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Contrastive Analysis on Information Structure in English and Korean

        김경열(Kim Kyung-Y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정보구조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방식은 각 언어마다 다르므로 어떤 언어의 정보구조는 그 언어만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의해 실현되고, 두 언어사이의 정보구조에 대한 해석은 그 언어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변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구조의 표현과 해석의 차이점을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각 언어의 특성을 변별해주는 언어적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특히 정보구조의 특성과 관련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구조의 규칙성과 언어적 성향을 밝힘으로써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간 차이점을 이해하고자 한다. 주어-중심적 언어인 영어(주어-동사-목적어 어순)는 구조적장치(분열문, 형식적 주어의 사용, 비지시적 대명사의 사용 등)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화제-중심적 언어인 한국어(주어-목적어-동사 어순)는 문법적 혹은 형태론적 특성(예, 주격 접미사와 정보구조와의 관계)이 정보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정보구조를 전달하는 언어적 방식과 차이점이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두 언어를 비교분석하는데 중요한 언어적 변인임을 강조한다. Languages differ in the way in which they deal with the manifest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in term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examines some ty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ith respect to the questions of how far and in what ways the linguistic realization of given-new information structure can be varied. As for the language-specific factors that characterize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English and Korean, it is proposed that as a SVO-language and a subject-prominent language, English prefers dummy subjects, non-referential pronouns, and clefting constructions. As a SOV-language and a topicprominent language, Korean lacks dummy or non-referential pronouns like it or there. A general typological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n in relation to information structure is that English tends to rely on structural devices (e.g., clefting sentenc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Korean shows a tendency that grammatical or morphological devices paly a significant rol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 KCI등재

        언어 정보 구조를 중시하는 연구 언어 연구의 새로운 시야 개척 (2)

        陸劍明(Jian-Ming Lu),辛勤英(Geun-Young Shin)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인도유럽어의 간섭에서 벗어나 순수한 시각으로 중국어를 보자”는 1980년대 초 朱德熙의 중국어 문법 연구에 대한 호소로, 학계에서는 이에 호응하며 많은 연구의 길을 걸어왔다. 따라서 본고 역시 이러한 흐름에 입각하여 중국어 언어 정보 구조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중국어 문법을 심도 있게 분석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언어의 기능과 언어의 본질적 속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본고에서는 언어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이 정보 전달이며, 언어 자체는 소리와 의미가 서로 결합하여 계층성을 지닌 복잡한 부호 체계로 여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정보 전달’이라는 언어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장이 전달하는 정보는 문장 자체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하였고, 국내외 언어 정보 구조 연구에 대해서 요약하여 소개했다. 문장 구조와 문장 정보 구조의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실효성을 설명하였다. In the 1980s, Professor Zhu Dexi proposed that we should keep away from interferences of Indo-European languages and study Chinese grammar unostentatiously. Since then, the academia has made positive responses and explored various new ways. This paper features another such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information structure. It first reconsiders the basic function of language as conveying information and views language in itself as a complicated, multi-level system of signs that combine sound and meaning. It further points out that it is this basic function of language that makes what language is like now. The paper then argues that information conveyed by a sentence is not the same thing as its meaning. This is followed by a focused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sentence structure and sentence information structure and how analysis of the latter has effectively solved a few problems arising in Chinese grammar. The paper finally calls for more studies of Chinese grammar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information structure.

      • KCI등재

        언어 정보 구조를 중시하는 연구 언어 연구의 새로운 시야 개척 (1)

        신근영 중국어문논역학회 2022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1

        “인도유럽어의 간섭에서 벗어나 순수한 시각으로 중국어를 보자”는 1980년대 초 朱德熙의 중국어 문법 연구에 대한 호소로, 학계에서는 이에 호응하며 여러 탐구의 길을 걸어왔다. 따라서 본고 역시 이러한 흐름에 입각하여 중국어 언어 정보 구조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중국어 문법을 심도 있게 분석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언어의 기능과 언어의 본체 성질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본고에서는 언어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이 정보 전달이며, 언어 자체는 소리와 의미가 서로 결합하여 계층성을 지닌 복잡한 부호 체계로 여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정보 전달’이라는 언어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장이 전달하는 정보는 문장 자체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하였고, 국내외 언어 정보 구조 연구에 대해서 요약하여 소개했다. 문장 구조와 문장 정보 구조의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실효성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향후 관련 연구의 토대일 뿐임을 언급했으며, 많은 학자들이 이 연구에 매진하길 희망하는 바임을 밝혔다. In the 1980s, Professor Zhu Dexi proposed that we should keep away from interferences of Indo-European languages and study Chinese grammar unostentatiously. Since then, the academia has made positive responses and explored various new ways. This paper features another such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information structure. It first reconsiders the basic function of language as conveying information and views language in itself as a complicated, multi-level system of signs that combine sound and meaning. It further points out that it is this basic function of language that makes what language is like now. The paper then argues that information conveyed by a sentence is not the same thing as its meaning. This is followed by a focused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sentence structure and sentence information structure and how analysis of the latter has effectively solved a few problems arising in Chinese grammar. The paper finally calls for more studies of Chinese grammar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information structure.

