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 王陵 十二支神像 硏究

        김은선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5

        十二支神像이란 12방위와 12달, 12시간에 대응한 12가지 동물조각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부터 본격화되어 조선 왕릉 석물에도 십이지신상을 조각하였다. 조선 왕릉에서는 봉분을 보호하는병풍석을 12각으로 조성하면서 그 병풍석 面石에 십이지신상을 浮彫하였다. 조선왕릉 병풍석 십이지신상은 12방위를 호위하며 외부로부터 죽은 왕을 수호하는 신장상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의 圖像은 獸冠人身像이다. 즉 사람의 얼굴과 신체를 지녔으며, 동물형상은 머리 위에 쓴 冠帽에 별도로 조각하였다. 형태는 홀을 들고 있는 문관상으로 정면을 향하여 반듯하게 시위하고 있다. 머리에는 冠帽를 쓰고, 소매가 길고 폭이 넓은 대수포를 입었다. 운좌를 밟고 서 있으며 주변에는 운채를 꽃이 만개하는 형태로 가득 채우고 있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조선 왕릉 십이지신상은 양식적 변화가 크다. 조선 건국 직후인 14세기 말기~15세기 초기에는 고려의 古禮를 받아들인 시기로, 십이지신상 . 영저 . 영탁문을 시문하였다. 15세기 중기~17세기 초기까지는 조선의禮制가 정착되는 시기로 십이지신상 . 운채 . 십이지문자가 시문되었고 조선식 십이지신상이 정립된 시기이다. 조선후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사회변혁기인데, 십이지신상 대신 십이지문자로 간략화되고18세기 중반 이후에는 모란문으로 변화되어 동물이미지의 십이지생초는 결국 소멸한다. 이는 古禮를 중요시하여 형식변천이 많지 않은 보수적인 왕실미술의 성격을 견주어본다면 획기적인 도상의 변화가 발생한 것이고, 매우 드문 일이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첫 번째, 조선중기 이후 왕릉 제도의 변화로병풍석을 아예 조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왕릉을 옮기는 遷陵을 자주 거행하였기 때문이다. 천릉은조선만의 특징인데, 복잡한 정치적 배경을 배경으로 진행되었으며, 천릉 이후 병풍석을 만들지 않거나 다른문양으로 대체하였다. 세 번째, 인력과 비용 등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네 번째, 불교문양 배격의 사회적 인식 때문이다. 즉 십이지신상을 불교문양으로 해석하고 이를 배척하면서, 결국 십이지신상을 없애고 모란 . 연화문양으로 바꾸게 된 것이다. 조선 왕릉 십이지 신상은 통일신라, 고려와는 다른 조선만의 독특성이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고유성을 창출하였다. 특히 조선의 역학과 음양오행설과 습합하여 조선만의 독자적인 십이지신상으로 정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왕릉 십이지신상 중 마지막 도상으로 미술사적 연구가치가 높다. Joseon royal tombs' twelve zodiacal dieties resemble a figure with animals carved on the crown and a human body. The image has human face and body and animals carved on the crown. The figure is a civil servant image holding a ring in the hand and facing the front. It wears a crown on the head and a broad garment with long sleeves. It stands on the unjwa (cloud-shaped pedestal) with the surroundings filled with clouds and full of blossoms,evoking a mysterious ambience. Joseon Royal Tombs' twelve zodiacal dieties changed significantly in terms of style. In the late 14th century to the early 15th century right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Goryeo's ceremonies and rites were transferred and accepted; as such, twelve zodiacal deities, Buddhist bells, and beads were engraved. From the mid-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Joseon's rites were established. As such, twelve-zodiac deities, cloud figures,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twelve zodiacal deities were engraved.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as a social reformation period,following the Imjin Waeran (Japanes invasion of 1592) and Byeongja Horan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 1636) wars, twelve-zodiac figures were simplified into twelve-zodiac patterns but were changed into peony patterns after the mid-18th century; thus causing the twelve animal images to sink into oblivion. Joseon royal tombs' twelve-zodiac divine figures were unique and original,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as well as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combining its Principle of Changes and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Joseon established its unique twelve-zodiac figures. Joseon royal tombs' twelve-zodiac figures were the last among such traditional iconographies, making them highly worth researching in the history of arts.

