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시 아이덴티티 형성의 인구·문화적 요인

        류제헌(Ryu, Je-hun),김정숙(Kim, Jeong-suk),최유리(Choe, Yu-r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3 No.-

        아이덴티티에 대한 실질적인 질문은 존재(being)나 근원(roots)에 대한 것이기 보다는 생성(becoming)이나 경로(routes)에 대한 것이 되어야 한 다. 이러한 질문은 또한 지역 아이덴티티의 구축을 위하여 개인과 사회 가 공간상에서 통합되는 과정보다는 사회적 공간이 개인 또는 집단에 의 해 창조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아이덴티티의 (재)개 념화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인천시에서 다양한 인구 집단들이 실제로 어떠 한 내용의 아이덴티티를 타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문화·정치적 범주로 설정하여 오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황해도 출신자는 6·25전쟁 발발(1950)을 계기로 1950년대 초반 인천 시에 대량으로 이주하고 중구와 동구를 중심으로 정착하여 다른 지방 출 신자들보다 먼저 인천시의 주민 내지 주인이 되었다. 그들은 반공 이념 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탈춤을 비롯한 민속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자발적으로 재 생산하였다. 충청남도 출신자는 해로를 통해 이주한 태안반도 거주자들 이 다수를 이루며, 1960~70년대 인천시 동구와 남구를 중심으로 정착하 여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정치적 상황에서 자기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 속적으로 표상하였다. 전라도 출신자는 1980~90년대 부평구, 계양구, 서 구, 남동구를 중심으로 정착하여 사회·문화적 아이덴티티를 재생산함은 물론 진보적 정치적 아이덴티티를 반복적으로 표출하였다. 특히, 이들은 그러지 않아도 과거부터 인천시 구도심과 차별되고 있는 부평구와 계양 구의 독특한 아이덴티티가 더욱 강화되는데 일정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The inquiry into identity should be made in terms of ‘becoming’ or routes rather than ‘being’ or roots. This is also an inquiry into the process by which a social space is created by an individual and a social group, rather than the process by which they are integrated onto a social space. Based on such (re)conceptualization of identity, the study makes an attempt to examine how a variety of population groups in Incheon City have set up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ategories,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population groups, in the construction of identities. The majority of migrants from Hwanghae Province settled down in the districts of city, Jung-Gu and Dong-Gu, after the Korean War(1950), and constructed the political identities concerning anti- communism and cultural identities with the preservation of folk culture. Then, they were followed by the migrants from Chungnam Province, in particular coastal areas, whose majority settled down in the districts of city, Dong-Gu and Nam-Gu, in the 1960s and 1970s. Finally, in the 1980s and 1990s, the migrants from Jeolla Province settled down mainly in the districts of city, Bupyeong-Gu, Gyeyang-Gu and Seo-Gu, where industrial zones were developed in large units. Here, they constructed a progressive political identity, distinguishable from the conservative one in the districts around old city.

      • KCI등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 화장품 매장 공간을 중심으로-

        한야람,한석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가 종식된 이후 오프라인 쇼핑이 점차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장품 브랜드는 매장,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매장의 공간 디자인 등을 다시 고려하여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 매장공간에서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의 활용 현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과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와 어포던스 디자인의 정의를 충분히 이해하고, 어포던스 디자인은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정리한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특징과 어포던스 디자인의 유형을 분석하고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한국의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대한 어포던스 디자인의 시사점을 발견한다. 넷째, 종합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에 대한 제언을 제시한다. (결과) 분석 결과로서는 첫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감각적 어포던스의 평가가 가장 낮았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기능적 어포던스의 평가도 높지 않고 소비자들은 매장 공간의 기능성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갖게 되었다. 셋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매체성, 역사성, 작용성, 융합성, 복합성의 연관성도 비교적 작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화장품 매장 환경을 디자인할 때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기능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매장 공간의 물체나 인터페이스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품이나 시스템 내에서 기능적 상호작용이 합리적인 흐름과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상하는 방식으로 기능이 배치되고 조직되어 있어야 한다. 공간을 통해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작용하고, 상호작용하며 강한 인상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요소와 방법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end of the coronavirus, offline shopping is gradually recovering, leading to increased consumer interest in brand image and cosmetic stores. In order to meet consumer demands, cosmetic brands need to reconsider aspects such as store design, brand image design, and spatial design to adapt to new market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and contribu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and enhancing consumer confidence by examining the current usage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and their impact on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in South Korean cosmetic retail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First,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affordance design, summarizing the significant role of affordance design in shaping spatial brand identity. Seco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and deriving affordance design elements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ird, comprehensively analyzing cases of well-known Korean cosmetic brand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Fourth,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Results) As for the analysis results: First, among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e evaluation of sensory affordance was the lowest. Second,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affordance within the spatial brand identity affordance design types was also not high, and consumers have higher expectations regarding the functionality of store spaces. Third, the correlation of affordance design mediums such as materiality, historicity, actionability, integrability,, and multiplicativity within spatial brand identity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that can help build spatial brand identity and consumer confidence were presented. When designing a cosmetics store environment, various senses can be utilized to create a design that allows us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functions. It uses visual clues about the functions that objects or interfaces in the store space can perform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them. Additionally, functional interactions within a product or system can be designed to have a reasonable flow and structure. Functions must be laid out and organized in the way users expect. Through space, brands can act, interact, and provide strong impressions and experiences to consumers. Various elements and methods can be combined and the brand identity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in space. It is possible to combine various components and provide a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brand experience in space.

