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시경강의보유(詩經講義補遺)』 특징 연구 — 『시경강의 』와 비교를 중심으로

        차영익 중국문화연구학회 2024 중국문화연구 Vol.- No.63

        다산 정약용은 18, 19세기 초에 걸쳐 경학사의 한 획을 긋는 사람이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청대 고증학과 한학과 송학을 겸한 경세치용적 학문이라고 정의된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육경사서에 들어있는 경학사상을 연구하면 그의 전체적인 경학적 특징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산 경학의 전체적인 면모를 알기 위한 일환으로 그의 시경학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의 시경학은 『시경』이 윗사람을 풍자하기 지어졌다는 관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민간가요인 국풍을 사대부가 임금을 간하기 위해 지었으며, 평천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시경강의』는 1791년 다산이 초계문신으로 있을 때 정조가 『시경』에 대해 질문한 800여 조목에 대한 답문형식으로 지어졌고, 이후 1809년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완성한 것이다. 약 20년간에 걸쳐 『시경강의』를 완성하였지만, 정조의 질문에 답한다는 한계가 있어서 다하지 못한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 지은 것이 『시경강의보유』이다. 그동안 다산의 시경학에 관한 연구는 『시경강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시경강의보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논문은 『시경강의보유』의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다산 시경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경강의보유』는 대체로 분량이 적고 설명이 간략하여 시경강의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 서적 정도로 취급하여 그 가치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다산이 『시경강의보유』 서문에서도 지적하다시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부분의 '백 분의 일'도 말하지 못했다는 말이 조금 과장되었다 하더라도 소홀히 여길 부분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시경강의보유』를 지을 때가 다산의 후기 경학적 특징을 드러내는 시기라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부분들에 단서를 얻어 그 대략적인 특징을 살펴보되, 다산의 경학적인 특징과 연관시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SiGyongGangEu(詩經講義) of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was an answer sheet to JeongJo(正祖)’s 800 questions of SiGyong(詩經). DaSan stressed the exegesis of the words in SiGyong. DaSan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to the JuHui(朱熹)’s theory. He interpreted the preface of SiGyong as an application to the actual government, not a simple commentary. Before Dasan, Shi-Jing-Xue(詩經學) emphasized the method of edifying the people through ‘Onyudonhu(溫柔敦厚)’ and added or revealed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presented in Zhu Xi’s Collection of Commentaries of Poetry(詩集傳). Dasan’s Shi-Jing-Xue was based o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tters, and the understanding of shixu(詩序) was important. This is also applied to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from SiGyongGangEu(詩經講義). Since SiGyongGangEu(詩經講義) is in the form of answering Jeongjo’s questions, the reason why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was built was that he includ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Sigyeong in addition to Jeongjo’s questions.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ntents missing from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ith this inten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by adding the meaning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irst, Dasan determines the details of the reservation of the judgment of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from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or example, the judgment was put on hold in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hich is praised or satirized, but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confirms it as a satirical poem. Second, Dasan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yong as a a GanSeo[諫書: document in which a servant tells the king to correct wrong or wrong things]. Dasan stipulates that the duty of poetry is to satirize reality by stating old things. This characteristic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 Dynasty’s Mosiseo[毛詩序] and was manifested in Dasan’s sense of problem at the time. In conclusion, we can get closer to the overall aspect of Dasan’s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rough a broad analysis of Dasan’s Shi-Jing-Xue(詩經學).

