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행지 정보원천과 여행지에서의 만족도와의 관계 : 멀티레벨 모형분석

        전조아(Juan Jo a)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4

        Travellers tend to search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a trip to a certain destination to get as much experience as possible.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ravellers choose a destination which satisfies one’s needs the most. So many different and diverse informations are poured into the sea of information where travellers surf through and it can be assumed which information source affect the satisfaction of travellers more than any other and set a marketing strategy accordingly.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irst, source of destination information on both multi level model based on destination and multi level model based on househol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vellers’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satisfaction of travellers showed upward trend. Second, correlation index of households visiting the same destination showed lower than anticipated figure. It could be assumed that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re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destination. However, correlation index on destination showed 25% higher in comparison with same household visiting different destination based on the multi level model on household. These test result showed that although original sourc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from on line as it is easier to get access to those information, travellers rely less on online information resulting in lower satisfaction on destin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system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online information so that travellers make a more reasonable decision. 여행객들은 여행지 장소선택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사전조사, 수집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고자 한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여행객들은 수많은 여행상품과 서비스 중에서 자신의 욕구를 가장 만족시켜줄 여행지를 선택할 범위가 확대되었다. 수많은 정보가 다양한 소통채널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행객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정보를 가지며 어떠한 정보원천이 여행지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효과적인 홍보 및 마케팅전략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지 기준 멑티레벨 모형과 가구기준 멀티레벨 모형에서 모두 여행지 정보원천 유형은 여행지에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신뢰수준이 높은 정보원천일수록 여행지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추정하였다. 둘째, 같은 여행지를 방문한 많은 가구들의 상관관계는 예상보다 낮은 수준이다. 여행지의 공통된 특성이 있더라도 여행하는 가구특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반면 가구기준 멀티레벨 모형에 따르면 특정 가구가 다른 여행지를 방문하더라도 각 여행지에서 상관관계는 25%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 KCI우수등재

        일본인 쇼핑 관광객의 여행지에 대한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쇼핑 관련 기능적 일치성과 여행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병희,Matsuda Emi,박설우,김정운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shopping tourists’ destination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tourists’ destination-self congruity and shopping- related functional congruity on destination satisfaction, moderated by the self construal level. The Tourists’ destination-self congruity construct has been divided into two sub-constructs, namely private (actual and social) self congruity and public (social and ideal social) self congruit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two types of self-congruity affect destination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hopping-related functional congruity.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the tourists’ self construal level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self congruity and destination satisfac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300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roughout October of 2015 who had a shopping purpose for their travel. Results from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Lisrel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most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Specifically, the results show that private destination-self congruity and shopping-related functional congruity affect tourists’ destination satisfaction. Also, the two types of self-congruity affect functional congruity. According to a moderation analysis of the self-construal level,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1) Independent self-construal magnifies the impact of private self-congruity on destination satisfaction. 2)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agnifies the impact of public self-congruity on destination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방문한 해외 쇼핑 관광객의 여행지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을 목적으로, 관광객들이 여행지에 대해 갖는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쇼핑 관련 기능적 일치성이 여행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이러한 관계에 대한 자기해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이미지 일치성을 내적(실제적, 이상적) 및 외적(사회적, 이상적 사회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으로 구분하여 두 가지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직접적으로 여행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기능적 일치성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함께 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개인 차원 속성인 자기 해석(독립적, 상호의존적)이 자아일치성과 여행지만족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0월 한 달 간 한국으로 쇼핑 여행 경험이 있는 일본인 관광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Lisrel을 통한 구조방정식 분석 및 조절 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결과 본 연구 가설이 대부분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여행지에 대한 내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은 여행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 외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은 기능적 일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적 일치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 해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독립적인 자기해석이 높을수록 여행지에 대한 내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여행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높을수록 여행지에 대한 외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여행지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쇼핑관광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페이스북 포스트의 여행지 사진유형과 사용자의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에 따른 광고효과

