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신약개발 특허의 질적 수준과 협력구조 진화과정 분석

        엄익천(Ik-Cheon, Um),박진서(Jin-Seo, Park),김봉진(Bong-Ji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정부에서는 영세한 국내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역량을 개선하고자 1987년 과학기술처의 특정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항생제와 항암제, 심혈관계, 천연물, 유전공학제품 개발 등의 제한적인 분야에서 시작하였다. 그 이후 1992년 선도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신의약·신농약기술개발사업을 필두로 신약개발 분야의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과 국내 민간 제약기업의 노력 등으로 일부 성과도 있었다. LG생명과학의 팩티브정 미국 FDA 승인(2003년)과 한미약품의 당뇨병 치료제 HM11260C 임상 2상 ㈜사노피(Sanofi) 기술이전(2015년)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약산업에서 창출된 신약개발의 추진성과들에 대해서는 반도체나 이동통신 등의 제조업 분야와 달리 여전히 비판적 평가가 많다. 국내 제약산업에서는 기존 반도체나 자동차, 조선 등의 주력산업과 달리 신약개발에 투입할 자금력과 기술적 노하우를 비롯해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수범사례(Best Practices)’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한국 신약개발의 기술적 역량과 협력구조에 대한 진화과정을 상세히 파악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정보진흥센터의 특허평가시스템(K-PEG)과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활용해서 최근 20년(1998년~2017년) 동안 국내·미국신약개발 등록특허의 질적 수준과 협력구조 진화과정을 고찰하고 주요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약 R&D 민·관 협력사업 효율성 분석 연구: 국내·외 연구사업에 대해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을 활용하여

        송정민,윤지환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5

        The need for efficiency analysis increases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R&D innovation and to enhance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D efficiency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by implementing the method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on Innovative Medicines Initiative (IMI) in Europe,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NCATS) in the U.S., and Korea Drug Development Fund (KDDF) in Korea. The result suggests that KDDF tends to be associated with lower efficiency than IMI and NACT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R&D investment by efficiency range. In addition,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most projects of KDDF is analyzed as a technical factor, and the key to improving R&D efficiency is the proport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 R&D expenditure. We then propose the national R&D projects in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should adopt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s well as strengthen the cooperation with R&D participants. 신약 R&D에서 민·관 협력사업의 효율적 운영과 R&D 혁신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해 효율성 분석 필요성이 증가하 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모형을 활용하여 유럽의 혁신 의 약 이니셔티브(Innovative Medicines Initiative, IMI), 미국의 국가고등중개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NCATS), 한국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신약 R&D 민·관 협 력사업 효율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결과,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은 혁신 의약 이니셔티브(IMI)와 국가고등중개연구센터(NCATS) 대비 효율성이 낮고, 효율성 구간별로 총연구개발비 투자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연구과제의 비효율성 원인이 기술적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총연구개발비 중 정부투 자비중이 주요 효율성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약개발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 율적인 R&D 투자를 추진하고 참여 주체 간 연계를 강화하여 비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부 신약개발지원사업 선정 평가지표 적절성 분석연구

        오하나,오세형,박양수,한상배 한국정책개발학회 2019 정책개발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New Drug 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and to divert the result to the evaluation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uccess rate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we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ors by identifying whether the influence factors for success identified the existing literature study are being used as evaluation indicators. And, scores of se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and final assessment results for each project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results using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the impact of factors on the success of the project was demonstr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33 projects that were completed from 2008 to 2016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new drug development support project. Key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creativity of research" has a negative effect on research success, and "ability of resear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research succ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can be propos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government R&D investment justification. First, the "creativity of research" should be improved in the assessment indicators. Second, "ability of researchers" should be specified and weighted upward. 본 연구에서는 정부 신약개발지원사업의 선정 평가지표가 연구성공을 견인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 실증분석하고, 그 결과를 다시 평가지표에 환류함으로써 연구 성공률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우선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연구성공 영향요인들이 신약개발사업의 과제선정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항목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정 평가지표별 점수와 최종 연구목표 달성 여부를 토대로 각 지표들이 연구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보건복지부 신약개발지원사업 중 최종평가까지 끝난 133개 과제이며, 각 과제에 대한 ‘선정 시 평가지표별 점수’와 ‘종료 시 목표달성 여부’를 변수로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신약개발지원사업은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연구성공 영향요인을 대부분 평가지표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내용의 창의성’은 신약개발 연구성공에 부(-)의 영향을, ‘연구자의 연구수행능력’은 신약개발 연구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약개발지원사업 과제 선정 시, ‘연구내용의 창의성’ 지표는 개선이 필요하며, ‘연구자의 연구수행능력’ 지표는 항목의 구체화 및 가중치 상향 조정 하는 등의 환류를 함으로써 보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선정할 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 정부연구개발사업 투자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역조절모형(RAM)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엄익천(Ik-Cheon, Um),백철우(Chulwoo, Baek),홍세호(Seho,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4

