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고논문 :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에 대한 王夫之의 비판

        조우진 ( Woo Jin Cho ) 한국공자학회 2014 공자학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소옹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을 바탕으로 한 송대(宋代) 상수역(象數易)의 흐름을 살펴보고 왕부지의 비판적 입장을 고찰하는데 있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상수역의 본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왕부지는 자신의 역학체계를 바탕으로 선천과 후천의 개념, 선천의 전수과정, 선천도(先天圖)의 체계, 선천역학의 원리, 괘(卦)의 형성의 과정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 논리는 경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왕부지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옹의 선천역학과 관련된 이론이나 내용은 경전에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도가(道家)의 술수가들에 의해 전수된 것에 불과할 따름이다.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근거를 여러 가지로 제시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것은 점(占)과 관련된다. 선천역학의 핵심원리인 가일배법(加一倍法)은 아래로부터 위로 쌓아서 괘(卦)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술수학일 뿐만 아니라 점역(占易)에 치우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점학일리(占學一理)’를 주장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of Xiangshuyi(象數易) in Song dynasty(宋代) based on Shao-Yong(邵雍)’s Sunchenyeokhak(先天易學) and consider Wang-Fuzhi(王夫之)’s critical position. By this critical examination, we can ascertain the true features of Xiangshuyi. Wang-Fuzhi severely criticised the concept of Sunchen(先天) and Huchen(後天),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unchen, the system of Sunchentu(先天圖), and the principle of Sunchenyeokhak,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Gua(卦) through his Yeokhak(易學) system. His criticism is especially based on positivistic thinking on the contents of Jingzhuan(經傳). For Wang-Fuzhii, the content and theory concerning Shao-Yong’s Sunchenyeokhak aren’t found in Jingzhuan(經傳) and are nothing but brought by Zhushujia(術數家) in Daojia(道家). Wang-Fuzhi presents the several evidences of criticising Shao-Yong’s Xiangshuyi. Among them, the most decisive evidence is related to Zhan(占). Jiayibeifa(加一倍法) as the key principle of Sunchenyeokhak is a process of making Gua by stacking one on top of another and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Zhan. In conclusion, Wang-Fuzhi maintains Zhanxueyili(占學一理) criticizing that Shao-Yong’s Sunchenyeokhak is only Zhushuxue and is biased toward Zhanyi.

      • 정신과 역학

        조맹제(Maeng-Je Cho),김장규(Chang-Kyu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역학은 전염병이나 만성신체질환들을 주로 다루어 왔으며, 정신장애에 대해서는 주로 지역사회조사들을 대상으로 하여왔다. 1980년대에 정신장애의 조작적 진단기준의 발달과, DIS나 CIDI 같은 비전문가에 의해 면담이 가능한 진단적 면담도구의 개발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한 대단위 정신과 역학조사를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정신과 역학에서의 기본개념들과 연구방법들, 그리고 역사 등을 기술하고 더 넓은 의미에서의 정신과 역학과 이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였다. 유병율과 위험도 측정이 가장 기본적 개념이다. 기술적역학, 분석적 역학, 그리고 실험적역학등이 있으며, 연구 디자인별로는 횡단면적, 코호트, 그리고 대조군 연구등이 있다. 역학연구의 가치는 사례판정을 위한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대표성을 갖는 표본 추출방법에 크게 의존한다.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유전학, 뇌영상 및 횡문화 비교연구 등에 힘입어 진단 타당도가 더욱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향후 지역사회 역학연구에서 비용-효과성을 고려한 각종 방법의 개발과 전향적 연구들이 기대된다. Epidemiology has usually been associated with epidemics of infectious diseases, and recently with prevalent chronic illnesses. As for psychiatry, it has been discussed almost exclusively within context of community surveys. Psychiatric epidemiology, based on community, has been greatly advanc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criteria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of diagnostic interview instruments such as DIS and CIDI, which could be administered by lay interview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d basic concepts, methodology, and history of psychiatric epidmiology. In addition brief introduction of width of scope and utility of psychiatric epidemiology were explained. The rates, especially the prevalence rather than incidence, and risk ratio are basic concepts in epidemiology. Various kinds of designs and methods of psychiatric epidemiology have also been describe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are largely dependent on how valid the interview instruments are, and how much representative the selected samples are. Diagnostic validities will get higher through the recent advances in genetics, neuroimaging and neurobiology. Devlopment of the new methods to improve cost-effectiveness in community surveys in psychiatric epidemiology are needed.