      • KCI등재

        브랜딩 맥락에서 본 플루이드 아이덴티티 사례 연구

        황인경 한국영상학회 201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1 No.3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 환경 속에서 IT기술에 힘입은 미디어의 발달은 아이덴티티 분야에도 혁신적이면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브랜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이 시점에 있어 전체적인 통일성을 기본으로 하되 멈추지 않고 항상 움직이는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이드 아이덴티티(Fluid Identity)를 선행연구 및 제작되어진 사례를 중심으로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마케팅 용어인 브랜딩의 개념부터 정리하였고, 브랜딩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성과 플루이드 아이덴티티와의 상관성을살펴보았다. 브랜드란 당신이 말하는 그 무엇이 아닌 그들이 말하는 그 무엇이기에, 소비자에게 차별되는브랜드로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디자인이 중요한데, 통일성과 유연성을 갖춘 플루이드 아이덴티티의 필연성이 여기에 있다. 이미 선행되어진 연구들 중 가장 많이 대두되는 용어인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와의차이점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고정된 전통 아이덴티티 컨셉에서 탈피하여 유동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필요성의 인식확산이 절실히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서비스아이덴티티 적용성 연구 -중국 CCTV 방송국을 중심으로-

        이자원 ( Li Zi-yuan ),반영환 ( Pan Young-hw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기업가치가 제품경제 주도에서 서비스 경제로 변화하면서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더 이상 비주얼 제품 아이덴티티를 기초로 하지 않고 제품 서비스의 가치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일종의 아이덴티티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서비스 전략은 기존의 기업브랜드 아이덴티티 중에 가장 중요한 전략이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서비스 차원에서 출발해 서비스 요소를 통한 서비스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레임(CBIM)에 통합시킨 후 새로운 기업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레임(CBISIM)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 TV 방송국은 소비자에게 서비스 가치를 제공하는 특수한 유형의 기업이기때문에 중국에서 제일 대표적인 중국CCTV 방송국을 예로 들어 본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리에 서비스의 적합성을 설명함으로써 TV미디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일정한 참고로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leading value transforming from product economy to service economy, corporate brand identity is no longer based on visual product identity, instead, it delivers identification signal to consumers through the service value of the product. Service identity strateg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strategy in corporate brand identity today,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this article tries to build up elements of service identity and integrates it into the corporate brand identity framework (CBIM)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of corporate brand identity(CBISIM).TV Chinese TV station is a special type of enterprise that provides service value to consumers. Therefore, the most representative television station in China-CCTV is taken as a case analysis. It furtherly explains the applicability of service identity in CCTV channel brand identity management, providing reference for TV media brand identity strategy.

