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식민지 근대성: 시론적 연구-염상섭의 「만세전」을 중심으로

        김명인 ( Kim Myoung-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시대를 바라보는 양대 담론이었던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이 공히 지닌 근대 추종적 경향과 민족주의적 경향을 극복하여 지배와 저항, 포섭과 동의, 예속과 복종이 혼재하는 식민지체제에서의 근대성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내세운 `식민지근대성론`을 식민지시대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근대문학 연구와 연결하기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 `식민지근대성론`의 합리적 핵심을 받아들이되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식민주체의 헤게모니적 지배와 그에 구속되는 피식민 주체의 심리와 행동양식으로 요약될 수 있는 역사학계에서 말하는 `식민지 근대성` 으로는 다 포획되지 않는 근대성 자체의 해방적 성격와 식민지 지배의 근원적 폭력성, 그리고 이에 대한 피식민 주체들의 근본적 저항 또한 이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기존의 `식민지근대성론`이 지닌 또 다른 근대절대주의를 지양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문학 연구에서 `식민지근대성론`과 유사한 문제의식을 지닌 탈식민주의 문학연구 방법론의 핵심인 양가성, 혼종성 개념을 받아들이되 여기에 `식민지 근대성` 개념을 적극 인입하여 탈식민주의 방법론이 지닌 현상적, 미시적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식민지 시대 이후의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거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염상섭의 「만세전」을 주로 판본 비교와 시점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만세전」이 `식민지 민족현실의 발견 서사`거나 혹은 `근대적 주체의 형성 서사` 둘 중의 하나가 아니라 강력한 근대적 이성과 민족적 정념의 힘으로 식민지 지배체제와 이데올로기 너머를 지향하는 근대적 해방의 서사임을 밝혀냄으로써 `확장된 식민지근대성론`의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적용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adaptation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Hitory to the stud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s opposed to overcome the modernity-pursuing and na-tionalistic inclination of bo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and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it is also opposed to explain the modernity of colonial system in which rule and resistance, bringing-round and agreement is mixed each other. However, this article has expanded the category of the `Colonial Modernity` to the liberating power of modernity itself, the primitively violent nature of colonial rule, and the radical resistance of colony people against the colonial rule which are not included in `Colonial Modernity-Discourse`. And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join this discourse with the Post-colonialism study on Korean modern literature which is similar to this discourse in the view of colonial system. This joining has some merits to complement each other, with that one could get microscopic methodology and terminology such as `ambivalence` and / or `hybridity`, the other could get macroscopic view over the colonial system and it`s era. For this experimental study,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text of Yeom-Sang Seop`s novel Manse-jeon. And could reach to the conclution that the text is not the `narrative of the finding colonized national reality` or the `narrative of the building of a modern subject` but the `liberation narrative which is oriented beyond the colonial rulling system and ideology with the power of strong modern reason and national pathoses. And Accordingly it could testify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adaptation the expanded `Colonial Modernity-Discourse` to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4

