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력과 소통의 관계에 관한 일고찰

        이효성(Hyo-Seong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9 No.1

        본고는 권력과 소통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행위론을 도입하여 권력과 소통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려 했다. 권력은 다른 사람에게 의도된 효과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런데 인간은 언표내 행위라는 언어 행위의 수행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의도를 전하고 언표외 행위라는 언어 행위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의도된 효과를 낳으려 한다. 말하자면, 권력은 대체로 언어 행위를 통해서 행사된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물리적 강제력 즉 폭력의 경우는 언어 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리적 강제력이라고 소통과 아주 무관한 것도 아니다. 더구나 다른 유형의 권력은 그 실행을 위해서 반드시 언어 행위를 필요로 한다. 심리적 강제력을 포함하여 권력은 대체로 언어 행위를 매개로 소통과 밀접합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언어 행위론을 통해 권력과 언어 행위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 그리고 더 나아가 권력의 행사는 언어 행위의 하나인 언표외 행위와 동일하며, 권력의 유형에 따라 언어 행위의 유형이 다르며, 언어 행위의 유형이 다름에 따라 그 윤리성도 다르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This paper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speech act theory has been introduced. Power is the capacity of some persons to produce intended effects on others. And the human being tries to get intended effects by perlocutionary acts through performing illocutionary acts, both of which belong to speech acts. Generally speaking, therefore, it can be said power is exercised through speech acts. Of course, in case of exercising physical force or violence, no speech act is needed. However, even violence is not totally unrelated with communication. Moreover, power other than violence is always in need of speech acts for its exercise. Including psychic force, power in general is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by mediation of speech acts. This paper, using speech act theory, attempts to examine that what is the relationship power and communication hold, that the exercise of power is the same as performing speech acts called perlocutionary acts, that the form of power is differentiated by kinds of illocutionary acts used for its exercise, and that morality of power is different according to illocutionary acts used for its exercise.

      • KCI등재

        언어행위론에 관한 일고찰 : 소통학과 권력론을 중심으로

        이효성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본고는 개인간 소통에 초점을 맞춘 소통학과 권력을 수단으로 보는 도구적 권력론의 입장 에서 언어행위론을 고찰하였다. 그 목적은 언어행위론의 소통학 및 권력론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첫째 언어행위론의 가장 큰 기여라고 할 수 있는 언 어적 소통의 의미 규정의 문제를 소통학의 입장에서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언어행위론 이 말하는 소통의 규정과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논의하고, 셋째 언어행위론에 의한 소통과 권 력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그와 관련된 언어행위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언어행위 론과 권력론의 의도성의 문제에 비추어 소통학의 의도성의 문제, 특히 소통의 효과에서 의도 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로 언어행위론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소통과 의미의 이해를 심화시켰고, 권력과 소통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소통학이나 권력론의 관점에서 언어행위론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이들이 서로 보완적 관계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speech act theory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studies which focus on interpersonal verbal communication, and theory of power which sees power as an instrument, that is, someone's means to a purpose. The aim was to search for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speech act theory on the one hand and communication studies and power theory on the other. For the aim,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the problem of establishing meaning, one of the greatest contribution by speech act theory, from the communication studies perspective; secondly, the way that linguistic communication is defined by speech act theory and its problems; thirdly, the relationship mediated by speech acts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s of speech act theory in terms of power theory; and lastly, the problem of intention in communication, especially in its effects, as entailed by speech act theory. As a result of this inquiry, speech act theory, through examining how ordinary language is used,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and meaning, and mediat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ower theory, speech act theory also has some drawbacks, which shows that speech act theory, communication studies, and theory of power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o each other.

      • KCI등재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 ― 가스야 게스케의 『언어·헤게모니·권력』 (고영진·형진의 역, 소명출판, 2016) ―

