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왜 벽지불로 인해 공덕을 얻으려하는가 -벽지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해-

        원혜영 ( Hae You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5 No.-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벽지불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음은 초기불교 전통에서 벽지불이 ``홀로 깨달았다``란 어원적 이미지가 전혀 낯설지 않게 작용하여, 벽지불이 행한 행적들과 수행하는 모습은 대중들에게 신비적이고 존경의 대상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홀로(eka)"는 문자적 의미가 아니라 상징적으로 종교적 삶 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벽지불은 스승 없이 깨달아서 사람들에게 복과 이익을 주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게 하는 이유로 존경의 대상이다. 벽지불에게 공양해서 공덕을 쌓는 에피소드는 보시와 공덕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텍스트에서 벽지불의 위상은 역사적 건축물 속에서도 실행되었기에 잊혀져가고 있는 존재를 떠올리게 한다. 현장은 인도를 방문한 7세기 동안, 많은 스뚜빠가 벽지불을 기념하여 세워진 것을 발견한다. 벽지불의 위상은 스뚜빠로 이행되어 존재감을 이어갔다. 붓다와 벽지불은 동시에 함께 존재할 수 없다. 다른 대다수의 학자들은 벽지불의 출현이 무불시대의 현상이라고 믿는다. 붓다와 아라한, 그리고 벽지불이 가진 성격들로 인해 그들 사이에 차이는 있다. 벽지불의 신통력은 텍스트에서 주목되어 그에게 공양하여 전생에 쌓은 공덕이 중요한 미래 삶을 좌우한다. 벽지불의 신통력은 붓다만큼이나 그의 위상을 대변한다. 벽지불이 가진 근본적이고 보수적 이미지를 재고하고 탈피하 게끔 만들 수 있는 치밀한 고증들이 존재하기에 ``벽지불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관련된 논의가 가능하리라 본다.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w concept we generally know as pratyekabuddha. "Self-enlightenment (or realization by self alone)" in the early Buddhist tradition is not uncommon. Just look at the mystical and performance arts of the pratyekabuddha in respect to the public as the audience. The literal meaning of "eka (or alone)," is to enter into religious life symbolically. Hae-Young, Won This is special because in pratyekabuddha, there is no teacher and the enlightenment comes to the self without guidance from a teacher. This is the reason to give blessing and benefit to the people born in the heaves in respect to pratyekabuddha. Building merits as offerings were a clearly professed practice in pratyekabuddha. As recorded in the Buddhist text, Hsuan-tsang, he visited India during the seventh century and visited numerous pratyekabuddha stupas. Pratyekabuddha and Buddha cannot exist simultaneously in a single era.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emergence of pratyekabuddha was during the period where ``Non-Buddha`` phenomenon prevailed. The magical powers of pratyekabuddha were note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The merit gained in one``s previous life is important to the future life. The magical powers that are taught by pratyekabuddha are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practice. Stock images are fundamentally about pratyekabuddha and tend to be conservative. In this manner, his images can be newly reestablished. And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careful historical research of the past and even present.