      • KCI등재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 어절 사전 구축의 방법과 실제

        이경호 ( Gyeong Ho Lee ),남경완 ( Kyoung Woan Nam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8 No.-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 어절 사전을 구축한 실례를 통해 대규모 언어 자료로부터 다양한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새로운 언어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는 언어 자료의 구축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문제들과 그 해결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대규모 언어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언어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형태론적 중의 어절 사전의 논리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라 언어 자료를 어떻게 구축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사전 집필의 전단계로 코퍼스의 가공 및 예문 추출 방법론에서는 문장 부호를 포함한 어절의 처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전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단계에서는 각 정보 항목 별로 테이블 구조를 구성하는 문제와 정보 항목 사이의 관계를 토대로 테이블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중의 어절 사전에서 제시되어야 할 핵심적인 언어 정보인 공기어 정보의 구축 단계에서는 참조 공기어의 언어적 유형에 따라 정보 기술의 방법을 결정하는 문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the methodology and practice of manipulation of language data by an example of compiling the Korean ambiguous ``eojeol`` dictionary. This is also a practical study on the problems of how we can manage the large-scale linguistic data efficiently. In this work, the process of manipulating language data is constituted by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make a logical structure of dictionary. In this stage, we investigate problems that is related to transformation of corpus, extracting example sentences and processing of punctuation marks. The second stage is to mak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ctionary database. In this stage, we investigate problems that is related to constructing language information as a table structure and organizing the relation among tables. The last stage is to decide principles of description about co-occurrence information tha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ambiguous ``eojeol`` dictionary.

      • KCI등재

        Fokusprojektio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Lee, Minhaeng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본 연구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초점투사 현상을 대조언어학적인 시각에서 논의한다. 일반적으로 강세언어로 알려져 있는 독일어나 영어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 왔던 초점투사 현상이 강세가 변별적인 기능을 갖지 못하는 한국어에서도 관찰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동기였는데, 연구의 결과 한국어에서도 초점투사가 규칙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독일어의 초점투사 현상을 비교적 잘 설명하는 것으로 평가될 뿐만 아니라,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에도 응용가치가 높은 Uhmann (1988, 1991)의 논항구조에 기반한 초점투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독일어와 한국의 초점투사 현상을 적절히 기술하기 위해서는 술어논항 구조를 세 가지 유형, 곧 술어/논항-구조, 수식어/중심어-구조 그리고 주어/술어-구조로 확대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독일어의 초점투사와 관련한 보다 포괄적인 언어자료를 설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새로운 이론을 제안한다. 그런 다음, Uhmann의 화자중심의 초점토사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한국어의 여러 유형의 논항구조에 나타난 초점투사 현상을 독일어의 대응구조와 비교한다. 한국어 초점투사의 논의는 118개의 질의-응답 쌍으로 구성된 초점코퍼스의 음성분석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음성분석의 경우, 표준한국어를 구사하는 남녀 아나운서에게 읽게 한 후 녹음을 한 디지털 음성자료를 음성분석프로그램 Praat를 이용하여 강세분석을 시도했다. 초점투사 현상과 관련하여 독일어와 한국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데, 술어/논항-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두 언어 모두 논항에 강세가 주어지며, 능격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두 언어 모두 주어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반면, 수식어/중심어-구조의 경우 독일어에서는 후행하는 요소에 강세가 주어지지만 한국어에서는 중심어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두 언어간의 다른 차이점들을 들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체층위의 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독일어에서는 술어에 강세가 주어지나 한국어의 경우 주어에 강세가 부여된다. 둘째, 무대층위의 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독일어와 한국어 모두 주어에 강세가 주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중립초점 구문으로 한정했으나, auch/도 nur/만 sogar/조차 등 초점불변화사가 나타나는 구문으로 논의를 확대하면 초점투사에 관한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위키백과 템플릿 네트워크를 이용한 COVID-19 범유행 정보 수집

