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정혜순 ( Hea Sun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7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회변동기의 하나로 인식되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정치지배세력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지배세력 교체론과 지배세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상반된 입장으로 정리된다. 이 글은 여말선초 지배세력의 지속성과 변동에 대한 개연적인 논의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가문의 사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밝힌 작업이다. 여흥민씨 가문은 고려 무신집권기인 명종조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한 민영모와 두 아들 민식, 민공규 이래 다수의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려후기에는 명문세족으로 성장한 가문이다. 이 가문 출신의 관료들은 대체로 문반직을 역임함으로써 고려후기 여흥민씨는 문반가문으로서 위상을 갖추었다. 가계별로는 민식의 가계가 민공규가계보다 관료배출수나 고위직 역임자의 수에 있어서 우세했다. 조선전기에 이르면 각 가문은 분파가 확대되면서 내부에서 가계가 번성하는 파와 그렇지 못한 파로 확연히 구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흥민씨 가문을 거족이라 지칭할 때, 적어도 조선전기에 한정해서 보면 구체적으로 민식의 계열에서는 증손 민지의 장자 민상정가계와 차자 민상백가계가, 민공규계열에서는 증손 민종유의 장자 민적의 가계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민적의 3자 민변-민제(문도공파)로 이어지는 가계는 조선전기를 통해 여흥민씨 가문 가운데 가장 명문 계열로 지목되는 가계다.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은 이들 가계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고위관료의 배출, 공신책봉, 왕실과의 통혼으로 외척으로서의 위상 등 권력의 핵심에 근접하는 요인이나 자손의 번성 등의 요건을 두루 갖춤으로서, 조선건국 이후에도 여전히 고려후기 이래의 명문 거족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왔다. 계열별로 보면 과거급제자수는 민지의 계열이 민종유의 계열보다 압도적 다수를 배출하였으나, 3품 이상의 고위직자의 배출은 오히려 민종유계열이 월등히 우세하다. 이는 민종유계열 인물들의 고위직 진출 요인은 과거 외의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였음을 의미하고, 이 계열에서 배출된 공신책봉과 왕실혼의 핵심인 왕비배출과 관련된다. 통혼권에 있어서도 조선건국 이후 여흥민씨 가문 민지계열은 왕실과 연결되며 왕비의 외조부가로서 가문의 위상을 높여 갔고, 민종유계열 또한 태종의 즉위로 인해 왕실의 외척가문으로서 가문의 위상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왕비로 간택된 민지계열 출신 외손녀들의 불운이 이어지면서, 또한 태종의 왕권강화책과 정치운영방식에 따른 외척세력 제거에 의해 여흥민씨 가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민제의 네 아들들이 차례로 죽임을 당하면서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의 위상과 위세는 급격히 추락하였다. 이 가문의 복권은 적어도 세종 중반 이후까지의 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Yuheung Min family grew up as prestigious aristocrats at the end of Koryo Dynasty through generating high officials continuously after Min Yung­mo who worked as Pyungjangsa at the Myung­Jong era that the time dominated by scholastic officials and his two sons Min Sik and Min Gong­gyu. Most of officials from Yuheung Min family worked as scholastic officials, thus the family got fame as scholastic family at the end of Koryo. In detail, the number of officials and high officials from Min Sik Family out numbers that of Min Gong­gyu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as prestigious family persistently still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oson Dynasty based on 1st son Min Sang­jung and 2nd son Min Sang­bak family of Min Ji line who is grand son of Min Sik, and 2nd son Min Yu and 3rd son Min Byun family who are the son of 1st son of Min Jong­yu line. Especially, Moondogong­Pa which consists Min Jong­yu, Min Juk, Min Byun, Min Je family is remarked as the most prestigious family of Yuheng Min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of scholastic family still in Choson Dynasty and the end of Koryo through having the element of political power and prosperity of offspring such as exam passers, high officials, patriotic officials, and marriage with royal family. The number of exam passers of Min Ji line outstands that of Min Jong­yu, however the number of officials higher or equal to 3­Poom of Min Jong­yu line out numbers that of Min Ji line. It means that the higher percentage of becoming high officials of Min Jong­yu line was affected more by something other than exam pass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number of patriotic officials and queens. In the field of marriage, Min Ji line of Yuheung Min family higher their status as queen`s family, and also Min Jong­yu line became famous by Tae­Jong`s enthronement. However, disgrace of grand daughter of Min Ji line who became queens and Tae­Jong`s policy of strengthening power of king, 4 sons of Min Je were eliminated in order. Thus the status of Yuheung Min family in early Choson Dynasty dramatically fell down. The restoration of Yuheung Min family takes at least until middle of Sae­Jong era.