        김병문 ( Byungmoon Kim )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1

        이 글은 가스야 게스케의 『언어·헤게모니·권력』에 대한 서평이다. 제1장에서는 가스야가 프랑스혁명과 새로운 시민사회의 창출이라는 맥락에서 관념학파의 일반문법을 다루는 의미를 촘스키 및 푸코의 일반문법 이해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이 책의 이해에 핵심적 사항으로 볼 수 있는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근대의 언어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저자의 참신한 시각을 소개하였다. 근대의 새로운 권력 작동 양식인 헤게모니 장치를 염두에 두지 않고는 ‘국어’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다. 이러한 입장은 근대언어학의 자유주의적이고 자연주의적인 언어 이해의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제3장에서는 가스야의 ‘국어’ 발생론을 정리하고 이 책의 또 다른 핵심 개념인 ‘언어에 대한 전체상’의 형성이라는 문제를 다룬다. 하나의 개별 언어에 대한 전체상은 언어가 일정한 영토에 토착한다는 근대적 관점에 기반하는데, 이 전체상은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개별 언어의 ‘전체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저자가 이 책에서 언급한 몇몇 열쇳말을 중심으로 언어적 근대의 극복이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복수 언어의 기능 분담을 허용하지 않는 ‘국어’의 문제, 중립적이고 무표적인 언어를 가정하는 근대 산문문체의 문제, 하나의 단일한 언어를 가정해야 하는 ‘언어공동체’라는 개념의 문제 등이 주로 검토의 대상이 된다. This is a book review of Kasuya Keisuke’s Language, Hegemony and Power, which was translated by Ko, Young-jin & Hyung, Jinni, and published by Somyong in 2016. Section I looks at Kasuya’s analysis of the general grammar of several ideologue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onsequent creation of a new civil society, through a comparison with Chomsky & Foucault’s understanding of general grammar. Section II discusses a central theme of the book:the fresh perspective which the author introdu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sci’s theory of hegemony and the language problems associated with modernity. The author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understand the idea of ‘a national language’ without considering the device of hegemony, which constitutes a new style of power operation in modern times. Section III deals with Kasuya’s evolutionary theory of a ‘national language,’ and addresses the problem of how a ‘holistic view’ of a language can be formed, which is another core concept of this book. The holistic view of any specific language is based on the modern perspective that a language becomes indigenous to a certain territory, and this holistic view is closely related with the ‘holistic function’ which is determined by social power relations. Section IV examines the problem of the conquest of linguistic modernity by focusing on some keywords mentioned by the author of the book. These keywords are mostly concerned with three problems:that a ‘national language’ does not allow the function sharing possible with multiple languages;that a modern prose style assumes the existence of a neutral, unmarked language;and that the concept of a speech community presupposes one single language.

      • KCI등재

        언어 권력과 지역어의 등장에 대한 고찰

        조재형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1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standard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guage power and to examine the movement against it.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due to the power difference between languages ​​can be easily seen in imperialism, and can also be seen between the standard and non-standard languages ​​of a language. The conflict and the language domination phenomenon between the dominant language and the undominant language,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dialect, the main language and the peripheral language are the main causes of breaking the diversity of languages. The vernacular language of Western society developed as an official language through a standard process for a long time, but was transformed into a standard language with the advent of the economic system called capitalism and the political system called the nation-state.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language in Japa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Western society, while the Western society implemented a language policy with the goal of a nation-state, Japan followed the Western powers and implemented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for the purpose of prospering. The standard language in Korea seems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Korean Language Society have continuously pursued the improvement of the linguistic norms for the Korean language in order to acquire the national authority for language standardization. However, in this process, it seems that Japan's Kokuko policy was followed almost as it was.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linguistic power of the 'standard language' was still enormous in that the Korean Language Society (Hangeul Society)'s linguistic regulations were applied mutatis mutandis for a long time. Since the 1980s, there has been a movement around the world to recognize the value of language diversity and dialects. In Korean society, with the full-fledged star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2000s, the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enterprises to the provinces, the enforcemen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mergence of 'vernacular languages', Koreans have positively recognized dialects or regional languages. 이 글은 언어 권력의 관점에서 ‘표준어’의 발생 과정을 고찰하고, 이에 대항하는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언어 간의 권력 차이로 인한 언어의 흥망성쇠는 제국주의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한 언어의 표준어와 비표준어 간에서도 볼 수 있다. 지배 언어와 피지배 언어, 표준어와 방언, 중심 언어와 주변 언어의 대립과 언어 지배 현상은 언어의 다양성을 깨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서구 사회의 표준어는 지역어(vernacular)가 오랫동안 표준 과정을 통해 공용어로서의 기능을 발전해오다가 자본주의라는 경제 체제와 국민 국가라는 정치 체제의 등장과 함께 형성되었다. 일본의 표준어 제정은 서구 사회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서구 사회가 국민 국가를 지향하면서 언어 정책을 실행했다면, 일본은 서구 열강을 좇으면서 부국강병의 목적으로 표준어 정책을 진행하였다. 한국에서의 표준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와 조선어학회는 어문 표준화라는 국가적 권위를 획득하고자 지속적으로 조선어에 대한 어문 규범의 정비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본의 고쿠코 정책을 거의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보인다.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장기간 조선어학회(한글학회)의 어문 규정을 거의 그대로 준용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표준어’가 가지는 언어 권력의 힘은 막대하였다. 198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언어의 다양성과 방언의 가치를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한국 사회에서는 2000년대부터 지방자치제도의 본격 시작,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지방 이전, 국어기본법의 시행, ‘지역어’의 등장 등으로 한국의 언중들이 방언 또는 지역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mmigrant Language Maintenance and Language Ideology