      • KCI등재

        부천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와 도시이미지와의 상관성 연구

        원선미,한백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브랜드 구축에서 훌륭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조건이다.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시 각적인 요소는 인간이 가진 다섯 가지 감각 중에서 가장 먼저, 가장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강력한 표현수단 이기 때문이다. 언어보다 상징적이고 브랜드를 기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브랜드 의 심벌마크나 슬로건, 캐릭터 등을 통해 브랜드로 인식되고 다양한 연상 이미지를 갖게 되며 특정 컬러를 통 해 감성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색채는 형태보다 먼저 지각되며 감정을 자극하고 연상적이고 차별화된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부천시가 사용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색채적용 에 대해 설문을 통해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도시’를 지향목표로 삼고 있는 부천시는 거주민에게는 비교적 긍정적 이미지를 주고 있으나 타도 시민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해서는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슬로건에 대한 인지도만 비교우위로 나타 났다. 셋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부천시가 지향하는 ‘문화 도시’이미지나 아이덴티티가 지향하는 형용사 이미지와의 상관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현재 지향하고 있는 ‘문화 도시’ 이미지를 타 지역민에게도 널리 알리는데 더욱 역점을 두 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를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 특히 색채가 주는 정체성과 연상의 역할에 대 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미지에 맞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을 통해 글로벌화 시대에 맞는 경쟁력 있는 도시브랜드를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In building a brand, great identity design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condition. Visual element that makes up the identity is one of five senses of human being accepting fast and most information and it i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on. Identity design which is more symbolic than language and plays important role to remember brand is recognised as a brand and has a variety of images through symbol marks, slogans and characters of brand and it is a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color to evoke emotional responses. In particular, the color is perceived before form stimulates the emo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express suggestive and differentiated identity. Aa a result, I survey the color applied by current identity design of Bucheon city. Survey draws some signigicant results,First, “the city of culture” which is ultimate goal of Bucheon city is relatively accepted by residents but negatively accepted by nonresidents. Second, it shows comparative advantage of an awareness of slogan, regardless of residence, about identity design of Bucheon city. Third, it shows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color applied to identity design in Bucheon. It is analysed that there is the low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the city of culture” which is Buchien city-oriented and the adjective image which is identity-oriented. As a result, I suggest that Bucheon needs the emphasis policy to widely spread image of cultural city to nonresidents. For this purpose, Bucheon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dentity design, especially the identity and suggestive role of color. It should apply the suitable color which is matching the image of the city of culture to build the competitive brand of Bucheon city in an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에 따른 디자인 아이덴티티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최진규(Jin Kyu Choi),김홍찬(H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 소비자들은 음료 구매 시 맛과 가격은 물론브랜드 네임, 디자인, 광고와 같은 시각적인 요소까지 고려하며 내 이미지를 대변할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이에 기업들은 세계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제품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브랜드 입지를 강하게 하기 위한다양한 브랜드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그 중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접근해 브랜드의 인지와 기억에 있어, 효과적으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방법인패키지디자인을 브랜드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키지 디자인을 통하여 자사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디자인의 향상된 가치를 창출하는 패키지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을 그 사례로 들어 패키지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한 패키지 아이덴티티의 정의와 구성요소, 패키지 아이덴티티에 있어 마케팅과 브랜드 고려사항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사례 연구로서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과 용기의 형태, 크기, 재질, 뚜껑의 형태에 적용되는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분석하였다. 또한 웅진식품의 주력 제품 6가지에 대하여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실행 전 후를 비교 분석하였고,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웅진식품의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 전 후에 대한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웅진 식품은 패키지 아이덴티티 적용 이후 제품들 간에 패밀리 룩을 이루면서 웅진 식품고유의 컬러와 무늬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패키지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패키지 디자인에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웅진 식품만의 강하고 일관된 패키지 아이덴티티 정립을 위해서는 형태, 색상, 그래픽 세 가지 요소를 제품 컨셉별로 적용하기 위한 보완이 필요하며, 몰드가 아이덴티티를 창출에 큰 비중을 가짐에 따라 재료에 관한 매뉴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Modern consumers consider not only taste and cost, but brand name, design, advertisement and other visual factor when purchasing a drink. This is because a general perception of a drink has changed from a onetime consumable object to something one carries around with them and expresses one`s image. Thus, deciding the color and font for the design has become as important as deciding which ingredient to use for the product itself. It has become a key strategy for drinks to be released in sync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s and to be aware of the needs of the consumer to lead the trend. Also, as modern consumer trend is moving toward a new brand preferential trend based on product images that affects the sentiments of consumers, companies are striving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market throug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mbines their product technological superiority with sentimental brand images. Among these various methods, package designing, which is a method that excels in leaving an impression to the consumer by approaching sentimentally is widely being used. Thus, this study has provided theoretical data on package identities which can create heighten values with a design that promotes the brand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ckage identity using the examples of Woongjin Foods.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composition, marketing and brand factors for package identity were reviewed through studying various literatures. As for the case study, the Woongjin Foods` package identity manual which is applied to the Woongjin Foods` package identity strategy, container shape, size, material, and lid shap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se analysi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6 major products of Woongjin Foods and compared the before and after of the application of package identity. And a study contains survey and Interview with experts. The case study discovered that the products of Woonjin Foods maintained a family look. Each product maintained the unique color and pattern of Woongjin Foods. In order to create a strong and unilateral package identity, an improved application of 3 factors- shape, color, and graphic- is necessary. Also, as the mold has the greatest affect on generating an identity, a statement stating the need to improve the manual section on base material was proposed.