      • KCI등재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정혜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7

        Yuheung Min family grew up as prestigious aristocrats at the end of Koryo Dynasty through generating high officials continuously after Min Yung­mo who worked as Pyungjangsa at the Myung­Jong era that the time dominated by scholastic officials and his two sons Min Sik and Min Gong­gyu. Most of officials from Yuheung Min family worked as scholastic officials, thus the family got fame as scholastic family at the end of Koryo. In detail, the number of officials and high officials from Min Sik Family out numbers that of Min Gong­gyu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as prestigious family persistently still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oson Dynasty based on 1st son Min Sang­jung and 2nd son Min Sang­bak family of Min Ji line who is grand son of Min Sik, and 2nd son Min Yu and 3rd son Min Byun family who are the son of 1st son of Min Jong­yu line. Especially, Moondogong­Pa which consists Min Jong­yu, Min Juk, Min Byun, Min Je family is remarked as the most prestigious family of Yuheng Min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of scholastic family still in Choson Dynasty and the end of Koryo through having the element of political power and prosperity of offspring such as exam passers, high officials, patriotic officials, and marriage with royal family. The number of exam passers of Min Ji line outstands that of Min Jong­yu, however the number of officials higher or equal to 3­Poom of Min Jong­yu line out numbers that of Min Ji line. It means that the higher percentage of becoming high officials of Min Jong­yu line was affected more by something other than exam pass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number of patriotic officials and queens. In the field of marriage, Min Ji line of Yuheung Min family higher their status as queen’s family, and also Min Jong­yu line became famous by Tae­Jong’s enthronement. However, disgrace of grand daughter of Min Ji line who became queens and Tae­Jong’s policy of strengthening power of king, 4 sons of Min Je were eliminated in order. Thus the status of Yuheung Min family in early Choson Dynasty dramatically fell down. The restoration of Yuheung Min family takes at least until middle of Sae­Jong era.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회변동기의 하나로 인식되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정치지배세력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지배세력 교체론과 지배세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상반된 입장으로 정리된다. 이 글은 여말선초 지배세력의 지속성과 변동에 대한 개연적인 논의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가문의 사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밝힌 작업이다. 여흥민씨 가문은 고려 무신집권기인 명종조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한 민영모와 두 아들 민식, 민공규 이래 다수의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려후기에는 명문세족으로 성장한 가문이다. 이 가문 출신의 관료들은 대체로 문반직을 역임함으로써 고려후기 여흥민씨는 문반가문으로서 위상을 갖추었다. 가계별로는 민식의 가계가 민공규가계보다 관료배출수나 고위직 역임자의 수에 있어서 우세했다. 조선전기에 이르면 각 가문은 분파가 확대되면서 내부에서 가계가 번성하는 파와 그렇지 못한 파로 확연히 구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흥민씨 가문을 거족이라 지칭할 때, 적어도 조선전기에 한정해서 보면 구체적으로 민식의 계열에서는 증손 민지의 장자 민상정가계와 차자 민상백가계가, 민공규계열에서는 증손 민종유의 장자 민적의 가계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민적의 3자 민변-민제(문도공파)로 이어지는 가계는 조선전기를 통해 여흥민씨 가문 가운데 가장 명문 계열로 지목되는 가계다.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은 이들 가계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고위관료의 배출, 공신책봉, 왕실과의 통혼으로 외척으로서의 위상 등 권력의 핵심에 근접하는 요인이나 자손의 번성 등의 요건을 두루 갖춤으로서, 조선건국 이후에도 여전히 고려후기 이래의 명문 거족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왔다. 계열별로 보면 과거급제자수는 민지의 계열이 민종유의 계열보다 압도적 다수를 배출하였으나, 3품 이상의 고위직자의 배출은 오히려 민종유계열이 월등히 우세하다. 이는 민종유계열 인물들의 고위직 진출 요인은 과거 외의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였음을 의미하고, 이 계열에서 배출된 공신책봉과 왕실혼의 핵심인 왕비배출과 관련된다. 통혼권에 있어서도 조선건국 이후 여흥민씨 가문 민지계열은 왕실과 연결되며 왕비의 외조부가로서 가문의 위상을 높여 갔고, 민종유계열 또한 태종의 즉위로 인해 왕실의 외척가문으로서 가문의 위상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왕비로 간택된 민지계열 출신 외손녀들의 불운이 이어지면서, 또한 태종의 왕권강화책과 정치운영방식에 따른 외척세력 제거에 의해 여흥민씨 가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민제의 네 아들들이 차례로 죽임을 당하면서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의 위상과 위세는 급격히 추락하였다. 이 가문의 복권은 적어도 세종 중반 이후까지의 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동춘당 송준길 후손 가 소장 여흥민씨의 발신 한글편지 고찰