      • KCI등재

        돌아온 탕자 텍스트에서 볼 수 있는 인간 자유를 행한 열망

        원혜영(Hae-Young Won) 한국민족사상학회 2023 민족사상 Vol.17 No.1

        자유는 모든 욕망을 추구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법화경의 장자궁자(長者窮子), 누가복음의 탕자, 렘브란트의 '방탕한 아들의 귀환'과 앙드레 지드의 문학작품, 완월회맹연 등이 수록된 '타락한 아들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의 근간이자 토대이다. 이는 개인의 부나 지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자연적 성향을 있는 그대로 인식함에 따른 것임을 강조한다. 아버지는 아들의 성공을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탕자 시리즈’는 동서양의 종교, 문학, 예술에서 발견되는 개인의 ‘일탈’로 치부되면서 ‘자유’의 가치를 강조한다.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이 나타난 것은 ‘자유’로 인한 것이다. 탕자 시리즈는 자유에 대한 허용이 아버지의 허락으로 최고점을 이룬다. 《탕자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을 근간으로 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정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들 작품의 구조와 맥락은 거의 유사하지만, 민족적 습관과 종교적 성향, 가부장제에 관련된 사회적 경향 등등으로 다양하게 분석된다. 게다가, 그것들은 붓다가 출가를 영위하기 위해 그의 집을 버렸다는 설명과 유사하다. 분석의 핵심은 탕자가 집으로 돌아오는 결과적 사건을 주요하게 다루며, 긍정적이고 부정적으로 자유를 지향하는 삶에 대한 다양한 장르에서 대조적인 서술과 해석의 소개에 있다. Freedom is a prerequisite for pursuing all desires. The Prodigal Son Series, which includes the prodigal son of The Saddharma Pundarika Sutra, the prodigal son of the Gospel of Luke, Rembrandt's ‘Return of the prodigal son,’ Andrejid's literary work, and the Wanwolhoemaengyeon (玩月會盟宴), is the foundation and foundation of human dignity. It emphasizes that this is not based on the wealth or status of an individual but on recognizing the natural tendency as it is. A father does not evaluate his son based on his success. The Prodigal Son series highlights the important value of freedom, examining deviations found in religions, literature, and paintings in the East and West. It was from the freedom to dream of deviance that a creative and challenging spirit emerged. Allowance for freedom peaks with father's permission. The “The Prodigal Son Series” is rooted in the identity demanded by the times based on human dignity.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these works are almost similar, but they are analyzed in various ways by ethnic habits, religious tendencies, and social trends related to patriarchy. In addition, they are similar to the explanation that Buddha abandoned his house to become a priest. The key to the analysis is the introduction of contrasting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in various genres of life, which deals primarily with the consequential events of the Prodigal's return home, and positively and negatively toward freedom.

      • KCI등재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과정에서 보인 상관성 연구

        원혜영 ( Hae You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불교 이전부터 4선정은 요가 및 다른 사상 속에 펴져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사리불이 초기 교단에 합류하면서 불교 전통으로 편입되었다.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 입출과정에 4선정은 위상을 얻게 되었다. 또한 초기 열반경의 이본(異本)들과 설일체유부 등의 텍스트에서 반복과 변형을 거쳐 입멸 입출과정의 타당한 이유를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발전적으로 각각의 선정 단계의 특별한 뜻과 심리적 상황을 반복적으로 조명한다. 초기부파 텍스트들이 4선정을 거론하여 그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이유는 뭘까? 4선정에 대한 정의는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거의 이견 없이 표명하고 있다. 초선은 수행자가 하나의 대상에 전념할 때 욕계의 탐욕에서 벗어나고 불선법을 떠나 희(喜)와 락(樂)을 느끼는 것이다. 심(尋)과 사(伺)의 마음 작용이 존재한다. 제2선은 수행자가 심사를 떠나면 마음이 순일해져서 대상세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후로 동등하게 상속하는 청정한 믿음이 생겨난다. 제 2선은 희락을 느끼는 것으로 심사를 떠나 선정에 의해 생겨난다. 제3선은 희락을 버림으로 마음이 평정의 상태가 되고, 이 때 정념과 정혜가 나타나 진정한 즐거움을 느낀다. 희를 떠남으로 생겨난 미묘한 락이다. 제4선은 평정한 마음을 버리고도 여전히 마음이 평등하게 상속하여 어떠한 동요도 없고 괴로움과 즐거움을 모두 떠난다. 마음이 명경지수처럼 맑은 상태가 되는 것으로 궁극적인 선정이다. 이 논문은 4선정의 배경과 위상을 중심으로 한 것을 배경으로 놓고,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 입출과정의 인과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Why is the process of Buddhist death similar for Buddha and Sariputta? Even though the process is such a private and individualized experience, the internal experiences that both Buddha and Sariputta underwent are discusse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In particular, the four stages of Jhana or meditation, is a meditative practice that was common throughout the various religions that existed during Buddha`s time. The four stages of Jhana, which is present in both Buddha and Sariputta`s process of Buddhist death, exist as episodes. By being presented as episodes, the practice was able to be generalized to the public. The four stages of Jhana or meditation: four absorptions(samapatti), contemplations, or samadhi to be reborn in the Four Jhana Heavens. It is also called Sajeongryeo or simply Sajyeong. The first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ttaining the joy and bliss arising from solitude and freedom from desires and sins. The second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ttaining the joy and bliss arising from the cessation of discursive or speculative thoughts. The third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biding in equanimity leaving all speculative thoughts behind. The fourth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utter purity and equanimity beyond pleasure or pain, elation or depression. In early Buddhism, the four stages of Jhana were regarded as a highly effective meditative method. Ultimately however, as it got associated with the triple realm, the practice got degraded as a method of practice to be reborn in the world of form, or Rupa-dhatu.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 among the various texts, but nothing significant. The four stages of Jhana that were present in both the process of Buddhist deaths of Buddha and Sariputta were enough to pique the public`s curiosity, and served as the reason why this early method of practice is still very much present among the public today.