        한국의 근대성에 관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정치적 함의를 던져 줄 만큼 무거운 역사적 쟁점이 되어 왔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론’의 이분법적 인식론적 논쟁은 양측 모두 그동안 상당 부분 설득력과 의미 있는 학문적 성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수탈」과 「식민지 근대화」간의 기존의 지적 논쟁을 간학문적(間學問的) 논의 -여타 사회과학의 인식의 맥락에서- 를 통해서 근대성 개념의 인식론적 접근의 지향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적(事前的) 작업으로 한국 식민지 근대성 논쟁을 둘러싼 기존 비판적 논의의 지적 계보 (혹은 흐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논란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근대성’ 개념에 관한 해석을 복합적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근대성 논의의 시발을 ‘단수의 근대성’ 혹은 ‘일국(一國)의 근대성’의 이해를 넘어서 ‘다중 근대성’(multiple modernities)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관련하여, 식민지 근대성의 현상을 ‘단수’의 근대성을 넘어서 ‘전지구적 근대성’ 내지 ‘다양한 근대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국적 근대성’(national modernity)을 넘어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iory)의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역사서술은 ‘국민국가’ 혹은 ‘민족’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 아니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지향점’의 성격을 제시한다. ‘다중 근대성’의 성격은 종전의 서구학자의 전통적 근대성 개념을 거부하는 차별성을 드러낸다. 비서구의 다양한 근대성들(modernities)은 ‘통시적’(通時的), ‘동시적’(同時的) 및 ‘비동시적’(非同時的) 운동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런 맥락에서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부단한 논란이 ‘근대성’ 개념의 다원적(plural)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이분법적 시각 간의 접점의 범위가 보다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Discussing the question of whether Japanese rule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s much likely to be problematic. Should the idea of modernization continue to possess heavy political implications ?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as fixed, unified or universal progress, it is often suggested that we posit a multiplicity of kinds and fields of modernity, and attempt to discern features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defining the nature of progress on the basis of one or two criteria.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may denote a certain view of colonial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similar to the actual developments in modernizing non-Western societies. In Korean humanities circl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scourse on ‘colonial modernity’ vs ‘exploitation theory’, thus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scholarly reinterpretations related to colonial modernity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Korean nationalist historians presuppose an archetype of “Western modernity” on which colonial domination was based. The nationalist narratives remain prevalent in the colonial intellectual fashions they contest. By contrast, we argue that the varieties of modernity needs to be recognized in the contex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transnational history perspective. The notion of ‘global modernity’ or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addressed to move away from the excessively value-laden use of the modernity. It is not sufficient to trace modernity as a linear movement of modern developments. Rather, recognition of modernities as the interplay of diachronic, synchronic and desynchronic actions should be carefully incorporated. We assume that the recognition of plural modernities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roversy on colonial modernization. The idea of global modernity enables both Korean historiography circles to redefine varieties of modernites that go beyond their conventional perception on colonial modernization.

      • KCI등재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서 식민지성/식민지적 차이와 변이의 문제

        조형근 ( Hyung Keun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3

        한국에서의 식민지근대성 논의는 근대성과 식민지성이 동일한 사태/체계의 양측면이라는 인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을 서구근대성의 특수태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근대성의 외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적인 함축을 초래할 위험성 또한 내포한다. 이 논문은 식민지적 차이/식민지성의 위치를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 재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성에 대한 서구 내부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이 그 출발지점에서부터 타자에 대한 배제 메커니즘으로서 자신을 정립해왔음을 고발해왔다. 하지만 서구의 내적 비판들은 근대성이 비서구에서 수행한 역할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으며, 마치 탈근대 사상이 탈식민주의 논의를 이끈 것처럼 오도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근대성의 익숙한 논리인 서구 기원의 역사주의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둘째, 근대성에 대한 비서구적 관점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의 출현이 그 출발에서부터 식민주의적 실천을 통한 비서구와의 조우에서 비롯되었음을 주목한다. 서구근대성은 자신을 비서구와 대립하는 보편으로 제시함으로써 서구 기원의 세계사를 창출하였고, 이런 서구중심의 역사주의적 논리는 공간의 차이를 시간격차로 제시함으로써 비서구인의 심성에 내면화되었다. 셋째, 이런 식민지근대적 배치와 함께 식민지적 차이가 출현하고 증식한다. 그것은 구성적 외부로서 근대성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근대성의 완전한 실현을 끊임없이 저지하고, 근대성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변이를 일으킨다. 이런 의미에서 식민지적 차이, 식민지성은 근대성의 절대적 외부가 아니라 내재하는 외부이며, 이 외부를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을 사유하고 그로부터의 출구를 모색할 이론적 입지를 얻게 될 것이다. Recent debates on colonial modernity in Korea open a way to see it in its own right not as a version of Western modernity. However, this kind of approach might include a dangerous implication: everything is modernity, and there is no outside of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resituate a place of colonial differences/coloniality into an outside of modernity. First, internal self-criticism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convicts that modernity has imposed itself as an exclusive mechanism on social minorities in the very inception. However, it hardly investigates the role of modernity in the non-West. As a result, it tends to reproduce Eurocentrism of modern historicism. Second, external criticism from the non-Western perspective finds the birthplace of modernity not in the West, but in the non-West, where the former encountered the latter through its colonial practices. Western modernity presented itself as a universal form and created a world history which seemingly originated only from the West. The non-Western people internalized this historicist logic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which transformed spacial differences to time lag. Third, along this colonial/modern arrangement, emerges and multiples colonial differences. While these differences take a part in producing modernity itself, they put obstacles in the way of complete realization of modernity and give rise to variations of modernity which are not totally reduced to modernity. In this sense, colonial differences, i.e. coloniality is not an absolute outside but an internal outside of modernity. Through this outside, we can continue to tackle modernity and find an exit from it.