        신약개발은 국민의 건강권과 직결되며 국가 차원의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신약개발 분야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R&D 분야는 연구개발시차, 일출효과(spill-over effect) 등으로 인해 투입과 산출의 일정한 방향성과 등비율적인 증감을 가정하는 CCR 모형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가변규모수익을 가정하는 BCC 모형도 여유분(slack)으로 인해 의사결정단위 간의 명확한 우선순위 도출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최근에는 R&D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해서 자료포락분석 모형 중 영역조절모형(Range Adjusted Measure: RAM)을 활용한 분석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RAM 모형은 가변규모수익 가정 하에 투입지향이나 산출지향처럼 방향성에 대한 사전적인 가정 없이 비효율성을 최대한 제거하는 방향으로 효율성을 측정하므로 R&D 분야의 효율성 분석에 적합하다. 특히 RAM 모형은 매우 강건한 단조성으로 인해 의사결정단위 간 명확한 순위 구분도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의 RAM 모형과 토빗 회귀분석이 결합된 2단계 접근법(two-stage approach)을 활용해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rug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for promoting public health and pharmaceutical industry. There has been many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drug development,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drug development R&D performed by government. Since CCR model assumes unidirectional influence of input and output, it is not appropriate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R&D due to the time-lag and spill-over effect. Also, BBC model which assumes variable returns to scale has difficulty in deriving priorities between decision making units. Recently, Range Adjusted Measure (RAM) model has been suggested in R&D efficiency analysis. RAM model measures the efficincy by eliminating inefficiencies under variable returns to scale assumption, and its strong monotonicity enables to provide clear priorities between decision making uni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s for drug development using the two-step approach, including RAM model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and discussed major policy implications.

      •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여재천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2014년 우리나라의 제약산업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19조 3,472억원으로서 최근 5년간 연평균 2.4%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시장 성장률 5.4%보다 낮은 저성장 기조에 놓여 있다. 다국적제약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 맞춰서 아이디어와 기술을 외부 도입과 동시에 개발된 기술을 외부로 방출하는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체제 구축을 가속화 해왔고 핵심연구개발과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사노피가 우리나라 제약회사인 한미약품과의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을 통해서 5조원에 달하는 기술료를 한미약품에 지급하고 기술도입을 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은 1986년 미래창조과학부 산하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최근 5년 동안 합성신약, 바이오신약,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등이 국제무대에서 당당하게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제약산업은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춘 신약개발의 과업을 안고 있다. 산학연이 보유하고 있는 신약 연구개발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려면 한국형 오픈이노베이션 신약개발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증권시장 상장이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사례연구

        김주영,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1

        New drug development requires 10 to 15 years of long time and more than $ 1 billion in funding, ranging from basic research→preclinical medicine→clinical medicine→product approval→sales. Many new drug development bio-venture companies will continue to pursue new drug development with funds secured through listing on the securities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listing on the market of bio-venture companies in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increase in registered patent, preclinical, clinical and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at the time of listing (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also analyzed whether the registered patent, preclinical, and clinical effects had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at two years after listing and lis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new drug development bio-venture firms increased their registered patents but did not increase their pre-clinical, clinical and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Second, at the time of listing and two years after listing, pre-employ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s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seas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However, registered patents and clinic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Korea 's new drug development bio-venture firms showed patent increase despite the stock market listing, but pre-clinical, clinical and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did not increase. In order to strengthen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of new drug development bio-venture companies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R & D strategy for efficient use of IPO subscription funds, open innovation through strengthening industry-academia-partnerships, and more sophisticated preclinical and clinical strategy establishment. 신약개발은 기초연구→전임상→임상→품목허가→판매에 이르기까지 10~15년의 긴 시간과 10억불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한다. 많은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은 증권시장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신약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증권시장 상장이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상장 시점(D) 및 상장 후 2년 시점(D+2년)에서 등록특허, 전임상, 임상, 기술이전계약의 증가 여부로 증권시장 상장에 의한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장 및 상장 후 2년 시점에서 등록특허, 전임상 및 임상이 기술이전계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은 상장 시점과 상장 후 2년 시점을 비교하면, 등록특허는 증가했으나 전임상, 임상 및 기술이전계약은 증가하지 않았다. 둘째, 상장 시점과 상장 후 2년 시점에 전임상은 한국기술이전계약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고 해외기술이전계약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지만, 등록특허 및 임상은 기술이전계약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국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은 증권시장 상장에도 불구하고 특허는 증가했지만, 전임상, 임상 및 기술이전계약은 증가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IPO 공모자금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R&D전략 수립, 산·학·연 연계 강화를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 보다 정교한 전임상 및 임상 전략 수립 등이 요청되고 있다.