        Mihyon Jeon(전미현),Daehee Kim(김대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 이동과 언어 전환에 관한 언어 상실, 유지, 그리고 재활성화의 개념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이민자들의 언어 유지와 언어 이데올로기 사이의 상관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두 개 이상의 언어가 특정 맥락에서 접촉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 유지, 손실 및 언어 재활성화라는 세 차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언어 유지란 특정 언어 커뮤니티에서 특정 언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언어 상실은 특정 언어 사용 집단이 더 이상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 활성화는 특정 언어의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수 언어에 새로운 언어 형태나 사회적 기능을 추가하려는 시도이다. 언어의 재활성화는 언어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 이민자의 계승어 유지는 소수민족 언어와 더불어 이민사회의 공용어 내지 다수가 사용하는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이중언어 발달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언어의 유지와 활성화 과정에서의 권력의 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이동과 유지 및 이중어어 발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권력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 상실, 유지,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권력 관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언어 이데올로기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 자원이 어떤 사회에서는 검증되고 어떤 사회에서는 무효화되는 기존의 권력 관계의 합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사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의 형태는 기존의 권력 관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maintenance and language ideology of immigrants based on a review of the concepts of language loss,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regarding language shift and reversing language shift. In order to understand what happens when two or more languages come into contact in a specific contex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ree dimensions: language maintenance, loss, and language reactivation. Language maintenance refers to the continuous use of a specific language by a specific language community. Language loss means that a specific language-speaking group no longer uses the language. Language revitalization is an attempt to add a new language form or social function to minority languag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use of a specific language. Revitalization of language is related to reversing language shift. In considering the process of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of language, the issue of power relations is cruc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language shift and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power. Also, in the study of language loss,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anguage ideology alongside an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of power. Language ideology can contribute to the legalization of the existing relations of power in which linguistic resources are verified in some societies and invalidated in others. The form of language ideology held by members of society can be formed by the existing relations of power.

