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론의 전개 양상과 의미

        류덕제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6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 비평을 통해 계급주의 아동문학 운동과 아동문학론의 전개를 살피고자 했다. 계급주의 문학 일반이 그러한 것처럼 아동문학도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갖는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주된 발표 매체였던 <별나라>와 <新少年>은 카프(KAPF)의 산하 기관지는 아니지만 기관지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방향전환이 당대의 주요한 논점이었는데, 이론적 주장과 실천 결과가 다소 다르다. 계급 운동의 전반과 같이 계급주의 아동문학도 1920년대 후반 방향전환을 단행하였으나 작품적 실천은 1930년대에 들어서야 가시적인 변화가 보인다. 계급문학은 늘 이념적 방향성이 문제가 되는데, 아동문학도 마찬가지였다. 카프(KAPF)의 영향 아래 있었던 계급주의 아동문학은 ‘아지·푸로’, ‘계급의식 주입을 통한 교화’ 등 계급문학 일반과 동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동요·동시 논쟁은 갈래의 형식 논쟁으로 촉발된 것이지만, 속살을 뜯어보면 엄연히 계급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표절 논쟁은 소년문사들의 발표욕과 명예욕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어린 나이에 활자가 주는 마력에 빨려들어 분별없이 발표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 또 하나는 발표 매체 간의 성격 차이에서 비롯된 계급적 당파성 문제이다.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론이 가장 왕성했던 1930년대 초반 비평의 전개 양상은 주로 논쟁 형식을 띠고 있었다. 논쟁은 주장과 반론 그리고 재반론으로 이어지는 고도의 지적 행위이자 수준 높은 글쓰기 행위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감정 싸움으로 흐르는 경우가 없지 않았지만, 대체로 문단의 건전한 상식을 회복하는 기능과 문학론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아동문학 교육에 반영된 반공주의 비판 : 1950년대 전시기(戰時期) 아동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임성규 ( Sung Kyu L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2 No.-

        분단 현실의 모순은 반공주의의 이데올로기적 발호를 가져옴으로써 진정한 아동문학 교육의 `성찰적 근대화`를 가로막고 있다. 특히 반공주의는 국가주의 및 애국주의 담론과 전횡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쟁기 이후 아동문학 교육의 저변에 뿌리깊이 자리 잡았으며, 그러한 이념적 금제는 비판적 사고를 진작시키는 현실주의 아동문학 교육을 불온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로 인해 실제 아동들의 역사적 삶과는 무관한 순수주의 아동문학이 교육의 지배적 지위를 차지함으로써 국가주의를 숭상하는 관제 지배 이데올로기가 전면화된 것이 아동문학 교육의 반민주적인 역사의 흐름인 것이다. 실제로 반공주의의 영향력은 아동문학과 아동문학 교육에서 더욱 전일적인 형태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아동문학과 아동문학 교육의 경우 성인이 아동에게 제공한다는 소통의 특수성으로 인해 이데올로기적 전달의 한 방편으로 전락하기 십상인 것이다. 그리하여 전시 체제 속 아동문학 교육의 모습은 전쟁 경험을 곧 교육의 내용으로 치환하면서 반공 규율을 내면화시키는 일에 주력하였고, 피아를 선명히 구분하는 이분법 속에서 적으로 상정된 타자를 무조건 적대화하는 이념 우위의 교육으로 경사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1950년대 전시기 아동문학 교육의 부정적 실상은 극복되어야 할 역사적 과제로 남아있으며, 전쟁의 원인과 고통을 현재적 관점에서 성찰하는 균형의식이 회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critically examinate anti-communism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e 1950`s wartime. Contradiction of broken reality disturbing real reflective moderniz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ideological domination. Specially, anti-communism is linked to nationalism and chauvinism, it was located the bas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fter wartime. And, its ideological prohibition is regard to disturbing that realism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at promote critical thinking. Actually, the power of influence is full-timely work in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its special feature that man supply children is easy of approach means of ideological transmission. So, form of wartime children`s literature is internalization of anti-communism discipline that war experience is transposi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doctrine predominance education that antagonist others in the dichotomy of self and others division. Accordingly, negative real facts of 1950`s wartim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leave to historical task that have to conquer, recovery of balancing perception that reflect causer and pain of war in recent view have to achieve.

