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원불교 실학론’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지금까지 ‘실학’ 개념은 주로 서구 근대적인 실용성이나 실증성과의 관련속에서 이해되어 왔고, 실학자의 범위도 조선후기 유학자들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적인 의미의 ‘실학’ 개념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의 것이라기보다는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과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을 암암리에 차용하여 조선후기사상사 서술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류병덕은 1930년대의 정산 송규의 ‘실천 실학’ 개념을 단서로, 조선후기의 실학을 ‘이론실학’으로 규정하고, 구한말의 안창호나 백용성 그리고 원불교를 이론실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실천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의 실학, 즉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이야말로 사실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이 말하는 ‘실학’ 개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류병덕의 실학 개념은 원래의 실학 개념으로 되돌아가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사상가들은 어디까지나 도덕실천이라는 유학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제도개혁을 주장하였는데, 그런 점에서는 원불교에서 말하는 “도학과 과학의 병진”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류병덕의 ‘원불교실학론’은 기존의 ‘실학자=유학자’라는 편협한 도식에서 벗어나서 ‘실학’의 층위와 범위를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has been mainly dealt with reference to Western modernity, and its scope has been limited to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i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as a modern science might have come from Hukuzawa Yukichi (1835~1901) in Japan rather tha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Song Gyu, the second leader of Won-Buddhism in the 1930s, suggested that Won-Buddhism is a Practical Learning of action, that is, Practical Learning as a moral practice. Ryu Beong-deok in the 1990s, developed Song Gyu’s suggestion. and argued that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a theoretical Practical Learning. In fact,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he same as Song and Ryu’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pursued political reform based on moral practice. This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pursuit of both Dao Learning and science in Won-Buddhism. The Theory of Practical Learning in Won-Buddhism by Ryu Byeong-deok suggests that we should extend the scope and range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

        士林派 道學者들의 실천정신과 그 굴절

        김기현(Kim Ki-Hyun)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은 조선조 16세기의 유학자들에게서 나타난 실천정신의 굴절 현상을 살펴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유학은 기본적으로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이지만 성리학의 발달사 속에서 학자들은 동시에 앎을 강조하였다. 앎이 없이는 실천이 오류를 면치 못한다는 인식에서였다. 하지만 이 역시 실천이 앎의 궁극목적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천을 중시하는 유학의 기본정신에는 변함이 없다. 조선조 15세기 후반 16세기 전기의 사림파 도학자들은 성리학의 이념과 가치를 그들의 삶과 사회 속에서 남김없이 실천하고자 하였다. 유학계의 이와 같은 분위기는 조선사회 초유의 일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이념과 가치는 현실에 안주하려는, 이른바 훈구파의 보수세력들과 여러 가지로 마찰을 일으켰다. 이들에게는 사림파의 삶의 정신과 사회정치적 이념이 자신들의 존재를 부정하고 기득권을 위협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당시의 사화들은 이들이 자기보전을 위해 획책한 결과였다. 이후 성리학자들은 여러 차례의 사화들을 목격하면서 실천정신이 갖는 위험성을 자각하였다. 이념과 가치의 실천은 죽음을 자초할 뿐이라는 사실을 그들은 깨달았던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은 성리학의 다른 한 축인 앎과 이론의 세계에 빠져 들어갔다. 그 세계는 어떠한 위험요소도 갖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느끼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조선성리학의 이론적 심화는 이의 산물이다. 하지만 그것은 유학의 본질상에서 살피면 앎과 실천이 균형을 잃었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면치 못한다. 성리학이 조선중기 이후 사람들의 삶과 사회정치의 현장에서 지도이념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 한 가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또한 실학이 발흥하게 된 배경을 이룬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몇 가지 논의거리를 얻는다. 먼저 당시 성리학자들의 실천정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굴절되었는가, 둘째 성리학의 사조 이후 유학 본연의 실천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실학의 실천행태는 사림파 도학자들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가. 셋째 유학은 오늘날의 사람들과 사회에 어떠한 실천의 과제를 줄 수 있는가 하는 등의 문제들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observe the deviation of the 'Practice mind' of Neo-Confucianists in Chosu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Confucianism is the study that thinks much of practice. Bu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scholars emphasized knowledge as well. It was derived from the cognition that they could not avoid fallacy without knowledge. Of course practice was the ultimate purpose of knowledge to them as before.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Neo-confucianists of Sarimpa(士林派) tried to practice the ideology and value of Neo-Confucianism in their lives and society. This atmosphere in Confucianism wa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But their ideology and value caused a discord with the conservatives of Hungupa(勳舊派) who wanted to live a comfortable life in the present. They thought that Sarimpa's spirit of life and ideology could deny their beings and intimidate their vested rights. The Sahwa(士禍) was the result of a plot that Hungupa made to maintain their lights. Seeing Sawha with their own eyes, Neo-confucianists realized the hazard of practice mind. That is, they perceived that practicing their ideology and value may lead them to death. In result they got to be absorbed into knowledge and theory which is another part of Neo-Confucianism, because it was a realm that they could identify themselves as a scholar without any threat. It produced the theoretical deepening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brought about an unbalance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In here is the reason that Neo-Confucianism could not play its role on the people's lives and socio-political realm anymore after mid Chosun Dynasty. The emergence of Silhak(實學) at that time is the product of the reaction against it. We need to discuss some subjects in this connection. That is to say, how the practice mind of Neo-confucianists concretely deviate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Silhak's practice aspect and Sarim' s, and what can Confucianism's practice mind suggest for modern people and society.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 -경계적 사유와 실천의 갈림길에서-