      • KCI등재

        미술과 문학의 매체 전이성 연구

        원혜영(Won, Hae-Young)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3 No.3

        ‘여인과 일각수’의 태피스트리를 펼쳐서 전체를 감상하면 그 조화로움에 놀랄 수밖에 없다. 미술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도상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그 작품을 해석하는 것, 다시 말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다. 여섯 개의 연작들에서 우리는 미술과 문학사이의 전일적 세계관을 적용할 수 있다. 상호의존성과 역동성을 두 개의 다른 형태에서 볼 수 있다. ‘여인과 일각수’의 여섯 개 태피스트리는 텍스트 즉 그 결을 중요시하면서, 즉 개별적 사실의 느낌을 그대로 전하면서, 때로는 축 늘어진 커튼 같은 질감을 온전하게 전하면서, 전일적인 세계관을 여섯 개 패널 안에서 이루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서 어떤 힘의 느낌이 전달의 과정을 통해 릴케의 형상시 또는 소설문학으로 관계한다. 인물과 신령스런 동물들의 표현이 고정된 시점으로 추상화되지 않아서 쉽게 수렴되고 화면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모든 장면에서 여인이 등장한다. 그녀는 여섯 개의 패널 모두에서 일정한 손짓과 동작을 취하며, 각기 다른 의상과 머리장식을 하고 나타난다. 이 태피스트리의 발견과 관련된 최근의 사실 또한 대중에게 큰 인상을 심어주었다. 1844년 프랑스 남부 크루즈 지방 잘 알려지지 않는 도시 Boussac의 성에 유명한 소설가 조르쥬 상드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작품들은 이후 39년이 지나 끌뤼니 미술관으로 옮겨진 다음, 세상의 이목을 끌었다. 작가들은 찬미했다. 단순하지 않은 도안과 수고스러움을 감지한 또 다른 작가들은 그들의 상상력을 다른 형식으로 표현한다. 릴케는 여기서 다른 영감을 얻어 형상시를 도출한다. 미술품과 시에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각적으로 삽화를 만들게 되면서 릴케의 시는 유니콘의 형상으로 그려낼 수 있다. 여기에 논지와 사상은 없다. 역사적인 간극이 존재하지만 ‘여인과 일각수’의 태피스트리의 연작들은 그것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많은 영감을 얻게 한다. 일각수와 여인은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로 나타나기도 한다. 사냥꾼의 화살에 맞고 처녀의 무릎 위에 엎드려 있는 일각수의 모습은 마리아가 십자가에서 내려온 예수를 안고 있는 피에타의 전형적 구도를 떠올리기도 한다. To unfold the tapestry of “The Lady and the Unicorn” and to observe its whole inspires wonder at its harmony. To enjoy a work of art goes beyond iconographic analysis. Rather it is about interpreting the work, creating a narrative. In the series of six works we can apply a unified cosmos between art and literature. We observe this in the two facets of codependency and dynamism. The six tapestries of “The Lady and the Unicorn” place importance on text and grain, transmitting the feeling of life within individual facts, the wholesome texture of a draped curtain. It constitutes a unified cosmos within the six panels. Furthermor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is strength, it relates to Rilke’s form-poetry and literature. The depiction of people and spiritual beasts is not made abstract from a set perspective, ornamenting the view. All scenes involve a woman. She maintains a certain movement and gesticulation in each of the six panels, with different costumes and hair ornamentation. A fact associated with the discovery of the tapestries left a huge impression on the public. They were discovered 1844 in the relatively obscure castle of Boussac in Creuse, southern France, by the famous writer George Sand. These works were moved to the Cluny Museum 39 years later,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world. Writers showered praise. The writers recognized the complex patterns and the craftsmanship, expressing their imaginations in different forms. Rilke drew inspiration and created form-poetry. By creating multi-faceted illustrations using differing elements of artwork and poetry. There is no point or ideology here. While there are historic gaps, the series of tapestries of “The Lady and the Unicorn” inspires its observers. “The Lady and the Unicorn” is reminiscent of Christ and the Virgin Mary. The Unicorn, shot by a hunter’s arrow, lies upon the lap of the Lady, resembling the Pieta, which depicts Maria cradling Christ following the crucifixion.