      • 신라 십이지신장상 호석 능묘의 변천

        金龍星(Kim Young-S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1 No.-

        이 글은 지금까지 논의된 신라 왕릉 가운데 특히 혼란이 일고 있는 십이지신장상을 가진 능묘의 주인공 비정과 그 능묘 자체의 변천 과정을 좀 더 명확히 하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의문에서 호석의 구조와 십이지신장상 자체의 분석을 실시하여 변천 과정을 추출함으로써 앞으로 왕릉 비정을 위한 기본작업으로 시도되었다. 십이지신장상을 가진 신라의 능묘는 그것이 가진 몇 가지 속성, 즉 복식, 십이지신장상의 두향, 조각수법, 화면의 비례 등에 의해서 적어도 두 계열의 축조집단이 상정된다. 이 축조집단은 시기에 따라 변천하고, 서로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무복에 장방형에 가까운 화폭의 화풍과 곡면각 조각수법의 집단이 십이지신장상을 새기고 그 능묘를 축조하였다. 봉분 외표시설의 형식, 즉 호석과 그 부대시설의 구성, 호석의 단면 형태, 호석에 배치된 십이지신장상을 가진 탱석의 배열, 그 탱석의 크기와 화폭 비례, 십이지신장상 두향 등은 시기에 따라 변천하는 요소로 볼 수 있고, 이에 대한 형식 분류는 능원시설에 의한 신라 왕릉의 변천 과정과 순조롭게 연결됨으로 십이지신장상을 가진 신라 능묘의 변천 과정을 지적해 준다. 변천 과정의 추출 결과 십이지신장상을 가진 신라 능묘는 전성덕왕릉 괘릉(원성왕릉) 흥덕왕릉·전헌덕왕릉 전경덕왕릉 전김유신묘·구황동왕릉지 전진 덕여왕릉 구정동방형분의 순서가 도출된다. In the question of how to determine more clearly the owner of royal mausoleums with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which are especially in arguing among Silla-royal mausoleums discussed until now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at royal mausoleum itself,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fundamental operations of hypothesis about the royal mausoleum by extracting the process of the change through analyzing the structure of stone circle and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itself. Silla-royal mausoleums which have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are assumed to be at least two series of construction group by several property, that is costume, the direction of head of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sculpture techniques, the proportion of screen, etc.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se two groups underwent changes with time and had impacts on each other. And finally painting which use similar to the rectangular canvas with a shamanist costume and group of curved-shaped sculpture carved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and constructed the mausoleums. It is possible to see the form of outside installation of burial mound such as formation of stone circle and the facility, the arrangement of Taengseok located in stone circle with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size of Taengseok, proportion of canvas, the direction of head of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etc as elements that changed over time. And because type classification for these things is closely related to transition of tomb facility of Silla-royal mausoleums, type classification for these things points out the transition of Silla-royal mausoleums with the twelve zodiac animal signs. The results of extracting process of change of mausoleums show us sequence of the Silla mausoleums: (Jeon)Sengdeok royal mausoleums→Goe-reing(Wonseung royal mausoleums)→Heungdeok royal mausoleums·(Jeon)Hendeok royal mausoleums→(Jeon) Keungdeok royal mausoleums→(Jeon) the tomb of Kim Yoo-sin·Guhwangdong royal mausoleums→(Jeon)Gindeok royal mausoleums→the tomb of Gujeongdong.