      • KCI등재

        특집논문 : 일제 강점기 광주의 근대적 공간 변형

        박해광 ( Park Hae Gwa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근대성의 출현은 전통적 공간을 근대적 공간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동반했다. 도시는 바로 이 근대성을 체현한 공간이었다. 근대라는 프로젝트는 거대한 흐름으로 인류 역사의 방향을 변화시켰지만, 그것은 어디에서나 동일한 것은 아니었다. 식민지에 건설되거나 근대 도시로 변형된 식민지 공간은 산업자본주의와 제국주의적 지배의 결합이 낳은 사생아다. 산업주의가 대변한 근대성은 “새로운” 산업 생산물의 출현과 이에 따른 근대적 삶, 특히 도시적 삶으로의 변모였다. 반면 제국주의는 식민지를 지배 국가와는 다른 근대성의 출현을 강제했다. 이런 점에서 식민지 공간의 근대성은 서구나 제국주의 국가와는 다른, 일부의 근대적 경험이 삭제 혹은 왜곡된 근대성, 혹은 혼성적 근대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식민지배 하에서 광주라는 도시 공간이 보여온 근대성의 창출과 왜곡의 과정을 “이중의 이중성”으로 규정하고 있다. 광주의 근대적 공간으로의 변모는 서구의 도시들이 그러했듯이 도심 대로의 건설에서 시작되었다. 도심을 관통하는 상업 중심지인 충장로의 확장 건설 및 전남도청과 광주역을 잇는 행정 대로인 금남로의 건설은 근대적 도심 경관을 가져온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를 통해 도시의 환등상, 새로운 문물과 사람이 넘쳐나는 도심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근대 공간의 창출은 그 식민지적 지배의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기도 했다. 충장로 및 금남로의 건설은 기존의 전통적 공간 구획인 읍성 안과 밖을 해체하고, 그 중심지인 과거의 관아 및 행정 시설, 양반 거주지를 변모시킴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용이하게 하려는 의도를 그대로 드러냈다. 또한 읍성 내에 해당되는 충장로 1, 2, 3가 지역의 토지 소유를 일본인이 장악함으로써 공간의 민족적 분할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도심 공간의 이중성은 곧 식민지의 분할 지배의 의도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다. 한편 이러한 도시 공간의 이중성은 근대성의 공간과 전통적 공간의 왜곡으로 인한 또다른 이중성을 만들어 냈다. 이 근대성 공간의 이면에 존재했던 토막민 혹은 궁민이라는 빈민의 존재는 바로 그러한 식민지적 근대화의 또다른 산물이었던 것이다. 대부분의 식민 도시들이 그러하였듯이, 왜곡된 근대성의 경험은 도시 공간에, 그 공간을 살아온 사람들의 모습과 습속에, 그리고 무의식에 깊이 그 형태를 각인시켜 놓았다. 광주를 근대적 공간으로 만들어냄과 아울러 지배를 위한 분할과 왜곡을 초래했던 이 과정은 그내부에 파열의 가능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그 결과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분할의 경계들에서 농민들의 소작쟁의나 광주학생운동이라는 그 파열 지점의 폭발을 불러일으켰는지도 모른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modern space emerged and was transformed in the colonial city of Gwangju in 1905~1945. The emergence of modernity in the city was marked with the construction of a main road across the city. The main road represents a new city center where commercial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concentrated. Moreover, it is also a modern landscape worth exploring. In Gwangju, the newly constructed main roads were Chungjang Ro(street) and Geumnam Ro(street). Over the years, many stores and administrative buildings developed alongside these streets. During these years, the main space of the city was divided into two spaces, spaces for the Japanese and for the Koreans. In Chungjang Ro, avenues 1, 2 and 3 were for the Japanese, most of the stores on these avenues were owned by Japanese people and were more developed than others. Most of the Koreans resided at avenues 4 and 5, which were under-developed, somewhat resembling the landscape of a pre-modern traditional city. The situation characterized Geumnam Ro. This spacial differenti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double duality” of the modernized colonial city. The first duality refers to the division of the space along the lines fo nationality, where the Japanese imperial citizens owned the main area of the city and the Korean colonial people were relegated to the spaces. The second duality is the division of the city into modernized, developed centers and the peripheral area of the city where the poor(tomakmin) reside. These dualities were brought about by the imperial power that created and transformed the colonial city for the purpose of imperial domination. However such a creation of a distorted modern space in Gwangju was heading towards catastrophe; in fact, it may have resulted in the struggles between land owners and tenants in the 1920s and triggered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 in the 1930s.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의 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사회변동론적 재구성