      • KCI등재

        돈황사본 『金光明最勝王經』에 관한 서지적 고찰 -현대출판물에서 오류와 재편을 중심으로-

        원혜영 ( Hae Young 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이 논문은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된 사 본들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은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류 중의 하나이며 義淨에 의해서 번역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일부 에서는 임금이 친히 만든 서문이 포함된 필사본도 존재한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最勝王經』은 북경본이 585개, 러시아(俄藏)본 173개, 스타인 (Stein)본 300개, 펠리오(Pelliot)본 34개가 있다. 북경본이 53%, 俄藏16%, 스타인 27%, 펠리오 3%가 있다. 돈황 문헌에서 발견된 古本은 지금 활발하게 연구 진행 중에 있다. 내용과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비교연구는 고려대장경의 풍부하고 완벽한 底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현대출판물은 돈황의 방대한 문헌의 정리 작업을 거의 일차적으로 완료한 상 태이며, 각각의 사본들에 대한 밀접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초반의 현대출판 물들의 업적은 돈황문헌에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진본인 필사본만큼이나 현 대출판물들의 유통은 널리 펴졌으며, 그 출판물들에 의존하여 돈황사본들을 조사 하고 연구하는 실정이다. 여기서는 그 전부를 거론할 수는 없겠지만,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하여 현대출판물들에서 기입되어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오류들과 현 대출판물이 진짜 필사본보다 조사 연구에서 뛰어난 업적을 소유했다고 보아진 러시아 소장 관련 출판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n the Dunhuang Manuscripts.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a part of "Sutra of Golden Light" that has a very strong patriotic characteristic. The translation was by Eui Jung. In part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there exists a manuscript that the King himself wrot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Tripitaka Koreanan period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585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73 of Russian version, 300 of Stein version, and 34 of Pelliot version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K.0127, T.0655); thus, 53% are from Beijing, 16%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27% and 3% respectively.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original version foun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are currently active. The reason is because of its diverse quant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bibliography, the comparative studies highly depend on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the foundation texts of the Tripitaka Koreanan. The publication of the privat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special in that it allows partial and brief understanding of the text. Parts are review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Taisho Tripitaka.

      • KCI등재

        우창까 자따까의 미스터리

        원혜영(Hae young Won)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이 논문에서 우창까 자따까, 헤르도투스, 그리고 안티고네에서 동일한 에피소드가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그들 자료를 통해서 ‘제국과 서사’라는 제목 아래 몇 가지의 의문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동서양 고전에서 고상한 인물이나 지혜로운 행위의 주인공은 대부분 여성이다. 우창까 자따까(Ucchanga-Jatāka)에 현명한 여인에 관한 에피소드가 있다. 제왕들이 정복하고 침입한 지역에서 그들이 겪었던 경험담과 행위들은 그 지역뿐 아니라 자신의 고향에서도 회자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민담형식의 에피소드가 반란 또는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영웅의 일대기에 첨부됨은 국가적 서사(敍事)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 문화, 그리고 문학의 연결고리를 해결하는 열쇠가 된다. 기억을 자극시키는 에피소드는 역사와 문학 속에 스며들어, 인도, 페르시아, 그리스 등 각국으로 펴져나가서 제국의 서사가 되었다. 서사들의 형식과 내용에서 놀랍도록 유사함을 보이는 이들 문구들에 주목하자. 여인의 <현명한 대답>을 혈통과 관련지어 논의하고, 세 작품의 구조분석을 통해 어느 나라의 문헌이 그 원천인가를 추정 및 조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icates the episodes of Ucchanga-Jatāka and Antigone, and analyze identical parts between them. Upon the basis of this proces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several solutions for the issues of empire and epic. In masterpieces of East and West, most characters in grace or of wisdom are female. Episodes from Ucchanga-Jatāka vividly heroins who predominate over male characters. Even under the sovereignty of kings, their episodes were widely spread out through the kingdoms, and people in their hometowns and their nations narrated the heroins’ experiences and deeds. However, their oral folktale-style episodes not only were sung as national epics in their nations, but also worked as bridges of history and culture to link them with other foreign regions because over time, the episodes were introduced to India, Persia, and Greece, and the natives of the locals adjusted them to their history and culture, which finally made them imperial epics. This paper, thus, pays a great attention to the phrases that strikingly exhibits similarities in th forms and the contents among episodes. In particular, choosing three episodes from India, Persia, and Greece and analyzing them, it discusses wise responses returned from women characters, in conjunction with their lineage, and through the plot analyses, tries to detect which is original among them.