      • KCI등재후보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권혁준(Kwon, Hyug-j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1913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아동잡지『아이들보이』는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진정한 아동 문학의 출발은 방정환의『어린이』로 보아야 한다 는 견해도 있었으나 필자는『아이들보이』야말로 우리나라 근대 아동문학의 출발을 알리는 잡지라고 생각한다.『아이들보이』를 아동문학의 기점으로 잡아야 하는 이유를 문학 행위의 세 주체 인 독자, 작가, 텍스트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아이들보이』가 명실공히 ‘아이들’을 독서 주체로 상정 하였다는 점은 아동문학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진정 한 근대 아동문학의 시작은 ‘아동의 발견’으로 비롯되기 때문이 다.『아이들보이』는 창간사에서 ‘아이들’을 독서 주체로 상정하였다는 점을 선언하고, 잡지의 내용과 기사의 문체를 보통학교 학령층의 어린이에게 정확히 맞추어 발간하였다. 둘째,『아이들보이』에 게재된 기사는 거의 최남선이 작성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아동문학 형성의 요인 중 하나를 작 가군의 등장이라고 본다면『아이들보이』의 작가군은 매우 불완전한 것이었으나, 이것은 시대적 한계일 수밖에 없었다. 셋째, 아동문학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동문학 텍스트 의 존재이다.『아이들보이』에는 다양한 서사물이 실려 있어 미래의 작가와 당시의 독자들에게 아동문학의 씨앗을 전해주었으며, 최초의 창작동화를 수록함으로써 명실공히 아동문학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아이들보이』에 수록된 옛이야기와 서양 동 화의 번역물은 당시의 아동 독자에게 아동만을 위한 서사 문학 의 효용과 필요성을 환기하여 창작 동화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동화를 창작할 수 있는 씨앗을 전해주었으며, 창작 동화 <센둥이 검둥이>를 수록함으로써 우리나라 아동문학 형성의 요람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아이들보이』에는 초창기의 동요로 볼 수 있는 <소낵이는>이 실려 있다. 이 작 품은 화자를 아이로 설정하여 아이의 생활 감정을 노래한 것으로, 1920년대의 동요와 비교해보아도 그 수준에서 크게 차이가 없다. 『아이들보이』는 우리나라 아동문학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자양분을 공급하여 배태시킨 태반이자, 초창기 아동문학을 성장시킨 요람이었다. The childrens magazine 《Aideulboi》, which Shinmungwan published in 1913,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me researchers insists that the《Eorini》 written by Bang Jeong-hwa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beginning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I consider the 《Aideulboi》 is the first step of the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reasons why the《Aideulboi》 is the first childrens magazine in terms of three aspects which are reader, writer, and text. First, the fact that《Aideulboi》set children as the main readers is important, because the true beginning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begins with the ‘discovery of children’. At the first issue of《Aideulboi》, they declared that they chose children as the main reader group. Also they published the magazines that positioned its contents and text exactly to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ly, when we consider the writer as one of the factor that formed the childrens literature, the writer groups of 《Aideulboi》 was incomplete. However, it was the limitation of that period. In this period of Korea, Choi nam-seon and Lee gwang-su was the only writer not only in the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in the adult literary world. Thir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forming children’s literature is the text. Variety of literary works in; 《Aideulboi》 spread the childrens literatures to the children in those times and to the writers of next generation, and one of its works was the first modern children’s story which was th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literature. Also,《Aideulboi》 included work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early children’s song. This song tells about emotion of the real life of children, so it is not inferior to the children’s song in 1920s. For these reasons,《Aideulboi》 had grown to the cradle of early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김만석(Kim, Man-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초창기 한반도 프로아동문학과 순수아동문학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해방 초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조선아동문학과 소련 사회주의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중국 좌익의 범위 하에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중국의 계급주의아동문학, 정치아동문학의 영향을 받는다. 문화혁명 이후, 중국아동문학을 뒤따라 상처문학, 반성문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조선아동문학은 자기의 자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아동문학의 장점을 널리 수용하여 자기 민족적인 특징을 살려 가면서 중국이라는 사회, 정치, 환경에 적응하는 독자적인 아동문학체계를 구축한 아동문학이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그 대상을 소년, 아동으로 명확히 밝힌 아동문학이다. 그러면서 아동문학은 성인들이 소년아동을 신심이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쓴 문학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이들 자신의 유치한 문학이 아니라 어른들과 아이들을 위한 고상한 문학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선진적인 아동문학이론을 수용한 중국아동문학리론체계를 받아들여 아동문학을 유년문학, 동년문학, 소년문학으로 나누고, 이 3단계 문학이 통합된 문학임을 선언한 문학이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동요, 동시, 동화, 우화, 이야기, 수필, 아동소설, 아동희곡. 텔레비영화문학 등으로 그 장르를 나누고 있다.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was affected by both early professional children literature of Korean Peninsula and pur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liberation,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d been created under Joseon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ism through Joseon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late of 195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 under the leftist had been affected by childrens literature of classism in China and political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terature indicated injury literature, reflection literature following Childrens literature of China. In 199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made a step forward independence.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s reflected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zed their own ethnicity, so it has become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adapted to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has targeted for boys and children. In addition, adults have written them to bring up children as social members of sound body and mind. Therefore, childrens literature is not puerile but high-toned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system of China has accepted the advanced childrens literature theory of japan and it has combined 3 system; youth literature, young age literature, boy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genre of Ethnic Koreans categorizes into nursery song, nursery rhyme, fairy tale, fable, story, essay, childrens novel and television movie literature.