        조형근(Hyung Keun Ch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이 글은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에 대한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론을 사회변동론의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한다. 서구에서 유래한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근대적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 사회변동이 구조와 행위주체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라는 프레임 위에 서 있다면, 확산론적 관점에 선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행위주체를 배제함으로써 이 복잡한 상호동학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일제시기 한국 재래시장의 구조는 공영 없는 공영제, 시장의 폭증과 상대적 비중 감소, 민족적 분절, 식민지 자본주의적 진전과 시장원리의 부정에 이르기까지 식민지적 구조가 뚜렷해졌다. 식민지 조선인들은 이러한 구조적 규정성 아래서 재래시장에 대한 선호를 지속하였고, 시장을 민족적 사회생활의 중심으로 만들었으며, 저항의 장소로 활용했고,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공론장으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식민권력은 일관성을 상실했고, 통치의 무능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재래시장에 참여한 식민지 주체들은 근대성이 자신을 보편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평가절하됨으로써 그 근대성을 구성해주는 외부가 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의 주체적 행위를 통해 끊임없이 그 식민지적 구조를 비틀고 변이시키는 내재하는 외부로서 작동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사례분석을 통해 확산론적 사회변동론과는 달리 식민지근대성론이 식민지 사회변동의 동학 이해를 위한 좀 더 현실적합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s it possible to apply the concept of colonial modernity to social change theory for colonial societi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is possibility through theoretical and historical analysis. If social change is advanced by complex dynamics between structure and subject, main theories of social change have a distinctive weakness to describe such dynamics, because they regard modern change of colonial societies as a simple result of diffusion of western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lonial power reorganized the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markets: Public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policing, rapid growth and relative fall of portion, ethnic segregation, advance of colonial capitalism and its turn to self-negation. Under these structural forces, colonial Korean continued to prefer traditional markets, made them as centers of Korean society, used as locus for national resistance, and developed as public spheres for debating social rights and obligations. Colonial power lacked consistency in market policies and showed its incompetence before the collective acts of colonial subjects. Although traditional markets and subjects were devaluated as inferior exterior by colonial power, colonial subjects in the traditional markets contorted and changed colonial structure itself by their own active practices, and became constituitive and internalized exterior of modernity. By this case study, we can expect that colonial modernity approach could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ynamics of colonial modern change.