      • 다산역학 연구의 최근 성과들과 미래 제언

        황병기(Hwang, Byong-Ke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이 글은 다산역학 연구사 전반을 필자의 관점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다산역학 연구의 미진한 분야를 찾아 제안한 논문이다. 먼저 다산역학이 비록 매우 돌출적 성격을 지녔다 하더라도 다른 모든 학문이 그렇듯 영향관계가 성립할 것이니, 다산역학의 역학사상의 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차적인 목표로 성호학파 내의 관련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성호 이익의 역학 관련 언술들은 『주역사전』과 『역학서언』에 매우 비중있게 언급되어 있고, 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더러는 부정되기도 하였다. 하빈 신후담의 역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일부 논문이 제출된 바 있으나, 여전히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순암 안정복의 역학 관련 기술들 속의 역학이론과의 관련성도 연구주제가 될 수 있는데, 안정복의 역학 논술에 대해서는 한두 편의 논문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안정복의 저술이 아직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또 그 번역도 미비하다는 데에도 원인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그리고 그의 외손자 방산 윤정기에게 계승된 다산역학의 후속연구도 진척되고 있지 않아서 그 전승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였다. 대체로 정약용의 시나 사 등 문학 방면과 실용학 방면에서는 계승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역학 분야만큼은 그 제자 중에서 언급할 만한 인물이 없다. 다산역은 50여 년을 훌쩍 넘어 그의 외손인 방산 윤정기에게서 온전한 모습으로 계승되는데, 그에 대한 연구도 여전히 미흡하다. 한편으로 현대 연구자들의 한계와 모순도 검토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다산역학의 연구는 현암 이을호의 연구를 필두로 하여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논문이 배출되었고, 상당한 정도의 역량이 축적된 것으로 평가된다. 다산역을 분석하고 비교해 왔던 그간의 성과들에 기초하여 다산역 자체의 문제에 대한 검토와 위상 평가에 대해서도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산역학 내에서의 모순과 결함을 지적하는 단계에까지 연구가 진척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정약용의 『주역사전』 주석의 타당성 문제를 함께 제기하였다. 정약용의 깨알 같은 주석에는 오류도 있고 의도적인 곡해도 있다. 오류는 오류대로, 곡해는 곡해대로, 그리고 의도적 곡해는 그 의도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그의 역학 면모를 진정성 있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entire study history of Tasan’s Yi-ology according to my point of view, and finds and suggests the weak areas of Tasan’s Yi-ology. First, although Tasan’s Yi-ology had a very prominent character, the influence relations would hold, as all other disciplines did. Therefore, I raised the issue of relevance within the Seongho School as the primary goal necessary to identify the status of Tasan’s Yi-ology. Seongho Yi Ik’s statements on Yi-ology are very heavily mentioned in Tasan’s main Yi-ology books. His words mainly had a positive influence, but some were denied. There have been a few papers on the relevance of Habin Shin hu-dam’s Yi-ology, but more research is still need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Sunam An Jeong-bok’s statements about Yi-ology can be a research topic. But there is only one or two papers on the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n Jeong-bok’s writing is not ye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its translation is insufficient. More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 research on the succession of Tasan’s Yi-ology, which was inherited by his grandson Bangsan Yoon Jeong-ki, is not progressing, I submit an my opinion on the matter of transmission. In general, there are traces of succession in literary field such as poetry and prose or practical field, but there are no mentions of the disciples in the field of Yi-ology. More than fifty years later, Tasan’s Yi-ology was inherited by his grandchild, Bangsan Yoon Jung-ki, and research on his Yi-ology is still insufficient. On the one hand,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researchers should be considered. The study on Tasan’s Yi-ology has been produced by numerous researchers, led by Hyunam Lee Eul-ho, and it is estimate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competence has been accumulated. Based on these achievements, muc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problems of studies on Tasan’s Yi-ology itself. On the other hand, with the hope that the research could be progressed to the level of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s and defects in Tasan’s Yi-ology itself, I also raise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the commentary of Jeong Yak-yong. There are some errors and intentional misconducts in his commentaries. As it is, it is necessary to show his Yi-ology itself sincerely.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역학(易學) 도상(圖象)의 역사(歷史)에 관한 연구

