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산 웅석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

        안현철 ( Hyun Cheul An ),추갑철 ( Gab Cheul Ch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5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에 인접한 웅석봉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밤머리재-웅석봉구간에 방형구(400㎡) 25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떡갈나무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다음으로 떡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작아지는 반면에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져 전형적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혼효림으로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나무와 산초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쪽동백나무와 철쭉, 쇠물푸레와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과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와 히어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떡갈나무와 신갈나무, 비목나무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낙엽송, 굴참나무, 노린재나무와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09832~1.1102 범위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ammeorijae to Woongseokbong, 25 plots(400㎡) se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Q. dentata community and Q. mongolica-Q. dentat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 dentata,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Q. mongolica were found as mostly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Woongseok-bong area.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Pinus densiflora might be eventually decreased, but those of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Q. dendata might be gradually increased.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inus densiflora, Zanthoxylum piperium and Lindera obtusiloba; Q. mongolic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Styrax obassia and R. schlippenbachii; Fraxinus sieboldiana, Zanthoxylum piperium and Styrax obassi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Fraxinus sieboldiana; Cornus controversa and Corylopsis coreana were relatively weak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Q. dentata and Q. mongolica; Lindera erythrocarpa,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Q. mongolica, Larix leptolepis and Q. variabili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Species diversity index(H`) of investigated groups was ranged from 0.09832 to 1.1102.

      • KCI등재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송추-도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엄태원 ( Tae Won Um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2

        북한산국립공원 능선부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송추~도봉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 22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2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도봉산 송추-도봉지구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해발고가 낮은 일부지역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졸참나무와 당단풍, 소나무와 당단풍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철쭉꽃, 팥배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 소나무와 아까시나무, 당단풍과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와 노린재나무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997~1.160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mountain ridges ranging from Songchu to Dobong, this research set up 22 plots(400㎡) as survey target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woody plant cluster, it was classified as two group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ommunity.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s a mostly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s from Songchu to Dobong, whil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mixed up partly in low altitudes.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serrata, Quercus serr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n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to exist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Pinus rigid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orbus alnifoli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 and Robinia pseudoacaci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Styrax obassia; Magnolia sieboldii and Symplocos chinensis. Species diversity index(H`) by community at the surveyed areas stayed in the scope of 0.997~1.160, which indexes showed nothing different from the vegetation structure of other national parks.

      • 광릉긴나무좀 수간 위치별 천공 밀도가 신갈나무 피해에 미치는 영향

        이정수,김일권,최광식,최원일,신상철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광릉긴나무좀은 신갈나무에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산림생태계 건강에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간 위치별 천공수를 기준으로 광릉긴나무좀 밀도를 추정하여 광릉긴나무좀 밀도가 신갈나무 피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신갈나무 군락지인 우암산(경기도 파주시)과 계방산(강원도 평창군) 피해지에서 신갈나무 300그루를 무작위로 선정한 후 개별목의 피해도, 흉고직경, 수간내 위치별 A5 148X210(mm)당 천공 밀도를 조사하였다. 피해도는 건전, 천공피해, 고사 3단계로 구분되었고 천공밀도는 내리막과 오르막 방향 수간 상부(지표에서 1m), 하부(지표면)에서 각각 조사되어졌다. 신갈나무 피해도가 증가할수록 각 위치별로 천공수도 증가하였고 광릉긴나무좀은 내리막 방향 수간하부를 선호하였다. 또한 고사목들의 평균 흉고직경이 건전목 흉고직경에 비해 커서 광릉긴나무좀이 상대적으로 노령목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신갈나무의 피해도는 내리막 방향 수간 상, 하부의 천공수가 증가할수록 신갈나무 피해도가 증가하여 이 부분의 광릉긴나무좀 밀도가 신갈나무 피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판별되었다.