      • KCI등재

        결혼ㆍ가족담론을 통해 본 한국 식민지근대성의 구성 요소와 특징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3

        식민지 생활공간에서 객체이자 동시에 주체였던 피식민지인들은 서로 간에, 또는 식민권력과 끊임없이 갈등, 투쟁, 타협, 협상함으로써 식민지(의) 근대성을 구축해왔다. 다양한 정체성을 지녔던 근대 주체들을 배양했던 역사적 조건들은 식민주의, 민족주의, 근대성의 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그리고 이 요소들이 서로를 삼투하면서 생겨났던 특정한 로칼 공간으로부터 발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들의 구성 조건이 되면서, 한편으로는 그 결과물이기도한 식민지근대성의 젠더화(gendering)를 살펴보는 프리즘으로써 `결혼ㆍ가족`의 담론 내용을 주목하며, 1920-30년대 식민지와 민족(-국가) 건설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 중의 하나였던 결혼ㆍ가족 제도의 근대적 재구성에 내포된 가부장제적 성격을 지속과 변형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일본 식민권력과 식민지 민족주의 엘리트 그룹들이 어떠한 논리로써 식민지 여성을 계몽과 문명의 근대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포섭해 나갔는지, 이를 둘러싼 젠더 정치를 폭로함으로써,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근대성의 상보적이면서도 정합적인, 그 변증법적 관계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해보려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유교 혈통주의에 입각한 조선의 조혼 및 가족 제도가 근대적으로 변용되는 지점을 신ㆍ구여성의 대립적 구도의 담론 설정과 상호타자화 과정에 초점을 맞춰 들여다봄으로써, 전통적 가부장제와 식민지근대성이 어느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고, 충돌하고, 또 변용되었는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거시적 사회변화와 가족 내 미시적 젠더관계의 결을 교직하여 살펴보면서, 식민지 여성들이 지닌 당대 시대인식과 내면의 고통을 맥락화하고자 했으며, 개인 삶의 새로운 근대적 조건이 식민지 여성들에게 어떠한 기회나 자원으로 주어졌으며, 동시에 넘을 수 없는 외적 한계로서 작동되었는지, `정상`의 의미구성과 여성 통제의 수사(rhetoric) 분석을 통해, 한국 식민지근대성에 내포된 젠더적 함의 -이중성-을 결론에서 추출했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gender politics activ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modern marriage and family institutions in terms of (dis)continuity of patriarchal family relations. The focal point of the new two juxtaposed sections Japanese colony building vis-a-vis Korean nation-building in this paper is to reveal the historical juncture in which cultural reform of the Korean nation propelled by both nationalist as well as colonialist power, both anchored on the racialized notion, collided with the Korean “Women`s Question” on the feudalistic family system dealing mainly with the issues of enforced early marriage. Also, via textual analysis of the Korean New Woman`s experiences and life narratives within the family in colonial (female/intellectual) magazine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interrelations among Korean familialism,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and obsession with the pure blood-lineage, were neo-traditional and patriarchal means of legitimating the control and discipline of the Korean body. Central to this article is the deconstruction of patriarchal colonial modernity along with the axis of “marriage and family” as institu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mplicit logic of colonial and national powers embedded in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nation, and woman as intertwined and complementary in maintaining the interdependency power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hegemony and Korean patriarchal power.

      • KCI등재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근대주의"