      • KCI등재후보

        조선왕릉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의 도상(圖像) 원류와전개과정

        김지연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4

        조선왕릉은 조선왕조의 역사, 이념, 문화, 미술, 건축, 제례 등이 종합적으로 융합되어 만들어진 결정체이며, 500년 왕 조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산물로서 그 상징적 의의가 매우 크다. 왕릉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 중에서도 특히 능침 주변에 배치된 석물들은 능침을 수호하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중 요한 요소였으며, 그 중에서도 봉분 가장 가까이에 표현된 십이지는 그 기능의 가장 중심에 놓여져 있는 대상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 능묘에서부터 시작된 십이지신상은 전해지는 규모나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능묘 축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했었음이 확실하나,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왕릉에 이르러서는 규모나 형태에서 매우 간소화된 경향을 띠게 되면서 다른 석물들에 비견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십이지신상은 무덤을 수호하는 역할과 방위의 개념으로서 능묘를 장식했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으며, 시대별로 다 양하게 변화되어 나타나며, 조선왕릉까지 그 전통성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역사성과 상징성은 간과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조선왕릉에 표현된 십이지 도상(圖像)을 크게 3가지로 형식 분류하여 그 원류와 시기별 전개 과정을 고찰 해 보았다. 십이지 도상은 사람의 몸과 얼굴을 표현한 인신인수형(人身人首形), 관에 십이지 동물을 표현한 인신인수관형(人身人 首冠形), 십이지와 십간·팔괘의 혼합 문자형으로 분류된다. 조선왕릉의 이 3가지 십이지 도상은 그 원류를 중국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조선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교체되면서 왕릉을 장식하는 주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애용된다. 조선왕릉 십이지신상은 통일신라 이래 이어온 우리나라 능제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산 증거로서 그 의 미가 크다 하겠다.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the crystallization of history, ideology,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ritual ceremony of Joseon dynasty, all mingled in one. So, they are very significant symbols showing 500 years of dynastic history as a whole. Among various factors comprising a royal tomb, stone figures surrounding grave mound are special factors as a symbol protecting it. Further among them, twelve zodiac images arrayed nearest to the grave mound represent the core of the function.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originated from the tombs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are certain to hold important role and position in th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judging from huge scale and excellent sculptural art of them. However, both their scale and form had been gradually simplified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thus the importance of them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to other stone figures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decorated royal tombs both as a protective role and as a concept of direction. Their historicity and symbolism cannot be neglected in that they had been transmitted to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expressed i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3 forms, and review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m for each perio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3 forms ; civil vassals with human body and head, civil vassals with human body and head wearing hat decorated with zodiac animals, Chinese characters of either zodiac signs or either a combination of 10 calendar signs and 8 trigrams. The above 3 forms originated from China and became a favorite motif to decorate the royal tombs from early Joseon period until late Joseon by replacing each other and thus changing along the course of the dynasty. In the meantime, we can see a unique character in the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of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n some cases, 24 directions are expressed in which 10 calender signs and 8 trigrams are composed altogether.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in the royal bombs of Joseon dynasty are very significant as evidences by which we can confirm uniqueness and tradition of Korean tomb system transmitted from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음양오행사상의 십이지생초와 십이지띠에 관한 연구

