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니엘 아라스의 아나크로니즘 개념에 대하여 - 아나크로니즘 방법론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안나영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Anachronism’ of Daniel Arass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achronism is unique art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of Arasse that analyzes the multi-layered temporality that is left in a work of art by means of a mixture of times, structure and direction. In this paper, the anachronism methodology of 'controlled anachronism' represents a lineage derived from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Paul Benné and Michel Foucault. And, I analyze the works through 'familiarity' and 'double archaïsme' by embodying controlled anachronism. It is a reconsideration of the fundamental time concept of the foundations of art history and is also an example of a living dialogue between past and present through the 'History of regard'. This will reveal the new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Anachronism. 본 논문의 목적은 다니엘 아라스의 아나크로니즘을 역사학적 차원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아나크로니즘은 시간의 혼합, 구조, 방향과 관련된 개념으로 한 작품에 남겨져 있는 다층적 시간성을 분석하는 아라스만의 독창적인 미술사 연구 방법론이다. 여기서는 ‘통제된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e contrôle)이라는 아나크로니즘 방법론이 폴 벤느와 미셸 푸코의 역사 서술 방식에서 연유된 계보를 제시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통제된 아나크로니즘을 구체화하여 ‘친숙함’(familiarité)과 ‘이중 아카이즘’(double archaïsme)을 통해 작품을 분석한 예를 살펴본다. 그것은 미술사의 근본적인 시간 개념에 대한 재검토이며 ‘시선의 역사’(Histoire du regard)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살아있는 대화(dialogue)를 예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아나크로니즘 개념의 새로운 미술사적 의의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역사적 상상력 : 역사-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역사-드라마는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극적으로’ 주선한다. 이 때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과 극적 허구라는 이질적 층위의 이야깃거리를 하나의 균질적 이야기로 집성해내고,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라는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시공간을 자유로이 넘나들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드라마의 핵심적 역사 기술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상상력은 주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상호텍스트성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 사이에 산포하는 다종다양한 텍스트의 호출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간극을 좁히고,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를 지금/여기와 흡사한 시대감각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현재화된 과거라는 모순적 시간계 속에 존재하는 역사드라마의 본질은 역사와 드라마의 절합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역사와 드라마라는 인문과 예술에 대한 ‘태도’의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다. 자연히 역사적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역사드라마로서의 ‘진지함’ 이라는 태도 속에서만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역사드라마의 이러한 태도는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이 어떻게 텍스트 속으로 수렴되고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역사적 상상력의 수행으로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로 분할되어 있는 화면 안팎의 시공을 초월하여,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통해 과거를 복기하고 현재를 환기하는 극적 재현에 있어 더없이 유용한 극작 기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추노>, <공주의 남자>, <뿌리깊은 나무>, <해를 품은달> 등의 미니시리즈는 역사적 상상력의 극적 수행인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의 성패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사실로서의 큰 역사(History as a fact)’ 사이에 그럴듯한 ‘허구로서의 작은 역사들(histories as a fiction)’을 틈입시키거나, 그때/거기의 허구적 재현을 통해 지금/여기에 대한 사실적 발화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하지만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은 굳이 소환해야 할 당위가 없는 역사를 가벼이 불러내어 소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다.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정서 혹은 정조(情操)와는 무관하게 역사적 상상력의 진지함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을 압도하고 있는 셈이다. History-drama arranges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ical imagination is core principles of History-drama. It gathers heterogeneous stories and form into a homogeneous story. It also crosses incompatible space time border, or then/there and now/here, with no limitations. Historical imagination was oper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calling out various texts, and anachronism, representing then/there with the sense of the times of now/here. History-drama's essence lies in the reading of human world through articula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History-drama's earnestness gives some validity to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presented’ past. This attitude could be found by seeing how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converge towards tex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transce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 screen, or time space divided between then/there and now/here. Both of them are useful dramaturgy that not only duplicates the past but also arouse the present.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as a dramatic performance of historical imagination, could be good examples in the mini-series such as <Chuno>, <The princess' man>, <Deep-rooted trees>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Small histories as a ‘plausible’ fiction not only intrude into History as a fact, but also try realistic discourses on now/here in <Chuno> and <Deep-rooted trees>. However, histories with no validity are recalled easily, then exhausted in <The princess' man>,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is shows poverty of historical imagination. Regardless of emotion in drama, <Chuno> and <Deep-rooted trees> overwhelm <The princess' man>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in an earnest aspect of historical imagination.