        박은아,우연후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7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type of destination image on Facebook increases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destination and desire to travel. More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will moderate the advertising effect, so we tested th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the destination and willingness to visit and recommend based on the type of destination image (presence/absence of a tourist in the image) and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high/low). As a result, when a tourist was present in the photo, positive attitude toward destination was higher than when absent. In addition, the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showed greater attitude toward destination and higher willingness to visit and recommend than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when a tourist was present in the image. However, the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show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tourist. This research not onl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as it experimentally tested advertising effect depending on type of destination image and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but also holds practical significance as it suggests advertisement method to consider consumer’s predisposition. 본 연구는 Facebook에 게시된 여행지 사진 중 어떤 유형의 사진이 더 여행지에 호감을 느끼도록 만들고 떠나고 싶은 의향을 불러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차 특성인 공적 자기의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여행지 사진유형(여행자 존재 여부)과 공적 자기의식 정도(고/저)에 따라 여행지 태도와 여행지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모습이 여행지 풍경 속에 존재하는 경우, 여행지에 대한 호감이 인물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여행자 모습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행지에 대한 호감도,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게시되는 여행지 사진에서 인물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공적 자기의식 수준이 여행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여행지 홍보에 있어서 사진제시 방식과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의 학교교육 현황: 교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지수 ( Jis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4

        여행지리 수업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여행지리 수업 운영과정,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중점을 둔 과목의 정체성과 차별화 전략, 제약요인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여행지리 수업에 타 지리과목에서보다 다양한 수업방식을 더 많이 병용하고 있으며, 이때 영상자료, 교사용 지도서, 여행/지리 서적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있어서는 지필평가보다 수행평가의 비중을 늘리는 추세로, 특히 여행 계획서 작성과 진로여행 계획서 작성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수행평가를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수업개설 전후 모두 학생들이 여행지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는 절반을 조금 넘는 가운데, 본격적인 수업시작 이후 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 경우도 이에 버금가는 비중을 보였다. 절반에 가까운 교사들이 지리과목으로서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수업을 운영했으며, 주로 교과내용의 깊이를 얕게 설정하거나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으로 시각자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여행지리 수업을 타 지리과목과 차별화하였다. 여행지리 수업의 제약요인으로는 평가체계로 인한 어려움 및 문항 개발의 부담, 부족한 교수·학습자료, 과목의 목적·방향성과 학생의 기대 간 괴리, 수업난이도 조절의 어려움 등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ravel Geography, students’ reactions to the subject,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at teachers have focused, and constraints of the subject in 50 high schools. Teachers have used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than other geography classes, and actively utilized video materials, teacher guides, and travel/geography-related books. In the evaluatio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creasing than that of paper-based assessment. In particular, project-type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the theme of travel planning and career travel planning were most frequently conducted. A littl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ravel geography both before and after class opening, 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lowered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after the class began was comparable. Nearly half of the teachers operated travel geography classes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s geography subject, and differentiated the classes from other geography classes by using strategies such as setting the curriculum depth shallow or actively using visual materials with various student activities. Constraining factors of the travel geography class were the difficulties due to the evaluation system, the burden of item development,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gap betwee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subject and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he class difficulty.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김해시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손민석,이진희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로선택과목인 여행 지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여행지리 선택의 주된 이유로 ‘여행’이라는 소재에 매력을 느꼈다고 답했으며, 학습 분량과 내용 수준은 적절했다고 밝혔다. 여행지리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단원으로 여행의 목적과 방법, 기후 및 지형과 관련된 단원을 주로 선택했으며, 가장 어려웠던 단원으로도 기후 및 지형과 관련된 단원을 선택했다. 여행지리만의 차별성으로는 여행에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의 제공으로 인한 유용성,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학습 내용으로 인한 학습의 수월성 등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공간정보기술과 야외조사활동의 도입과 활용,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쓸모있는 학습 내용의 추가, 여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활동의 도입, 여행과 관련된 진로탐색의 기회 보장, 시각 자료 활용의 확대 및 강화 등을 제안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여행지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여행’의 의미에 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를 해소해야 할 필요성, 둘째, 여행지리 교수・학습 자료의 다양화 필요성, 셋째, 여행지리 학습의 풍부화를 위한 GIS의 도입 및 활성화의 필요성, 넷째, 지리와 관련된 진로 탐색 기회 확대의 필요성이다. This study examine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ravel geography, a high school career elective subject.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were attracted to the subject of ‘travel’ as main reason for choosing the travel geography, and the amount of study and the content level are appropriate. Units related to the purposes and methods of travel, climatology, and geomorphology were selected as the units that bes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vel geography. The units related to climatology and geomorphology were selected as the most difficult units. Students believe that the subject is useful and easy to learn. Students suggest several ways to improve the travel geography including utilization of geospatial technologies and fieldwork, practical activities related to travel, and more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Implications related to travel geography were derived. First, the need to resolv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meaning of ‘travel’. Second, develop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bject. Third, necessity of introducing GIS and its application to enrich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travel geography class. Fourth, more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geography.