        이옥화(Lee Ock 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동양학적인 십이지생초는 십이지띠로 부합한 음양오행사상 측면으로 살펴보면, 상수역과 천문역법에 나타난 생초사례와 상호 융합적인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최초 동물은 5400년전 하수(河水)에서 용마(龍馬)와 4200년전 낙수(洛水)에서 거북이가 역리의 기원이 된다. 이 의미는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하늘과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 땅을 상징하여 음양원리의 바탕이 되고 있다. 천상에 십이지생초의 상징성은 바빌로니아 때 서양의 황도십이궁(黃道十二宮)이 동양의 십이성차(十二星次)에 끼친 영향임을 밝혀졌다. 십이지띠는 동양의 이십팔수(二十八宿)를 상징한 대표적인 생초에서 유입되었다. 목성(木星)의 별칭 세성(歲星)은 태세가 되는 개인 출생년에 ‘띠생’과 연관 짓고 있었다. 음양오행과 유사한 십이지생초에서 음양은 발굽 숫자에, 오행은 동작에서, 성향은 십이지지의 계절기운을 따르고 있었다. 이러한 습성과 행위는 때와 장소로 미루어 볼 때, 태세의 시간이 방향의 공간적 활동에 부합해서 이 부여된 띠와 인연의 목적 또한 개인과 사회 공동체 중심에서 필요한 결속력을 중시하여 육합(六合)띠와 삽합(三合)띠로 하였고, 이를 분리하는 상충살(相沖殺)띠와 원진살(怨嗔殺)띠를 인연으로는 기피하였다. 매년 태세는 개인 출생년과 군신관계로 맺어 삼재(三災)를 피하고자 책력방법을 역기(曆記)하였다. 십이지지의 음양오행기운을 십이지생초에 융합함으로써 그 본능을 천체와 비교할 수 있으나 그 당시의 원기생성론(元氣生成論)이 후한대 왕충(王充)에 의해 원기자연론(元氣自然論)으로 전화(轉化)된 계기로 볼 수 있으며, 생초에서 보여준 동종기운의 감응은 시공체계의 공감대 형성과 자연법칙에 순응하는 조건을 토대로 삼았다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welve-Ji-Saengcho and twelve signs, which are cultural customs that became popular starting from the Warring Nations Era and the Late Han Dynasty in China. The first animals were the dragon-horse in Hasu(河水) some 5400 years ago and the turtle in Nagsu(洛水) dated 4200 years ago. These stand for the metaphysic heaven and the concrete scientific earth,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The twelve-Ji animal signs have been found to be inspired by the zodiac signs of Babylonia, which influenced the twelve constellations of Asia as well. The twelve signs originated from the twelve-Ji symbolic animals that symbolized Twenty-eight-star(二十八宿). Of these, Seaseng(歲星), the nick name of Jupiter in heaven, is related to the signs of the year of birth. The Yin Yang symbolized by the twelve-Ji animals, which is similar to Yin-Yang-Ohaeng is based on the number of hooves of the animals, while the Ohaeng is based on their motions. The tendencies of them are in accordance with the energy of the seasons of the twelve seats. Such a tendency was aligned with the location, time, and spatial activities. Therefore, the signs and the purpose of such a connection is to emphasize the unity of the society, resulting in Oughab(六合) signs and Samhab(三合). Therefore, Sangchoongsalti and Wonjinsalti were avoided, as they were believed to split it. The yearly trend and the personal year of birth formed a relationship of a king and his vassal, in order to avoid Samjae through giving instructions on calendar making, while viewing the colliding/contradicting principles negatively. By endowing Ohaeng energy with Twelve-Ji-Saengcho in Twelve-Ji-Ji,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instincts. But, it could be viewed that Wongiseangsungron(元氣生成論) was converted to Wongigayunron(元氣自然論) by Woangchung(王充) of the Late Han Dynasty.