      • KCI등재

        돈황문헌에서 「김광명경(金光明經)」과 「합부김광명경(合部金光明經)」 일부(一部) 사본 조사 조사 -사본의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원혜영 ( Hae Young W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經(Sutra of Golden light)류 관련된 사본들의 특징을 조사한다. 경전의 완성 시기는 인도에서 왕권강화가 일어나는 4-5세기 전후로 보며, 중국인들이 경전의 내용을 수용한 이후로 異譯본들이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과 「合部金光明經」은 중국에서부터 번역에 고심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증장되어 온 역사를 소유하고 있다. 「金光明經」 일부에서는 고려대장경과 돈황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經」은 북경본이 64개, 러시아(俄藏)본 12개, 스타인(Stein)본 44개, 펠리오(Pelliot)본 11개가 있다. 북경본이 49%, 俄藏9%, 스타인34%, 펠리오 8%가 있다. 돈황사본에서 「合部金光明經」 북경본이 13개, 러시아본 33개, 스타인본 26개, 펠리오본 2개가 있다. 북경본이 17%, 俄藏 33%, 스타인49%, 펠리오 1%가 있다. 돈황사본에서는 이역본들에 관련된 광범위한 유통이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경전들이 품명의 다양성, 그리고 어떠한 경전들이 당시에 필사되었는가를 고려대장경 및 신수대장경과 대조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s associated with the Sutra of Golden Light(金光明經) from the Dunhuang Manuscripts. The manuscripts were completed from approximately the 4th to the 5th century when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in India. Also,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were accepted by the Chinese, and different version so fit seemed to appear. As both the Su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and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focused on patriotism, their translation was planned studiously and revised, complemented, and added to in China for a long time. In part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金光明經),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Korean Canon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64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2 of Russian version, 44 of Stein version, and 1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K.1465, T.0663); thus, 49% are from Beijing, 9%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34% and 8% respectively. In parts of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合部金光明經), there are 13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26 of Russian version, 33 of Stein version, and 1 of Pelliot version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K.0128, T.0664); thus, 17% are from Beijing, 33%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49% and 1% respectively. The manuscripts of Dunhuang show that widespread distribution related with different versions of Dunhuang developed. In addition, a comparison with the Korean Canon(高麗大藏經) and Taisho Canon(新脩大藏經) provides evidence of how diverse the names of titles were and what kinds of scriptures were transcribed in those days.

      • KCI등재

        아자따사뚜의 친부살해와 오이디푸스 신탁에서 오는 파국

        원혜영(Hae-Young Wo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4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0