      • KCI등재

        풍자의 현실 비판적 성격에 관하여 — 詩經과 孟子의 경우 —

        홍유빈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본고에서는『詩經』의 시편 속에 내재된 풍자성과 이와 관련된 孟子의 풍자정신의 기원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中國 最古의 詩歌集인 『詩經』에는 古代의 戀歌 외에도 제왕⋅귀족에 대한 美刺와 전쟁에 대한 저지와 같은 사회 비판적 성격이 짙은 시편들도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詩經』의 시편 자체에 이미 당대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속에서 사회문학으로서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선진(先秦)시대를 지나면서 시편들은 점차 結集되고 流傳되어 儒家⋅墨家⋅道家⋅法家 및 여타 諸家에 의해 함께 향유된 문화 자원이 되었는데, 儒家의 경우『詩經』의 시편들을 음악과 함께 연주하거나 시편의 의미에 대한 해석⋅연구와 관련된 교육을 실시했다. 시편의 교육 취지는 적절한 비유법과 그것을 통한 완곡한 표현법을 익히는 데에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詩經』의 교육적 목적이 상당 부분 ‘用詩’ 즉 『詩經』에 나오는 시편 및 그 구절을 실제적인 언어생활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전국시대를 살다 간 맹자는 공자의 학문을 계승하고 연구하기 위해 『詩經』의 시편들을 제자들에게 가르쳤으며 아울러 함께 연구했다. 『孟子』에서 『詩經』의 시편을 인용한 부분은 총 39회이고, 그 중에서 맹자 본인이 인용한 부분은 30회 인데, 자신의 王道思想을 피력하고 또한 그것을 관철시키고자 누차『詩經』의 시편들을 끌어다 사용했다. 맹자의 언설에는 ‘비약이 심한 비유’ 및 ‘개념규정의 결여’와 같은 결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비유와 시편의 적절한 인용으로 인한 특유의 생동감이 있다. 맹자의 언설에 힘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당대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그러한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맹자의 意志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그의 정신은 「毛詩․大序」 風論에 까지 이어지게 되고, ‘완곡하게 다듬어진 말로써 윗사람에게 충고한다.’는 ‘諷諫의 정신’으로 정립되게 된다. This article is a story about a relation of the book of odes and Mencius. As you know, the book of Odes is a collection of Chinese oldest poetry. Some people think that the book of Odes is just old love poem colletion, but there are many critical and satire poems in this book. Therefore we can find the social critical aspect of literature in these poems. Mencius i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in ancient china. He was born in what is modern Shantung province. He taught idealistic confucianism to some of his pupils. He traveled for forty years to offer advice to rulers for reform which is based of his idealistic confucianism. The book of odes is a kind of text book which students have to learn at that time. In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Warring States Period, using poems in the book of Odes is most cultured behavior among the educated persons. They can indirect communication by using poems. So they had to study them. Mencius also learned and studied these poems. He used these poems in order to persuade the rulers. Mencius's saying have some illogical aspects. Therefore many philosophers criticize his lack of concept rule. But I think that his main point is not telling philosophy but persuading others. There are many various metaphors in his speaking from learning the book of odes. And his satire sprit is also affected with social critical aspect of literature in the book of odes.

      •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 略述

        김수경(Kim, Su-kyun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2 동아한학연구 Vol.- No.8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등지의 詩經學 연구는, 이미 연구 성과에 대한 개괄 뿐 아니라 구체적이고 전면적인 논문 목록집까지 정리된 상태이며, 거의 10년을 단위로 새로운 연구 성과를 재종합하는 상황이다. 이에 비해, 韓國 詩經學 연구는 분량도 많지 않을 뿐더러 그 연구 경향이나 연구사 정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고는 韓國 詩經學 硏究 槪況과 課題를 정리·고찰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여, 韓國 詩經學에 대한 연구 경향을 개괄해보고, 향후 韓國 詩經學 연구가 체계화되고 다양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韓國 詩經學’이란 韓國 詩經學者의 『詩經』 연구에 대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다. 한국 학자의 中國 詩經學 硏究 또한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사정리는 中國 詩經學의 연구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논의의 성격이 다른 까닭에, 본고의 서술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고에서는 現代 韓國 詩經學의 연구 성과에 대해 특징적인 방법론·접근 각도를 위주로 하여 文學·文學史的 방면, 經學史的 방면, 實學派·考證學派의 詩經學·正祖時代의 ??詩經??講義·『詩經』의 우리말 번역 등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文集類 등에 散見한 『詩經』觀 연구·朱熹 詩經學 이해에 대한 層次 연구 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essay aims to categorize the existing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for this field. The research results of China including Taiwan, Hongkong about the Odes, and even of Japan, have been already collected and analyzed. They keep upgrading their current research results at almost every 10 year. In comparison, the study results and tendencies of studying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have rarely been aggregated or analyzed in the integrative degree.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essay tries to summariz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bout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so that we extend the width of the study field. We choose research methodology as the way of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tendencies, as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is more effective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Odes. Besides the study of Korean commentaries on the Odes, there are considerable studies of Chinese commentaries on the Odes by Korean scholars. Anaylzing their research results in depth, however, is different from our study angle. It could be considered as a further research plan.