        유권종 ( Kwon Jong Yoo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하여 제작된 역학 관련 圖象들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된 결과에 따라 조선시대 역학 도상의 역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향후 더 진전된 연구를 위한 초석에 불과한 것이므로 잠정적인 것이다. 우선 역학에 관한 도상의 제작에 『역학계몽』이 끼친 영향이 매우 중요했다고 판단된다. 특히 역학이 의리를 위주로 하여 그것에 치우치기 보다는 象數를 중시하는 주자의 역학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심화시켜 가는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선 중엽 이황에 의하여 『계몽전의』가 저술됨으로써 상수 역학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도상의 내용도 더욱 상세한 분석을 보이게 되었고, 특히 상수역학의 연구가 꾸준히 진전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후기로 가면서 『역학계몽』의 구도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역학의 소주제를 함께 편집함으로써 도상의 주제와 내용도 더욱 다양하고 풍부하게 되었다. 그리고 매우 많은 수의 역학 도상집이나 역학 도상들이 『역학계몽』의 체계나 주제를 공동으로 추구함으로써 주희의 『역학계몽』에 의한 역학이 대세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역학 전반에 걸친 연구가 심화되는 과정을 도상의 발전사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선우협의 『역학도설』은 역학 전반에 관한 도상의 제작과 설명을 보여주었고, 장현광의 『역학도설』은 역학이 여타 경학들과의 상호 관계를 설정하는 근원이 된다는 사고에 입각해서 역학을 오경 전체의 범위로 확장한 점에서 매우 특징적이다. 그 외에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는 역학이 인간사 뿐 아니라 자연 현상의 다양한 면을 모두 포괄하는 원리임을 도상으로 표상함으로써 역학의 범위와 내용의 포괄성을 보여준다. 그 밖에도 인역, 심역 등의 역학 체계가 나타난 것은 역학의 맥락에서 창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들의 도상도 매우 특징적이고 그 주제도 천지 자연보다는 인사 내지 심성정에 더욱 커다란 비중을 두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역학의 전개사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tudy history of diagrams, which had been made by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Dynasty, relating to Zhou-yi(周易) and their features. Even though this result is tentative and will be complemented with advanced research, the history and its features are as follow. First, influence of Yixueqimeng(易學啓蒙), written by Zhuxi, to making the diagrams is to be thought very important. Specially why context of Zhou-yi learning, Yixue(易學) in Chosun Dynasty had not made too much of interpretation of meanings as a method of studying Zhou-yi and had kept its balance with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as another one is thought to have been just due to the influence of Yixueqimeng.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Gyemongjuni(啓蒙傳疑) was published by Yi Hwang and after this discussions and studies on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of Zhou-yi had been activated. In addition many kinds of diagrams which showed and analysed details of principles of Zhou-yi had been made continually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The others, the history of the diagrams also shows that studies about the whole and various aspects of Zhou-yi had been deepened. For example Diagrams of Zhou-yi Learning, Yokhakdosul(易學圖說) made by Seon Wuhyup showed general principles of Zhou-yi with diagrams and explanations, another Diagrams of Zhou-yi learning made by Jang Hyun-kwang show comprehensible phase of Zhou-yi which includes all the other 4 classics of Confucianism. 24 Diagrams and explanations of Zhou-yi Learning, Yokhakyisipsadohae(易學二十四圖解) by Kim Seokmun show that Zhou-yi learning includes principles not only of human affairs but also of natural phenomena. Finally the history of diagrams has shown new systems of Zhou-yi learning. They are In-yok(人易) and Sim-yok(心易). The first means the learning of Zhou-yi principles focused to human affairs and the latter means the principles focused to human mind affairs. They had emerged form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must be important target of study.