        There are many beautiful and noble, yet catastrophic consequences in Eastern and Western classics where a protagonist takes power by killing his own father. These attractive stories describe a mixture of the various feelings of sympathy, sensitivity, regret and frustration in the male-dominant history and mythological abyss. In the early history of Buddhism, Aj?tasattu leads the murder of his own father as he was obsessed with the desire for power. Power has captivated human beings throughout history as those who become obsessed with power come to have the courage and madness to destroy any obstacle which blocks their path to it. Later, Aj?tasattu regretted what he did and strongly desires to be forgiven. In the process of repentance, he was forgiven through Buddha. In another masterpiece, it was inevitable for Oedipus to kill his father, but afterward, he fell into despair stemming from incest. The Oedipus episode is all the more dramatic since it is done in the name of an oracle. Readers can concentrate on the episode of King Oedipus, which happened overnight, because of its catastrophic plot and the exceptional tension of events with conflict. Oedipus the King is the classic that built the foundation for the Western tragedies due to its artistic value. Both of the protagonists surpass their fathers’ achievements and accomplish outstanding results in their roles as rulers. Surprisingly, despite killing their own fathers, they are very much influenced by their fathers, and they also inherit their fathers’ achievements. Variations of the dramatic plots in other literature show diverse perspectives of the two protagonists. In famous Eastern and Western literature, Aj?tasattu and Oedipus show a proactive attitude in overcoming their trauma of murdering their own fathers even though they chose different ways to cope. Although it seems like they represent weak and doomed human beings, they take a risk to find an answer they wanted to know and faced the catastrophic consequences they decided to take with dignity, instead of living a humiliating life.

      • KCI등재후보

        불교문학과 인성교육 -초기불교 문학의 상상력과 다양성을 위해-

        원혜영 ( Won Hae-you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8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4 No.1

        이 논문은 불교문학과 인성교육에 관한 방안 모색을 위한 것이다. 독자들은 불교 문학을 읽고 어떠한 반응을 할까? 불교문학을 읽은 이들은 '독자의 반응'이라는 이름 아래서 불교 문학을 감각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생각할 것이며, 그것은 독자만의 경험이 되어서, 도덕성, 미래를 예지할 수 있는 능력, 자아를 올바르게 교정하려는 것들로, 텍스트를 통해 의미 있게 남는다. 만약 불교문학이 행위의 연속성으로 독자에게 이해된다면, 문학의 스토리는 이야기에서만 머물지 않는다. 문학은 다양한 관습이나 기대들이 우리 상상 속에 활동하게 하며, 현실과 연결되어 자신을 위치 지운다. 그 외에도 불교문학을 경험한 사람들은 패배나 확정된 것들에 대해 예견하고 기대할 수 있다. 문학이 허구로써 독자들을 속이지만, 이것은 기만적인 행위가 아니다. 왜냐하면 문학은 심오한 것으로 안내하고 독자를 자유롭게 하기 때문이다. 불교문학이 인성교육의 배경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불교문학을 어떻게 능동적으로 읽어낼 것인가?', '어떻게 감각적으로 제시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종교적인 시선이 이질화되지 않고 문학적인 범주 안에 포용될 때, 불교문학은 세계적인 문학으로 거듭 날 것이며, 느리지만 풍부한 인격형성을 완성함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t literature and Personality education. What sort of procedures do readers follow in responding to the Buddhist literature as they do? Thinking about readers and the way they make sense of Buddhist literature has led to what has been called 'reader response', which claims that the meaning of the text is the experience of the reader an experience that includes morality, conjectures, and self-corrections. If the Buddhist literature is conceives as a succession of actions on the understanding of a reader, then an interpretation of the literature can be a story of that encounter, various conventions or expectations are brought into play, connections are posited, and expectations defeated or confirmed. Fiction deceives us in so far as it is feigned, but this is not a primary act of deception, because it is aimed at one even more profound, exposing it, helping to release us from it. I consider the personality education background as the Buddhist literature. What the Buddhist literature is we must ask: From how the Buddhist literature to read actively? How to present a sensational Buddhist literature? When the Buddhist literature embraced in the categories of literature, it will become the world's literature.