      • KCI등재

        여행지리 정착을 위한 세 가지 질문과 도전

        김기남 ( Kina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1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정착을 위한 조건을 세 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질문은 여행지리의 목적이자 존재 이유인 ‘왜?’이다. 여행지리는 다가올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심리적으로도 진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목표 성취를 가능하게 해준다. 두 번째 질문은 여행지리 과목 콘텐츠에 대한 ‘무엇을?’이다. 지리교과 내용은 여행을 체계적으로 잘 조직할 수 있는 학문적 특성을 토대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리를 통해 더욱 유의미한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세 번째 질문은 수업의 방법에 대한 ‘어떻게?’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 내용을 현실 공간에 적용하여 이해하는 성격의 과목이다. 다양한 자료와 색다른 방식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 학습도 가능하다. 제시된 질문들에 대한 답을 통해 여행지리는 지리교육에서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re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condi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tourism geography subject, which is a career elective subject in the Korean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rst question is ‘why?’, which is the purpose and reason of existence of the tourism geography. Tourism geography is a subject that prepares for the future society, and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overall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it provides useful psychological effects to students preparing for a career path. The second question is ‘What?’ about the contents of the tourism geography subject. The content of geography curriculum ha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that can systematically organize tourism. Therefore, more meaningful travel can be made through geography. Tourism geography is a subject to understand geographical knowledge authentically by apply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to real space. Tourism geography classes can utilize a variety of materials and unique teaching methods. The tourism geography class can utilize a variety of materials and unique methods, and it is also possible to explore and learn about social issues. Answering the questions presented, tourism geography will be an important subject in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이동민 ( Dong Min Lee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 원문을 한글 기반 의미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 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는 여행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리학의 주요 개념, 그리고 2015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이 자 진로선택 교과의 신설 배경이기도 한 미래사회 및 진로 관련 개념들을 통합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신설된 여행지리 교육과정이 과목 신설의 취지 및 목표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여행지리 과목의 교육과정이 보다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려면, 여행이라는 주제가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육활동에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되고 적용되어 ‘여행지리’의 정체성을 보다 확고하게 할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South Korea.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ravel geography curriculum was analyzed using the KrKwic, which is a sematic analytic software that processes Korean linguistic ma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eyword travel had a semantic pattern that linked geographic concepts and career education, which was one of the problems faced by the earlier curriculum. This is considered a positive pattern because it implies that the new travel geography curriculum greatly reflect the subject’s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to strengthen learners’ understanding of travel geography by creating more links between travel to other target geographic and educational concepts. These changes in learners an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travel geography.