      • KCI등재

        해방기 소설에 재현된 중립적 아나크로니즘 연구 ― 염상섭의 『효풍』과 이태준의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박인성 ( Park In-s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1

        이 논문은 이태준과 염상섭의 해방기 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해방기 시공간의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의 성격에 대하여 구체화한다.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염상섭의 『효풍』은 건국의 공백기로부터 차츰 이념적 공간으로 수렴해가는 해방기 시공간을 차별화된 문학적 방식으로 재현한다. 좌우로 이분화되는 사회 분위기 안에서 그와는 다른 목소리를 도입하거나 이질적인 시간성을 묘사함으로써 해방기에 대한 이해를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두 텍스트 모두 정치적인 중립성이 강조되지만, 그러한 중립성을 경유함으로써 아나크로니즘의 복합성을 다양하게 재현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소설적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나크로니즘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서 이태준의 경우는 섬세한 당파주의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염상섭의 경우는 다소 추상적이라고 할지라도 해방기 현실의 잠재성을 계속해서 발굴하고자 미래의 시간성을 현재에 도입하고자 노력한다. 해방기라는 시대에 대한 합의나 그 소설적 재현이 결코 같은 출발점이라고 할 수는 없음에도 두 작가의 텍스트에서는 각자의 중도주의를 활용하여 선명하게 구별되는 방식의 응답을 도출해낸다. 따라서 그들이 공통적으로 관통해야 했던 해방기 아나크로니즘은 단순히 주어진 현실에 대한 수동적인 순응이 아니라, 공백으로 출현한 해방기 내부에서 구체화하고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자기 정체성의 탐사 전략으로써 능동적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spec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anachronism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argeting the liberation period novels of Lee Tae-jun and Yeom Sang-seop. Lee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and Yeom Sang-seop's 『Hyo-pung』 both introduce disparate voices in a differentiated way to the time and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converging from the blank period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o the level of ideology. relatively complex reproduction. Also, although political neutrality is emphasized on the surface, under such neutrality, it is to implement an active novelistic strategy to reproduce and experience the complexities of Anachronism in various ways. As a result,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Anachronism, Lee Tae-Jun's case is to secure a direction toward delicate factionalism, and Yeom Sang-Seop's case is to introduce future temporality into the present in order to continue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even though it is somewhat abstract. The effort. Even though the agreement on the era of liberation or its fictional representation cannot be said to be the same starting point, the texts of the two writers use their respective centrists to derive responses in a clearly differentiated way. Therefore, the anacronis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they had to penetrate in common should be seen as having an active meaning as a strategy for exploring identity that must be materialized and reconstructed within the liberation period that emerged in a vacuum, not simply a passive adaptation to the given reali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아나크로니즘의 기획 -미니시리즈 <추노(推奴)>의 형성소를 중심으로-

        박노현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3

        시대극은 과거를 소환하여 현재를 투사한다. 그것은 있었던 과거에 대한 필사(筆寫)라기보다 있었을 과거에 대한 창작의 산물이다. 과거에 대한 상상은 곧잘 현재에 대한 은유로 작동한다. 즉 시대극의 관심은 텍스트가 재현하는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가 재현되는 현재에 있는 것이다. 24부작 미니시리즈 <추노>는 이러한 시대극의 핵심을 잘 보여준다. 더욱이 그것은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대단히 높은 미적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추노>는 17세기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도망간 노비를 쫓는 추노꾼의 이야기이다. 쫓고 쫓기는 추적이 플롯의 기본을 이루기 때문에 그것은 시종일관 역동적 긴장을 선보인다. 추적은 등장인물 서로가 복잡다단하게 얽히면서 사슬 혹은 연쇄의 형태를 띤다. 타자의 신체를 쫓는 추격에서 자아의 욕망을 좇는 추구로 옮겨간다는 점에서 <추노>의 추적은 실존의 기행인 셈이다. <추노>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미덕은 과거를 호출하여 현재를 호명하는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의 기획이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드라마 형성소가 정교하게 배치되어 이러한 기획을 가능케 하고 있다. 동적인 추적과 정적인 토론의 긴밀한 맞물림은 신체에 새겨진 각인이 정신을 깨우는 각성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등장인물의 교양과 성장에 대한 기록이다. 또한 말과 글 혹은 화면과 소리의 비동시적 동시성은 시각과 청각의 부조화가 역으로 대단히 조화로운 장면을 만들어내는 공감각적 데코럼이다. 이처럼 <추노>는 당대와 현대의 의도적 시간 변주로 과거를 소환하여 현재와의 대화를 주선한다. 그것은 17세기 조선과 21세기 한국이라는 시간차와 시대차를 자유로이 오가는 계산된 아나크로니즘으로서 지금/여기의 인간과 세계에 대해 대단히 의미심장한 화두를 던진다.