        김경호 ( Kyung Ho Kim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학계에서 일반화되지 않은 ‘율곡학파의 심학’이란 개념을 전면에 놓고 율곡계열의 심학적 흐름을 고찰한 후, 이것이 조선후기 실학과는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전제로 구성되었다. 첫째, 어째서 심학은 조선중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거론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한 해명의 과정은 ‘심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분산된 흔적들이 단순한 파편이 아니라 장구한 유학의 지성사적 흐름과 철학적 논의들에 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심학에 대한 탐구는 조선후기 실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공한다. 둘째,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어째서 거론되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율곡학파 계열에서는 마음을 다스리는 치심이나 수기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었음에도 현대 학계에서는 율곡심학이나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해서 논의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점에 대한 탐색은 관성화된 심학과 학술탐구의 편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요청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우리는 철학적 물음에 직면한다는 점이다. 심학과 실학은 어떠한 보편적인 철학적 질문을 함축하고 있는가? 우리는 심학과 실학의 논의를 통해서 무엇을 사유할 수 있는가? 필자는 이 글에서 율곡학파의 심학적 특성을 현실에 대한 예민한 ‘경계적 사유’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경계적 사유’를 현실화 하려는 실천성이 곧 현실성에 부합하는 실리적 유용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율곡학파의 실학적 태도였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centers on the issue of ``Yulgok`s study of mind’,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yet. I shall examine changes in Yulgok school`s idea of mind, and its relation to late Joseon`s Silhak. I sha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why has the study of mind been discussed? An answer to the question will reveal that the study of mind seems to be fragmentary, bu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ng Joseon Confucian intellectual histor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In this regard, the study of mind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late Joseon Silhak. Second, why hasn`t Yulgok`s study of mind mentioned in the contemporary academic circle? Modern scholars did not discuss about his idea of mind even though Joseon Confucianists discussed about how to control their mind or cultivate themselves. We need to retrospect and examine the habituated study of mind and academic partialness. However,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we get to a philosophical question by examining the study of mind and Silhak. Is it right that these two studies include any general and philosophical issue? What kind of questions do we face through two studies? I shall find a significance of Yulgok school of mind from “boundary thought” and regard the school`s aspiration to realize it in practice as Yulgok`s Silhak attitude in order to have practical utility and normative justification.