      • KCI등재

        삼장(三藏, Tri-Pitaka)텍스트의 해석 양상들 -성서학과 불교경전과의 간격을 토대로 하여-

        원혜영 ( Won Hae-yo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초기불교 삼장텍스트는 전법의 기본근간으로, 권위적이고 원천적인 본래적 의미를 가졌다. 더불어 종교적 감성과 직관을 소유한 만큼 시대를 넘어서는 훌륭한 매체이다. 삼장텍스트의 이러한 이중적이고 모순적일수 있는 성격은, 세간과 출세간을 넘나들고 있는 삼장자체의 성격이기도 하며, ‘종교적 권위’와 ‘감성과 직관’이라는 서로 다른 양상들을 함유하고 있어 독특한 위상을 가졌다. 우리 주변에 누군가가 종교적 ‘직관과 감성’을 거론한다면, 단순하게 그/그녀만의 감정 정도로 흘려버리고, 그렇게 대하는 것에 익숙해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종교 본연의 감정을 메마른 상태로 받아들여 그대로 노출시킨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적 직관과 감성’이 종교 본래의미라고 규정한다. 반면, 불교도들은 깨달음의 유무를 삼장을 통해서 확인하는 절차를 그대로 보여준다. 종교적 직관과 감성이, 텍스트인 경전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서양학자들의 견해와 다르게, 불교도들은 삼장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기대한다. 인쇄된 활자가 고대 전통한 비구들의 작품이라는 사실이 삼장권위를 객관적 현실로 바꾸어 놓지만, 철저하게 계획되고 공들인 문헌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붓다의 직설이라는 후광으로 전법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감성과 직관을 지녔다는 점도 높이 평가해야 한다. 원천적 삼장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는 현대학자들에 의해 가해졌다. 에띠엔 라모뜨, 오스카 본 휘뉘바, 유 코 레이, 전재성 등등의 학자들은 방대한 삼장을 그들 나름대로 해석한다. 또한 의미를 부여해서 대중과 엘리트층에게 삼장을 친밀하고 고급스럽게 재정립한다. 그리고 토인비는 삼장텍스트를 서양의 존재론 관점인 ‘욕망의 역설’로 비판 해석하여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서양철학의 시각에서, 삼장텍스트는 흥미진진한 모순과 역설로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 삼장 텍스트는 고대 불교공동체를 지탱하게 하는 근원이자, 새로운 소통 마당으로 다각적인 모습을 지녔으므로, 그 자체가 현대불교공동체에게 새로운 양상들을 내놓는 결과를 가져왔다. Tripitaka texts in early Buddhism as a basic fundamental foundation for dharma-transmission embrace its original and authentic meaning with dignity. Furthermore,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which transcends time by exemplifying the properties of emotions and intuitions in Buddhism. The duality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Tripitaka text imply the nature of Tripitaka itself, which encompasses the mundane and supra-mundane world. This nature makes Buddhism unique and the texts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from religious texts in other religions. The status in Tripitaka text occupies a very distinctive trait which contains different aspects of 'religious authority' and 'emotions and intuitions'. If someone around us refers religious 'intuitions and emotions', the person would find him or herself who is familiar with the attitude being treated such way his or her own emotions. It considers the true emotions of a religion as they are and reveals them just like they are. Schleiermacher stated that 'religious intuitions and emotions' are original meaning of religions. Meanwhile, The Tripitaka shows the procedures of verifying the enlightenment. Contrary to Western Scholars who claimed that religious intuition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criptures written in texts, Buddhists expect boundless possibilities from Tripitaka. The Fact that printed typographies are works done by bhikkus, who were fully aware of ancient times, transforms the dignity of Tripitaka into objective reality. The literature, which was a product of thorough planning and elaborative workmanship, makes the dharma-transmission effective while communicating the direct lectures of Buddha. The fact that it embraces traits of emotions and intuitions should be highly valued. Scholars in modern times have reestablish the intrinsic Tripitaka. Academic scholars like Etinne Lamotte, Oskar von Hinuber, U Ko Lay and Jeon Jaesung tried to interpret the extensive Tripitaka with their own perspective. They also assigned significant meaning to it and tried to reestablish intimacy and exclusive state of Tripitaka in the eyes of the general public and intellectual elites. A. J. Toynbee who criticized the text of Tripitaka with an ontological perspective in Western world interpreted it as 'paradox of desires', which caused disputes. In the perspective of Western philosophy, the text of Tripitaka became popular with public because of its interesting contradiction and paradox. This can be an alternative measure for the effective dharma-transmission. The text of Tripitaka is a fundamental origin for ancient community of Buddhism and a new form of communication, and this bring new modern Buddhist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