        김경순 ( Kim Kyung S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1

        동춘당 송준길 후손 집안에 전하는 135편의 한글편지에서, 한국정신 문화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된 책에는 송준길의 측실 여흥민씨의 발신은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나, 본고는 발신 2편을 밝혀냈다. 조선시대에 쓴 한글 필사체 <한글간찰 24>·<한글간찰 26>은 계증조모여흥민씨가 증손자 송요화에게 쓴 것이었다. 두 책에는 판독과 해석이 필자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 <24>와 <26>의 추기는 송종오의 9대 계조비민씨 수찰임을 밝혀냈다. <24>의 ‘형’은 송요경이며, 송요경은 당시 아픈 중이므로 여흥민씨 집에 올 수 없는 상황이었다. <24>의 ‘진(塵)’은 “소수(小數)의 단위의 하나.”로 풀이 하고, ‘조금’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24>-17-1·2는 ‘톄포(滯飽)’로 여흥민씨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24>의 ‘인손’은 ‘송요화 아들 송익흠의 아명’이며, ‘인손 부’는 인손 송익흠의 아버지인 송요화임을 밝혀냈다. <26>에서 ‘네’는 송요화이며, ‘형’은 송요경을 지칭하였고, ‘네 아자비’는 송요화의 둘째 숙부 송병익이며, 당시 상주목사였음도 밝혀냈다. ‘<26>-7-10∼8-3’의 ‘분조□다가 오□’ 은 당시 숙부가 상주목사 재임기간에 나라에 큰 일이 생겨 분주하게 다니다가 5월 15일 오늘 몸을 심하게 다쳤음을 밝혀냈다. <26>의 수신자는 ‘흥경’임을 밝혔다. <24>의 발신일은 1708∼1711년 9월 27일이므로, 여흥민씨가 65∼68세에 쓴 편지이었으며, 수신자 송요화는 27∼30세임을 알 수 있었다. <26>의 발신일은 1708∼1712년 5월 15일이므로, 여흥민씨가 65∼69세에 쓴 편지이며, 수신자 송요화는 27∼31세임을 밝혔다. Among 135 letters handed down in Donchundang Jun-gil Song, letters from Yeoheung Min, a concubine of Jun-gil Song, were settled to be nonexistent in the books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pirit and Cultur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ut 2 letters that were sent from her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 < Korean Letter 24 >·< Korean Letter 26 >, Korean calligraphy letters written in Chosun Dynasty, were sent to a great grandson Yo-wha Song from a step great grandmother Yeoheung Min. Some differences were spotted between those two books and me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t has been turned out that Yeoheung Min, Jong-oh Song's step great grandmother who was 9th generation of Yeoheung Min Family, was the one who added some words to <24> and <26>. In <24>, ‘brother’ refers to Yo-kyung Song who was unable to visit Yeoheung Min for he was ill in bed. In <24>, ‘Jin(塵)’ could be regarded as "a unit for decimal numbers" and interpreted as ‘a little’. With ‘Chepo(滯 飽)’ in <24>-17-1·2, it could be assumed Yeoheung Min was in a bad condition. In <24>, ‘Inson’ has been turned out to be a childhood name of Ik-heum Song, Yo-wha Song's son, and ‘Inson's father’ refers to Ik-heum Song's father, Yo-wha Song. Also, in <26>, it turned out that ‘you’ refers to Yo-wha Song, ‘brother’ refers to Yo-kyung Song and ‘your uncle’ refers to Byung-ik Song, Yo-wha Song's second uncle and a pastor in Sangju. ‘working busy and today’ in ‘<26>-7-10∼8-3’ means the uncle got a serious injury on May 15th while working busy as a big trouble aroused in the country during his tenure as the pastor in Sangju. <26>'s recipient has been turned out to be ‘Heungkyung’. <24> was sent between 1708 and September 27th of 1711 which means Yeohueng Min was at the age of 65∼68 and Yo-hwa Song, the recipient, was at the age of 27∼30. <26> was sent between 1708 and May 15th of 1712 which means Yeohueng Min was at the age of 65∼69 and Yo-hwa Song, the recipient, was at the age of 27∼31.