      • KCI등재

        십이지 문양을 응용한 현대 도자 작품 연구

        송징회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Twelve Animal Zodiac tale is our heritage containing the fundamental thoughts and cultural emotion of our people, which is a symbolic image residing in our lives. Modern socie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sign which shows the original culture of a country as a means of enhancing high value design products. In the field of ceramic design, the interest toward applying traditional culture design ins quiet high, but there is difficulty developing it into modern and global senses. It is considered that not just simply copying the traditional material, but to develop and study the twelve animal zodiac tale into modern and global sense will concentrate the interest of consumers along with expanding the design material at the same time. Thi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applying the emotion and sensitivity of our people to ceramic design with modern tou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ek utilization method of applying twelve animal zodiac appearing in Korean traditional tales to ceramic design. To achieve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origin and menacing of twelve animal zodiac, and analyzed the variety and symbo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form of twelve animal zodiac, omit and modernistically reconstruct to establish image and seek the various expression possibility of twelve animal zodiac to ceramic design. This study seeks the utilization potential of traditional pattern to modern desig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twelve animal zodiac containing our original emotion as one of the differentiation element in global market filled with competition, develop the ceramic design and produce trial products. The symbolism, aesthetic value of sculpture, principles of ideas of animals in twelve zodiac were attempted to be applied to modern design tre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set based on the previous thesis and literature review, and selected sheep, pig, tiger and dragon among the twelve animals with special attract to apply to ceramic design and produced work pieces. By changing the pattern appropriate to modern emotion, rearranged to express trendy appeal, we attempted to expand the expression range of ceramic design. This study expects continuos creative design development based on studying and application of various traditional pattern within the diversifi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lso, based on various utilization in our daily lives, we expect continuous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ion with improved Korean brand value by building familiar image to the people. 십이지 설화는 우리 민족의 근본사상과 문화적 정서가 담긴 유산으로 우리 생활 속에 상징적인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다. 현대는 디자인상품의 고부가가치 제고 수단으로 국가의 고유문화를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도자디자인 분야에서도 전통 문화의디자인 적용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비해서 현대적, 세계적인 감각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에서 가져온 소재를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닌 십이지의 특징을 현대적이고 세계적인 감각으로 발전시켜 개발, 연구하는 것은 디자인 소재의 확대와 더불어 소비자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감성을 현대적인 감각의 도자디자인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도 훌륭한 매개체로 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설화 속에 등장하는 십이지 동물을 도자디자인의 문양으로활용하기 위한 방법적 모색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십이지의 기원 및 의미를 알아보고, 그종류와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십이지의 형태를 변형, 강조하고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이미지를 정립, 도자디자인에 접목시켜 십이지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세계시장에서 차별화 요소로 우리민족의 고유한 정서와사상이 담긴 십이지 문양의 역사적 배경과 그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도자디자인을 개발하고 시제품으로 제작해 봄으로써 전통문양의 현대적 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십이지에 속하는 동물들이 갖고 있는 상징성과 조형미, 그에 따른 사상적 원리를 현대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응용하려는 시도이다. 연구방법은 십이지 관련 선행 논문과 문헌 고찰을 토대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십이지 중 양, 돼지, 호랑이, 용을 선별하여 문양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도자디자인에 접목시켜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십이지의 독특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조형감각을 현대적 감성에 어울리도록 문양을 변형하고 재배치 시켜 소재와 어울리는 이미지를 표현하여 도자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다변화되는 국제 경쟁력 속에서 더욱 다양한 전통 문양의 발굴과 응용을 통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활용을 통해 국민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한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인 디자인 상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십이지신 캐릭터 소재 문화상품디자인 가이드라인

        문금희(Keum Hi Mu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 문화상품은 한 민족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어 세계화속에서 그 민족의 전통과 문화 및 기술의 척도가 되고 있다. 십이지신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오늘날까지 이어온 우리 민족의 고유한 신앙과 사상의 산물이다. 따라서 문화상품의 범주에는 많은 것들이 속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십이지신 캐릭터에 한정해 문화상품으로서 디자인을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십이지신 캐릭터 문화상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위해 문화상품의 개념 및 분류, 한국 전통의 조형적 특성, 캐릭터의 개념 및 구성요소, 십이지신의 상징적 의미 및 특성, 십이지신 캐릭터의 의인화, 십이지신 캐릭터의 유형별 이미지들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문화상품화 대상의 기준, 문화상품의 이미지, 십이지신 캐릭터의 적용대상분류, 적용할 한국 전통의 조형적 특성, 캐릭터의 선호도, 십이지신 캐릭터의 의인화 및 십이지신 캐릭터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The 21st century is an age of culture, and cultural goods presenting the cultural spirit of one nation should reflect the tradition, culture, and techniques of that nation. The twelve horary signs of the gods are the creatures of our nations narive religion and thought have existed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oday. Therefore, many things belong to the category of cultural goods, but in this study th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cultural goods are limited to the characters of the twelve horary signs. For this study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cultural goods, Korean traditional formative special qualities, concepts and composite elements, symbolic meaning and special qualities, personificaions, and unique images for the design of cultural goods, images of cultural goods, classificaions applying to each subject, the formative special qualities of Korean traditions, personifications, and concepts on the developments of cultural goods a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미로서 동물 표상의 주술적(呪術的) 표현연구 - 십이지신(十二支神) 도상을 중심으로