      • KCI등재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 문자, 언어권력의 상관관계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5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 말 겨루기[시합], 문자 및 글을 소재로 한 글 겨루기[시합]가 어떻 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들이 갖는 언어권력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것은 말 에 부여된 예술적 가치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가를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과 언어권력 관계의 고찰을 통해 비의적(秘儀的) 말하기, 기지적 말하기, 대 꾸적 말하기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러한 말하기가 일상적 말하기에 비해 특별한 능력이 요 구되는 말하기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그에 부합하는 보상이 수반되고 있는바, 이는 이들 말 하기가 일상적 말하기에 비해 갖는 언어권력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말하 기 유형은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문자’와 언어권력의 관계를 살피는 데서도 거의 그대로 확 인된다. 그래서 한 구비설화에서 입말과 문자를 수단으로 한 말하기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 에는 어떠할까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둘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제기된다. 그 결과 문자의 우위를 얘기하고 있는 몇몇 설화에서 확인되는, ‘유식/무식’의 구분과 그에 따른 차별 및 인 간 예속화는 실제적 반영이라기보다는 ‘사물화된 문자’를 통찰한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 문 자나 글의 사용여부와는 상관없이 구비설화의 말 겨루기는 사물의 이치를 관통하는 통찰력 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말에 부여된 언어권력과 그 본질의 예술화라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구비설화에서의 말 겨루기를 통해 가장 잘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구비설화에서의 말 겨루기는 ‘말에 부여된 언어권력’을 예술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문학적 장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언어의 위계화와 새로운 언어 권력의 탄생 - 조선 후기 시조(時調) 가집(歌集)의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김풍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Within the realm of the dominant language, a minor language is always under constant threat of marginalization and extinction. For survival, the minor language creates its own space and inscribes in it a new linguistic and cultural topography. Every language attempts to create its own cultural topography. However, most of their efforts fail in facing with the pre-established social, economic, political or cultural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and dominant language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ing ways: extinction, assimilation (absorption), and coexistence. On this account, this paper argues that Eonmun in the song books of the late Joseon period takes following strategies: 1) acknowledging that Sino-Korean classics including Sino-Korean poetry has a long tradition, 2) emphasizing both Shijing and Sijo reflect the true mind of humans through their common musicality, 3) claiming both Chinese character and Eonmun can represent the true mind of humans despite their linguistic differences, 4) finding the unique area of Eonmun in its relationship with Chinese character. In this process, the idea that the Shi is identical with the song or ode first emerged. And it was a pivotal moment for Eonmun, which became a new language power at the dawn of the modern era. 지배 언어의 강한 자장 안에서 소수 언어의 생존은 늘 위협 받는다. 생존을 위해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고 거기에 새로운 언어 문화적 지형도를 만든다. 어떤 언어든 자신을 중심으로 문화적 지형도를 만들려고 애를 쓴다. 그러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혹은 문화적 환경 때문에 그러한 노력은 대부분 무위로 끝난다. 언어들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관계는 그 전략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 하나의 언어가 소멸되거나, 다른 언어를 흡수하여 동화시키거나, 혹은 공존을 선택한다. 그렇게 볼 때, 조선 후기 가집에서 보이는 언문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한시를 포함한 한문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② 노래로서의 한시 문학인 『시경』과 노래로서의 시조가 인간의 순수한 마음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③ 한문과 언문이라는 표기 차이를 제외하면, 인간의 진정한 마음을 담는다는 점은 같다고 주장한다. ④ 이를 통해서 한문이 담당할 수 없는, 언문만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와 노래가 같다고 하는 ‘시가동도론(詩歌同道論)’이 제기된다. 이것은 근대의 여명기에 언문이 급격하게 자신의 영역을 확대하면서, 끝내 새로운 언어 권력으로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언어의 위계화와 새로운 언어 권력의 탄생 -조선 후기 시조(時調) 가집(歌集)의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김풍기 ( Pung Gi Kim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지배 언어의 강한 자장 안에서 소수 언어의 생존은 늘 위협 받는다. 생존을 위해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고 거기에 새로운 언어 문화적 지형도를 만든다. 어떤 언어든 자신을 중심으로 문화적 지형도를 만들려고 애를 쓴다. 그러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혹은 문화적 환경 때문에 그러한 노력은 대부분 무위로 끝난다. 언어들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관계는 그 전략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 하나의 언어가 소멸되거나, 다른 언어를 흡수하여 동화시키거나, 혹은 공존을 선택한다. 그렇게 볼 때, 조선 후기 가집에서 보이는 언문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한시를 포함한 한문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② 노래로서의 한시 문학인 『시경』과 노래로서의 시조가 인간의 순수한 마음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③ 한문과 언문이라는 표기 차이를 제외하면, 인간의 진정한 마음을 담는다는 점은 같다고 주장한다. ④ 이를 통해서 한문이 담당할 수 없는, 언문만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와 노래가 같다고 하는 ‘시가동도론(詩歌同道論)’이 제기된다. 이것은 근대의 여명기에 언문이 급격하게 자신의 영역을 확대하면서, 끝내 새로운 언어 권력으로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Within the realm of the dominant language, a minor language is always under constant threat of marginalization and extinction. For survival, the minor language creates its own space and inscribes in it a new linguistic and cultural topography. Every language attempts to create its own cultural topography. However, most of their efforts fail in facing with the pre-established social, economic, political or cultural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and dominant language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ing ways: extinction, assimilation (absorption), and coexistence. On this account, this paper argues that Eonmun in the song books of the late Joseon period takes following strategies: 1) acknowledging that Sino-Korean classics including Sino-Korean poetry has a long tradition, 2) emphasizing both Shijing and Sijo reflect the true mind of humans through their common musicality, 3) claiming both Chinese character and Eonmun can represent the true mind of humans despite their linguistic differences, 4) finding the unique area of Eonmun in its relationship with Chinese character. In this process, the idea that the Shi is identical with the song or ode first emerged. And it was a pivotal moment for Eonmun, which became a new language power at the dawn of the modern era.

