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tive English Instructors’ Perspective of English Education Culture in Korea

        Choi, Jong Neyo(최종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이 논문은 다른 문화권에서 온 원어민 영어 교수자들이 한국의 영어교육 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한국 사람들은 경쟁이 심한 사회에서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도록 고무되고 있으나, 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이와 관련한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인터뷰, 정기적인 그룹 미팅, 그리고 수업 참관 등을 통해 한국 영어교육의 현실을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는 한국의 영어교육환경이 너무 경쟁적이거나 입시 또는 시험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교수자나 학생은 뚜렷하지 않은 이유로 영어공부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원어민 영어 교수자들은 한국의 사회문화적인 특징이 “영어 열병”이라는 용어를 만드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이 지닌 몇 가지 문제를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한국의 영어교육 시스템은 새로운 아이이어를 받아들이기 힘들어 하며, 짧고 요행적인 방법을 원하고, 결정 내리는 것을 어려워하며, 상하를 구분하는 데 익숙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국의 학생, 학부모, 그리고 교수자들이 영어교육의 중요한 목적을 찾기 위해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하며 둘째, 보다 조심스럽게 창의적인 교수법을 모색해야 한 다. 그 과정 에서 한국 영어교육의 미래는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native English instructors from different countries perceive English education culture in Korea. The paper illustrates fundamental problems within English education and gives insight for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Korean EFL students.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s how native English instructors from different countries perceive English education culture in Korea. To find better ways for English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the present paper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from February to August in 2016. Four native English instructo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interviews, regular group meetings, and observations, the study found biases and attitudes towards English and reasons for learning English. In conclusion, Korea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more open-minded to discover main purpose of an English education and find more creative ways to teach literature classes.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 KCI등재후보

        현직교사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유아영어 교과목 개설 실태 연구

        강민자(Kang Min-Ja),최지영(Choi Ji-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바람직한 유아영어교육의 질적 발전 도모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효율적 적용을 위하여 현직교사들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사를 위한 직전교육의 필요 요구와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유아영어교육 관련교과목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33명이며,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유아영어교육 교과목 설치 현황과 교과내용 분석을 위하여 유아영어교육 교과목을 설치한 16개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유아교육과정과 통합된 유아영어교육과정의 필요를 요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유아영어교육 교과가 설치되어 직전교육의 기능을 담당해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양성대학의 유아영어교육 교과개설현황을 살펴 본 결과 전국 유아교사양성대학의 9.7%만이 유아영어교육교과목을 개설하였다. 유아영어교육에 있어서 성공이 가장 큰 관건은 교사에게 달려있으며, 교사가 받은 교육의 질과 교사가 책임감 있는 모습으로 자기에게 맡겨진 교육프로그램을 그 목적과 목표에 따라 수행해 가느냐에 따라 교육의 질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유아교사가 유아영어교육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유아영어교육을 실시하거나, 또는 방관한다면 그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는 유아영어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거나 증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bout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ield, and about the needs for pre-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n order to qualitatively promote development in the desirabl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o efficiently apply i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ield, and further inquires into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curriculum related to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t targeted 333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for installing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and the curricular contents, it had research subjects as 16 universities where installed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Giv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incumbent teac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y recogniz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be necessary. For this, they asked for the need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curriculum that was integrated with early childhood curriculum. Also, given being in charge of the function in pre-service education by being installed the early childhood English curriculum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e systematic i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s possibl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for installing the early childhood English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just 9.7%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nationwide opened the early childhood English curriculum.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융ㆍ복합 교육을 위한 영어영재 교사교육 방안

        박진규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논문은 영재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영어교육과 영재교육의 지식과 그 구체적 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먼저, 지나치게 원어민 중심, 속진 중심 영어전용 교육 중심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사 교육에 내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영재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먼저 이 두 분야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에 따른 영재 영어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한다. 지나치게 영어 하나에 초점을 둔 현재의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이중언어 중심의 내용중심과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융·복합 기반의 표현중심 영재 영어교육을 해야 하고 그에 맞는 영재 영어교사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address several problems embedded in the training of English teachers for gifted programs. With a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English Education and English teacher training, the researcher points out some possible problems in English Education and English teacher training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also points out possible problems in teaching English for Gifted Children. Based on the given problems, the researcher accordingly suggests available solution to English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nd also better way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for gifted programs. The researcher suggests bilingual, production-based and convergence-based English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nd those English teachers for gifted children.