      • KCI등재

        실학의 실천적 계승과 대중적 소통 방안― 민족 전통 지식의 사회적 적용 ―

        김경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6

        This paper is an attempt on Practical Learning(sirhak),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 based on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coordinate learning in the point of view of Korean people. To get inspirations for conducting these tasks, we may turn to the revival and reinterpretation of the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 based on the Practical Learning. The scholarly orientation of the sirhak scholars was toward constructing subjective view of human beings based on the self-awareness to foster spirits of humanism. The rediscovery of the Practical Learning will prove to be useful in producing new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 and also in creating a practical philosophy required by the future. Humanities are desirable when it is created as ‘Trans-humanities’ which it can suggest the ideal direction of human life at the same time it affirms actual problems in this society and historical field. 이 논문은 한민족의 지평에서 본 전통지식에 현실과의 소통 구조를 확보해 보고자 문・사・철 통합 학문이었던 실학을 대상으로 주체적인 ‘적용(Anwendung)’을 하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동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학문의 위기는 기본적으로 산업화, 시장화라고 하는 학문의 재생산구조 변동에 기인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 진단과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 학계의 전통지식 연구 활동과 교육 활동의 방향성, 그리고 제도적인 문제들을 검토한다. 인문학의 궁극적 목표는 진리의 추구에 있지만 이러한 진리가 현실 생활과 직접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실학자들의 공통된 인식이었으며, 실학의 문화적 복합성은 오히려 현재의 우리에게 실천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그 정신을 계승할 수 있는 방법을 열어 주고 있다. 실학을 오늘날의 언어로 해석하고 번역하여 자기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면 심화된 개인 연구 뿐 아니라 협동적 연찬(硏鑽)을 통해 확대된 학적 성과물을 실학의 실천적 재생산 운동으로 환원하는 대중화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이제 민족 전통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목표로 하여 학문과 사회, 구체적인 삶을 분리시켰던 자기중심적인 학문 태도를 반성하고 저작 선집과 교양 평전을 통해 ‘지금, 여기에서 실학하기’라는 ‘소통 인문학(Trans-humanities)’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해 본다. 이로써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적용 학문을 실현하고 실학의 사회적 실천 방안과 적용 가능성, 그리고 대중적 공유와 활용을 통한 사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李齊賢의 實學的 학문관

        김철운(Kim Cheol-woon)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이제현은 당시의 시ㆍ문(詩文) 공부 중심의 겉만 화려하게 장식하는 학문세계가 아니라 유학 경전 중심과 오륜 등의 실천 윤리 중심의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학문 세계를 통하여 사회 현실의 제반 문제들을 타개해 나갔다. 이런 과정에서 그는 성리학을 전통 유학과 질적으로 다른 성격의 학문이 아니라 전통 유학을 보강하는 기능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그가 강조한 실학(實學)은 이론적이고 사변적인 성리학보다도 실용적이며 유익한 학문으로, 즉 사회 현실의 불합리한 모순들을 타개함에 있어서 새로운 시대로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다는 하나의 근거로 이해되었다. 결국 그는 이러한 실학에 근거한 학문 세계에서 백성의 안위와 국가의 주권 회복의 실현을 자신의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 의지를 표명해 나갔다. Lee Jae-hyun solved the various problems of social actuality through substantial and practical the learning world. The world was not pretensical learning world centering around the existing poetry and prose but learning world centering around practical ethics of Confucianism Scripture and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ations.(五倫) From this point of view, Sung Confucianism(性理學) could not be accepted as a learning of qualitatively different character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a function which reinforces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refore, Practical Learning(實學) that he emphasized was comprehended more a practical and beneficial learning, namely one ground which it will be able to grope new a change of direction in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of social actuality than the theoretical and speculative Sung Confucianism. Finally, based on a view of learning of Practical Learning(實學), he established a realization of the welfare of people and the sovereignty recovery of nation with final goal of oneself and expressed a reform will in the social whole.