      • KCI등재

        詩經 「關雎」는 ‘變風’인가? - ‘事變’ 혹은 ‘變故’로서의 ‘變’의 관점에서

        홍유빈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consider the ‘變’ of ‘變風 and 變雅’ mentioned in 「毛詩大序」 as the meaning of ‘事變’ or ‘變故’, which means any event or situation, and reexamine the first 詩經 work of 「關雎」 in that context. In general, ‘變’ in 詩經 has been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正‧變’ in 「風」‧「雅」正變論, which have been raised since the Han Dynasty. In addition, ‘變’ from the perspective of ‘正‧變’ means ‘right or wrong’ in contrast to ‘正' and, which means ‘wrong’. However, if you look at “毛序風變” where the ‘變’ of ‘變風’ and ‘變雅’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there is no discussion of ‘正風’ but only discussion of ‘變風’. In addition, the content contains information that prevents accidents or incidents in the country in advance. In this regard, I hypothesized that the ‘變’ of ‘變風’ mentioned in 「毛詩大序」 is the ‘變’ of ‘事變’, which means an accident or event. In the main body, the “關雎” section was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變” in the context of the event, focusing on the initial theory of 三家詩說 which is in the annotation history of 詩經 . After that, 「毛詩大序」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三家詩說,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contents of 「毛詩大序」 wer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三家詩說.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變風” was a poem that recited ‘情性’, that is, “general affection between people”, and 「關雎」, expressed as love between man and woman, could also be such as ‘情詩’, ‘變詩’, or ‘變風’. After that, through initial interpretations and initial materials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詩經 , the possibility that the book was written to prevent future accidents or disasters was raised in advance. However, since this poem was dedicated to the king who had absolute power at the time, I expected that the poet had to hide his intention as much as possible. For this reason, the ‘諷詩’ of 詩經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the work resulted in the work not being well revealed. It was concluded by claiming that the reason for the extreme division of the interpretation of “雎關” was also due to such an internal cause. 본고는 「毛詩大序」에서 언급한 ‘變風과 變雅’의 ‘變’을 어떠한 ‘사건’이나 ‘사태’를 의미하는 ‘事變’ 혹은 ‘變故’의 의미로 보고, 그러한 맥락에서 詩經 의 첫 편인 「關雎」를 재검토한 논문이다. 통상적으로 詩經 에 있어서의 ‘變’은 漢代부터 제기된 「風」‧「雅」正變論의 正‧變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그렇게 볼 경우의 ‘變’은 ‘올바르다’는 의미의 ‘正’에 대비되는 ‘잘못되거나 그릇되다’라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變風과 變雅’의 ‘變’이 처음으로 언급된 「毛詩大序」를 보면, ‘正風’에 대한 언급은 없고 ‘變風’에 대한 언급만 있다. 아울러 그 내용 안에는 나라에 변고나 사건이 생겨서 그것을 사전에 예방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에서는 「毛詩大序」에서 언급된 ‘變風’의 ‘變’이 ‘正變의 變’이 아닌 ‘변고’나 ‘사건’을 의미하는 ‘事變의 變’이라는 가설을 제기해 보았다. 본론에서는 시경주석사에 있어서의 초기설인 三家詩說을 중심으로 「관저」편을 ‘사건의 맥락에서의 變’의 관점에서 재해석 해 보았다. 그러한 뒤에는 삼가시설의 관점에서 「모시대서」를 재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모시대서」의 내용 중 일부가 삼가시설의 관점에서 보다 분명하게 이해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모시대서」에서 ‘變風’이 ‘情性’ 즉 ‘사람 사이의 일반적인 정’을 읊은 시임을 포착하고, 남녀 간의 사랑으로 표현된 「관저」 역시 그러한 ‘情詩’이자 ‘變詩’ 혹은 ‘變風’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 뒤에는 시경 해석사에 있어서의 초기 해석 및 초기 자료들을 통해, 「관저」편이 앞으로 다가올 사태나 변고를 미리 예감하여 그것을 예방하기 위해 지어진 시일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다만 당시에 절대적인 권력을 가졌던 임금에게 바치는 것이자 시인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최대한 숨겨야 했기에, 詩經 의 ‘諷詩’는 작품의 배경 및 의도가 작품에 잘 보이지 않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관저」에 대한 해석이 극단적으로 나뉘게 된 이유 역시 그러한 내적인 원인에 기인한 것임을 주장하면서 결론을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시경≫의 음악성에 대한 조선시대 학자들의 논의와 활용