      • KCI등재

        N-fold compound option을 이용한 신약개발 프로젝트 경제적 가치 측정

        이신우(Sinwoo Lee),김인철(Incheol Kim),샤모하마디메디(Shamohammadi Mehdi),오동현(Dong-hyun Oh)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에 따른 기술료 수익 예측 모델 개발을 통해 후보물질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신약개발과 관련된 경제성 평가는 신약개발 성공과 실패 유무의 상관없이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 또는 개발비용에 따라 기술료를 산정하고, 신약개발 단계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합리적인 기술료 산정이 어려움이 있다. 신약 개발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더러 성공 확률이 낮고, 신약개발은 각 단계마다 성공할 때의 창출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기술료 산정시 어려움이 가중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n-fold compound option을 이용하여 실제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합리적으로 기술료 산정 및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andidate substances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by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of royalty income, using transferring technology candidates for new drug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existing drug development is difficult to estimate reasonabl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ug development stage are not taken into the account. In addition, the price of the dru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ost formed in the market, regardl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new product, also is another issue, which is not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is a time-consuming and costly procedure and the probability of success is low. Moreover, the value of new drug development at each stage also is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ationally evaluate the estimation of the technology fee for the actual drug development project using the n-fold compound option.

      • KCI등재

        신약승인신청에 관한 미연방 식품의약품청의 규제명령에 관한 고찰

        박수헌(Park, Soo Hu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14 No.3

        신약을 개발하여 시장에 판매하기 위한 승인요청을 신약승인신청(New Drug Application, HDA)이라 한다. 이러한 신약승인신청은 신약 개발 단계에 관한 최종 절차(capstone) 역할을 하며, 승인대상 신약의 편익이 그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보다 크다는 것을 비교형량을 통해 엄격히 검토할 것을 요구한다. 미국의 경우 법률과 규칙(=우리의 법규명령)에서 신약승인신청의 내용, 절차, 심사기간, 심사기준 및 신속처리 메카니즘 등을 대부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법률과 규칙도 새로운 기술과 발견이 질병치료, 통증완화, 질병진단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빠르게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FDA의 신약승인신청의 특징은 심사의 신속성 도모와 승인대상 신약의 안전성?유효성 보장을 통한 부작용의 최소화에 있다고 하겠다. FDA의 수수료 징수와 신속처리 메카니즘의 사용이 전자와 관련된다. 위험평가와 완화전략에 대한 평가실시, FDA의 등록거부권 행사, 실질적 증거의 심사기준 사용, FDA 자문위원회의 위상 강화 도모, FDA의 승인 후 철회권과 정지권 행사 등이 후자와 관련된다. 그 밖의 FDA 신약승인절차의 특징으로는 ⅰ) 모든 자료의 일괄신청에 따른 일괄심사를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Fast Track 지정 신약에 대해서는 단독심사(rolling review)를 하고 있는 점, ⅱ) 승인신청에 대한 FDA의 승인가능결정이나 승인불가결정에 대한 심사종료협의 기회를 신청자에게 제공하여 흠을 치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 ⅲ) 승인신청에 대한 승인결정 후 30일 이내에 결정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는 점, ⅳ) 신청서의 승인가능성에 관한 청문 제공 및 승인철회권?정지권의 사용에 대한 청문을 제공한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우리의 경우, 신약승인신청과 관련한 규정으로는 약사법 제31조에서 품목허가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의약품 허가?심사와 관련해서는 대부분 식약청 지침이나 매뉴얼을 근거로 시행되고 있다. 의약품 허가?심사는 중대하거나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는 환자들의 생명권?신체권 보호와 일반 국민의 건강권 보호 등에 직접 관계된다. 따라서, 약사법령과 같은 규제법규에서 의약품 허가?심사 사항을 규정하여야지 법규성이 없는 행정기관의 지침이나 매뉴얼에서 규정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국 FDA의 신약승인신청 규제법령을 참조하여, 우리 약사법에 ⅰ) 품목허가와 관련하여 명확하고 정확한 용어를 사용할 것, ⅱ) 징수한 수수료의 사용처를 명확히 할 것, ⅲ) 사전상담제도를 규정할 것, ⅳ) 허가심사결과의 정보공개를 규정할 것, ⅴ) 신청자에게 청문권을 제공할 것, ⅵ) 위험평가와 완화전략 및 그 평가서를 허가심사 제출서에 포함시킬 것 등 의약품 허가?