      • KCI등재

        백두대간의 구룡령에서 약수산 마루금의 식생구조특성에관한 연구1a

        안현철 ( Hyun Chul An ),추갑철 ( Gab Chul Choo ),박삼봉 ( Sam Bong Park ),조현서 ( Hyun Seo Cho ),안종빈 ( Jong Bin An ),박정근 ( Jeong Geun Park ),하현우 ( Hyoun Woo Ha ),김진중 ( Jin Joong Kim ),김봉규 ( Bong Gyu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에 22개의 방형구(100㎡)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생군집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당단풍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 등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은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까치박달나무와 층층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 신갈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피나무와 찰피나무, 노린재나무; 찰피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거제수나무와 고로쇠나무; 노린재나무와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당단풍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8170~1.144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 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uryongryeong to Mt. Yaksu, 22 plots (100 ㎡) installed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Q. mongolic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 mongolica w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 from Guryongryeong to Yaksusan and Carpinus cordata and C. controversa was partly occupied in some area. High posi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Q. mongolic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ilia amurensis and Tilia mandshuric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Tilia mandshurica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Betula costata and Acer mono;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A. pseudosieboldianum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0.8170~1.1446 and it was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the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

      • KCI등재

        Phytosociological Community Classification of Mountain Ridge from Guryongryeong to Mt. Yaksu in the Baekdudaegan, Korea

        An, Hyun-Chul,Choo, Gab-Chul,Park, Sam-Bong,Cho, Hyun-Seo,An, Jong-Bin,Park, Jeong-Geun,Ha, Hyoun Woo,Kim, Jin Joong,Kim, Bong-Gyu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에 22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생군집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당단풍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 등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구룡령-약수산 마루금은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까치박달나무와 층층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 신갈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피나무와 찰피나무, 노린재나무; 찰피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거제수나무와 고로쇠나무; 노린재나무와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당단풍나무와 노린재나무, 철쭉 등의 수종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8170~1.144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 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uryongryeong to Mt. Yaksu, 22 plots (100m2) installed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Q. mongolic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 mongolica w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 from Guryongryeong to Yaksusan and Carpinus cordata and C. controversa was partly occupied in some area. High posi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Q. mongolic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ilia amurensis and Tilia mandshuric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Tilia mandshurica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Betula costata and Acer mono;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A. pseudosieboldianum and S. chinensis for. pilosa, R. schlippenbachii.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0.8170~1.1446 and it was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the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

      • KCI등재

        한남금북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강현미,박석곤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6

        This study examin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by selecting 7 sites(2 sites at Hannamgeumbuk-Jeongmaek and 5 sites at Geumbuk-Jeongmaek)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rtificial influences and conducting the vegetation survey in the selected site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ased on TWINSPAN categorized the vegetation at Hannamgeumbuk-Jeongmaek into 8 groups: Quercus variabilis-Q.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Q.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lora-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P. densiflora-Deciduous oaks community, P. koraiensis community, 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P. koraiensis community. It also categorized the vegetation at Geumbuk-Jeongmaek into 9 groups: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P. densiflora-Q. acutissima-Q. variabilis community, P. densiflora-Q. mongolica-P. rigida community, P. densiflora-P. thunbergii-Deciduous oaks community, and P. koraiensis community. Two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idges of the Jeongmaeks and Baekdudaegan in South Korea, were dominant in many of the surveyed sites. The appearance of planted Castanea crenata in some plots, although not in high population, suggests human intervention in most regions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in the past. The Gayasan area, which is part of the Geumbuk-Jeongmaek and where the maritime climate and continental climate overlap, showed Pinus thunbergii, reflecting the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조건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한남금북정맥2곳, 금북정맥 5곳의 중점조사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한남금북정맥은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잣나무군락 등 8개 군락으로 나눠졌다. 금북정맥의경우는 굴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곰솔-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등 9개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에는 남한의 정맥과 백두대간 마루금 인근에서 폭넓게 분포하는신갈나무와 소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조사구의 비율이 높았다. 일부 조사구에서 조림된 밤나무와 잣나무가 출현해과거 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대부분의 지역에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점조사지역 중 금북정맥에 해당하는 가야산지역은 해양성기후와대륙성기후가 교차되는 지역으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곰솔이 출현하였다.