      • KCI등재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송지성(Song, Ji Sung),이원복(Lee, Won B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스마트 모바일 시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성장으로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바꿔놓았다. 기업에 입장에서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재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해졌고, 기업 아이덴티티를 위한 디자인 시스템에도 변화가 생겼다. 고정적이고 일방적인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주던 기존의 스태틱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이 일반적인 시스템이었지만, 기술과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연하고, 다이나믹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 기업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이런 변화된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가 해외사례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거나 제한적 활용에만 그치고 있다.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자는 국내기업이 현 사회 트렌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국내 맞춤형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실질적 디자인 방향제시를 위해 시기적절해 보이는 국내 기업 한 곳을 선정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로 국내 가구 및 인테리어 시장의 유행을 선도하는 ‘H’사로 선정하고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자료 및 해당기업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장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유연한 아이덴티티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를 한다. 다이나믹 아이덴티티에 대한 본 연구자의 정의와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이에 합당한 분류방법과,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다이나믹 아이덴티티가 활용된 해외 및 국내의 리뉴얼 사례로 각각 다섯 기업을 선정하고, 표현요소에 사용 빈도에 따라 사례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기업 ‘H’사의 아이덴티티, 과거와 현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 및 관련된 기업 및 사회 트렌드 조사를 바탕으로 3장의 사례분석결과와의 개연성을 따져 5장에서 실질적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요소를 내적, 시각적, 상호작용적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H’사의 디자인 개발순서는 첫째, ‘H’사의 내적 요소 분석을 통한 키워드 추출을 한다. 둘째, 3장의 사례 분석의 사용 빈도 결과에 따라 빈도가 낮은 표현 요소에 대해 상대적 사용비중을 높게 둔다. 셋째, 시각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 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H’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제시에서 내적 표현 요소를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 할 때의 유연성을 기본 요소로 겹겹이 쌓아 올리는 레이어 방식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의 조화, 규칙성과 유연성 사이의 조화, 서양과 동양의 조화를 표현하였다. 운동성(모션)과 일관성의 파괴를 사용하여 역동성, 도전정신을 표현하고,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를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방향제시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앞으로 한국적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시각화 혹은 상호작용적 표현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Smart Mobile era and the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day’s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the way that people communicate. Thus, for companies, a process of re-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trategy with consumers has become necessary, and the design system for the corporate identity changed. While a static identity design system that shows the corporate identity to consumers in a fixed and general way has been a common system, a flexible and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and media has emerged. However, thus far, identity designs of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relatively passive or limited in utilizing such a changed system compared to overseas cases. Noting this phenomenon,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domestically specific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for domestic companies to respond properly to the current social trends. Thus,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company, which seemed timely in order to suggest a substantive design direction. As for the research scope, selecting ‘H’ Company that is leading the trends in the domestic furniture and interior marke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identity design and to propose a design for the company. As for the research scope, Chapter 2 schemat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esign system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dentity design an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flexible identity. Based on the researcher’s definition of dynamic identity and the preceding theories, this study summarize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and the elements of expression, appropriate for this. Chapter 3 selected five enterprises, respectively as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renewa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he elements of expression. Chapter 4 verified the probability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3 based on the identity of ‘H’Company, identity design elements in the past and present, the related enterprises and social trend, and Chapter 5 conducted a study for extracting a design that could be actually applied. As a concret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ubdivided the elements of the expression of dynamic identity design into internal, visual and interactive elements. The order of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for ‘H’ Company is as follows: First,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of internal elem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use in the case analysis, relatively higher weight of use was given to the elements of expression with a lower frequency. Third,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Fourth,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expressed the harmonies between curve and straight line, between regularity and flexibility, an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utilizing the layer method of laying one upon another with flexibility in the conversion of internal elements of expression to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in the presentation of a direction of ‘H’ Company’s identity design as the basic element. This study expressed the dynamics and challenging spirit using the destruction of mobility (motion) and consistency and expressed the image of the enterprise tha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design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will conduct a more concrete study of various visualizations or interactive expression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Korean dynamic identity.