      • KCI등재

        개화계몽기 『로빈슨 크루소』의 번안과 아동 텍스트로의 이행

        오현숙(Oh, Hyun?sook)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근대아동문학은 기존의 성인문학(또는 미분화된 문학)을 아동을 독자적인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다시 쓰기(re?writing) 하는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다. 본고는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의 수용을 중심으로 아동 텍스트로의 이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원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문학에서 아동문학으로 이행한 대표적 작품 가운데 하나이며, 식민 개척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작품으로 비판되기도 한다. 이 소설은 한일합방 이전까지 한국에 활발하게 수용되었다. 구체적으로 김찬의 『(絶世奇談)羅賓孫漂流記』?(義進社, 1908 년), 최남선의?『로빈손無人絶島漂流記』?(?少年? 2권 2호, 1909 .2; 2권 8호, 1909 .9)를 중심으로 두 작품의 번안 전략을 분석하였다. 김찬의 경우 자국화의 번역 전략을 통해서 유교적 관점의 소년 교양물로서 텍스트를 변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최남선의 경우 아동문학의 문법에 따른 번안 전략을 통해서 한편으로는 제국주의를 반영한 식민 개척의 플롯을 그대로 반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사적이윤 추구를 비판하면서 인류의 공익 추구를 내세움으로써 모순된 번안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고는 서구의 근대문학, 성인문학을 받아들이면서 조선의 아동을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재구성하는 수용자의 주체적 의도와 아동문학으로 이행하고자 하는 능동적 기획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는 초기 아동문학사에서 영문학 작품의 번역이 조선의 아동을 독자적인 수신자로 삼는 문학으로 이행해가면서, 아동문학의 경계와 미학 등을 형성해나가는 중요한 기능을 했음을 규명하는 데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당대 번역이 단순히 서구문학을 도입하거나 서구중심의 이데올로기를 수입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독자적인 문화와 대상 청중에 따른 적극적인 재문맥화 과정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ourse to rewrite existing adult literature (or undivided literature) to be the literature addressing children as its own recei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children’s text mainly dealing with the acceptance of Daniel Defoe’s Robinson Crusoe. The origina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n the world which was transformed from an adult literature to a children’s literature, also which is sometimes criticized since it propagated colonization ideology. The novel was accepted in Korea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To put it concretely, the transition strategies of mainly the two works, (Jeolse?uidam)Nabinsonpyoryugui((絶世奇談)羅賓孫漂流記) of Chan Kim (Uishinsa(義進社), 1908) and Robinson Mooinjeoldopyoryugui (로빈손無人絶島漂流記)(No.2 of Volume 2 Sonyun(少年), 1909.2 ?No.8 of Volume 2, 1909.9) of Choi Namseon were analyzed. In case of Kim Chan, it was confirmed that he modified the text as a juvenile cultural reading in the view of confucian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 strategy of domestication. In case of Choi Namseon, the plot of colonization reflecting Imperialism through the transi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grammar of children"s literature was directly reflected in one aspect and in another aspect, a contradictory transition text was composed by asserting the public interest of human race while criticizing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 of Protestantism. Through this, this study tried to show in depth the accepter"s independent intention who accepted the modern literature and the adult literature of the West and reconstituted them as the literature which takes the childre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s the receivers and the active planning itself to try to transit to children"s literature. Such discussion of this study tried to prepare for a clue that the translation of English literature works in early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functioned a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boundary and esthetics, etc. of children"s literature while it was transferring to be the literature to take the childre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s its own receivers. Also, this study tried to ponder that the translation of that time was not merely the import of the western literature or the western oriented ideology, but it was a process of an active re?creation of context according to the own way of the culture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target audiences.