        김수경 중국어문연구회 2012 中國語文論叢 Vol.0 No.55

        本論文的主題是有關韓國朝鮮時期學者對≪詩經≫音樂觀的試論。理解他們的觀點不僅可以更爲全面地了解韓國詩經學,還可以了解個別學者或個別學派堅持某種觀點的經學傾向。從這樣的問題意識出發,本文考察了韓國朝鮮後期集中出現對≪詩經≫音樂性的關注現象。爲了有效把握學者的觀點,本文的敍述,就圍繞與≪詩經≫音樂性問題有密切關系的兩個≪詩經≫學爭論,卽鄭聲論與≪詩≫入樂不入樂論,來進行展開。本文沒有全面涉及有關≪詩經≫音樂性的論題,暫且圍繞下面幾個論題進行硏究,以作爲以後深入硏究朝鮮學者對≪詩經≫音樂性認識的基礎。對≪詩經≫樂譜與實際演奏這一方面的深入硏究,需要考察先秦禮樂制度以及中國、朝鮮的禮樂文化。本文因個人能力與時間不足,在此只做了簡單的介紹,把타(?)作爲日後的硏究課題。

      • KCI등재

        《시경》의 여성 화자 시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인식 -정약용의 《시경강의》를 중심으로-

        정소연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4 No.-

        While Zhu Xi(朱子) the songs of 《Shi-Jing(詩經)》 by a civilian man and woman, it has been discussed that King Jeong-jo and Dasan Jeong Yak-yong show a governic view.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Dasan’s 800 answers to King Jeong-jo’s questions on 《Shi-Jing(詩經)》, where Jeong-jo and Dasan’s opinions are divided again relating to the female speaker’s poems in 《Shi-Jing(詩經)》. Chapter 2 examined the fact that Dasan thought 《Shi-Jing(詩經)》 has not women’s poetry, but he recognized the existence of a female speaker, not because it was a woman’s work, but because it was a literary formulation method of the deceased. The main contents of Chapter 3 are as follows. Dasan read 《Shi-Jing(詩經)》 as a servant, he discussed how to show a different position from King Jeong-jo. In addition, Dasan Jeong Yak-yong revealed that he sees men and women equally as a poet and reads objectively the voices of female speakers with a spirit of satire. Dasan Jeong Yak-yong is evaluated to have shown a way of interpreting poetry that not only escapes the passive female image of waiting for the male lover or husband, but also deviates from the metaphor of the monarch as a subject. Dasan is meaningful in highlighting the new aspect of female speakers in ancient times’ women poetry by capturing that female speakers of ancient times can make their voices with keen precision by pointing out the times and reality’s problems. 주자가 폐서(廢序)관의 입장에서 《시경(詩經)》을 민간 남녀의 노래로 보는 것에 반해, 정조나 다산 정약용은 존서(尊序)의 입장에서 경세적 시경관을 보인다고 그간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고는 정조와 다산의 의견이 다시 나뉘어지는 지점이 주자의 음시(淫詩)관과 주자가 여성 화자를 음부(淫婦)로 보는 그 자리에 있음을 포착해 여성 화자 시를 다산이 어떻게 읽고 있는지 정조의 800여 개의 물음에 다산이 답한 《시경강의(詩經講義)》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시경》의 여성 창작 여부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다산은 《시경》에 여성 시인의 작품이 없다고 여겼지만 여성 화자의 존재는 인식하였다. 다산은 단순한 여성적 소재나 비유를 여성의 일이라는 편견으로 보지 않고, 여성 화자로 말하는 것은 고인의 작시법으로서 문학적 형상화의 방법이라고 보았다. 또 정조는 임금의 입장에서 유리한 해석을 위해 주자설과 같이 여성 화자의 시를 음시로 보려는 시각을 가진 반면에 다산은 팽팽한 긴장감을 보이며 대립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다산이 ‘하이풍자상(下以諷刺上)’의 시경관을 가지고 신하로서 정조와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이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 주자가 음시로 본 시들과 여성 화자를 음녀로 본 시들에 대해 다산은 여성 화자 시가 애정시의 영역을 벗어나 사회와 현실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지적하고, 남녀를 대등하게 인식하여 재해석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시경》에 대해 주자가 음시라고 보거나 여성 화자를 음란하다고 본 시들에 주목함으로써 이 지점을 통해 다산과 정조의 시경관이 서로 달라지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또 기존의 교화적이고 의리지학적인 시각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여성 화자 시에 대한 다산의 인식을 드러낼 수 있었다. 다산 정약용은 《시경》의 남성 시인이 여성 화자의 페르소나로 임을 기다리는 수동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사회 현실에 대해 비판적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하로서 군주를 향하는 비유를 벗어나는 시 해석법을 보여주었다. 다산의 《시경》 해석은 고대 여성 화자 시가 얼마든지 시대와 현실을 예리하게 지적하며 그 목소리를 낼 수 있음을 포착해내어 고전시가(古典詩歌) 여성 화자의 새로운 면모를 부각시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詩經』 詩語의 ‘象徵性’에 관하여 - ‘象徵으로서의 興’의 관점에서 -