      • KCI등재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의 도서역학적 의의

        양순자(Soon-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역학계몽요해』는 조선 최초의 『역학계몽』 주석서이다. 최항은 한계희(韓繼禧)와 함께 세조의 명을 받아 많은 동료 학자들과의 공동 작업으로 『역학계몽』에 대한 문답형식의 『역학계몽요해』를 간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역학계몽요해』를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초기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세조가 『역학계몽』에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며, 『역학계몽요해』의 구성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런 과정을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단초를 규명하고자 하고, 더 나아가 조선 역학의 성리학적 정초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고려 말 대체적으로 학자들은 정이의 『역전』을 수용하였고, 이런 경향은 조선 초기에 이어졌다. 조선 초기의 유학자들은 정이의 유가적인 도덕적 원리와 의리역학적 해석방법론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역학 이론을 성립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세조의 『역학계몽요해』는 상수를 토대로 의리를 종합하는 주희의 역철학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역학계몽요해』는 의리역학이 주된 흐름을 차지하고 있던 조선 전기 역학사에 주희의 상수와 의리를 종합한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조선 전기 도서역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역학계몽』을 통한 주자학적 또는 성리학적 세계관의 정립은 『역학계몽요해』에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큰 요인은 세조 전 기간 동안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아직 미성숙했고, 불교가 유학보다 더 우대받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학계몽요해』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관점에서 『역학계몽』을 이해하기보다는 기존의 중국학자들의 주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인다. Yeokhakgemongyohae is the first commentary of Yeokhyakgemong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Han Gyehee and other colleagues, Choi Hang published the Yeokhakgemongyohae by the order of King Sejo.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early Joseon studies of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I examined why King Sejo had interest in the Yeokhyakgemong and discussed the structure and major feature of the work. In the process, I examined a start of the Joseon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and furthermore revealed how the Joseon Confucianism made the foundation. Confucianists accepted Cheng Yi's Yeokje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Joseon Confucianists succeeded the tradition. The early Joseon Confucianists established their own theories of the Yijing on the basis of Cheng Yi's Confucian moral principle and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in some parts. The Yeokhakgemongyohae provided a trigger for interest in Zhu Xi's theory of the Yijing, which synthesized Image- Number study of the Yijing with morality. In other words, the Yeokhakgemongyohae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d Zhu Xi's theory to the early Joseon academy whose main study was focused on the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However, the Yeokhakgemongyohae could not establish its original Confucian world through the Yeokhakgemong. The biggest reason for it is that Confuciansits did not have a though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the period of King Sejo. In addition, Buddhisim was more popular than Confucianism. The Yeokhakgemongyohae has also a limitation of relying on Chinese scholars' s interpr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Yeokhakgemong.

      • KCI등재

        朝鮮易學史에서 圖象學的 象數學의 受容과 批判 ─ 朱子의 圖書易學과 邵康節의 先天易學을 중심으로 ─

        정병석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 meaning-pattern Yi-ology perspective played a leading role, however, image-numerology gradually emerg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While meaning-pattern Yi-ology was the mainstream, image-numerology gradually showed a leading aspect in the Joseon Dynasty. Actually, there are slightly different reasons of such a transition. At early stages, the innate essence and generalities of Gua-yao's symbols were paid attention, as numerology or cosmology was adopted as a methodological means to consolidate the realization of moral virtue, which is the directing point of meaning-pattern Yi-ology. However,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mage-numerology seemed to expand its scope to the domain of preception on universe and nature. And then, image-numerology faced with another change through skepticism on Zhuxi's view of the world. The mainstream of image-numerology int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the one in the Han Dynasty, but it was clearly overwhelming those days, if it is viewed from the iconographic image-numerology's influence aspect, centered on iconography including Hetu and luoshu and the diagram of the pre-natal eight trigrams. Here, it was Zhuxi's iconographic image-numerology, centered on Yixueqimeng, that played a critical role.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iconographic image-numerology, which was combined with Yixueqimeng, centered on Hetu and luoshu, and Shaoyong's pre-natal image-numerology, focused on the diagram of the sequence of the eight trigrams, was accepted, interpreted and criticiz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oegye Yi Hwang, Jang Hyeon-gwang, Seo Myeong-eung, Yi Ik and Dasan Jeong Yak-yong. The author expects that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Yi-ology of Korea is provided through this study. 조선 전기에는 의리역학적인 관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후기로 갈수록 상수역학이 점차적으로 부각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조선에서 의리역학이 주류를 이루다가 점차 상수역학이 주도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 역시 약간씩 차이가 있다. 초기에는 의리역학의 지향점인 도덕적 선의 실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그 방법적 수단으로 수리론 또는 우주론을 채용하면서 괘효의 상징들이 지니는 내재적인 본질과 그 법칙성에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상수역학은 우주와 자연 인식이라는 영역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주자 세계관에 대한 회의를 통하여 상수역학은 또 다른 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조선조에 도입된 상수역학의 주류는 한대(漢代)의 상수역학이 아니라, 하도낙서와 선천팔괘도 등의 도상을 중심으로 하는 도상학적 상수역학이 영향력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분명히 압도적이었다. 여기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역학계몽』을 중심으로 하는 주자의 도서 상수역학이다. 본 논문은 하도낙서를 중심으로 하는 『역학계몽』과 팔괘차서도 등을 중심으로 하는 소강절의 선천 상수역학이 결합된 도상학적 상수역학이 조선조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해석되고, 비판받았는가 하는 문제를 이퇴계, 장현광, 서명응, 이익과 정다산 등을 통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이런 분석을 통하여 한국역학이 가진 도상학적 특징들 역시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소강절의 선천역학에 대한 청대 역학자들의 비판 고찰