      • KCI등재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강창숙(Kang, Chang-S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여행이라는 주제와 형식으로 교실 수업에서 지리교과의 유용성, 흥미, 공감능력 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양국의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을 토대로 여행지리와 관광지리 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비교, 분석 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 여행지리 교과서의 편찬과 성공적인 교실 수업 실행에 구체적인 시사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newly developed curriculum of Travel Geograph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Tourism Geography in China. Travel Geography Curriculum comprises subject objectives,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reflect the core concept of geography. It utilizes travel as the topic and frame to raise the availability, interest and empathy in the geography classroom. The main research contents ar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ubject character,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of the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extbook compilation of the Travel Geography and its Practice classroom teaching-learning.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 실천과 학습자 인식 특성

        강창숙,이영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and learners’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subj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curriculum was planned with the goal of “classes that are helpful for students’ career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for thi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classes that help record student records, classes where geography can be used in daily life, classes that can form a positive sense of place, and classes aimed at travelers and activists with global citizenship.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travel geography classes appeared in five categori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o be an interesting class, a class to experience travel, a subject to learn practical travel knowledge, a subject to learn geography through travel, and a useful subject for careers. The four concepts of interest, travel, practicality, and geography showe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s key categories of an “interesting class,” but the frequency of career-related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silent and non-responsive”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also high. This disproves that many students did not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in travel geography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focused on “geography” the identity of the travel geography subject, but the learner focused on “trave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 특성을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 교육과정의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목표로 생활기록부 기록에 도움이되는 수업, 지리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긍정적인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는 수업, 세계시민의식을 가진 여행자와 활동가를지향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여행지리 수업에 대한 인식은 재미있는 수업, 여행을 체험하는 수업, 실용적인여행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 지리를 여행으로 학습하는 과목, 진로에 유용한 과목의 5개 범주로 나타났다. 재미, 여행, 실용성, 지리의4개 개념은 ‘재미있는 수업’을 핵심 범주로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진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밖에 설문지 응답에‘침묵하고 무응답’하는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당수 학생이 여행지리 수업 활동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경험하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교사는 여행지리 과목의 정체성을 ‘지리’에 두었지만, 학습자는 ‘여행’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이경한(Yi, Kyeong Ha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으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을 분석하였다. 두 과목은 세계시민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다양성의 이해를 주요 학습 내용으로 담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은 내용면에서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가지고서 세계시민교육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반면 세계지리 과목은 지역 분쟁, 사막화에 따른 지역 문제, 지역 분리 운동, 자원의 정의로운 분배 등의 비판적 관점도 담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의 비판적 관점은 세계지리에서 분쟁, 지역문제, 분리, 분배를 구조적 측면에서의 비판적인 이해를 강조하면서, 이의 해결방안으로 정의의 실현을 제시하고 있다. 여행지리에서는 여행의 불공정과 부정의도 살펴보도록 유도하고 여행자의 책무성, 공정과 대안을 강조하지만 여행의 특성상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의 다양성 이해는 학교 수업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지리과목은 타자의 입장에서 다양성을 관조하게 만들고 지나치게 객관화함으로써 다양한 경관, 문화, 환경, 지역문제, 여행 등에 대한 심적이고 구조적, 비판적 이해를 소홀히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지리과목이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어서 비판적 관점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지리교사는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을 균형 있게 가진 역량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교사는 비판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고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세계 다양성의 이해와 세계 쟁점에의 비판적 참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변혁적 학습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sed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through neo-liberal and critical viewpoi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ey have many contents about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which deals in GCED importantly. Two geography curriculums provide many contents of GCED with neo-liberal viewpoint. World geography includes critical viewpoint based on regional conflicts, desertification problems, regional separation movements, righteous distribution of resources etc. The critical viewpoint of GCED in world geography emphasizes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disputes, regional issues, distribution etc. with structural aspect, and guides the realization of justice with problems solutions of these. Travel geography guides students’ identification about unfairness and injustice of travel, and emphasizes travelers’ responsibility, fairness and alternatives. But this travel geography is in circle of neo-liberalism viewpoint mainly.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in two geographies provides important contents for GCED in schools. Geography make a understanding of diversity with other’s perspectives objectively, but it can neglect the critical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about diverse landscape, culture, environment, issues, and travel etc. So geography is necessary to deal critical viewpoint also, because geography has mainly neo-liberal viewpoint. Geography teachers should have the harmony of neo-liberal viewpoint and critical viewpoint to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 Geography teachers should critically re-conceptualize geography curriculum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students is necessary to aim transformative learning to understand global diversity and critically participate with global issues in everyda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