in Korean textbooks compared to those of Japan. As the new curriculum system gets utilized, textbooks we use in schools have been altered and have started to give big coverage to Korean geography. Moreover, people are trying their best to make pupils study about geography of Korea the right way, through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presented in textbooks. Nevertheless, we are still at the stage where we aren’t perfect. We will be required to clearly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our current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and study persistently for all the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동북아시아 영토분쟁의 양상에 대한 고찰 : 문학적 관점에서 표출된 한일 간 내재적 갈등과 한국의 집단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진우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4

        글로벌 시대 동북아시아에서는 19세기 촉발된 영토분쟁(territorial dispute)의 미해결로 정치적 및 외교적으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 다수 영토분쟁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 맥락과 정치경제적, 국제법적 해결방안 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런 연구는 영토분쟁의 근원적인 차원에서 영토분쟁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해결 영토분 쟁에 대한 힘의 논리에 근거한 정치군사적 대결 분석도 중요하겠지만 정 치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는 것은 영토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고 집단적 심리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일본의 강제병합에 의한 주권상실과 분단을 경험하고, 오늘날까지 한일관계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와 역사 문제에 대해 내재된 한국인의 집단적 심리와 갈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당 대의 문화와 언어가 반영되어 있는 근현대사를 다룬 문학작품을 고찰하 였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식민주의와 영토팽창과 분단으로 인해 이념·경제·문화·민족주의적 대립이 반복되면서 교차된 가해와 피해 의 기억은 분쟁이 지속되는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In Northeast Asia, political and diplomatic disputes have continued given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which arose during the 19th century under the Global Era.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based on the literary view from a humanistic approach based on a polit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frontation based on the logic of power.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ive psychology and conflict of the Koreans who experienced the loss of sovereignty and division due to Japan’s forced annexation,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and historical issues surrounding the Island of Dokdo, which has been an obstacle to the normalization of the Korea-Japan relations to this day, the culture of the time literature works dealing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reflect the culture and language have been considered.

      • KCI등재

        19세기의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박성용(Park, Song-Yong)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2

        이 연구는 19세기 중후기에 있어서 센카쿠 열도(尖閣列島)/댜오위다오 열서(釣?島列嶼)1)와 해양경계에 관해 일본의 영토인식과 제도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 동중국해의 섬과 암초들에 대한 영토성의 구성은 동아시아 해양공간에 있어서 중화질서가 해체되고 일본이 식민제국주의 국가로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제 특징을 나타내준다. 첫째, 명치정부는 댜오위다오(釣?島)와 주변의 작은 섬, 그리고 암초들을 권역화하여 센카쿠 열도(尖閣列島)로 명명함으로써 새로운 영토에 대한 국가정체성을 부여하였다. 그 명명방식을 보면 기존의 중국식 지명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 영국인들의 기록에 있는 용어를 번역해서 적용하거나, 새롭게 명명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서 이 섬들을 행정적으로 새롭게 구역화하여 제도화 함으로써 중국과의 영토경계에 대한 정치?행정적, 지리적 경계를 확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19세기 중국은 유구국과의 해양공간을 산, 해구, 해수의 빛깔 등으로 그 자연경계를 분획하고 있었다. 센카쿠 열도(尖閣列島)/댜오위다오 열서(釣?島列嶼)에 있어서 츠웨이위(赤尾?)를 제외한 나머지 섬과 암초들은 유구 소속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당시 영토화 과정에는 무인도와 무주지 개념의 분화가 되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이 섬들을 국제법에서 말하는 무주지 보다 무인도로 인식하였다. 넷째, 명치정부는 영토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개인사를 국가사로 전환하는 전략을 행하였다. 고가 다츠시로(古賀辰四郞)가 섬을 탐사, 경영한 과정을 국가의 영토사로 전환시키면서 영토가 갖는 국가 정체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institutional practice was related with the territorial perceptions of the Senkaku Islands /Diaoyudao Islands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as the area is currently perceived differently in Chin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the territoriality of the Senkaku Islands / Diaoyudao Islands, located in the East China Sea, illustrated certain characteristics constructed during the formation of Japan and its identity as a colonialist-imperialist nation-state under the break-up of Chinesecentric order. Firstly, Japan granted itself a national identity for newly obtained territories by renaming Diaoyudao Islands to the Senkaku Islands. Japan did so by utilizing previous names established by China, translating the terms used in British records, or giving them entirely new names. Diaoyudao Islands, the first written record of the island in Chinese script, suggested that China certified its status equivalent to ‘slands’and ‘ocks’ However, according to the notion of the Senkaku Islands, ‘iaoyudao’was the main island and the surrounding small islands and rocks were affiliated to it, thus forming a hierarchy. Through a series of such processes, the Japanese government had re-territorialized and institutionalized the islands administratively in order to secure positive evidence for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boundaries. Secondly, in the 19th century, China and Ryukyu delimited natural boundaries by referring to mountains, ocean trenches, and the color of seawater. Envoys for investiture sought to classify to whom the Senkaku Islands / Diaoyudao Islands belongs China or Ryukyu through natural boundaries. Third, in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during the 19th century, definitions of uninhabited lands and terra nullius were undifferenti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Japan adopted the notion of uninhabited islands rather than terra nullius in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the Senkaku Islands / Diaoyudao Islands before 1895 is assumed to be non-terra nullius. Fourth,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territoriality, Japan implemented a strategy of converting a private history into a national one.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merge the life history of Koga Tatsuhiro and his family in these islands to the national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a legitimate national identity. Lastly, the colonial authority of Japan focused on establishing territories on the basis of power relationships around the empire, from its very core to previously non-Japanese regions. Such movement was initiated by recognition of the new political space by colonialists as well as the process for reification of institutional practices. This series of actions stemmed from Japan’ repudiation towards other countries’customs for the usage of territory and recognition of maritime space.