        김단우,이다민,명재현,정창욱,홍인호,Diego Sáez-Trumper,윤진혁,정우성,차미영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5

        Access to accurate information is essential to reduce the social damage caused by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nformation about ongoing events, such as COVID-19, is quickly updated on Wikipedia, an accessible internet encyclopedia that allows users to edit it themselves. However, the existing Wikipedia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has a limitation in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relationships between documents. The template format of Wikipedia reflects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as a link that is selectively applied to documents with high relevance. This study collected information on COVID-19 in 10 languages on Wikipedia using a template and reorganized it into networks. Among the 10 networks with 130,662 nodes and 202,258 edges, languages with a large number of active users had a template network with a large size and depth, and documents highly related to COVID-19 existed within a 3-hop connection structure.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pplicable to multiple languages and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document lists related to specific topics.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확한 정보의 접근은 필수적이다. 위키백과는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 백과사전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편집을 할 수 있어 COVID-19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사건에 대한 정보가 빠르게 갱신된다. 그러나 기존의 위키백과 정보 검색 방법으로는 문서 간의 관계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위키백과의 템플릿 형식은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문서에 선별적으로 적용되는 링크로 정보의 구조를 잘 반영한다. 이 연구에서는 템플릿을 활용하여 10개 언어 위키백과 내 COVID-19의 정보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구조로 재구성하였다. 총 130,662개의 노드와 202,258개의 엣지로 구성된 10개의 네트워크 중 사용자 수가 많은 언어가 크기와 깊이가 큰 템플릿 네트워크를 가졌으며, 3홉 이내의 연결 구조 내에 COVID-19와 연관성이 높은 문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여러 언어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 검색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한 문서의 구축에 기여한다.

      • KCI등재

        제2언어 정보구조와 원어민의 학습자 발화 이해도 간 관련성 연구

        양인영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9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information structure and second language speech comprehensibility. This study first examined whether the felicitous use of construction w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2 speech comprehensibility score and, second, revealed to whom and when the instruction of English information structure would be of most benefit in L2 English classrooms. A total of 32 spontaneous speech samples of Korean adult speakers of L2 English were analyz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struction felic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omprehensibility score along with the foreign-accentedness score. The benefit of construction felicity was most evident among the students with the intermediate level of foreign-accentedness scores, thus implying that the L2 English speakers with a medium degree of foreign-accentedness may have the most benefit of felicitous information packaging.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however, was not prov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Suggestions are made on integrating information structure in teaching speaking. 본 연구는 정보구조가 원어민들의 제2언어 발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에 대해 관찰하고 논의한다. 첫째, 화용적으로 적절한(felicitous) 구조의 사용은 제2언어 발화 이해도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는가? 둘째, 적절한 구조의 사용은 학습자들의 외국인 말투 정도에 따라 원어민들의 학습자 발화 이해도에 다른 영향을 주는가? 이 두 문제에 대해 답하기 위하여 32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발화를 분석하였다. 중회귀분석 결과, 구조 사용의 적절성 여부는 외국인 말투 정도와 함께 원어민들이 인식한 발화 이해도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였다. 즉, 외국인 말투 정도가 낮고, 구조의 사용이 화용적으로 적절할수록 발화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구조의 역할은 보통 정도의 외국인 말투를 지닌 학습자들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 교육에서의 정보구조의 중요성과 적절한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황정보에 기반한 한국어대화의 전산적 처리와 표상구조의 구축

        이동영,Lee, Dong-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6

        한국어대화에서는 존대현상(honorification phenomenon)이 일어나기도 하고, 존대대명사(honorific pronoun)가 사용되기도 하며, 맥락상 되찾을 수 있으면 주어나 목적어가 완전히 생략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언어현상이 일어나는 한국어대화를 처리하고 그것의 표상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대화참석자에 관한 정보, 발화문의 화행에 관한 정보. 대화에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상대적 순위에 관한 정보,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문 사이의 정보흐름 등을 묵시적으로가 아니라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이용할 것을 본 논문은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정보(situational information)를 표시하고 이용하는 방법과 한국어대화의 적절한 표상구조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대화표상구조의 설정은 담화표상이론(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과 분할담화표상이론(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을 수정ㆍ확대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서, 본 논문은 한국어대화를 전산적으로 어떻게 처리하고 그것의 표상구조를 구축하는지를 프롤로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보여주고 나서, 그러한 표상구조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발생적 한국어대화에도 적용시켜 본다. In Korean dialogue honorification phenomenon may occur, an honorific pronoun may be used, and a subject or an object may be completely omitted when it can be recovered based on context. This paper proposes that in order to process Korean dialogue in which such distinct linguistic phenomena occur and to construct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we mark and use the following information explicitly, not implicitly : information about dialogue participants, information about the speech act of an utteranc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order of social status for the people involved in dialogue, and information flow among utterances of dialogue.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marking and using such situational information and an appropriate representation structure of Korean dialogue. In this paper we set up Korean dialogue representation structure by modifying and extending DRT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and SDRT (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Futhermore, this paper shows how to process Korean dialogue computationally and construct its representation structure by using Prolog programming language, and then applies such representation structure to spontaneous Korean dialogue to know its validity.