      • KCI등재

        조선 숙종대 ‘濁南’의 형성과 인적 교류- 사천목씨, 여흥민씨, 진주유씨를 중심으로 -

        나영훈 한국사학사학회 2022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6

        본 논문은 조선 숙종 초반 근기남인의 정치적 분화 과정에서 주로 허목과 이익의 학맥을 이은 ‘청남’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상황과 달리 ‘탁남’의 향방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검토를 시작하였다. 그런데, 숙종 초년 당시 근기남인들의 통혼과 교유, 각 가계의 행보에 대한 각 자료를 살펴보면 청남과 탁남의 정치적으로 대립했던 정황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근기남인을 청남과 탁남의 대립으로 설정한 사료는 대부분 경종대 이후의 당론서나, 『숙종실록』의 사평이었다. 특히, 1694년 갑술환국 이후, 인현왕후에 대한 名義罪人으로 낙인이 찍혔던 여흥민씨 민암과 사천목씨 목내선, 안동권씨 권대운 등이 탁남계로 구분되었다. 문외파 혹은 청남이 등장한 것은 경종말년에서 영조 초년(무신란)을 즈음하여 남인들의 생존을 위해 남인 내에서 명의죄인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인물들을 선별하였고 그들이 이른바 목민류라 불리는 3개의 가문이었다. 탁남은 남인 내부에서 스스로 설정하고 구분지은 존재라는 점이 새삼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숙종 당대의 탁남이란 정치세력의 존재 자체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숙종 당대 정치에 참여했던 남인들은 ‘근기남인’이라는 동질성을 더 강하게 보유하고 있었음을 ‘목민류’로 지목된 사천목씨와 여흥민씨, 그리고 진주유씨의 통혼망과 교유양상, 그리고 사승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탁남 목내선의 사승관계에서 보이는 청남 허목과 이서우와의 친근한 관계, 탁남 유명천과 청남 권유, 이서우, 채팽윤과의 돈독한 관계, 탁남 유명천과 청남 이동규의 통혼 관계, 탁남 민취도와 청남 허목의 사승관계, 탁남 민암과 청남 이우정의 사돈 관계, 탁남 목내선과 청남 이담명의 통혼 관계 등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의 통혼과 사승, 친밀한 교유 관계를 당대 청남과 탁남 인사로 분류된 이들 사이에서 찾을 수가 있다. 이들 탁남과 청남으로 구분된 근기남인 인사들은 최소한 숙종 초년 함께 정국을 운영할 당시에는 상호 교유하고 친밀감을 지니고 있었고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모습을 찾기는 어려웠다. 물론, 정책 입안이나 서인에 대한 처벌 등 정국운영과 관련한 근기남인 내부의 각 인사들에 따른 차이는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숙종 당대의 정책 입안을 결정한 당대 핵심 인사들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분명해질 수 있겠다. 더 나아가 추후에는 분석대상을 당대 근기남인 전체의 가계로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으며 숙종 당대를 넘어 경종대부터 영조대까지 잔존한 근기남인의 후손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차후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 범위를 넓히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조선초 원경왕후의 정치적 역할과 생애