        황정아(Jung-A Hwa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1

        포스트모더니즘의 위세가 꺾이고 근대-이후(post-modern)를 말하기가 한층 어려워지면서 근대가 갖는 근대다운 성격, 곧 근대성을 해명하는 과제는 한층 중요해졌다. 다시금 활발해진 근대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서도 역사학, 사회학, 문학등의 분야에서 그간 여러 논쟁을 거치며 성과를 축적해왔으나 하나의 통합적 연구의 짜임새를 갖추고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 글은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한국의 근대성연구가 어떤 공통의 수렴 혹은 결절의 지점을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먼저 한국 역사학계의 오랜 논쟁구도였던 내재적 발전론 대(對) 식민지근대화론을 넘어서려는 시도로서 제시된 몇몇 역사담론을 대상으로 삼아 오랜 이분법의 극복을 향한 이론적 탐색이 어떤 근대성 개념에 기대고 있는지 알아본다. 이어 그 가운데 특히 탈근대주의 범주로 분류되고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 비판을 표방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주장들을 상세히 읽어보면서, 이 담론이 식민성과 근대성 개념을 실패와 공백과 불가능이라는 전형적인 포스트-주의적 논리를 통해 정의함으로써 오히려 근대성의 경계를 확장해주는 결과에 이른 점을 분석한다. 한국 근대성연구에서 또 하나 두드러진 특징은 유럽중심주의적 근대성개념을 넘어서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먼저 서구적 근대성 담론을 뚜렷이 의식하면서 그와의 대비혹은 대조를 통해 한국 및 동아시아의 독자적 근대성 개념을 구축하고자 한 몇몇 논의들이 도달한 지점을 가늠해본다. 이런 대안근대성 담론 가운데 최근 특히 주목받고 있는 유교적 근대성 논의가 현재의 근대성 연구 지형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도 살펴본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식민성에서 출발하면서도 기존의 탈식민담론과 구별되는 동아시아 혹은 한국 특유의 역사 서사 구축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근대성을 온전히 해명하는 일은 역설적으로 근대의 지평에 갇히지 않고 근대 이후에 대한 모색을 유지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대주의’의 극복이 여전한 과제임을 지적한다. With the theoretical popularity of post-modernism petering out, it became much harder to discourse on the “post-modern” period and the task of elucidating modernity has become ever more im portant. Studies on modernity have thus far built up some notable achievements in Korean academia as well, with wide-ranging debates in the realm s of history,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ose studies have progressed in a highly structured manner. This paper explores whether such various discourses on modernity are indeed creating certain convergent points. First, some theoretical attempts to transcend the dichotomy between the Indigenous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Discourse that generates long-standing debates in the Korean historical studies, will be investigated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em antics of the m odernity concept in those attem pts. The Colonial Modernity Discourse will also be exam ined, as it supposedly presents fundam ental criticisms on modernity, and it w ill be shown that the discourse has paradoxically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the modern as it defines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based on the archetypal postmodern logic which is highlighted by failure, lacuna, impossibility, and soon. Another noticeable element in the studies of modernity in South Korea is the problem atics of overcoming the Eurocentric concept of modernity. In this regard, as some discourses aim to establish a different modernity concept grounded on peculiarly Korean or East Asian historical experiences, this paper seeks to evaluate how well those discourses have achieved their professed goal. 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Confucian Modernity Discourse, which has been drawing much theoretical attention recently among “alternative m odernity” discourses.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historical narratives unique to East Asia or Korea through redefining the coloniality concept. The task of overcom ing ‘Modernism’ is also a remaining challenge, because modernity can never be fully elucidated insofar as the perspective is trapped in the modern horizon.