        홍유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2 고전과 해석 Vol.13 No.-

        본고는『詩經』 詩語가 지닌 ‘象徵性’을 ‘象徵으로서의 興’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하기 위해 우선 象徵으로서의 興의 의미와 『詩經』이라는 文獻의 本質에 대해 검토하였다. 아울러 마르셀 그라네로부터 시작되는 民俗學 및 人類學적인 시경연구방법론에 대해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조선 시경학에 있어서의 象徵的 興論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정한 시대와 그 속의 공간에는 그 나름의 고유의 문화의 상징성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시대 및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그 세계가 공유했던 상징성을 파악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고대의 문헌인 『詩經』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詩經』은 기본적으로 조상(祖上)이나 산천(山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범제(凡祭)에 사용된 노래이며, 따라서 이 노래에는 신화(神話) 및 종교 ․ 제례(宗敎 ․ 祭禮)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따라서 상징적인 시어(詩語)를 대표하는 興的인 시어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프랑스의 마르셀 그라네는 『詩經』의 시편들이 古代 중국의 도덕적 혹은 제도적 규범과 관계가 있으며, ‘興的 詩語’는 그러한 규범을 해석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興이나 比의 표현은 시편을 도덕적으로 이용하는 유학자들의 수단인데, 예를 들어 정절을 지키라는 훈계를 직접적으로 발설하는 것이 아니라 짝지어 날아가는 새를 읊음으로써 그러한 도덕률 혹은 규범을 표현하는 것을 바로 비흥(比興)의 표현법이라고 보았다. 그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학자들 역시 그의 학문적 영향을 받아 그러한 연구방법론 하에서 흥(興)적 시어의 특징에 대한 연구를 심화 ․ 발전시킨다. 조선의 경우에도 正祖代(1752~1800)에 이루어진 경사강의(經史講義)에서 이루어진 시경에 대한 논의 및 다산 정약용(1762∼1836)이나 그의 외손인 방산 윤정기(1814~1879)의 시경론(詩經論)을 보면, 이미 17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 후반에 걸쳐서 상징적 흥론(象徵的 興論)에 대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대내외적인 관심의 결여로 인해 그 특징적 혹은 선구적인 면모는 제대로 알려지지 못하였다. 향후 외국에서 이루어진 상징적인 시어로서의 흥적 시어에 대한 외국의 연구에 관심을 기울임과 동시에, 조선 시경학사에서 있었던 이와 관련된 연구 성과들을 살피고 그 의미를 알리는 활동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considers how can we understand symbolism in the “Book of odes” from the point of symbolistic 興. For this discussion, I examine the meaning of symbolistic 興 and the essence of “Book of odes”. And then I discuss cultural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of “Book of odes”, which is started by Marcel Granet and contiuned by Japanese researchers. At the last, I discuss about symbolistic 興 in the Joson Dynasty. There is the unique symbolism in the specific times and the specific spaces. However, if it becomes far from such times and the space,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grasp the symbolism which the world shared. Though it may be said that the case of 『Book of Odes』which is ancient documents would be same, “Book of odes”is a song for 凡祭(ordinary festival) holding religious service to ancestors and God of the mountains and rivers (山川) basically, so there are a lot of songs for sacred and devotional festiva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lyrical word that is like interest to represent a symbolic lyrical word to be understood in such a connection. Marcel Granet thought that “Book of odes”is connected with an ancient Chinese moral or institutional model, and the words of symbolistic 興 should be interpreted by that point of view.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expression of 興 and 比 is means of scholars of Confucianism interpreting a book of poems morally. For example, if a man want to make someone follow faithfulness, he sings a song about two bird's flying side by side rather than expresses it directly. Marcel Granet thinks that this is the expression of 比 and 興. Japanese scholars affected by him study deep into a subject at the point of cultural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By the way, in the case of Joson dynasty, discussions for ‘symbolic 興 theory’ can find what was discussed continuously from the late 1700s to the late 1800s. However, the characteristic or pioneer-like appearance was not able to be known by lack of the anti-inside and outside-like interest directly though there were such discussions. With examining the foreign study for the ‘symbolic 興 theory’, I think that the activity of research at the Joson dynasty have to be introduced to foreign researchers.