      • KCI등재

        한국전쟁의 영화적 기원들 -1951년에 제작된 <이것이 한국이다!(This is Korea!)>, <삼천만의 꽃다발>, <철모(The Steel Helmet)>

        박현선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2 No.-

        이 글은 1951년 한국전쟁기에 미국과 한국에서 만들어진 세 편의 영화를 통해서 ‘국제적 내전’으로서 표상된 한국전쟁의 냉전 수사학과 그 속에 담긴 모순들을 살펴본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세 편의 영화는 존 포드의 <이것이 한국이다!>, 신경균의 <삼천만의 꽃다발>, 사무엘 풀러의 <철모>다. 각각 ‘한국전쟁을 다룬 최초의 다큐멘터리’,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전쟁 극영화’, ‘한국전쟁을 다룬 최초의 할리우드 극영화’라는 명칭으로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적 수사학의 기원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기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은 ‘기원의 해체’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전쟁이 과연 어떤 세계의 기원을 만들어냈는가, 혹은 한국전쟁의 영화적 수사학이 어떤 기원을 필요로 했는가 하는 질문들은 냉전문화 연구에 중요한 화두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냉전문화연구가 밝힌 바 있듯이, 냉전체제로 접어들면서 영화는 ‘사람의 마음과 정신’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심리전의 무기’로 공인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구축된 “태평양 횡단적인 미국의 헤게모니”(사카이 나오키)가 글로벌 시각체제를 강화하던 시기에 미국과 한국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을 교차 분석함으로서ᅠ이 글은 냉전문화의 글로벌-로컬 다이나믹을 조명하고 거대한 하나의 눈(키클롭스의 신화적 눈)이 아니라 복수의 눈(복안(複眼)과 겹눈의 시선)으로서 한국전쟁을 이해하는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영화 미디어와 산업이 어떻게 시각적 테크놀로지이자 전쟁기계로서 열전과 심리전, (문화)냉전을 연결하고 냉전의 수사학을 작동시키는가 살펴본다. 이어서, 세 편의 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글로벌 냉전의 형성적 시기에 한국전쟁 영화가 차지하는 복수적 위상을 논의한다. 끝으로, 이 글에서 주목하는 바는 냉전체제의 형성기라는 프레임 속에서 만들어진 이 세편의 영화가 어떻게 전쟁의 표상들을 구축하는 동시에 아나크로니즘적인 틈새들을 드러내는가 하는 점이다. 아직 전쟁의 표상들이 질서있는 서사 속으로 고정되기 전에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1951년의 한국전쟁 영화들에서 ‘기원’으로서 등장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ld War rhetoric of the Korean War as ‘an international civil war’ through three feature films made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during the Korean War in 1951. They are John Ford’s This is Korea!, Shin Kyung-gyun’s A Bouquet of Thirty Million People, and Samuel Fuller’s The Steel Helmet. Respectively being called as “the first color documentary dealing with the Korean War”, “the oldest Korean War feature film in existence,” and “the first Hollywood feature film about the Korean War,” they constitute cinematic origins of the Korean War. The use of the term “origin” here is critically intended for “deconstruction of the origin.” The questions at stake are “what kind of world was presented by the filmic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War?” and “what kind of origin did the cinematic rhetoric of the Korean War demand?” As many Cold War culture studies have discussed, the cinema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weapon of psychological warfare” capable of capturing “the mind and spirit of people.” By juxtaposing films made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during the same time period when the “transpacific American hegemony”(Naoki Sakai) began to strengthen the global visual system, this article describes the global-local dynamics of the Cold War culture and argues for a critical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Korean War through multiple eyes rather than a huge single eye (Cyclops’ mythical eyes). To do so, this article first examines how film media and industry connect the Korean War, psychological warfare, and Cold War rhetoric.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films, it discusses the plural status of Korean War films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global Cold War. Finally, it pays attention to the peculiar ways that they construct the representations of war and at the same time disclose the chasm in Cold War anachronism. The article illuminates that the plural origins of the Korean War films imply the challenges to be solved in the practices of (re)presenting the war afterwards.