      • KCI등재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 구축 방법론 연구

        신석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2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등장은 사회의 변혁을 이끌어 온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급속도로 다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대한 적응과 무관치 않다. 획일적인 시스템은 새로운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에 취약하므로 시대 변화에 대처하고 주도할 수 있는 진보된 아이덴티티 시스템이 필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플렉서블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반영하며 정체되지 않는 드러냄의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사물의 존재를 규정하는 요인으로서 대상체의 본질 즉, “자기다움”을 드러낸다. 기존의 단일체계 아이덴티티 의 통제된 획일적인 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에서 대상체의 본질을 시스템화하여 적극적인 드러냄의 현상인 주체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질적 일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제, 형태, 색상, 스토리 등의 관점들을 전개하는 가변성, 그리고 개념의 확장이든 시각적 확장이든 가변적 시각화를 위해 본질을 보완하거나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성의 세 가지 특성을 갖는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세부적인 단계로는 조사 및 분석 단계-상황 이해(Situation Understanding), 전략수립 단계-전략적 솔루션(Strategic Solution), 디자인 개발 단계-크리에이티브 솔루션(Creative Solution), 시스템 구축 단계-시스템화 솔루션(Systematization Solution)의 4단계로 개발 모델을 프로세스에 입각하여 연구 개발한 도표와 그림을 통해 체계화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방법론은 획일화된 아이덴티티 시스템에서 디지털화된 시각과 사고로 전환된 사용자의 시지각 수용태도에 근접하고 차원 높은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t is safe to say that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identity has some relationship with the rapidly developing digital media and the sociocultural adjustment to the development. A standardized system lacks the flexibility to adjust to new environment. Due to this characteristic, an advanced identity system that can respond and lead the change of the society. Following this need, the flexible reflects the age of digital media and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oes not stay still but possesses continuity. The flexible identity system defines an object according the subjects' essence,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ce that shows “being itself.” Breaking off from standardized presentation, the system possesses variability of different aspects such as topic, shape, color, story and others. Along with independence and variability, the system has a third characteristic expandability which includes both visual expansion and variable presentation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 or to remind the subject. To establish a flexible identification, the following 4 stage model needs to take place : stag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situation understanding, building strategy stage-strategic solution, design development stage-creative solution and system establishing stage-systemization solution. The method drawn from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andardized identity system to a next level identity system digitalized visually and approaches users' perception closer.