      • KCI등재

        북한 교과서의 서구 아동문학 수용과 활용

        임옥규 국제한인문학회 202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6

        이 글은 북한의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을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체제에서 표방한 세계화 양상과 아동교육의 결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의 번역상황과 단원내용을 분석하여 북한 아동문학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구 아동문학 교육이 주는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북한에서는 서구아동문학이 1960년대에 연령별 대상으로 하는 출판사에서학자, 문인들이 번역자로 참여하여 소개되었으나 김일성 유일지도 체계가 확립되면서 사라지다가 1980년대 초부터 다시 소개된다. 2013년 교육강령에 따른변화로 서구 아동문학이 북한 교과서에 활발하게 소개된다. 이 글의 연구 범위는 북한의 2013년 교육강령에 따라 개정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서구 번역문학에 해당되는 아동문학이다. 북한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은 사회주의적 문학예술을 기준으로 평가받으면서도세계 보편적인 정서에 부합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제재는 남북 공통으로 다룰 수 있는 이솝 우화나 안데르센 동화, 안네 일기 등이며 북한 아동들의정서적, 인지적, 윤리적 측면에 영향을 끼친다. 김정은 체제에서는 외국 문학작품 확대 소개로 폐쇄성에서 벗어나 세계적 보편성에 맞추려는 의도가 제시되는데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은 서사 갈래가 주된 형태로 나타나고 학습목표로 북한 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과 북한정권에 대한 긍지 고취 등이 나타난다. 북한 문학교육은 북한 식 사회주의 체제에 적합한 인물을 양성하기 위한 사상교양의 측면을 강조하지만 번역문학은 다소 유연하게 주제를 제시한다. 이 글은 북한 교과서에 실린 서구 번역문학 텍스트 분석을 통해 남북 아동문학의 소통과 문학교육의 통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한다.

      • KCI등재

        초창기 SF 아동청소년문학의 전개

        최애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1

        This paper investigated SF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from the first introduction of colonial period to the development of initial stage. The initial stage of this paper includes from the end of the 1950’s to the 1970’s. But this paper dealt with the subjects of the end of the 1950’s and 1960’s, because the 1970’s was the complete collections and library times. This study dealt with magazines or periodicals in the 1950’ and the 1960’s which period began to develop domestic creative SF through magazin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The main channels for introduction of SF in the initial stage were Hackwon and Science for Students. SF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was developed having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writers for children of Hackwon, and the other group was writers of Science for Students. Many of writers for children Hackwon wrote other magazin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such as Boys, Catholic boys, Sabbat. Representative of them was Han Nackwon of pioneer of SF. The main writers of Science for Students were SF writers’ club members. Han Nackwon was not active with SF writers’ club, but he developed one’ own SF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SF 문학과 SF 아동청소년문학은 해방 이후 최초 창작 시기를 놓고서 의견이 분분하다. 문윤성의『완전사회』와 한낙원의『잃어버린 소년』을 두고 팽팽하게 갈리고 있다. 그러나 시기적으로 한낙원의『잃어버린 소년』이나『금성탐험대』가 문윤성의『완전사회』보다 앞서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견이 분분한 것은 소위 ‘본격’ 과학소설이란 명목 하에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을 의도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배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창기 국내 과학소설은 아동청소년문학을 통해 유입되었으므로 아동청소년문학을 배제한다면 텅 빌 수밖에 없다. 해방 이후 초창기 과학소설은『소년』,『새벗』,『카톨릭 소년』,『학원』,『학생과학』등과 같은 아동청소년잡지를 통해 창작되고 게재된다. 그중에서도 과학소설은 청소년 대상의 잡지이면서도 대중성을 표방한『학원』과 따끈따끈한 ‘과학’ 관련 기사를 직접적이고 중점적으로 다루었던『학생과학』에 많이 실렸다.『학원』이 비슷한 시기에 창간된 당대 대중잡지인『아리랑』,『명랑』과 필진들이 겹치는 반면,『학생과학』의 과학소설 필진들은 SF 작가 클럽이었다.『학원』의 주요 과학소설 필진은 한낙원이었고,『학생과학』의 주요 필진인 SF 작가 클럽은 서광운, 오영민, 김학수 등이었다. 초창기 SF 아동청소년문학은 성인 SF문학보다 오히려 전문 작가를 배출해 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완전사회』를 쓴 문윤성도 이후 이렇다할만한 과학소설을 내놓지 못했고,『재앙부조』(『자유문학』제 1회 소설 공모 당선작)를 쓴 김윤주도 마찬가지이다. SF 작가 클럽이 아동청소년문학과는 거리를 두면서도 지면은『학생과학』이라든가 아동청소년대상의 SF 전집을 택하면서 정체성을 확보하지 못한 반면, 한낙원은『잃어버린 소년』을 발표한 이후 꾸준히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을 창작하고 있었다. SF 작가 목록 자체에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이라는 영역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한낙원은 아동청소년문학가이면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SF를 전문적으로 쓴 유일한 작가라는 점에서 독보적인 존재이다.