      • KCI등재

        독도에 대한 일본의 「고유영토론」과 독도 인식

        송휘영(Song, Hwi Yo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2

        일본 정부는 2008년 이후 ‘다케시마(독도)는 역사적 국제법상으로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주장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의 목적은 일본 주장의 근간을 이루는 ‘고유영토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일본 측 관찬사료의 분석을 통해 역사적으로 일본의 독도인식이 어떠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우선 17세기에 울릉도 도해를 하였던 오야 · 무라카와 양가의 기록과 메이지 시기의 문서들을 보면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는 요시다 쇼인의 문서에서도 나타나는데 죽도(울릉도), 대판도(댓섬), 송도(독도)를 합하여 죽도(울릉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해도, 수로지, 수로잡지 등 해군성 사료와 『죽도고증』, 「일본외교문서」,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등 외무성 사료에서도 송도(독도)와 죽도(울릉도)는 겐로쿠 시기 ‘죽도일건’에 의해 이미 일본의 판도 밖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내탐서」에서 ‘죽도와 송도가 조선의 부속이 되어있는 경위’를 조사하여 보고한 것도 겐로쿠 시기 쓰시마번의 대조선 관계 문서를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근세 및 근대 일본 측의 사료를 통해 보면 독도는 일본 판도의 밖으로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음이 명확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독도에 대한 고유영토론은 성립될 수 없다. Japan government persists the view on Dokdo after 2008 as ‘Takeshima (Dokdo) is Japanese inherent territory by historical international la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modern Japanese on Dokdo in the record of Japanese MOFA and Department of Navy to analyse the base of ‘Theory of Inherent Territory.’ To review the historical materials from Oya-Murakawa family who had crossed the sea to Ulleungdo in 17th century and those documents during Meiji emperor periods, Dokdo was recognised as an annexed island to Ulleungdo. This fact was also revealed in Yoshida Shoin"s document, which Takeshima(Ulleungdo), Osakajima(Daetseom), Matsushima(Dokdo) as a whole was recognized as one Takeshima(Ulleungdo). Also, many materials from hydrographical chart, coast pilot, and coastal magazine from Department of Navy, Takeshima-kosyo, ‘Japan Mofa Document’, Chosenkoku-kosaishimatu-naitansyo from Japan Mofa recognized Matsushima (Dokdo) and Takeshima(Ulleungdo) was already out of Japan territory by ‘Takeshima-Ikken’ during Kenroku period. 「Internal Inspection Report」also construed after the review on documents about relationship between Choseon and Tsushima Bun during the Kenroku period on the topic of ‘The Sequence of Takeshima and Matsushima belong to Choseon’. In another word, the materials from modern Japan Mofa and Department of Navy proved Dokdo was Japanese territory. Therefore, Japanese logic of inherent territory on Dokdo sovereignty can not be established.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 KCI등재

        고지도를 통해 본 한·중·일 경계인식의 변화

        엄찬호(Eom, Chan-ho)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근대 이전 동아시아 삼국의 바다와 육지의 경계인식을 지도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해륙 정계인식의 변화와 여기에 동반한 분쟁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도는 인간의 마음속에 그려진 세계의 표상으로 인간 내부의 정신적 세계와 외부의 물리적 세계의 매개체이며 다양한 규모에서 인간 정신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중요하고 근본적인 수단으로 문화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따라서 지도를 역사해석에 활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전근대 동아시아의 바다와 육지에서의 경계인식을 파악하는데 있어 지도를 이용하는 작업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근대 이전에 제작된 고지도는 각 국의 영토인식 변화에 따라 국가간 경계인식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기본적으로 동아시아에 있어서 근대 이전 시기의 국가간 경계인식은 제국주의 침략이전 까지는 명확히 구분지어지지 않았으나 제국주의 세력확장 이후 국가간 경계가 분명하게 구분되어 짐을 알 수 있다. 이후 영토인식의 확장에 따라 각국간에 영토분쟁 문제가 발생하고, 전근대에서 근대로 이행되어지는 시기에 일제의 제국주의 침탈과 식민지에서의 해방으로 이어지면서 육지에서의 국경성립에 따른 문제, 바다에서의 섬확보와 어업권 확보에 따른 해양경계선 문제가 불분명하게 매듭지어진 결과 현재까지 영토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It is a purpose this study compares marine of the East Asia Three States large a transfer boundary recognition regarding land through maps, and we analyze, and to consider meaning to be historical of a change of Korean, and marine of China and the Japanese Three States boundary recognition regarding land and the trouble that we were accompanied by here. Be mirrors we are important, and reflecting culture to basic means a map is intermediate of human inner mental we are international external physical world by symbols of the world drawn to human heart, and understanding a human mental universality in various scales. Therefore, be works meaningful very, and it can call a map to utilize to historical interpretation. Specially, work there is, and to use a map to grasp boundary recognition in marine of East Asia large a transfer land is carrying very important meaning. High ground duty is important data it gets cold, and to be able to watch a change of international boundary recognition according to changes which are a territory of each soup as made before modern. Basically, an imperialism influence expansion, later international boundary is categorized dearly, and be soft, and can know definitely distribution until the imperialism aggression transfer that got cold that is a boundary international of the times large a transfer in East Asia. Afterwards, a territorial dispute is not stopping indistinctly a knot a marine borderline issue along books security and fishery right security at an issue along border establishment, the seas in land so far while a territorial dispute issue occurs, and we are carried out as cores from modern transfer according to expansion of territory recognition between each nations, and following by liberation in imperialism plunder of the Japanese Empire and colonies in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