      • KCI등재

        대학 아이덴티티의 확장을 위한 서브브랜드 개발의 필요성- 대학 기념품을 중심으로 -

        마예나,이청하,이현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The development and sale of college brand souvenirs with college identity will give students a sense of identity and a sense of pride in the school. However, the main buyers of college souvenirs are young student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such as college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uniform application of the university identity image centering on the existing history and tradition does not reflect the taste of young students or the image of modern colleges. Therefore, I conducted a research on university extension identity that meets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bout the identity of five domestic universities by applying to Aaker's Brand Identity System and survey on 20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image of university identity, We proposed the need of university's sub-brand and the direction of design. Result Students in their twenties were surveyed to see the application of 'symbolic' college identi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llege souvenirs. In addition to the parent brand of universities applying basic identity of 'symbolic' and 'traditional',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unique' and 'flexible' university brand image that meets the needs of young buyers through sub-brands of universities . Conclusion As the main buyer of university souvenirs is a young class of students, the need for an image of universities ' formal needs, expressed through Arker's brand identity system, This should be applied flexibly by having an extended identity for the university sub-brand but still maintaining a core ' symbolic ' for the university identity at large. 연구배경 대학의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대학 브랜드 기념품의 개발 및 판매는 학생들에게 일체감을 갖게 하고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강화시킨다. 그러나 현황을 살펴보면 대학 기념품의 주 구매자는 대학생, 중 고등학생 등으로 10대와 20대의 젊은 학생층이다. 기존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중심으로 구성된 대학 아이덴티티 이미지의 획일적인 적용은 젊은 학생층의 기호나 현대적인 대학 이미지를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대학생들의 니즈(needs)에 맞는 대학 확장 아이덴티티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아커(Aaker)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적용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20대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아이덴티티 이미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 서브브랜드의 필요성과 디자인 측면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20대 학생들은 대학 기념품에‘상징적인’ 대학 아이덴티티의 적용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상징적’이고 ‘전통적’인 대학의 핵심 아이덴티티를 적용하는 대학의 모 브랜드 이외에도, 대학의 서브브랜드를 통해 젊은 대학 기념품 구매자의 니즈에 맞는 ‘개성적’이고 ‘유연한’ 디자인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결론 대학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대학 기념품을 구매하는 주 구매자가 젊은 학생층이므로, 아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통해 밝힌 대학의 공식적인 아이덴티티에서 더 확장적인 방향의 이미지 구축으로, 대학생들의 니즈를 반영한 대학 서브브랜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대학 서브브랜드만의 확장된 아이덴티티를 가지면서도 큰 틀에서는 핵심적인 대학 아이덴티티의‘상징성’을 유지하여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종합가전회사의 제품디자인 아이덴티티 발굴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오승호(Seung Ho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과거의 기업들은 로고 등을 포함한 그들 고유의 브랜드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자신만의 일관된 철학과 비젼, 이미지 등을 전달하고 인식시키고자 노력하여 왔으나 가속화되는 기술의 평준화, 제품의 평준화로 인해 그러한 활동은 점차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생산자 중심의 제품 개발 전략에서 점차 소비자, 사용자 중심의 감성적인 이미지 접근 전략의 필요성을 만들고 있으며 이는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급격한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개념과 형태를 가진 디바이스(Device)의 출현으로 인한 제품의 다양화 및 세분화는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통해 일관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더 큰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삼성, LG, 일본의 Panasonic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소비자가전 및 전자제품을 독자적으로 제조 및 생산하고 있는 종합가전회사의 경우 각기 다른 제품의 특성 및 외형으로 인해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통한 기업 이미지의 효과적인 전달은 더욱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으며 이는 모든 종합가전회사에게 공통의 어려움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덴티티 관련 자동차, 전자업체 등의 사례조사와 자료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해 기존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접근 방식의 한계와 제약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합가전회사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접근 전략의 필요성을 도출하 였다. 그 결과, 제품의 일정한 형상 및 칼라의 획일적 통일을 통한 단순 시각요소의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접근 방식은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는 종합가전회사의 상황에는 맞지 않으며 시각요소는 물론 사용성측면, 감성측면의 아이덴티티 요소를 재분류하여 핵심요소를 전략적으로 공용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핵심요소는 이전과는 달리 좀더 명확한 기준을 통해 선정되어야 하며 그러한 선정기준의 사례로 아이덴티티 요소의 지속가능성, 파급가능성을 고려한 선정기준을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적용한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운영안(案)을 함께 제시하여 발굴된 핵심 아이덴티티 요소가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아이덴티티 전담조직, 요소별 Pool 구축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Past companies have communicated and conveyed the consistent philosophy, vision and image to consumer with their own brands including the logo, but due to the accelerated leveling technologies and products, such activities are gradually reached the limits. This change is creating the necessity of the subjective and emotional approach strategy based on the consumer perspective from the objective and rational based on the manufacturer and this have an effect on the brand identity strategy based on the product design identity. And, The product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due to the new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give more difficulties to companies which convey their own images to the consumer through the product design identity, especially the consumer electronics company which manufacture and produce the almost all types of consumer electronics such as Samsung, LG in Korea and Panasonic in Japan have been hard put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 company image through the product design identity due to the different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shapes. In this study, through the various case studies in the related fields, material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uggest the approach of effective product design identity strategy considered the usability and emotional perspective beyond the simple visual perspective product design identity with the undifferentiated repeat of colors and shapes. To this end, suggest the new direc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selection of the product design identity elem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electronics and study on the practical use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excavate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