      • KCI등재

        히스토리·미디어·스토리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 대한 존재론적 試論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를 현재로 소환하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여기에는 소환할만한 과거 혹은 의미 있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입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역사관이 투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통용되어온 역사극과 사극, 정통과 퓨전, 사실과 허구를 절충한 팩션 등과 같은 수식어의 난립은 역사 소재 드라마를 둘러싼 역사관과 예술관의 복잡다단한 얽히고설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글은 이러한 난맥을 돌파하기 위한 하나의 모색으로서 ‘역사-드라마’라는 개념을 제안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역사-드라마는 미디어의 중재를 통한 역사의 극화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역사와 드라마를 연결하는 하이픈은 상징적이다. 이는 역사와 드라마의 접속을 환기하는 ‘이음’이고, 역사적인 것 가운데 드라마적인 것을 ‘추출’하는 수식이며, 역사와 미디어와 드라마의 연쇄를 지시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역사적인 것이 무대와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통해 드라마적인 것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역사-드라마는 두 가지 덕목을 동시에 요구받는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진지함’과 ‘드라마에 대한 진지함’이다. 이는 역사가 드라마로 형상화되는 연쇄속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진지함이란 역사의 사실 혹은 진실의 진위여부 보다 역사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역사 이상과 이외의 살핌을 텍스트 본연의 역할로 간주하는 것이다. 한편 드라마적 진지함은 이러한 역사의 재구과정에서 드라마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미학 원리에 충실하게 텍스트를 직조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두 가지 진지함의 접점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아나크로니즘적 상호텍스트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텔레비전이라는 일종의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와 드라마가 상상의 시공간 속에서 조우함으로써 과거와 현재가 나누는 진지한 대화인 셈이다. In the field of History, history is especially problematic material. Historical dramatization is a kind of visualization of the past, in that drama forms conflicts between human and world in the ‘here/now space’ tim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all the past into the present. It is because this work is deeply involved with what the recallable or meaningful history is, or the view of history. Rhetorical flourishesfaction, legitimacy, fusion and historical drama-about drama with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e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view of history and view of art.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historydrama’ to break this impasse. "History-drama’ refers to the dramatization of history through the arbitration of media. In this term, a hyphen between history and drama is symbolic: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the extraction of dramatic thing from history, and the sign implying the linkage among history, media, and drama. ‘History-drama’ is required to have two virtues, or the seriousness of drama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through dramatization of historical things in the stage, screen and television. The seriousness of history implies historical imaginary is considered the original role of text than historical reality or fact. The seriousness of drama means the text of drama is faithfully reconstituted based on the aesthetic principles. There is anachronic intertextuality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riousness of history and drama. In this context, television history-drama is an earnest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television, a kind of time machine, in which history and time could encounter in the imaginary space.

      • KCI등재

        문학의 아나크로니즘 -'작은' 문학과 '소수' 문학을 중심으로-

        진은영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7 No.-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Kleine Literatur’ of Kafka: Casanova’s ‘Small Literature’ and Deleuze/Guattari's ‘Minor Literature’. Based on such an examination, I t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contemporaneity (the political) in literature. According to Casanova, small literature refers to literary works written by writers from small countries which tend to depend upon the political situation. She suggests that peripheral literature can become Literature’s Greenwich Meridian by overcoming the politicization of literary space and acquir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Casanova criticizes that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a minor literature premises an anachronic idea that the writer is Vates (prophet)and shows an anachronical prejudice for Kafka’s politics. Their interpretation is disregarded by her as a crude one that deforms Kafka’s text and makes a historical error. However, Kafka says, “Art is a mirror, which goes ‘fast’, like a watchsometimes.”It means that anachronism is a practical and indispensable aspect of Art. As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an anachronic art and minor literature has its own absolute autonomy. It does not mean an achievement in literary histor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politics and economics, but an invention of a new assemblage that revolutionizes contemporary forms of life in the socio-political space.