        김진근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이 논문은 소강절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청대 역학자들의 견해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소강절의 선천역학이나 이에 대해 비판하였던 청대역학이나 모두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조(思潮)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후자가 전자를 비판하는 관점을 잡아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청대학자들과 관련하여서는 주백곤의 견해를 원용하여 소강절의 선천역학을 비판하였던 청대역학자들로 한정하였다. 논의의 순서로는 먼저 가일배법과 「선천도」를 소강절 역학의 정수(精粹)로 규정하고, 그 소강절 선천역학의 유래와 관련한 비판, 가일배법에 대한 비판, 「선천도」에 대한 비판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그래서 청대 역학자들이 소강절의 「선천도」가 도교의 양생술에서 유래하였다고 함을 거론하였다. 따라서 ‘먼저 사람이 된 뒤 사회 활동을 하라’는 유가의 종지(宗旨)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들은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일배법에 대한 청대 역학자들의 비판은 ‘20→21→22→23→24→25→26’와 같이 ‘2n’으로 표기할 수 있는 과정이 객관 세계나 『주역』 경전문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황종희․종염 형제, 모기령, 호위 등의 가일배법 비판론을 고찰하여 보았다. 「선천도」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서는 먼저 왕선산의 비판 종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황종희, 호위, 황종염, 혜동 등의 비판을 고찰하여 보았다.

      • KCI등재

        정명도(程明道)역학사상

        천병돈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8 No.-

        송대 유학은 周濂溪張橫渠程明道로 대표되는 道學과 程朱로 대표되는 理學, 그리고 陸象山의 心學으로 나누어진다. 주렴계는 『中庸』과 『易傳』을 통해 자신의 형이상학 철학을 전개한다. 그러나 공자의 踐仁知天과 맹자의 盡心知性知天로 이어지는 유가의 심성론에 대해서는 소홀히했다. 장횡거는 비록 자신의 저서에서 『논어』와 『맹자』를 언급했지만, 그 이론의 중심은 심성론이 아니라, 天道를 중심으로 한 형이상학, 즉 『역전』의 입장에서 『논어』와 『맹자』를 해석한다. 정명도는 仁을 만물과 혼연일체가 된 仁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객관적 실체인 天道와 주관적 실체인 心性이 하나라는 유가 철학의 원융무애한 경지를 정립한 것으로 程明道에 이르러 그 절정에 이른다. 明道의 易學은 『論語』 『孟子』를 시점으로 『中庸』 『易傳』에 이르러 원숙한 완성을 이루는 선진시대의 유가철학을 하나로 묶은 유가 최초의 易學이다. 이처럼 明道의 易學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朱伯崑의 『易學哲學史』는 명도의 易學을 간단히 언급하고, 나아가 `主觀唯心主義` `心學派易學의 선구`라고 한다. 명도는 易學을 통해 天理의 특징을 `寂然不動, 感而遂通`으로 규정한다. 寂感眞幾의 天理는 스스로 존재하는 自存體다. 寂然不動한 天理의 感은 외부에서 온 것이 아니라, 天理자체가 가지고 있는 自感이고 능동적인 느낌(能感)이다. 즉 天理자체에 感이라는 역동적인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天理는 명도철학에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나타나는데, 道·易·神·理·誠·敬·義·仁등이 그것이다. 이들 本體는 不動의 實體가 아니라, 寂然不動하면서 感而遂通하는 `動而不動, 靜而無靜`하는 역동적인 實體다. 宋代儒學可分三大類, 一是周濂溪·張橫渠·程明道爲代表的道學, 二是以程伊川·朱子爲代表的理學, 三則是陸象山的心學. 周濂溪以≪中庸≫ 與≪易傳≫講形上學. 但却忽視了由孔子踐仁知天繼至孟子盡心知性知天的儒家心性論. 張橫渠雖在著述上論到≪論語≫與≪孟子≫, 但他是以天道爲中心的形上學, 也就是站在≪易傳≫的立場解釋≪論語≫與≪孟子≫的, 병未以心性論爲其理論中心. 程明道將仁視爲與萬物渾然同體的. 這意味着程明道樹立了儒家哲學圓 融无涯之境界的, 卽作爲客觀實體的天道與主觀實體的心性是同一的. 如此的發展正可以說到了程明道此人達到頂峰了. 明道的易學儒家最初的易學, 由≪論語≫≪孟子≫及至≪中庸≫≪易傳≫將先秦儒家哲學集大成爲一的. 盡管明道易學如此重要, 但흔少被人囑目的. 朱伯崑的≪易學哲學史≫簡單論及明道的易學, 병說`主觀唯心主義` `心學派易學之先驅`. 明道通過易學將天理的特點定爲`寂然不動, 感而遂通`. 寂感眞幾的天 理是自己存在的自存體. 寂然不動的天理中之感, 不是外來的, 而是天理本身具有的自感·能感. 也就是天理本身就具有動態的特性`感`. 如此的天理是明道哲學有種種名稱如道·易·神·理·誠·敬·義·仁. 這些本體不是不動的實體, 而是`寂然不動, 感而遂通`, 同時`動而不動, 靜而無靜`的動 態的實體.