        임혜련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원경왕후는 고려말 명문가인 여흥민씨 민제의 딸이며, 고려말·조선초의 정치적 혼란기에 이방원의 내조자이자 정치적 지원자였다. 여흥민씨는 이성계 자녀들과 혼인을 통한 결합으로 조선왕조 개국에 참여하였다. 이방원은 '1차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의 기반을 마련하고 '2차 왕자의 난' 직후 세자에 책봉되어 즉위하였다. 한씨 소생 왕자들의 소외와 방석의 세자책봉, 사병혁파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1차 왕자의 난'을 성공으로 이끌어낸 이방원의 뒤에는 그의 부인 원경왕후가 있었다. 원경왕후는 상건 당시 이방원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리고, 친정가문의 도움을 빌어 무기와 병사를 준비하여 남편을 지원하엿다. 원경왕후는 당시 정세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남편을 위기에서 구하였던 것이다. 또한 '2차 왕자의 난'에서도 마찬가지로 남편 이방원을 승리로 이끄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태종의 즉위로 중전이 된 원경왕후는 내명부의 수장 역할에 충실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왕권강화책으로 인해 아버지와 네 명의 동생들이 죽는 등 친정이 몰락하는 비극을 당하였다. 이것은 원경왕후의 정치적 능력과 그의 친정세력이 결합하여 왕권강화에 지장을 초래할까 우려한 태종의 염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태종은 평생토록 원경왕후가 '왕자의 난'에서 보여주었던 공을 잊지 않았다. 이것은 태종 자신의 집권과정에 부인 원경왕후의 정치적 역할이 매우 컸음을 스스로 인정했기 때문이었다. The queen Wongeoung(元敬王后) was wife of the king Teajong(太宗) that is 3rd king at the Chosun Dynasty. She was king Teajong-Lee bangwon's(李芳遠) wife and ploitical partner in the confused period by politics from the late Corea era to the early Chosun era. Specially, she contributed though Lee Bang-won accedes to the throne, because she acted big role in "The first royal prince's war'. This shows the political role of the queen Wongeoung. The queen Wongeoung who is Min Je's(閔霽) daughter came from a distinguished family in the late Corea era. As Mr. Min parentage had deep attainments in Sung Confucianism and combined to marriage with Lee Song-gye pedigree, they participated in founding of a country of Chosun Dynasty and kept their pedigree. The queen Wongeoung did big contribution in success of "The first royal prince's war'.(1차 왕자의난)Causes of'The first royal prince's war' are as following. First, royal princes of the queen Sineui(神懿王后) estranged in power. Second, the prime minister's force was rising because of that royal prince of the queen Sinduck(神德王后) became Crown Prince. And last, king Teajong tried to diminish privates. By the queen Wongeoung prepared weapon and soldiers in 'The first royal prince's war' by political sense that was born, she helped Lee Bang-won. Here was Yeoheungmin pedigree's(驪興閔氏) cooperation. Also, 'The second royal prince's war' succeeded by her help. The queen Wongeoung rose to queen's position reclaiming herself's fate. But, Yeoheungmin parentage was fallen because of sovereign power reinforcement policy of king Teajong after enthronement of king Teajong, And the queen Wongeoung and king Teajong's relation grew worse regarding indiscreet royal harem choice of king Teajong. She was a good woman who give help to raise husband in throne by her excellent personality, an appreciative eye that read political situation, and excellent political activity. However, such eminent her ability became subject of restraint of king Teajong to solidify sovereign power preferably.

      • KCI등재후보

        고려후기~조선초 驪興閔氏 閔霽 家系의 정치적 동향

        최동진(Dong-jin Choi)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이 글은 고려후기~조선초 여흥민씨 민제 가계의 동향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민제 가계는 고려후기부터 대대로 재상을 배출하고,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왕비와 공신을 배출한 가계였다. 민제 가계는 왕조교체기에 지배세력이 정치적 지위를 유지했던 배경과 존재 양상을 사례로 제공한다. 본고에서는이 점을 주목하여 민제의 인적관계와 활동을 검토했다. 고려후기 민제의 직계선대는 문벌귀족, 지공거 배출 가문과 통혼하여 대대로 지공거와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였고, 재상지종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 이러한 가문에서 배출된 민제는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가 집권한 상황에서 군사기무를 담당하고, 과전법을 만들 때 참여하여 개국파의 정책에 협조하였다. 또한, 개국을 전후한 시기 한양윤을 역임하면서 개국파의 한양 천도계획을 준비하였다. 민제 가계는개국공신, 정사공신, 비개국파와 인적관계를 바탕으로 조선 건국 이후에도 정치를 계속하였고, 태종의 집권 과정에서 정치적 지지기반이 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즉위하게 되자 그의 인척이었던 민제 가계도 왕비와 공신을 배출하면서 실력가로 부상했다. 여기에 더해 정계의 주요 인사들과 관계를 맺고 있었던 민제 가계는 곳곳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명나라와 통혼을 기도하거나 왕실 문제에 관여하면서 민무구, 민무질의 옥사와 민무회, 민무휼 옥사가 발생했다. 이 옥사는 단순히 외척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인적관계를 바탕으로 민제 가계가 세력을 형성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자, 조정에서 특정 세력의 독주를 막고자 한 태종이 민씨 형제의 옥사를일으키면서 민제 가계가 실각한 것이었다. This study was prepared to examine the trend of the Minje family of the Yeo Heung-Min fami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The Minje family continued to serve as servants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produced queens and meritorious subjects eve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Minje family provides an example of the background and existence of the ruling power during the period of change of dynasty.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se points, I examined Minje's personal connections and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of change of dynasty, Minje cooperated with the Lee Seong faction and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forces oppos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Political activity was based on these relationships. After King Taejong ascended the throne, Minje emerged as a talented person who produced queens and public servants. In addition, the Minje family, which had ties with major political figures, exercised influence over the royal family and politics. This purge is not simply to get rid of Min, who is related by blood. Taejong purged the Min brothers to prevent the monopoly of certain forces in politics. As a result, the Min family moved away from politics.