      • KCI등재

        언어에 대한 본능과 훈습의 관계 규정하기

        원혜영 ( Hae You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이 논문은 언어에 대한 본능과 훈습의 관계를 불교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다르마끼르띠가 ``갓난아이의 知``를 거론한 것은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그는 "언어는 언제부터 우리가 접한 것인가? 언어는 어떤 경로를 통해 인식되어 사용되는가?"에 관련된 질문들을 풀어내고 있다. 다르마끼르 띠의 논의는 언어가 가진 인식론적 입장을 구조적으로 설명한다. 언어의 권 력은 ``순수 감각이 언어와 합치되는 순간에 힘을 얻어 나갈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언어의 심오함은 그 심층구조에 있으며 평범한 기술적 장치가 아니 라 반응하는 생동감에 있다. 순수감각(nirvikalpaka)의 이동은 심층에서 표층 으로 나아가며 이것이 언어의 본능이고 훈습으로 인해 형성된다. 언어가 지 닌 권력은 그 사용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역사성과 고원성에 있다. 언어의 학습은 성인들에 의해 주도된다. 현대뿐만 아니라 고대 불교 및 인도 여러 학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불교 전반에서 언어는 긍정적이지 못하다. 텍스트에서 언어 자체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에 집착하는 것은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다고 규정한다. 놀랍게도 희 론을 통해 불교의 깨달음을 배워가고 학습하게 된다. 불교에서 언어는 절 박하게 사용되어 깨달음에 기여한다. 언어는 지적인 보편성을 통해 거부할 수 없는 권위적 요소를 지녔으며, 이 것은 중관사상 및 유식 사상 등에서 언어에 대한 절박성에서 오는 부정적 이 미지를 벗어나게 해준다. 감각적인 지각을 통해 접근하거나 경전을 읽으며 겪는 난해한 추리 등도 모두 언어의 영역에 속한다. 언어는 깨달음으로 가는 먼 여정을 단축시키는 탁월한 능력을 소유한다. 경전의 권위는 이것을 증명 한다. 경전의 권위는 이론과 수행을 합법화하는 것에 있으며 성인들의 감각 적 경험의 필수적인 완성이 서술되는 곳이기에 언어의 몫은 중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instinct and Vasana, focusing upon Buddhist texts. Dharmakirti`s mention of the intelligence of a newborn offers a number of implications. He addresses questions about human beings` very first contact with language, and the channel through which language is perceived and used. His work is a good explanation of the epistemological stance of languag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ower concerns ``the structure where pure sense meets language in order to instantly gain power.`` The profoundness of language lies in its deep structure and its responsive vitality, as opposed to ordinary technical instruments. Pure sense moves from depth to surface, where linguistic instinct is molded through Vasana. One can see how the power of language is not in its use, but in its historicity and lofty structure. The learning of language is controlled by adults, a fact upon which Buddhism and many other disciplines in India agree. Buddhism, in general, does not regard language as positive. Despite the vigorous use of language throughout Buddhist texts, clinging to language itself is taboo and is a hurdle to enlightenment. Ironically, it is through prapanca that one learns about Buddhist enlightenment, but it is the desperate use of language that helps bring enlightenment.

      • KCI등재

        정치언어학의 철학

        홍윤기(Yun Gi Hong) 철학연구회 2011 哲學硏究 Vol.0 No.95

        이 글은 정치언어학의 정립가능성을 철학적으로 탐구한다. 우선 이 글은 정치언어 연구의 현실적·학문적 필요성을 제시하고, ``정치언어``의 개념을 정의한다. 정치언어란 권력행사의 정당성과 효과성을 통해 공동체성을 제고하는 데 적합한 성격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의 언어군과 담화행위에서 정치행위와 동시적으로 선택된 정치특정적 언어와 담화행위라고 규정된다. 정치현장과 근접시켜 정의하면, 정치언어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는 정치행위들에 투입된 텍스트를 구성하는 말과 글로서, 본래부터 오직 정치행위를 위하여 특정된 언어체계나 언어어휘는 존재하지 않으며, ``정치적인 것``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생활세계 전반에서 활성화되는 각종 언어표현체와 담화행위들로 채택되어 ``정치적 언어로 변형되는 과정`` 즉 ``정치언어화``의 소산들이다. 이 글은 이렇게 정치언어의 기본단위를 정치텍스트로 잡아, 그것이 정치적인 것의 요청에 따라 문장적으로 배열되는 규칙(정치적 구문론), 그것의 효과유발을 보장해 주는 정치적인 것과의 관련(정치적 의미론) 및 정치텍스트의 생성자와 그것이 생산되는 담화행위유형 등(정치적 화용론)을 고찰하여 정치언어 연구의 골격구조를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밝혀진 정치언어의 이상적 존립양상에 따라 정치인의 ``정치적합성 테스트(PAT)``를 위한 척도와 민주시민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