      • KCI등재

        유해물질소송에서 역학적 증거에 의한 인과관계의 증명

        이선구(Sun Goo Lee)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6_1

        역학은 특정한 인구집단에서 질병의 발병과 관련한 위험인자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역학조사에 의하여 그 인구집단 내의 위험인자와 질병의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association)를 파악할 수 있는데, 역학자들은 상관관계에 드러난 상관성의 강도, 일관성 등을 고려하여 위험인자와 질병 사이의 인과성을 추론(causal inference)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처럼 추론된 역학적 인과성은 어디까지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물에 해당하므로, 불법행위소송에서 문제되는 위험인자와 개인의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역학적 증거를 토대로 법적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역학적 상관관계의 분석, 역학적 인과성의 추론, 그리고 법적 인과관계의 인정이라는 세 단계의 판단 과정을 거쳐야 한다. 대법원은 베트남전 참전군인 고엽제 피해 손해배상청구 사건(대판 2013. 7. 12, 2006다17539?17553) 등 역학연구결과에 의한 인과관계의 증명이 쟁점이 된 사건들에서 역학은 “집단현상으로서의 질병에 관한 원인”을 조사하여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역학적 상관관계가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로부터 불법행위소송상 쟁점이 되는 인과관계, 즉 “집단에 속한 개인이 걸린 질병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판명할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개연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역학적 상관관계 외에도 위험인자에 노출된 집단에서 질병에 걸린 비율이 위험인자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서 질병에 걸린 비율을 상당히 초과한다는 점과 그 집단에 속한 개인의 건강상태, 생활습관, 가족력 등을 추가로 증명하여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집단이 아니라 개인(들)의 손해전보를 목적으로 하는 불법행위법의 제도적 틀 안에서 원고에게 가능한 증명의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타당하다. 다만 대법원은 역학조사에 과학적인 정당성(scientific validity)을 의심할 만한 사정이 있더라도 역학적 상관관계가 인정됨을 전제로 하여 인과관계의 개연성을 부정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판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정이 있다면 역학적 상관관계 자체를 부정하여야 한다. 한편 대법원은 ‘특이성 질환’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 특이성 질환과 비특이성 질환에 관하여 인과관계의 증명방법을 달리 보고 있다. 그러나 특이성 질환의 개념은 질병의 발병요인에 관하여 의학계와 보건학계에서 확립된 학설인 다요인설(多要因設)에 배치된다. 그리고 역학에서 말하는 특이성(specificity)은 역학적 상관관계로부터 집단을 대상으로 역학적 인과성을 추론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들 중 하나에 불과하고, 현재 자연과학계의 지배적인 입장은 특이성 기준의 유용성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더구나 불법행위법의 영역에서 특이성 질환 개념을 도입하여야 할 필요성도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이성 질환의 개념에 대하여는 재고가 필요하다. Epidemiology is the branch of science that studies the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states or events (including disease) in defined populations. By using statistical models, epidemiological studies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 disease and its presumed determinants. Epidemiologists generally agree that such an association may provide the grounds for inferring causality between the two factors. Such inferred causation is a collective causation, meaning that a particular risk factor causes a disease in the group. Epidemiological evidence does not establish that an individual in the group contracted the disease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risk factor.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iscussed the valu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in proving the causation in several tort toxic cases. The Court held that the causation requirement cannot be established solely by epidemiological evidence (except for diseases with specificity) because epidemiology investigates th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a risk factor and disease within a group. The Court stressed that the causation element of tort law looks at what caused the disease of an individual who belongs to a group. The Court, in this context, held that in addition to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the court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dividual"s habits, environment, family history, and so on. These findings are persuasive in that they reflect the nature of epidemiology, but the Court needs to articulate when epidemiological evidence can be used to establish causation. Currently, the Court weighs several factors when determining the weight of epidemiological evidence, a critical one being whether the patient"s disease is a "disease with specificity"; if the patient"s disease is considered one with specificity,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is considered to establish causation, whereas if the disease lacks specificity, additional evidence is needed to supplement the epidemiological studies to establish causation. The Court defines "disease with specificity" as "a disease that has a specific cause, and the cause and the disease exactly correspond to each other." But this specificity standard ignores the established theory in medicine that the great majority of diseases are caused by multiple factors and a disease seldom has one single cause. Currently,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toxic tort lawsuits where plaintiffs face difficulties in proving causation in the traditional way. Therefore, lawsuits using epidemiological evidence to prove causation are likely to become more common in the future, and the Korean courts need to clarify the standards they apply to determine the valu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 KCI등재후보