      • KCI등재

        민성휘(閔聖徽) 가문의 장서 연구 -7대손 민경속(閔景涑)과 유만주(兪晩柱)의 서적 왕래를 겸하여-

        김영진 ( Kim Young-jin ),안정은 ( Ahn Jeong-eu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본고는 조선시대 서책문화, 그 가운데 ‘私家藏書’에 대한 사례 연구를 여흥민씨 閔聖徽(1582~1648) 가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두 가지인데 첫째는 민성휘 개인이 본격적으로 형성한 ‘사가장서’의 실체와 특징이고, 둘째는 민성휘의 7대손 閔景涑(1751~1794)의 장서다. 후자의 경우엔 벗 兪晩柱(1755~1788)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書冊 相互 借覽과 문학, 학술 담론을 중심에 두었다. 민성휘의 1628년 明 使行에서의 서책 구입과 민경속과 유만주의 교유는 기존 연구성과가 있다. 본고는 기존 성과 위에 민성휘 윗대 아랫대의 저술 및 장서 현황, 소론 당파보인 『簪譜』 및 민경속의 인척 鄭堉이 편찬한 印譜 『圖書譜』, 任天常의 『試筆』 등의 신자료를 추가하여 이 가문의 장서 형성 과정과 그 학술 문화사적 특성을 보다 구체화하였다. 우선 민성휘의 『肅敏書目』을 재검토하고 현존하는 민성휘 장서인이 압인된 책들을 조사하여 관련 방증을 하였다. 또한 민성휘가 수집한 장서와 서책에 대한 관심이 가까이는 민성휘의 『松京訪碑錄』, 閔晉亮의 『唐詩類選』, 閔周冕의 『(新纂)東京誌』로 이어졌고, 멀리는 7세손 민경속의 『知先錄』과 『迂叟謾錄』 및 『輸廫故人錄』, 8세손 閔魯行의 『名數咫聞』과 『咫聞別集』 등으로 이어졌음을 논하였다. 민경속과 유만주 사이에 1785년부터 1787년까지 3년간 지속된 서책 교류를 총정리하였다. 이 둘의 진지하고 진솔한 학술교류는 방문 외에 양가 장서 및 서화의 상호 대차와 감상을 기본으로 하였는 바 두 가문의 당파와 교유권의 차이로 인해 수장 자료의 성격차이 역시 컸다. 이 점이 상대방의 호기심을 일으키고, 부족한 면을 충족시켜 주면서 서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민경속의 인척으로 특히 주목되는 것이 ‘江華學’으로 널리 알려진 전주이씨 덕천군파와 연일정씨 鄭夏彦 후손가다. 연일정씨는 또 자하 신위와 연결되어 이후 민노행이 추사 김정희와 교류를 갖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민성휘가의 『서책목록』이 발견되지 않았고, 이 가문의 장서도 다 흩어졌다는 제약과 한계 속에서도 여러 자료의 편린들을 찾아내어 민씨가의 학술문화사적 의의를 추출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兪晩柱의 『欽英』이 갖는 서적문화사에서의 높은 의의를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여흥민씨가의 장서와 그것의 학술문화사적 효용은 ‘조선시대 사가장서’의 한 실상과 의미 부여를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book culture in the Choseon Dinasty period, particularly with the emphasis laid on the family of the Yeoheung Mins by way of the case study on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private family of Seong-Hui Min(1582~1648) of the Yeoheung Mins. The main emphasis is two and the first is the sub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y’ purposefully formulated by the individual Seong-Hui Min and the other is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7<sup>th</sup> descendant Gyeong-Sok Min(1751~1794). In the latter case, the focus was laid on the mutual borrowing and reading of the books and academic discourse with his friend Man-Ju Yoo(1755~1788). The purchase of books by Seong- Hui Min in his envoy trip to Ming in 1627 and the exchange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ere greatly facilitated by Ha-Ra Kim. On top of the achievements of Ha-Ra Kim, this thesis carried out a more realistic review of the background of the formulation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is family a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the significant new data such as the writings and the status of book collections, the newsletter of Soron Party 『Jambo』, the book of impressions of seals 『Doseobo』 published by Yook Jeong who was a member of Yeonil Jeongs which was a relative family of Gyeong-Sok Min and others. First, this thesis aimed to establish the circumstantial evidence by conducting a review of 『Sukminseomok』 written by Seong-Hui Min and investigating the books belonging to the extant collection of books of Seong-Hui Min.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 pressing books from the extant collection of Seong-Hui Min are wood-block print books from Ming and discussed that the books were scattered from early stages.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attention to the collections and books established by Seong-Hui Min extended closely to 『Songgyeongbangbirok』 by Seong- Hui Min, 『Dangsiyuseon』 by Jin-Yang Min and 『(New Publication) Donggyeongji』 and remotely to 『Jiseonrok』, 『Osumyeonrok』 and 『Suyogoinrok』 by the 7<sup>th</sup> descendant Grong-Sok Min and 『Myeongsuchimun』 and 『Jimoonbyeoljib』 by the 8th descendant No-Haeng Min. The thesis made an aggregate summary of the exchange of books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hich lasted for 3 years from 1785 to 1787. The earnest and sincere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m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books and paintings stored due to the differences in faction, relatives and others apart from the collection of books in each family and these differences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ir mutual growth by invoking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supplementing the deficient parts of each. The books of Gyeong-Sok Min can be divided between those inherited and those collected by oneself and in regard of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share of the books from Choseon Dynasty was much increased and that the relative families the Jeonju Lees (Deokcheongun family branch - Ganghwahak) and the Yeonil Jeongs inflicte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curement of books. By way of the connection with Jaha Wui Shin, the Yeonil Jeongs offered the opportunity for No-Haeng Min to have exchanges with Chusa Jeong-Hee Kim. Even under the limitation and restriction that 『List of Books』 of the family of Seong-Hui Min was not discovered and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family was all scattered arou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books of the Mins was extracted by discovering the partial fractions of a diversity of data. In this process, the high cultural historical value of the literatures retained by 『Heumyeong』 by Man-Ju Yoo could be ascertained anew. This thesis has the meaning that it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Yeoheung Mins and their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utility reveal a realistic aspect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ies in Choseon Dynasty Period’ and also that it gave such a meaning.