      • KCI등재

        강원지역 백두대간 천연림의 군집분류 및 천이경향 -향로봉, 오대산,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함백산 등을 중심으로-

        황광모,이정민,김지홍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4

        On the basis of vegetation data collected by point-centered quarter method in analysis in Baekdudaegan of Gangwon province in the area of Hyangrobong, Odaesan, Seokbyeongsan, Dutasan, Deokhangsan and Hambaeksa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communities and to evaluate the successional trend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make various disordered forests into several common groups for 1,004 sample points all together. By clustering the forests in the six study areas were classified into 28 forest communities, which were subjected to aggregate 8 representative forest communities on the count of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They were Mesophytic mixed forest community, others deciduous fores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dominant) community, Q. mongolica (pure) community,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Betula ermanii community and Q. mongolica - Pinus koraiensis community. The ecological outlook from the result indicated that P. densiflora community an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which were located in Seokbyeongsan, Dutasan and Deokhangsan around 1,000m above the sea level showed lower species diversity index. On the contrary Mesophytic mixed forest community, others deciduous forest community which was located in Hyangrobong, Odaesan and Hambaeksan mostly in protected area and national park around 1,500m above the sea level displayed higher species diversity index. As the composition ratio of Q. mongolica within a certain community was decreased, the species diversity was generally increased, assumed that abundance of Q. mongolica might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pecies diversity in the national deciduous forest. 본 연구는 강원지역 백두대간 천연림의 군집분류와 천이경향을 추정하기 위해 점표본법을 이용하여 향로봉, 오대산,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함백산 등 총 6개 지역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을 이용하여 6개 지역 총 28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수종구성과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분류된 28개 군집의 상층 수종구성을 바탕으로 군집의 이름을 명명하였고, 이들 군집을 중생혼합림, 기타활엽수림,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집, 소나무림, 거제수나무군집, 신갈나무-잣나무군집등 총 8개의 산림유형으로 집약하였다.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집 등은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등과 같이 해발고도 1,000 m 내외의 낮은 지형의 백두대간에 위치하였다. 종다양성지수가 높게 나타난 중생혼합림, 기타활엽수림 등은 향로봉, 오대산, 함백산 등과 같이 해발고도 1,400 m 내외의 비교적 높은 백두대간에 위치하였다. 천연활엽수림 내 신갈나무의 구성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종다양성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SCOPUSKCI등재

        내장산 남부지역의 삼림식생

        길봉섭,김정언,김영식,Kil, Bong-Seop,Kim, Jeong-Un,Kim, Young-Sik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3

        내장산 국립공원 남부지역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는 현재 느티나무, 비자나무, 갈참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와 소나무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다. 신갈나무군락은 해발 600 m 이상에 분포하고, 해발 250 m∼600 m 사이의 건조한 등성이에는 굴참나무 군락이 많으나 비교적 습한 사면에는 졸참나무군락이 분포하며, 해발 200 m∼400 m 사이의 습한 지소에는 개서어나무군락이 그리고 비교적 건조한 지소에는 서어나무군락이 분포한다. 또 계곡 주변의 습한 사면에는 갈참나무군락이 그리고 전석지에는 느티나무군락이 분포하고, 백양사 주변에는 비자나무가 큰 군락을 이루고 있다. 소나무군락은 산의 아랫부분과 메마른 등성이를 따라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종조성적 특징에 따른 군락의 유형 분류와 분포 그리고 상관에 의하여 이 지역의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The forest vegetation of southern area of Mt. Naejang National Park, Korea was classified into nine communities of Zelkova serrata, Torreya nucifera, Quercus aliena, Carpinus tschonoskii, C. laxifora Q. variabilis, Q. serrata,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physiognomy Q. mongolica community distributes at elevation above 600 m in sea level, Q. variabilis community on xeric ridges and Q. serrata community on xeric slopes at elevation 250 m∼600 m, C. tschonoskii community on mesic sites and C. laxiflora community on xeric ones at elevation 200 m∼400 m,Q. aliena community on mesic slopes and Zelkova serrata community on mesic stony slopes at stream sides, Torreya nucifera community around the Paegyang temple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on lower parts or ridges of mountain.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area was made in scale 1: 25,000, including above mentioned nine plant communities.