      • KCI등재

        소설, 아나크로니즘, 몽타주 -최인훈의 「구운몽」(1962) 시간착종 다시 읽기

        양정현(Yang, Jeong-H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9

        This study scrutinizes the characteristics of Choi’s “Guunmong” and its achievements, focusing on the anachrony. Various studies on “Guunmong” have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such as experimental form and fantasy. Chois works have structural repetition at various narrative levels, like anachrony in “Guunmong”, which is continued to “Gray Man” and “Seoyugi (Journey to the West)”. This paper attempts to complements the deficiencies of precedent discuss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nachrony appeared through repetition of narrative situations, characters or specific motifs. Contrary to the dereistic narrative of “Guunmong”, Dokgomin has a clear sense of time at the level of subjective perceptio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ive reality and Dok-Komins confusing subjective journey, as shown by the broadcasting of the revolutionary army and government forces inserted in the fiction, bu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dominant turning point of narrative. Dokgomin merely lacks of the sense of “meaning”, despite of his correct sense of time. The theory of civilization shown in Choi In-hoons published novels and criticisms argues that humankind have historical interrelationships, and that oneself and others are deeply involved in the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 As a metaphor for the theory of civilization, the shape of the “robot” corresponds to the logic of the resurrection of “Guunmong”. The montage that appears in “Guunmong” is not only an aesthetic stylization of confused recognition on History, but also a thematic representation that calls us for historical montage of Ego.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tory of Dokgomin in the fiction has both the possibility of 1960 and 1962, and the indecidability of interpretation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anachrony in “Guunmong”.

      • KCI등재

        문학의 아나크로니즘 -작은 문학과 소수 문학을 중심으로-

        진은영 ( Eun Young Ji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7 No.-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Kleine Literatur`` of Kafka: Casanova`s ``Small Literature`` and Deleuze/Guattari`s ``Minor Literature``. Based on such an examination, I t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contemporaneity (the political) in literature. According to Casanova, small literature refers to literary works written by writers from small countries which tend to depend upon the political situation. She suggests that peripheral literature can become Literature`s Greenwich Meridian by overcoming the politicization of literary space and acquir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Casanova criticizes that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a minor literature premises an anachronic idea that the writer is Vates (prophet) and shows an anachronical prejudice for Kafka`s politics. Their interpretation is disregarded by her as a crude one that deforms Kafka`s text and makes a historical error. However, Kafka says, Art is a mirror, which goes ``fast``, like a watch- sometimes. It means that anachronism is a practical and indispensable aspect of Art. As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an anachronic art and minor literature has its own absolute autonomy. It does not mean an achievement in literary histor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politics and economics, but an invention of a new assemblage that revolutionizes contemporary forms of life in the socio-political space.

      • KCI등재

        채만식 해방기 소설의 아나크로니즘 연구

        박인성(Park, In-Se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9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his later novels through a series of works from the lat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of Chae Man-sik. Chae Man-siks novels compose their own contemporary representa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communing with the times of the past. Chae Man-sik is not simply an individual who has fallen into historical nihilism and the absence of prospects, but “presents” the times that do not become historical again through a problematic period of liberation. The possibility of currentization is not reduced to simply the fault lines of “breaks” and “new generations” of history or generations. Anachronism can be a third alternative temporality. The core of anachronism in the no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in the process of implying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 suppressed in contemporary reality in a limited way and to face the closed reality. This process is the presentization of the dominant voices latent in the oppressive reality that precedes the artists intentional plann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novel strategy of Chae Man-sik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aepyeong Cheonha』 and 『Takryu』, and focuses on peculiarity of anachronism in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ue to his reflective attitude toward his pro-Japanese career, Chae Man-sik seems to deviate from the leading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the future or the imagination of the founding country. Therefore, the anachronism in Chae Man-siks liberation period novels is not an alternative imagination to the repressive reality, but rather is focused on deliberately deviating from the accelerating period toward the founding of the country or creating a dissonance. In 『Okrangsa』, a historical regression is draw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future temporality, and in Boys Grown Up, the unpredictable different time is made present by completely deviating from the imagination of the founding country. Through the concept term of anachronism, this paper reveals that Chae Man-siks later works are not simply immersed in the compatible composition of historical optimism or pessimism, but incompletely attempting a new historical attitude. This also emphasizes that Chae Man-sik is a writer who accurately portrayed the complexity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most novel techniques of time and history. Liberation and founding have never been completed on a single spatio-temporal basis. Rather, it is close to a state in which various individual and collective transformations are temporarily overlapped between dynamic different times. And Chae Man-sik is an artist who portrayed such temporality as a contemporary pers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