      • KCI등재

        고종대 한성판윤의 특징과 변화(1863~1907)

        장경호(Chang, Kyoung-Ho)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5

        이 글에서는 고종대(1863~1907)의 한성판윤의 명단을 본관, 취임 당시의 나이, 재임기간, 재직 전후 관직 등을 분석하고, 더불어 그들의 재임 기간에 한성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종 친정 이전에는 안동김씨가, 고종 친정 이후에는 여흥민씨가 주로 한성판윤을 맡았다. 그런데 전주이씨는 갑오개혁 이전 전 시기에 걸쳐 한성판윤을 맡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주이씨는 한성판윤에 자주 임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임기간도 길었다. 이 외에 한성판윤에 여러번 임명된 인물들 중에서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변원규와 이승오를 들 수 있겠는데, 이들은 청나라의 간섭이 가속화 되던 시기에 자주 재임했던 인물들이다. 고종대 한성판윤은 갑오개혁 전후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전주이씨, 안동김씨, 여흥민씨가 주도하던 갑오개혁 이전과는 다르게 이 시기의 한성판윤은 그 출신이 불분명하거나 양반이 아닌 이들이 많았다. 게다가 이들의 평균 재임기간은 이전 한성판윤 보다 2배 길었고, 평균 연령대도 10세 이상 젊은 인물들 이었다. 이채연을 비롯한 젊은 한성판윤들은 재임하면서 외국인과의 갈등 처결, 도시개조사업, 법률문제해결 등 여러 가지 일들을 했다. 때로는 외국의 부당한 요구에 맞서 대응하기도 했다. 그러나 을사늑약이후 한성판윤의 직임은 낮아지고 독단적인 대처를 찾아볼 수는 없게 되었다. This thesis analyzes Seoul Mayor’s family clan, the age, incumbency, their job and many works when they were in Seoul Mayor in the King Ko-Jong. The percentage of Andong Kims clan was high during the regency and that of Yeoheong Mins clan was high during his own reign. Specially, Jeonjoo Lees clan were repeatedly appointed to Seoul Mayor and their incumbency was long before the Gabo Reform of 1894. Above this there were Byun Won Kyu and Lee Seung Oh who was the envoy of Qing. They became Seoul Mayor during the Qing intervention period. There were big changes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To be specific, The Andong Kims clan, Yeoheong Mins clan, Jeonjoo Lees clan was the main family clan before the Gabo Reform. But Seoul Mayor was a man of obscure birth after the reform. Furthermore their incumbency was doubled when comparing the Seoul Mayor before the Gabo Reform. Their age was younger than before the Gabo reform. Younger Seoul Mayor such as Ye Cha Yeon worked many things for Seoul. For instance, they tried to find solution of conflict between Korean and Foreigner and worked for Hansung City Improvement Project. Sometimes they rejected foreigner’s excessive demand. However, there were no their own decision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of 1905.