      • KCI등재

        동아시아의 백과전서파 실학과 황윤석

        하우봉 ( Ha Woo-bong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유서는 지식 전체를 일정한 부문체계에 따라 재편해 독자에게 제시하는 저술 형식이다. 17세기 이후 동아시아 삼국에서는 의리와 이념에 치중된 성리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현실을 실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실학적 풍조가 일어나면서 유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유서와 비슷한 형태의 저술을 서양에서는 백과전서라고 부른다.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식과 내용을 지니고 있다. 양자의 공통점은 기존의 지식의 위계성에서 탈피하거나 해체를 지향한 점이다. 유서 편찬 자체가 지식의 집중과 분류를 통해 대중에게 쉽게 보급하고자 한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상업적 출판의 발전과 함께 불특정다수의 독자를 위해 지식의 평준화를 지향하였고, 독자의 요구에 부응해 나갔다. 18세기 조선 사상계의 주요변화상은 도덕담론인 주자성리학에서 지식담론인 고증학·박학으로 변화해 간 것이다. 후자의 지식인들은 경학보다 박학을 중시하였고, 도보다는 기예(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성리와 의리보다는 명물도수와 격물치지를 더 중시하였고, 연구방법에서는 고증과 실측을 강조하였다. 백과전서파라고 불리는 이들은 거대한 학술사적 전환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주자학일변도의 풍토에서 기존의 학문적 위계를 일부 해체하여 자연과학의 독자적 가치를 긍정하였고, 서학의 수용을 통해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현실에 대한 개혁을 도모하였던 실학파에게 나타나는 특징의 하나가 백과전서파적인 성향이다. 이것은 그들의 실용적인 학문적 지향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박학성 그 자체로서 이미 그것을 경시하였던 당시의 정통주의적 학문 경향에 대한 적극적 대응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즉 박학에는 단순한 지식의 집적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사상운동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Ryuseo(=Encyclopedia) is a writing format in which the entire knowledge is reorganized according to a certain sector system and presented to the reader. After the 17th century, in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a practical trend to grasp the reality as well as reflection on the theory of Sung Confucianism focused on loyalty and ideology arose. Writings in the form of a ryuseo are called encyclopedias in the West. Although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they generally have similar forms and conten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im to break away from or dismantle the existing hierarchy of knowledge. The compilation of the ryuseo itself came from the purpose of distributing it easily to the public through the concentration an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t aimed to equalize knowledge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readers, and responded to the needs of readers. The major change in the Joseon ideology in the 18th century was the change from the moral discourse of Sung Confucianism to the knowledge discourse of bibliographical studies and erudition. The latter intellectuals valued erudition rather than philosoph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s (knowledge and skill) rather than Tao. Those called the Encyclopaedia have undergone a huge academic and historical transformation. They affirmed the unique value of natural science by dismantling some of the existing academic hierarchies in the climate of Neo-Confucianism, and attempted to build an independent knowledge system through acceptance of the occidental science.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s to the Silhak school, which has sought to reform the reality, is the encyclopedicism. This is not only directly related to their practical academic orientation, but also has a form of positive response to the orthodox academic tendencies of the time, which had already neglected it as erudition itself. In other words, erudition has a meaning as a more active and practical thought movement, not a simple accumulation of knowledge.