        김정란(Kim, Jung-Ra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회화에 등장하는 동물표상을 근거로 하여 한국미의 한 줄기로 논의되고 있는 주술(呪術)표현에 대해 논하고 그 표현방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미술에 있어서 주술적 표현은 고대이후 우리민족 저변에 흐르고 있는 미의식 중 하나이지만 근대이후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과학기술과 서양문화의 유입 때문에 제대로 주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우리민족의 저변에 놓여 있는 주술적 미의식은 예술작품 곳곳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의 미의식 담론 중 주술성에 집중하여 한국미의 전통을 탐구하려고 한다. 특히 동물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의 미의식이 주술성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는데, 동물은 샤머니즘 전통에서 신령한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중 십이지신도상(十二支神圖像)은 대표적이다. 십이지는 음양오행의 섭리를 접목하고 시간과 방위의 신으로서 샤먼이 인간세계와 천상의 세계를 연결해주듯 인간과 우주를 연결해 주는 소통의 아이콘(icon)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림에서 십이지 도상이 단지 전통의 소재로서 차용하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한국미를 탐구에 있어 중요한 모티브임을 밝혀, 주술적 의미에서 십이지신도상의 본래적 가치가 훼손되지 않으면서 현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자의 연구 작품을 통해 모색하려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hamanistic expressions that are being discussed as a part of Korean beauty based on the animal symbols appeared in Korean paintings, and look into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foregoing. In Korean arts, shamanistic expression has been one of aesthetic consciousness underlying the base of our people since the ancient times, but has remained unnoticed due to the rapidly-chang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influx of western culture. However, shamanistic aesthetic consciousness spreading in our people is widespread in art works. For the reason, this manuscript aims to search for the tradition of Korean beauty by focusing on the shamanism out of discourses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Especially, this study, focusing on the animal images, considered how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is related to shamanism as animals were considered a mystical being in the tradition of shamanism. Of the aforementioned, paintings of Twelve Zodiac Animal Deities(十二支神圖像) are the prime example. It is because Twelve Zodiac is an icon of communication that connects humans with the universe just like shaman connects human world with the heaven as the god of time and bearing that connects the providence of Yin-Yang and Five-Elements. More than borrowing the paintings of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as a topic of tra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seek a method to express in a modernistic way through the research works of the researcher without damaging the intrinsic value paintings of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in the shamanistic sense by verifying that it is an important motif in searching for Korean beauty.