      • 박태일의 한국 아동문학 연구 논리와 태도

        김종헌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2

        이 글은 박태일의 아동문학 연구 논리와 태도를 살펴서 향후 아동문학 연구의 방향을 고민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는 2000년 초반부터 지역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그 연장선에서 아동문학을 연구하였다. 지역문학이 일반문학에 비해 소외된 분야였듯, 당시 아동문학도 학문으로써 제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에 있었다. 이러한 여건에서 그는 지역문학 연구의 필요성과 같은 논리로 아동문학을 연구하였다. 그 논리는 한국 근대문학이 가진 식민성을 극복하는 대항문학의 성격이다. 일차적으로 그동안 누락된 아동문학 작품과 소외된 작가를 발굴하고 명망 작가를 재조명하였다. 박태일은 다수의 자료 발굴과 분석으로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계급주의 아동문학, 부왜 아동문학 등 지역 안에서 다루기 힘든 부분들을 학계에 보고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대 진영(문단의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학자의 양심과 1차 자료의 확보, 그리고 객관적 분석 때문이었다. 정전화의 과정에서 문학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주변문학으로 밀려났던 아동문학의 지위를 보완하는 것은 타자의 가치를 찾고 인정하는 것이다. 아동문학 연구는 아동문학 창작을 부추기고 이끄는 역할로 그 방향성을 고민해야 한다. 일반문학과 아동문학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서 아동문학을 논의해야 하는 것은 박태일의 아동문학 연구가 후학에게 던져 놓은 과제라 하겠다. The Logic and Attitude of Park Tae-il'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Kim, Jong-he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ogic and attitude of Park Tae-il'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and to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Since early 2000, he has been interested in local literature and has studied children's literature in an extension. Regional literature was an alienated academic field compared to elitist literature. He discovered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the necessity and logic of local literature research. His interest in children's literature is aligned with local literature. The logic is the nature of opposing literature that overcomes the colonialit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most remarkable research achievement is the natural establishment of children's literature in literature. Park Tae-il reported to academia areas that were difficult to deal with in the region, such as children's literature in Gyeongnam and Busan, classist children's literature, and wealth and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In this process, it was the conscience of scholars and the securing of primary data and objective analysis that were able to overcome the opposition of vested interests. Complementing the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which was pushed out to surrounding literatur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power outage, is to find and recognize the value of others, as Park Tae-il showed in a local literature study. The need to discuss children's literature at the intersection of general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is a task that Park Tae-il'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has put on his younger students.

      • 아동문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원종찬(Won Jong-Chan) 돈암어문학회 2009 돈암어문학 Vol.- No.22