      • KCI등재후보

        계승어별 L1 영어 화자의 담화 정보 민감성-L2 한국어 대용어 습득의 경우-

        옥성수,박세현,김수연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3 No.-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areas of grammar English learners of Korean put more weight on when they encounter ambiguous sentences with respect to anaphor resolution. By conducting a forced-choice task with 3 groups (Korean control group, Korean heritage language English speaker group, English speaker group with English speaking parents), this study shows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heavily rely on pragmatic information unlike what their L1 features indicate regardless of their heritage language background. In order to check whether subjects do utilize structural information such as syntactic distance, linear distance, and grammatical functions of a target expression as well as pragmatic information, we provide two sets of data: a structurally biased one and a pragmatically biased one. Subjects uniformly show their preference for a biased (intended) antecedent in both sets. L2 learners are sensitive to pragmatic information, hence selecting a pragmatically preferred antecedent in a pragmatically biased setting; L2 learners are also aware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L2 well enough to select a structurally preferred antecedent. It supports Cunnings’ Memory retrieval theory in L2 processing. L2 learners have full syntactic information of a target language but they put more weight on pragmatic information when they resolve ambiguous sentences. 본 연구는 영어를 L1으로 하는 L2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대용어 해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피험자들을 부모가 모두 영어 화자인 ‘순수 영어 화자’, 한국어를 계승어로 가지는 영어 화자인 ‘한국어 계승어 화자’, 그리고 통제집단인 ‘한국어 모국어 화자’로 나누어 한국어 대용어 ‘자기’의 선행사 강제 선택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계승어 여부와 상관없이 두 실험 집단 모두 화용 정보에 대한 민감성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들이 대용어가 포함된 실험 문장에서 선행사와의 통사적 거리, 선형적 거리 등과 같은 구조적 정보에 반응하는지 또는 화용적 정보에 민감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문장을 ‘구조 편향 문장’과 ‘맥락 편향 문장’의 두 유형으로 구성하였고, 피험자들은 두 유형에서 모두 편향된 정보에 반응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첫째, 피험자들이 ‘맥락 편향 문장’에서 화용적으로 편향된 선행사를 선택하여 L2 학습자들이 화용 정보에 민감함을 보여주었고, 둘째, 피험자들은 ‘구조 편향 문장’에서 구조적으로 편향된 선행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 L2 학습자들은 목표 언어의 구조도 인지한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lahsen & Felser(2016)의 피상적 구조 가설보다 Cunnings(2017)의 기억 도출 이론을 더 지지하여, L2 학습자들이 대용어 처리에 있어 목표 언어의 구조를 인지하면서 화용적 정보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Current Trends in the Studies of Information Structur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A Book Review of Fernandez-Vest & Van Valin (eds.) (2015)

        ( Yoonji Choi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0 No.-

        본고는 2015년 Fernandez-Vest와 Van Valin에 의해 출판된 논문 모음집 `Information Structuring of Spoken Languag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에 대한 서평 논문으로, 그 동안 정보구조 논의에서 자주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러 언어들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들을 소개하고 비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 구어를 대상으로 하고, 초점을 비롯하여 화제, 대조, 기타 담화적 의미들이 다루어졌다. 상이한 언어들이 보이는 갖가지 형식과 의미의 흥미로운 상관관계가 제시되어 있다. 단, 정보구조 범주들에 대한 개념적 오류를 보이거나, 논의에서 주장하는 형식과 의미의 상관관계가 종종 충분히 증명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지적될 수 있다. 이 책에서 기술된 현상들을 바탕으로, 정보구조적 의미의 지위와 다른 의미들 간의 관계, 정보구조 변이의 주요 매개 변인으로서의 사용역, 한국어와 다른 언어들의 대조 연구 등의 주제들이 활발하게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