      • KCI등재

        신라 십이지신상 능묘의 특징과 순서에 대한 일고찰

        박형열,이지향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십이지신상이 표현된 능묘는 신라 후기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하지만 내부 매장시설에 대한 조사나 출토유물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 능묘는 근본적인 연구에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능묘에 표현된 가시적인 특징을 토대로 십이지신상의 조각수법의 변화나 표현기법의 변화, 그리고 외부호석 및 난간석을 별개의 조건으로 다루어 연구를 진행해왔다. 외부호석 및 난간석을 별개의 조건으로 다룬 것은 다른 제속성들과 정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기존 연구의 제속성을 다시 분석하여 십이지신상에 표현된 기법의 변화가 능역 구성요소의 변화와 부합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제속성의 특징은 첫째, 호석의 갑석과 지대석의 치석방법의 차이와 면석의 이격 칸수는 1단(무단) 치석에서 2단, 3단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십이지신상의 지물은 방망이, 창, 낫형지물, 봉, 삼지창 등으로 배열되며 연속성을 띤다. 또한 석상의 지물은 십이지신상에서 사라진 이후에 석인상에 표현된다. 셋째, 십이지신상은 조각수법에 따라 곡면각과 평면각으로 크게 구분되고, 세부적으로 두향과 복장은 화면비율에 따라 시간성을 갖는다. 넷째, 상석의 안상형태는 돌기의 수가 9개에서 5개, 3개 등으로 줄어들고, 보주형의 중앙돌기에서 돌기의 높이가 낮아져 편평한 형태로 변화한다. 이들 각 제속성들의 상관관계를 살피면 정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를 토대로 신라 후기 십이지신상의 능묘는 5단계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왕릉의 입지 또한 서악동고분군과 전선덕여왕릉처럼 초기에는 구릉 능선에서 원성왕릉 단계에는 산기슭으로, 나아가 전헌덕왕릉에서는 평지 순으로의 변화를 보인다. 더불어 능묘의 상대순서에 대해 다시 한 번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 능묘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의 한계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기 때문이다. 결국, 전진덕왕릉과 구정동방형분은 원성왕릉보다 이른 왕릉일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신라 후기 십이지신상의 능묘는 능과 석상, 배례공간, 신도, 능비가 조합된 완성형 능역구조를 갖추며 고려와 조선왕릉에 기본 모티브가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with the statues of the 12 animal deities(Zodiac) and estimates the process of change. The features of the statues show a difference in their combination in terms of continuity and similarity of the object in their hands.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stone statue, and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orientation and aspect ratio of the statue according to the sculptural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atu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udied protected-ston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example, the Zodiac statues that are flattened from high relief to low relief are known to be decorated in realistic expressions, but they tend to be treated as separate conditions because they do not match the change of the stone. In addition,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did not show regular changes, such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gain when there was no balustrade in the tomb. Summ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he Zodiac statues are largely divided into curved angles and flat angles according to the sculptural technique, and the head orientation and clothing of the statue are related. The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can be viewed as having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These characteristic changes are consistent with the continuity of features and changes in the object in the hands of the 12 Zodiac statues. Therefore, the number of faces with protected-stone changes were gradually increasing in trend.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ujeongdong Square-shape Tomb and King Jindeok Tomb are earlier royal tombs than the Wonseong Royal Tomb. Therefore,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have a complete, tomb structure, containing the 12 animal god statues, ceremonial spaces(拜禮空間), Shindo(神道), stone statues(石像), and tombstone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basic motif for the royal tomb structures of Goryeo and Joseon.

      • KCI등재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김만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십간·십이지는 상고대 이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많은 문화 요소들과 결부되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문헌·유물자료를 통해볼 때 한반도에서는 늦어도 5세기 전반부터 십간·십이지를 활용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록 한국의 고유 문화요소는 아니지만 십간과 십이지는 날짜·방위·색상 등과 연계되어 궁합·택일·운수 등 한국 민속신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십간의 10은 열 손가락을 가진 인간이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수법은 바로 10진법이라는 사실에서, 십이지의 12는 1년에 12삭망월이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크게 기인한다. 간지의 쓰임은 갑골문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간지(干支)"라는 명칭은 『논형』「힐술편」에 처음으로 보인다. "간지"로 불리기 전에는 "일진(日辰)"과 "모자(母子)"로도 불렸다. 간지의 기원에 관해서는 황제가 그 스승이자 사관인 대요에게 명하여 제정했다는 설과 천황씨가 창안했다는 설, 황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 받았다는 설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고 신화 상의 유래로 봐야 한다.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자연의 생장수장(生長收藏) 과정, 음양의 교차 순환, 사람의 신체 일부 등에 결부지어 설명되고 있는 반면,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물고기·새·벼, 그리고 수렵·어로·농경 도구 등을 직접 형상한 것이다. 고문헌상의 간지는 갑골문상의 간지와 달리 후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로 채색되었다. 이렇게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관념과 결합하면서 십간·십이지는 더 이상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상수화·신비화된 관념과 복잡한 술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Sipgan and Sibiji have been used with significance, being connected to the numerous cultural elements of East Asia culture since the ancient times. Various literature and artifact materials indicate that they have been in use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as late as the former half the fifth century. Even though they are not unique parts of the Korean culture,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n folk faith including marital harmony predicted by a fortuneteller, choosing an auspicious day, and one's fortune. Sipgan originated from the decimal system, which is the easiest counting system to man with ten fingers. Sibiji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a year contains 12 months. The use of Ganji is traced back to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but the title of Ganji was first recorded in the Hilsul of Nonhyeong. It was also called "Iljin" or "Moja" before its name Gangji settled down. There are a couple of myths regarding the origin of Ganji; there is a myth saying that the emperor ordered Daeyo, his master and chronicler, to invent it; another saying that Cheonhwangshi invented it; and the other saying that the Yellow emperor inherited it from the Heaven himself. All of them are hardly historical facts, being strictly myths. While the most meanings of Sipgan and Sibiji in old literature including Seolmunhaeja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life and death process, circulating cycle of yin and yang, and man's body parts, those in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irectly embody fish, birds, rice, hunting and gathering, fishing, and farming tools. Unlike that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Ganji of old literature was colored with Yin-Yang and Ohaeng(Five Elements) Theory in later generations. Combined with the mutual survival and rivalry concept of Yin-Yang and Ohaeng, Sipgan and Sibiji got to have constant and mysterious concepts and complex conjury meanings beyond their simple roles as signs.