        한국 아동문학은 199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창작이 활발해지자 비평과 연구의 필요성 또한 자각되었다. 그리하여 오늘날은 아동문학이 더 이상 비평과 연구의 사각지대는 아니게 되었다. 아동문학 분야는 일차자료뿐 아니라 이차자료조차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탓에, 선행연구를 파악하는 데에서 곤란을 겪는다. 과거로 갈수록 비평과 연구를 엄격하게 구분하기도 쉽지 않다. 아동문학의 개척기에는 방정환의 동화론과 동요론이 그나마 이론적인 성격을 띤 것이고, 그밖에는 대개 소박한 작품평들이다. 카프(KAPF)문학운동 시기에는 계급성을 내세우는 글들이 많이 나왔다. 1930년대 중반부터 동화의 본질을 탐구하는 논의가 나오기 시작했다. 해방이 되자 일제시대를 돌아보면서 새로운 시대의 과제를 내오는 이론비평이 등장했다. 1960년에는 아동문학의 유산을 정리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아동문학의 서지와 연표, 회고적 성격의 문학사가 씌어졌다. 이들 기록은 실증적인 오류를 많이 안고 있다. 이런 오류들은 이재철 교수의 연구로 와서 대부분 극복되었다. 1990년대 이후 아동문학 전공자들이 꾸준히 증가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정기간행물들에서 아동문학 평론과 논문을 찾아볼 수 있다. 아동문학 강좌를 개설하는 대학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에 발표된 아동문학 연구논문은 그 이전의 것들을 모두 합한 것보다도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아동문학 연구는 이제 비로소 궤도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핵심적인 과제는 기초연구 영역에서 이재철 교수의 성과를 보완하는 일이다. 개척의 공로가 큰 선행연구의 미비점을 넘어서지 못하고 실증적인 오류를 반복하는 것은 전반 연구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일이다. 과거의 문학유산을 다룰 때에는 힘들더라도 서지연구와 원본비평에서 출발하려는 학문적 성실함이 요구된다.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veloped greatly since the 1990s. As lots of children's books have been written, necessity of literary criticism and other researches on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realized and now there is no lacks of literary criticism and researches on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there is no well-organized secondary data of children's literature, not to mention primary data,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data of relevant existing studies, and moreover, as we approach older data, we find the boundary between criticism and research blurs. At the pioneering stage of children's literature, the only theoretical works were theories of children's story and children's poem by Bang Jung-Hwan and others were mostly simple comments on children's books. A number of books propagandizing for proletarian literature were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KAPF movement. It was the mid 1930s when discussions were made about the essential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emancip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 literary criticism which reflected o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asked about challenges of new times appeared. In the 1960s, there was a trend of arranging the heritag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many bibliographies and chronologies and literary history were written in that period, which, however, had not a few objective fallacies which were mostly corrected by Lee Jae-Chul. Since the 1990s, number of people studying children's literature has gradually increased. Numerous commentaries and theses on children's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periodicals and number of postgraduate courses for children's literature have been increasing, and it is estimated that more theses on children's literature were written in the 2000s than the whole theses of the same kind written before combined. It can be said that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gets on the right track now. What's to be done is to supplement the work of Lee Jae-Chul in the area of basic research. It will be an undermining of excellence of his pioneering research if we repeat the same objective fallacies without improving his work. To study literary heritages, it will take academic sincerity to start the study from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critical reading of original texts.

      • KCI등재

        송영과 아동문학, 정동으로서의 아동극-『별나라』를 중심으로-

        손증상 ( Son Jeung-s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이 글은 송영의 아동극을 중심으로 아동문학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송영의 아동극 세계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송영의 작가의식과 더불어 카프의 아동문학 활동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영은 카프에 소속된 유일한 희곡 작가로 『별나라』 편집을 담당하면서 계급주의 아동문학 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는 해방 이후 북한 아동문학 전개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송영에게 있어 아동문학이 단지 보조적인 창작 활동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전성(全城)”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송영의 아동문학은 계급주의 아동문학을 통시적으로 읽어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작가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좌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글은 송영의 아동극 <자라사신>, <홍길동>, <지구 이약이>, <그 뒤의 용궁>과 벽소설 「을밀대」, 아동극론 등을 두루 검토하였다. 송영은 계급주의 아동문학을 주도하면서도 아동의 흥미와 재미를 고려하였고, 아동의 성미를 고려한 감정의 전달을 통해 아동의 행동과 인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는 송영 아동문학에서의 감정의 긍정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송영 문학과 동궤를 이룬다는 점에서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다. This study aims to prospect artist's awareness and activities for children's literature of KAPF, by looking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a of Song Young. Song You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taking charge of 『Byeolnara』 editing. This paper analyse children's literature < Jarasashin >, < Jiguyiyagi >, < Keudwieuiyonggung > etc. After the crisis of KAPF, Song Young started introspecting itself on hierarchical children's literature that evolved within the frame of Bolshevik popularization theory, emphasized amusement and meanings while focusing on children's emotion and individual child's nature. This not only confirms the role of emotions in Song Young's literature, bu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