      • KCI등재

        한국철학 :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최문형 ( Moon Hyoung Choi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에 담긴 근대성을 탐구하였다. 다산은 실학자 가운데서도 주자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의 단계를 넘어서 새로운 학문적 틀을 완성한 인물이다. 실학사상의 근대성에 관해서는 성리학과 연관하여 실학의 근대성을 강조하거나 원시유학으로의 복귀를 인정하거나 아니면 위 두 가지 시각의 통일을 지향하거나 하는 입장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실학이 성리학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근대지향적 요소가 있다는 데 동의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따라서 인간이해도 성리학의 인간이해와는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즉 실학자들은 인간을 자연과의 보편적 체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개별성과 개체성을 드러내는 인간의 자주성에 초점을 두었다. 다산은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이해함에 있어서 人과 物을 겸하여 본주자와는 달리 이를 각각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다산사상의 근대성은 愼獨과 인간본성에 관한 논의에서 구체화되는데, 다산이 이해한 신독은 인간이 자신의 영명한 신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은 인간 본성과 마음에 관심을 가진 자주성이라는 측면이 있다. 다산의 인간이해는 인간 본성의 영명성에 착안하여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인간 존재에 중점을 두었다. 동시에 원시유학이가진 인간주체의 자발성을 되살려 내었다. 근대성은 ``인간`` 자체에 초점을 두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유관하므로 이러한 다산의 인간이해는 근대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how the Joseon Dynasty`s philosopher Cheong Yak-yong (pen name: Dasan) understands Human Being and how does it differ from the principles of Zhu Xi, a noted Song Dynasty (960-1279) Confucian scholar. This paper focuses much on the analysis of Jungyong Gangui (A Discuss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Jungyong Jajam (Moral Lessons Drawn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two of Dasan`s major books based on his interpretations of Zhongyong (The Doctrine of the Mean). Dasan understands the meaning of cheon-myeong (mandate of Heaven) in the same context of do (Tao) or dosim (Tao mind), gwisin (evil spirits or gods) and sangje (King of Heaven) - some of the major concepts of supernatural or superhuman existence in Oriental philosophy. While criticizing Zhu Xi, the leading figure of the School of Principle and the most influential rationalist neo-Confucian in China, Dasan seek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ctivity and creativity. One of the foremost characteristics of Dasan`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he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man`s existential encounter with God of Heaven unlike Zhu Xi who believes that the Great Ultimate is a rational principle, and discusses it as an intelligent and ordering will behind the universe.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최문형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how the Joseon Dynasty’s philosopher Cheong Yak-yong (pen name: Dasan) understands Human Being and how does it differ from the principles of Zhu Xi, a noted Song Dynasty (960-1279) Confucian scholar. This paper focuses much on the analysis of Jungyong Gangui (A Discuss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Jungyong Jajam (Moral Lessons Drawn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two of Dasan’s major books based on his interpretations of Zhongyong (The Doctrine of the Mean). Dasan understands the meaning of cheon-myeong (mandate of Heaven) in the same context of do (Tao) or dosim (Tao mind), gwisin (evil spirits or gods) and sangje (King of Heaven) - some of the major concepts of supernatural or superhuman existence in Oriental philosophy. While criticizing Zhu Xi, the leading figure of the School of Principle and the most influential rationalist neo-Confucian in China, Dasan seek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ctivity and creativity. One of the foremost characteristics of Dasan’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he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man’s existential encounter with God of Heaven unlike Zhu Xi who believes that the Great Ultimate is a rational principle, and discusses it as an intelligent and ordering will behind the universe. 본 연구는 조선시대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에 담긴 근대성을 탐구하였다. 다산은 실학자 가운데서도 주자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의 단계를 넘어서 새로운 학문적 틀을 완성한 인물이다. 실학사상의 근대성에 관해서는 성리학과 연관하여 실학의 근대성을 강조하거나 원시유학으로의 복귀를 인정하거나 아니면 위 두 가지 시각의 통일을 지향하거나 하는 입장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실학이 성리학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근대지향적 요소가 있다는 데 동의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따라서 인간이해도 성리학의 인간이해와는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즉 실학자들은 인간을 자연과의 보편적 체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개별성과 개체성을 드러내는 인간의 자주성에 초점을 두었다. 다산은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이해함에 있어서 人과 物을 겸하여 본 주자와는 달리 이를 각각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다산사상의 근대성은 愼獨과 인간본성에 관한 논의에서 구체화되는데, 다산이 이해한 신독은 인간이 자신의 영명한 신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은 인간 본성과 마음에 관심을 가진 자주성이라는 측면이 있다. 다산의 인간이해는 인간 본성의 영명성에 착안하여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인간 존재에 중점을 두었다. 동시에 원시유학이 가진 인간주체의 자발성을 되살려 내었다. 근대성은 ‘인간’ 자체에 초점을 두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유관하므로 이러한 다산의 인간이해는 근대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고 하겠다.