      • KCI등재

        오르프 음악놀이 「십이지 론도」

        조효임 ( Hio Ihm Ch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십이지十二支the 12-year animal cycle를 학습주제로 즉흥표현과 즉흥연주 중심의 오르프 음악놀이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재량수업이나 방과후교실 및 통합교과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오르프 음악놀이 「십이지 론도」’의 수업모형은 총 5차시(인사놀이, 십이지 열두 띠 동물 탐색, 십이지론도놀이, 십이지론도 소고춤놀이, 십이지론도 북춤놀이)로 구성되었으며 초등학교 3학년생 10명을 대상으로 방과후교실에 적용 실험을 거친 후 수정·보완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르프-슐베르크 Orff-Schulwerk 음악교육의 한국적 수용과 창의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통문화교육 지도 방안의 모색에 있다. 따라서 한국의 전통문화적인 학습요소로 론도놀이를 메기고 받는 소리로, 자진모리장단을 오스티나토Ostinato로 각각 차용하였으며, 합주 활동에 장구를 비롯한 소고와 북, 신체표현 활동에 전통춤사위 뒷머리 쓸기 동작 및 학생들이 미술시간에 만든 열두 띠동물 머리띠가면 등이 활용되었다. 또한 학습활동이 십이지 열두 띠 동물 탐색놀이, 말놀이,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십이지 론도놀이 등 놀이중심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전통문화에 흥미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development of Orff`s method of music education to suggest class models to apply to after-classes, comprehensive, and free-taught classes by using the oriental zodiac which is a subject often us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tter develop Orff`s method of music play that is more focused on making improvisation expression. The Orff`s Music play model, ``The Rondo [12-year animal cycle]`` consists of 5 periods; greeting, study of oriental zodiac, formation of ensemble, body expression, and rondo play in the theme of the oriental zodiac. This model has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after the mock- implementation in the 3rd graders` after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asier ways of applying the method of Orff-Schulwerk`s music education to Korea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in the most creative way. Therefore, Rondo was replaced by the call and responsorial form,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Korean folk song, and Ostinato was replaced by Chajinmori rhythm. In addition, Chang-gu (double-headed Korean traditional drum), So-go (double- sided small Korean traditional hand drum), and Buk (One sided Korean traditional drum) were used for the ensemble activity, and tyt-meouri-ssul-gi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and oriental zodiac headmasks were used for body expression activity.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to focus on activities such as the study of oriental zodiac, dialogue game,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s, body expressions, Rondo, and so on in order to attract students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o provide an easier access to it in a self-regulated manner. acts(refer to the following ch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