      • KCI등재

        論≪詩經疾書≫的學術文獻價値

        백승석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0 No.58

        朝鮮朝 李瀷의 ≪諸經疾書≫중 하나인 ≪詩經疾書≫는 ≪毛詩序≫와 ≪詩集傳≫의 속박에서 벗어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詩經≫주석서로, 당시 서양문명과 淸朝의 새로운 학풍의 영향 하에 기존의 성리학과는 다르게 해석하여 저자의 經世致用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李瀷은 明·淸代에 중국으로부터 朝鮮에 전래된 많은 전적들을 근거로 하여, 朱熹의 주석을 맹종하지 않고, 여러 이론들을 취하여 세밀하게 연구한 뒤에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시경≫의 六義와 淫詩에 대한 검토·史書에 대한 고증·頌詩 부분에 대한 의혹과 탐구 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익의 견해는 근거가 있고 이치에 맞는 字句 해석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는데, ≪시경≫연구에 또 다른 학술 문헌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밖에도 ≪시경질서≫의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는 후대 중국문학에 미친 ≪시경≫의 영향에 대하여 새로운 자신의 견해를 밝힌 점이다. 즉 이익은 杜甫와 蘇東坡의 시문을 ≪시경≫과의 대비를 통하여 그 근원적 관계를 밝혔는데, 이 같은 결과는 지금까지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독특하고 선구적인 것으로 후대의 ≪시경≫연구에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자못 크다 하겠다. 요컨대, 이익의 ≪시경질서≫는 중국 이외 지역 학자의 저작으로, 중국 역대 ≪시경≫연구의 장점을 흡수하고, 아랫사람들의 의견이라도 참고할 만 한 것은 받아들이는 등의 독특한 연구 시각과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이 같은 이익의 연구 성과는 전체 ≪시경≫연구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 학술 문헌적 가치를 살필 수 있겠다.