      • KCI등재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박은수(Park Eu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경남지역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영어사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영어 교육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 부산, 경남지역 4곳의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은 대학 공부의 시작과 함께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영어사교육을 통한 영어공부가 학부 공부처럼 대학생활의 하나의 일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둘째, 대학생활 내내 이루어지는 영어공부지만 부산, 경남지역에서의 영어사교육에 대한 효과는 공인영어성적 향상 외에는 미미하며 만족도도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다. 셋째, 대학생들은 1학년부터 영어공부에 신경을 쓰고 있기는 하지만 전공계열 별로 영어 공부의 양이나 주로 하는 영어공부의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은 취업 때문이라는 이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취업이 아니더라도 영어공부를 하겠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이는 대학생 들이 오늘날 영어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좀 더 폭 넓은 시선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 영어 교육에서는 영어 공부에 대한 학생들 의 수요를 충족시킬 영어 수업의 양적인 확대와 계열별로 차별화된 영어수업의 내용, 영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다양한 생각을 충족시킬 교육 과정 등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private English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s toward their experiences. A total of 428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experienced private English learning from the first year of their university. The main reason to take a private English clas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as to get a decent job in the labor market. Also, the students perceived that English is necessary for an integrative reas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private English learning was related to the outcome of score on the TOEIC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low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 effects of English learning. Most students in this study responded that they spent too much time on studying English. The students felt stressful about studying Englis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vate English learning related to gender, years of college, major, and parent s income.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s more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when taking into account designing English courses for university students. English education at university should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which can meet the student s needs, expectations, and goals.

      • KCI등재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 및 반성적 교수능력 발전

        최지원 ( Choi Jiwon ),안경자 ( Ahn Kyungja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2

        본 연구는 6명의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에 대해 탐구했다. 또한 반성적 교수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교수능력 발전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나아가 신규교사들이 영어 교수능력 발전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 및 영어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했다. 각 교사별로 5회의 교수일지와 2회의 심층면담 자료가 수집되어 내용분석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용 예정인 신규 초등교사들을 위한 공식적인 직무연수에서 영어교과와 관련된 연수는 거의 없었다고 회고했다. 따라서 신규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공식적인 입문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했다. 한편, 신규교사들은 학교에 적응해 나가며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영어교수능력 발전을 위한 연수 및 학습공동체 등에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임상장학은 멘토 교사와 관리자들의 지원 양상에 따라 유용성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임상장학이 영어교과 개선에 초점을 두어 보다 체계적이고 의미있게 향상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했다. 교사 및 관리자와의 교류를 통해서도 교사들은 비공식적인 입문교육을 경험했고,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도 교사들의 입문교육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신규교사들은 원활한 수업운영, 수준차 고려, 다양한 상호작용, 목표어와 모국어의 사용 측면의 성찰을 통해 교수 능력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교사들은 본인들의 영어능력 신장 및 영어교수방법 개선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왔다. 나아가 그들은 보다 효율적인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지도 및 평가 매뉴얼 및 자료 제공 등 제도적인 지원, 예비교사교육기관의 영어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강화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어 신규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입문교육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experiences of six no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their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It also examines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al skills and their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data included five journal entries and two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and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pressed their induction experiences should be more effective to support their development. They had few experiences in formal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teachers. However, the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Eng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y thought they needed for their teaching. They commen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supervision should be more systematic and meaningful, focusing more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Due to interactions with peer and supervising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had diverse informal induction experiences. Their induction experiences were also related to students and parents. Second, through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the teachers developed 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classroom management, adapting lessons to students’ different English abilities, diverse classroom interactions, and use of L1 and L2. The teachers made efforts to enhance their own English abilities and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In addition, they displayed their needs for substantial support as novice English teachers including needs for effectiv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for being provided with materials and manuals for teaching and evaluating students. This study provides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induction programs for novice English teachers.