심사에 관한 규정을 새롭게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New Drug Application(NDA) is an application for FDA approval prior to sell new drugs in the market within the USA. The NDA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capstone to the new drug developments, And it requires to scrutinize closely that the benefit of new drug outweigh the risk of its side effects through balancing test. In the USA, all the requirements for NDA review such as the contents, the procedures, time period for review, review standard, and the fast review mechanisms have been stipulated properly and adequately in FDA"s laws and regul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FDA"s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will evolve quickly because new technologies and findings ask new techniques in disease treatment, pain relief, and disease diagnosis. The salient features of FDA review of NDA are to enhance the speed of review in one hand, and to minimize the risk of side effects in the other. FDA"s fee collection and the use of the fast review mechanisms belong to the former, assessment of REMS, use of FDA refuse to file, use of substantial evidence standard, frequent use of FDA advisory committees, and use of FDA"s withdrawal and suspension rights after approval belong to the latter. In addition, FDA has some other prominent points in the NDA procedures like lump review in principle, rolling review in exception; providing end of review conference; disclosure of action package within 30 days after approval; providing hearing opportunities. In Korea, KFDA"s permission of NDA is only stipulated in section 31 of Pharmaceutical Affairs Act (PAA). The procedures of permission and review of NDA is usually stipulated in KFDA guidelines and manuals not having binding effects. The permission and review of NDA including the procedures of it directly relates to the life . liberty interest of the patients who suffer serious or life-threatening diseases. It also relates directly to the right of health of the public. In such, these are regulated by statute and regulation like PAA and PAA Implementing Rules not by KFDA guidelines and manuals. As a result, on the basis of FDA laws and regulations on NDA examined in the above text, I want to suggest several proposals that should be incorporated into our future PAA amendment like to use explicit and correct term of NDA; to clear the purpose of user fee; to stipulate pre-consultation meeting; to disclose action package after approval; to include REMS and its assessment into NDA; to provide hearing opportunities.

      • KCI등재

        제약기업 연구개발투자규모 결정요인

        김동환 ( Dong Hwan Kim ),장선미 ( Sun Mee Jang ),송현종 ( Hyun Jong So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0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6 No.2

        제약산업에서의 연구개발은 물질개발 단계에서부터 시장출시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아 고액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투자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 제약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간 공시된 자료를 이용하여 3개년(2006년~2008년) 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분석모형은 기업의 내부금융(현금흐름) 및 외부금융(부채비율), 건강보험 청구금액, 연구개발 성과경험을 고려하였고 직전년도까지의 누적연구개발투자규모가 당해연도 연구개발투자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가하여 연구개발의 지속성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유가증권상장기업과 코스닥상장기업에서의 연구개발투자규모 결정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유가증권상장 제약기업의 경우 신약이나 개량신약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기업 직전년도의 기업의 내부현금흐름과 당해연도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 직전년도의 건강보험청구금액이 많은 기업 직전년도까지의 누적연구개발투자규모가 큰 기업이 당해연도에 연구개발 투자규모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코스닥상장 제약기업의 경우에는 당해연도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연구개발 투자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harmaceutical firm`s R&D investment expenditures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We analyzed 3 years` panel data(2006-2008) of 38 pharmaceutical firms listed on KOSPI and 42 on KOSDAQ using database m DART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Annual Report of Pharmaceutical R&D, and the drug claims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or companies listed on KOSPI, experience success development of new drug, cash flow in t-1 year, t year external funding and cumulative R&D investment were positive effect on t year R&D investment. For companies listed on KOSDAQ t year external funding was positive effect on t year R&D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