      • KCI등재

        이응노의 식민지 이후(해방공간-1950년대): 사생과 지필묵의 탈식민적 근대성

        김학량 미술사학연구회 2015 美術史學報 Vol.- No.44

        This research tracks down, with a critical attitude, the historical path Ji-pil-muk, or paper, brush and ink stick, took as a modern medium after the dismantling of seo or calligraphy and hwa or painting. This text aims to examine the paintings of oriental painters in the colonial/modern period as well as the colonial/modern characteristics of ji-pil-muk by which these artists painted their works, ranging from the era of the Choseon Art Exhibition to the late 1950s. Oriental painters in the colonial period originally began as classical seo-hwa or calligraphy and painting artists. However, they soon converted to ‘Dongyanghwa[Oriental painting]’ thereby forming a subaltern under the colonial rule, performing the roles of colonial modernity. They had to face two problems in the liberation space: Firstly, they had to fix the harm done by the colonial modernity, and secondly, they had to find a way to liberate themselves from the restraints which the classics cast upon. That is, they had to dismantle both the tradition and the colonial modernity at the same time. In such circumstances, Ungno Lee converted from classical seo-hwa to Dongyanghwa during the colonial times, focusing his efforts on sketches from nature. From the Liberation space to the late 1950s, he strolled the streets, taking in the modern life that was striving there, and captured these scenes on paper with lively brushing and inking, thus trying to modernize Dongyanghwa. The people whom Ungno Lee painted were laborers who moved their bodies within their living spaces. This distances itself away from the contemplative stereotype of figure painting in government-organized art exhibitions or definitions set by the government school. He painted not the dramatic scenes ‘set up’ for aesthetic contemplation, but scenes from the real life where hard labor took place. His paintings, unlike the dark atmosphere of that time, is vivacious and in some cases even humorous. Ungno Lee, through realism, successfully freed himself from colonial modernity and achieved postcolonial modernity. 이 연구는 서화 해체 이후 근대적 시각 매체로서 지필묵이 밟아 온 역사적 궤적을 비판적으로 추적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이 글은 《조선미술전람회》로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1950년대 후반에 이르는 동안, 식민지 세대 동양화가의 그림 그리기와 그 매체인 지필묵의 식민지근대적·근대적 성격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식민지 세대 동양화가들은 고전 서화에서 출발했지만 곧 ‘동양화’로 전향하여 식민지 근대성을 수행하는 식민지 하위주체가 되었고, 해방공간에는 이중 과제 — 식민지 근대성의 부정성과 그 내상을치유(일제잔재 청산)하는 한편, 고전의 속박으로부터도 해방(봉건잔재 청산)되어야 한다는 — 에 시달려야 했다. 다시 말해 전통과 식민지근대를 동시에 해체 — 탈서화 및 탈식민적 근대성 — 해야 하는 난제에맞닥뜨린 것이다.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이응노는, 식민지 시기에 고전 서화로부터 동양화로 전환하여 풍경 사생에 주력했다. 해방공간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는 주로 시정(市井)을 산책하면서 현대적인 삶을 취재하여, 활달한 필묵법으로 “동양화를 현대화”하고자 했다. 풍속·인물화 양식으로 이응노가 그린 사람들은 생계공간에서 육신을 움직이며 노동하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관제 공모전인 《조선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 인물화의 관조적 틀이나 관학화된 정의 — 대상을 타자화하거나 구경거리로 만들기; 연극 무대와 같은 공간에 특정 자세·복식을 한 인물과, 과거를 환기하는 사물을 ‘배치’하기 등 — 과는 전혀 다르다. 이응노의 인물은 ‘모델’이 아니라 특정 장소에서 자신의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미적 관조를위해 ‘설계된’ 예술적·연극적 장면이 아니라, 고된 노동이 펼쳐지는 생계 현장이다. 그의 화면은 시대상과는 어울리지 않게 명랑하며 어떤 경우에는 해학적이기까지 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응노는 지필묵그림에서 사생/사실주의를 통하여 식민지근대성을 벗어나, 탈식민적 근대성으로서 근대성을 비로소 성취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도시공간의 식민지 근대성 - 전주를 사례로

        박선희(Seon-Heui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2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colonial modernity has been expressed in the urban space of Jeonju in transition to colonial economic system. I look into the urban planning including district rearrangement, the segregation of residential areas by nation, the concentration of financial and commercial institutions and the formation of inner center of colonial city of Jeonju. The rearrangement of district ensured the residence of the Japanese on the pretext of building modem roads. The residence space expressed the national segreg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enter and periphery. The colonial modernity was also tri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native financiers in establishment of modem financial institutions. The modernity of commercial space appeared in the foundation of companies and shops and i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native merchants. The colonialism of commercial space was expressed in the Japanized space of Dajeongtong. The district grew into the urban center with the concentration of financ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Its land price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Jeonju.   본 연구는 전통도시 전주가 식민지 경제체제로의 이행과 함께 식민지 근대성을 도시공간에 표출시키는 양상을 짚어보고자, 근대교통과 시구개정을 포함한 도시계획, 거주공간의 민족별 분리, 금융과 상업활동의 지리적 집중과 도심 형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전주의 근대적 도시계획을 상징하는 시구개정은 신작로를 개설한다는 명분 아래 일본인의 거류를 확보하려는 식민지성을 내포하였다. 전주-군산 간 근대형 도로는 물자수송의 효율성이 강조되었지만 일본상인의 물자수송과 일본인 농장의 양곡수송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주의 거주공간은 민족별로 분리되고 중심-주변으로 분리되는 이중성을 보였다. 금융기관의 식민지 근대성은 금융기관의 설립과 전주 유지들의 참여에서 찾아볼 수 있었고, 조선인 자본이 근대자본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근대적 노력은 한계를 드러냈다. 상업공간에서 조선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과 상호 경쟁하면서 근대적 상업회사의 설립과 상설점포의 경영을 추구하는 근대성을 보였으나, 일본인 상업공간이 전주의 중심부로 성장하는 식민지성을 나타냈다. 일본인의 거주공간과 상업공간의 핵심이었던 대정통을 중심으로 금융과 상업활동이 집중되면서 대정통(중앙로)은 지가가 가장 높은 도심으로 부상하였고 오늘날에도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식민지 근대성과 일상 폭력