      • KCI등재

        EFL 학습자의 영어 숙달도 수준에 따른 영어 사교육 현황

        성주희 ( Sung Ju-hee ),이정원 ( Lee Jeong-w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는 EFL 학습 상황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숙달도 수준에 따른 영어 사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9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총괄 평가 성적을 기준으로 이들의 영어 숙달도 수준을 세 그룹으로 나눈 후, 영어 사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다섯 가지 문항을 가지고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시기에 영어 사교육을 시작했고, 학생들의 압도적인 숫자가 영어 학원에서 사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했으며,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간에 영어 학원에서 사교육 받은 기간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일주일에 평균 3시간 이상 6시간 미만 동안 영어 사교육에 가장 많이 참여했으며, 압도적인 숫자의 학생들이 학교 영어 시험 성적 향상을 위해 영어 사교육을 받는다고 응답했고, 특히 상위 그룹에서 이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전반적으로는 영어 숙달도 수준과 관계없이 일관된 결과를 보인 반면, 영어 사교육을 받은 기간과 영어 사교육을 받는 이유에서는 학습자의 영어 숙달도 수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으로는 학교 교육과 영어 사교육의 역할과 함께 의미 있는 학교 영어 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English education depending up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based on five categories (beginning time, types, length, hours per week, and reas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highest percentage of students began their private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regardles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 most popular type was private English academies, regardles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vel English proficiency groups in the length of private English education in private English academies; the largest percentage of students reported 3~6 hours per week on average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they took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test scores in school.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정채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4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latest English national curriculum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n we set up a theoretic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Common English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s (CENCK). The goal of developing a common English national curriculum between the two Koreas is to encourage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o learn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communicate these to the world. CENCK aims to foste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he global knowledge community. CENCK differs in its teaching content in that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not necessarily treated equally but are taught at different rates dependent on student cognitive development. CENCK also stresses the knowledge of World Englishes; hence it offers various assessment methods in the curriculum. We hope CENCK will be useful to key stakeholders who may influence educational policies and researchers co-leading the next generation of English education studies in South and North Korea.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최신 영어과 교육과정을 조사, 연구, 분석하여, 남한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 영역과 교과 역량의 두 축을 바탕으로 통합 교과 역량 부분을 추가하여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성격은 국제화 시대와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국제 공용어인영어를 적극적으로 학습하여 남북한 학생들이 세계인과 의사소통하며 글로벌 지식 공동체에서 맡은 일을 수행하는 인재 양성으로 큰 방향을 제안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학교급에 따른 점진적인 학습 목표 설정에 유의하며 의무교육 기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교급별 지침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때 남북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수준과 지역적 학습환경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한반도 통일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남북한 학생들이 한민족 공동체뿐 아니라한반도 밖 글로벌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글로벌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기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영어교육 목표의 큰 방향을 제시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음성언어(듣기, 말하기)를 우선 가르치되, 문자언어(읽기, 쓰기)를 나중에 가르칠 것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구분하여 가르치고 학습하기보다는 통합형 영어교육 학습을 제안한다. 학년군별 내용 체계는 내용 요소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고, 남북한 학생 중 어느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지않고 남북한 학생들의 영어 습득 정도가 점진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방법의 평가에 있어서 가급적 영어 사용권에서 사용하는 표준어 중심으로 학습하되, 영어 상용 나라만이 아니라비상용 나라에서 사용되는 세계 영어도 폭넓게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다양한 문항을 중심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 평가해보는방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생활영어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김지영 ( Kim Ji-young ),최진혁 ( Choi Jin-hyeok ),김대용 ( Kim Dae-y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생활영어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의 특수교육 담당교사 중 390명에게 직접방문과 이메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총 23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각 문항을 점수화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의 생활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낮았으나, 생활영어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으며, 영역별 수준은 다소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들의 생활영여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생활영어 교육의 학습소재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되어야 하며, 특수교사 중 표시과목이 영어인 교사가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장애학생에게 가장 어려운 영어 영역은 쓰기였으며, 듣기가 가장 쉬운 것으로 응답하였다. 생활영어 수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장애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수방법과 적용 능력 함양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연수기회를 확대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생활영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학습의 실질적인 동기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중심의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생활영어 교육과정·환경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과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영어교재 및 교구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을 위한 영어 교육에 전반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ractical English in 2011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ethod: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34 middle/high school teachers of self-contained classroom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Busan/Gyeongnam area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an overall high attitude toward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statistical perception differences on the Practical English curriculum were identified between self-contained classroom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 levels of the Practical English curriculum was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However, they believ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everal sub-are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 writing) would be too difficul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the participants indicated several componen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actical English classes. Fifth,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English lessons should be provided by teachers whose major or minor is English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school administrators, special education/regular teachers, and parents would more deeply need to consider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교육대학원 중등 예비영어교사의 인식

        차지영 ( Ji Young Cha ),이충현 ( Chung Hyu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0 외국어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중등 예비영어교사들의 멀티미디어 활용 실 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의 이유 및 문제 점, 그리고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의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 관련 교과목에서 필요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소재 H 및 Y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분석 방법은 전체 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재학생의 학기별 에 따른 연관성을 조사를 위해 교차분석과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영어교사들의 54.3%가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예비영어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그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였다.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학습 활동, 최신 정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교사교육의 부재가 중등영어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시행에 걸림돌이 되는 것 같다. 따라서 효율적 인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을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과 관련된 심도 있 고 실제적인 내용과 워크숍 위주의 저작도구 활용, 웹 콘텐츠 활용 및 평가, 다양한 교 수·학습 방법론 과 전략 등이 포함된 강좌를 개설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1) the patterns, contexts and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se of multimedia; 2) the causes of problems in the use of multimedia in English classrooms; 3) their competence and knowledge required for ELT (English language teaching) using multimedia; and 4) based on the findings, to suggest some solu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in ELT.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subjects consisted of 127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54.3% of respondents have not taken MALL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courses. However, they had positive perspectives in using multimedia and considered it valuable. Lack of knowledge, experience, and proper training of MALL seem to be the major factors in preventing the successful use of multimedia at secondary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s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appropriate MALL courses including authoring tools, content evaluation, teaching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of apply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classroom context, and hands-o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