        邵雍의 先天易學에 대한 王夫之의 비판

        조우진 한국공자학회 2014 공자학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소옹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을 바탕으로 한 송대(宋代) 상수역(象數易)의 흐름을 살펴보고 왕부지의 비판적 입장을 고찰하는데 있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상수역의 본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왕부지는 자신의 역학체계를 바탕으로 선천과 후천의 개념, 선천의 전수과정, 선천도(先天圖)의 체계, 선천역학의 원리, 괘(卦)의 형성의 과정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 논리는 경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왕부지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옹의 선천역학과 관련된 이론이나 내용은 경전에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도가(道家)의 술수가들에 의해 전수된 것에 불과할 따름이다.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근거를 여러 가지로 제시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것은 점(占)과 관련된다. 선천역학의 핵심원리인 가일배법(加一倍法)은 아래로부터 위로 쌓아서 괘(卦)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술수학일 뿐만 아니라 점역(占易)에 치우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점학일리(占學一理)’를 주장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of Xiangshuyi(象數易) in Song dynasty(宋代) based on Shao-Yong(邵雍)’s Sunchenyeokhak(先天易學) and consider Wang-Fuzhi(王夫之)’s critical position. By this critical examination, we can ascertain the true features of Xiangshuyi. Wang-Fuzhi severely criticised the concept of Sunchen(先天) and Huchen(後天),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unchen, the system of Sunchentu(先天圖), and the principle of Sunchenyeokhak,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Gua(卦) through his Yeokhak(易學) system. His criticism is especially based on positivistic thinking on the contents of Jingzhuan(經傳). For Wang-Fuzhii, the content and theory concerning Shao-Yong’s Sunchenyeokhak aren’t found in Jingzhuan(經傳) and are nothing but brought by Zhushujia(術數家) in Daojia(道家). Wang-Fuzhi presents the several evidences of criticising Shao-Yong’s Xiangshuyi. Among them, the most decisive evidence is related to Zhan(占). Jiayibeifa(加一倍法) as the key principle of Sunchenyeokhak is a process of making Gua by stacking one on top of another and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Zhan. In conclusion, Wang-Fuzhi maintains Zhanxueyili(占學一理) criticizing that Shao-Yong’s Sunchenyeokhak is only Zhushuxue and is biased toward Zhany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