        유선영 ( Yoo Sun-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6 No.-

        이 연구는 식민지근대성론에서 모호해진 식민주의 문제틀을 재배치하기 위해 식민지사회를 구조화했던 일상적, 대응적, 관계적인 폭력에 주목하였다. 식민주의 행정의 폭력성은 근대성이 식민지 맥락에서 폭력성을 발현하게 되는 심리적, 문화적, 정신적 메카니즘과 결합하여 식민지 일상폭력을 구조화한다. 첫째 근대성과의 조우는 야만과 미개라는 분류법과 호명에 포획되는 시작이었고 전통, 역사, 민족성, 문화의 모든 것을 부정당하는 트라우마에 직면하게 했다. 둘째, 식민지 사회는 정복민과 식민지민의 사회 관계를 기본관계로 한다. 인종주의에 기반한 적대적 관계가 폭력을 매개로 재생산되었다. 셋째, 식민주의의 `문명화 사명`은 근대성의 트라우마를 확장하고 구조화한 문화적 폭력에 의존했다. 식민지는 수탈과 억압의 공간이었을 뿐 아니라 식민지민의 정신, 심리, 문화도 영토화한 것이다. 식민지의 위생론과 위생행정을 분석 지점으로 설정한 것은 근대성과 식민주의가 폭력과 폭력성을 매개로 겹쳐지는 영역이자 신체적, 심리적, 감정적 경험의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rticulate the everyday, reactive, and relational violence that structured the colonial society in order to relocate the problematics of colonialism into colonial modernity theory. The violence executed by colonial bureaucracy depended on civil and military police that were mandated for policing everyday lives of the colonized organized colonial society through psychological, cultural and mental mechanisms. Modernity based on rationalism becomes traumatic violence to the colonized those who has suffered inferiority complex. I argue that colonial modernity theory should articulate daily relational violences as bodil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that constitute subjectivities of the colonized. For this articulation, I suggest arguments like follows : First, the first encounter with the Western modernity was the beginning of being caught in the binary classificatory regime of the uncivilized savage vs the civilized White, and then faced with traumatic experiences of being destructed and annihilated tradition, history, ethnicity, and cultural practices that had normalized their own way of life. Second, the basic social relation of colonial society is th relation of the colonized and colonized, that is, the master and slave as well as the conquer and the conquered. Those hostile relations based on racism was the site of everyday violence that has been routine and accepted as `just it is the world`. Third, the `civilizing mission` propagated by Japan worked in consolidating cultural violence of modernity that legitimized and structured the colonial violences executed in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Colonial society was not only a territory of economic exploitation and political oppression, but also a space of the spiritu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territorialization of the colonial people. Discourse of modern hygiene constituted by native nationalist modernists and Japanese sanitary administration carried out mostly by police authority are designated as analysis points, because it is the site that modernity and colonialism were intersected and mixed by a mediation of violence. Sanitary spaces are the site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iolences that maintained colonial society as it would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