      • KCI등재

        실학자 규남 하백원에 대한 경영학적 재조명

        주희춘(Hi Chun Ju),최경주(Kyoung Joo Choi),모영현(Young Hyun Moh),박성수(Sung Soo Park)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6 No.-

        한국적 경영학의 정립과정에서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전통문화와 역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경영학적 관점에서 우리의 역사를 살피고자한다. 특히 순창의 신경준, 장흥의 위백규, 고창의 황윤석과 함께 호남 4대 실학자로 꼽히는 하백원의 생애와 업적을 경영학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하백원의 생애와 업적을 경영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미래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Korean culture and history in perspective of business. However, many scholars do not focus on the subject.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study review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Ha Baek-Won. He is one of the important Silhak scholars in Honnam province. He studied Confucianism and Shilhak and invented water wheels. Based on his lif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南軒學의 수용을 통해 본 寒岡學의 새로운 이해

        이영호(Lee, Young-ho)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寒岡 鄭逑는 한국유학사에서 매우 특별한 지위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바로 조선주자학의 거두인 퇴계학과 남명학의 적전이면서 실학의 연원에 위치하는 것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강의 논어학을 살펴보면, 주자학에 연원을 두고 있으면서도 남헌 장식의 영향이 뚜렷하게 확인되고있다. 일찍이 한강은 남헌이 편찬하였으나 일실된 洙泗言仁 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洙泗言仁錄 을 편찬하였다. 여기서 한강은 주자와 남헌의 인설을 동시에 인용하고 있다. 한편 한강은 퇴계 이래 중시되었던 정민정의 심경부주 를 비판하면서 心經發揮 를 편찬하였다. 여기서도 한강은 정민정이 심경부주 에서 아예 거론조차 하지 않았던 남헌의 설을 압도적으로 인용하고 있다. 특히 한강은 심경부주 의 내면에 치중한 설들의 일부를 제거하고, 이를 남헌의 실천을 지향하는 설로 대체하였다. 한강의 남헌에 대한 이러한 수용은 조선의 송대 도학수용사에서 매우 특기할 만한 것이다. 후대 실학으로 이어지는 한강학의 실천의 중시, 역사에 대한 관심, 경세적 성향 등은 바로 남헌학의 수용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즉 한강학에 내재된 실학적 요소는 주자학(퇴계학)에 남헌학이 결부되어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gives Han Gang Jeong Gu a very special status. That is because he is evaluated as a legitimate successor of Toegye and Nam Myeong who are the magnates of the doctrine of Chu-tzu in the Chosun period and also as a key figure in the history of the Shilhak.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Han Gang Jeong Gu’s study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t is clearly identified that he is influenced by Nam Heon Jang Sik although his philosophy is rooted in the doctrine of Chu-tzu. Han Gang compiled the SuSaEonInRok to restore the disappeared SuSaEonIn previously compiled by Nam Heon. In this book, Han Gang quoted theories of Chu-tzu and Nam Heon at the same time. Meanwhile, Han Gang compiled SimGyeongBalHwi while criticizing SimGyeongBuJu of Jeong Min-jeong which was highly regarded since Toegye. In this book, Han Gang quoted theories of Nam Heon overwhelmingly which Jeong Min-jeong did not mention at all in SimGyeongBuJu. Especially, Han Gang eliminated some of theories of SimGyeongBuJu that he paid attention to the inner world, and replaced it with practiceoriented theories of Nam Heon. Han gang’s such acceptance for Nam Heon’s theories is worthy of very special mention in an adoption history of Song Dynasty’s Confucian ethics during the Chosun period. It is because that emphasis on actions, concern for a history and the inclination for statecraft of the Han GangHak, which will lead to the Silhak later, is very likely started from this accept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elements of the Silhak, inherent in the Han GangHak, are formed from adding the Nam HeonHak with the ToegyeH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