      • 도시 근교 조림지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이차림인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 비교

        정운경,이은선,원희진,김현정,이훈복,Jung, Un-Kyung,Lee, Eun-Sun,Won, Hee-Jin,Kim, Hyun-Jung,Yi, Hoonbok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산림에서 1960년대 조림한 조림지의 생태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조림지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이차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2014년 9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5개의 함정 트랩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격주로 곤충을 채집하였다.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종풍부도는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약간 높았고 종균등도는 신갈나무림에서 더 높았으며 종풍부도와 종다양도는 두 산림에서 비슷하였다. 두 지역의 곤충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림 후 40-50년이 경과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는 곤충 서식지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s between a plantation of Pinus rigida and a secondary forest of Quercus monglica were compared to find out one of the ecological roles of a forest planted in 1960s in a suburban area of Seoul, Korea. We collected the insect samples biweekly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4 by using 5 pitfall traps in both fores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munity structure index of insects in both forests of P. rigida and Q. Mongolica showed that the species richness was a little higher and species evenness was a little lower in P. rigida plantation, and species diversity and dominance were similar in the two forests. The analysis results of insect community structure at the two fore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e conclude that the plantation of P. rigida over 40-50 years could sufficiently perform an ecological function as an insect habitat.

      • KCI등재

        남한 정맥 마루금의 산림식생유형 및 식생구조

        박석곤 ( Seok Gon Park ),오구균 ( Koo Kyo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남한지역에 위치한 9곳의 정맥 마루금을 대상으로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정맥별로 출현한 식물군락명을 중심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석하였고, 전체 정맥의 식생조사 데이터로 정량적 분석(TWINSPAN, DCA)을 실시하여 식물군락 분류 및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정맥별 출현군락명의 비율은 호남 및 낙동정맥에서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 우점군락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한남금북, 낙동, 호남, 금남호남, 금남, 금북정맥에서는타 정맥에 비해 낙엽성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류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에 비해, 낙남과 한남, 한북정맥은 인공림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높은 산림식생유형을 보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8개의 군락이 그룹화되었는데 그 군락은 팽나무-예덕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리기다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이었다.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등이었다. To identify the overall status of vegetation in the nine ridges of the Jeongmaeks located in South Korea, the types of forest vegetation were analyzed with focus on the names of the plant communities that appeared in each Jeongmaek. The vegetation investigation data for the entire mountain ranges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WINSPAN, DCA), thereby classifying the plant communities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Upon review of the ratios of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by each ridge of the Jeongmaeks,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communities were found to be dominated by deciduous oak trees in the Honam and Nakdong Jeongmaek. In addition, the ratios of communities where deciduous oak trees and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ppeared were higher in the Hannam-geumbuk, Nakdong, Honam, Geumnam-honam, Geumnam and Geumbuk Jeongmaeks. On the other hand, Naknam, Hannam, and Hanbuk Jeongmaeks were shown to have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in which the ratio of artificial forests was hig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eight communities were grouped as follows: Celtis sinensis-Mallotus japonicus, Deciduous oak, Pinus thunbergii-P. rigida, Quercus mongolica-P. densiflora, Q. mongolica-Q. variabilis, Q. mongolica-P. densiflora, Q. mongolica-broad-leaved deciduous and Q. mongolica-P. koraiensis communities. The typical forest vegetations in the Jeongmaeks were the Q. mongolica-dominant community, the P.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and the deciduous oak-dominant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