      • KCI등재

        조선 15세기 전반 경기도 영평현(永平縣)의 백자제작 배경과 특징

        박정민 ( Jung Min Par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4 No.-

        이 논문은 새롭게 등장한 ‘永平’명백자의 소개를 통해 기존에 언급되지 않았던 조선 전기 백자 제작지와 그 지방관의 관계 및 지명이 백자에 표시되는 원인에 대한 접근이다. ‘永平’명백자의 제작지는 경기도 永平縣이다. 15 세기 전반의 영평현은 조선의 여러 국왕의 강무장으로서 왕실과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었다. 조선 전기 국왕은 강무나 사냥으로 지방에 머무를 때沙器所를 유숙지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당시 영평현은 왕실의 사냥터로 인식될 정도의 넓은 숲과 산들이 자리했으므로 瓷器를 굽기 위한 땔감을 확보하기 용이했다. 당시 영평현은 주변에 백토를구할 수 있었고 用水의 확보도 용이했다. 영평현의 백자제작과 관련된 배경을 살피는 과정에서 조선 초기 주요백자 생산지의 지방관을 두루 역임한 閔恭이라는 인물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민공은 영평현감을 거쳐 남원부사와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며 그가 남원부사와 경상도관찰사를 거치는 기간은 두 부임지의 백자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기간과 일치한다. 이와 함께 민공과 인척관계에 있던 다른 여흥민씨들이 지방관으로 머물렀던 경기도 광주와 강원도 양구 역시 조선 초기 백자를 생산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경기도 영평현을 시작으로 경기도 광주, 강원도 양구, 전라도 남원, 경상도 고령과 상주 등의 백자 생산은 여흥민씨 지방관들과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흥민씨 지방관들은 太宗 이후 외척의 숙청으로 위축된 가문의 입지를 회복하고자 조선 왕실이 선호했던 백자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또한 ‘永平’명백자와 같이 地名만이 표시된 백자는 선행연구에서 접근된 바와 같이 해당 군현에서 소속된 道를 거치지 않고 도성으로 직접 瓷器를 납입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명이 그릇에 표시되는 배경에 대한 유추는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생산된 지명이 표시된 분청자와의 연관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This study is the approach to a site of making a white porcelai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had not been conventionally mentioned, and to a cause for being indicated the relationship of its local governor and a place name in a white porcelain, through introducing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that appeared newly. The making site of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is Yeongpyeonghyeon(永 平縣) in Gyeonggi Province. Yeongpyeonghy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was having deep correlation with royal family as a Gangmu field(講武場) of many kings in Joseon. There was a case that kings utilize Sagiso(沙器所) as the accommodation that will be used when staying in a region due to hunting. In those days, Yeongpyeonghyeon(永平縣) was situated extensive forests and mountains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hunting ground of royal family, thereby having been easy to secure firewood for baking porcelain(瓷器). At that time, Yeongpyeonghyeon(永平 縣) was available for obtaining white clay around and even for securing fuel and water.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ackground related to manufacturing a white porcelain in Yeongpyeonghyeon, the existence of a figure called Mingong(閔恭) can be grasped who was in charge widely of a local governor in the major white-porcelain manufacturing sit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for Mingong(閔恭), the period that he passes through Namwon-busa(府使) and Gyeongsangdo governor while serving as Namwon-busa(府使) and Gyeongsangdo governor after going through Yeongpyeonghyeon-gam(永平縣監) is consistent with the one that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in two places had been made actively. Along with this,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and Yangu in Gangwon Province where other Yeo Heung Min family members related by marriage to Mingong had stayed as a local governor also produced a white porcelain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in Gwangju of Gyeonggi Province, Yangu of Gangwondo Province, Namwon of Jeollado Province, and Goryeong & Sangju of Gyeongsangdo Province beginning from Yeongpyeonghyeon(永平縣) in Gyeonggi Province to which this study pays attention is judged to likely have kept deep correlation with a local governors from the Yeo Heung Min family. The local governors from the Yeo Heung Min family would strive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that royal family in Joseon had preferred in order to maintain the family that had been shrunken by purging the maternal relatives following king Taejong. Also, the white porcelain, which is marked only a place name like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is grasped to correspond to a case of directly delivering a porcelain to a capital city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vince to which the corresponding Gun and Hyeon(郡 縣) belong. The inference on the background that a place name is indicated in a bowl is confirmed even through correlation with Buncheong porcelains that are displayed a place name of having been produced in regions of Jeollado Province and Chungcheongdo Provin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