      • KCI등재

        本庵 金鍾厚 詩經說의 특징과 의미 - 朱熹 『詩集傳』에 대한 객관적 검토의 측면에서

        홍유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본고는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本庵金鍾厚(1721-1780)의 詩經說을 검 토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논문이다. 그는 관료로서 우의정까지 오르고 대제학으로 서 학술적 조예도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그의 문집인 『本庵集』에는 그가 작성한 『小學』 및 四書三經에 대한 註解가 남아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력이나 업 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經學에 대한 연구는 『尙書』에 대한 연구 외에 드문 실정이 다. 결론적으로 볼 때 본암 김종후의 시경설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朱熹의 『詩集傳』에 대한 비판적 검토라 할 수 있다. 다만 주희의 시경설 전반에 대한 총체 적인 비판은 아니며, ‘箚錄’이라는 제목대로 『시집전』 가운데 의심이 드는 구절을 가져와서 분석하는 미시적인 작업이었다. 그러나 당대 조선에서 주류였던 주희의 시경설을 조목조목 검토하고 비판하는 자체가 의미있는 시도라 할 수 있으며, 부분 에 대한 공박인 만큼 예리한 측면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비판의 근거로서 『毛詩正義』에 수록된 漢代의 注疏를 적극 활용하였다는 것은 당대 특히 그가 속해 있던 老論내에서는 드문 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논의의 대상으로 본암 본인과 같은 계열인 삼연 김창흡의 설도 10여 차례 가량 언급하는데, 조선 시경학의 가 치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생각 된다. 한편 삼연의 시경설에 대 한 검토는 같은 계열이자 동년배인 담헌 홍대용도 실시한 바가 있다. 다만 담헌의 경우에는 삼연의 설에 대해 비교적 주관이 개입된 평가를 함에 비해, 본암은 앞서 언급한 漢代의 注疏나 여타 字書들을 통해 검증하고 증명하는 객관적인 면모를 보 인다. 물론 당대인 18세기조선 시경학에 있어 少論인 석천 신작(1760-1828)의 경 우 漢‧唐의 訓詁를 집성하였고, 南人인 성호 이익(1681-1763) 역시 자신의 시경설 을 개진하는 데에 漢代의 注疏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암 김종후의 경우처럼 『시집전』의 구절을 제시하고 그것과 注疏의 내용을 일일이 검토하는 작업은 보 기 드문 일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주희의 시경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시도는 그 가 속한 老論의 시경학에서 뿐 만 아니라, 少論과 南人을 포함한 조선 시경학 전체 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本庵金鍾厚(1721-1780)’s 詩經說 and the characteristic of his 詩經說. He was a government official in Chosun Dynasty and reached to 右議政and grand priesthood(Dae Jae Hak) with profound academic depth. In addition, he wrote 『本庵集』, which was written about 『小學』 and the interpretation of 四書三經. By the way, except of his research about 經學, there were little of research regardless of his career and work. As a result, in summary of 本庵金鍾厚’s 詩經說is critical review about 朱熹’s 『詩集傳』. But, it was not total critic about 朱熹’s whole 詩經說, according to the title of ‘箚錄’ it was a microscopic work to bring the suspicious phrase from 『詩集傳』. However, it was a meaningful try, itself, to examine and criticize of 朱熹’s 詩經說in detail because 朱熹’s 詩經說was a main stream in Chosun Dynasty. Besides, it was very deep and sharpt since it was not whole parts. In addition, it was rare to do this kind of work in the party of 老論which he belonged to since he actively use the 注疏 of Han Dynasty was written in 『毛詩正義』. In addition, he mentioned about the same party, 三淵金昌翕’s study 10 times, it was meaningful since he recognized of Chosun 詩經學’s value. The review of 三淵’s 詩經說was done by 湛軒洪大容, who was the same party and contemporary. But in the case of 湛軒, he evaluated of 三淵’s study with subjective nuance, 本庵examined of 注疏in Han Dynasty and other 字書with objective posture. Of course, in 18 century of Chosun 詩經學, 石泉申綽(1760-1828) who belonged to 少論 collected 漢‧唐’s 訓詁, 星湖李瀷(1681-1763) who belonged to 南人referred to 漢Dynasty’s 注疏in order to insist of his 詩經說. But in the case of 本庵 金鍾厚, he brought of the phrases of 『詩集傳』 and compared to the contents of 注疏one by one was very rare work. This kind of try with objective evaluation of 朱熹’s 詩經說was very meaningful not only in his party, 老論’s 詩經學, bust also in 朝鮮詩經學which included 少論and 南人as a whole.

      • KCI등재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유형적 접근

        김수경(Kim, Su-ky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유형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 한문학 표현의 기저에 작용하는 『시경』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 서술에 있어서는 각 연구 분야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졌던 연구성과들을 표현 운용 양상이라는 주제 아래 종합하고 이를 확장 분석함으로써 『시경』 표현 운용상의 특징을 개관하였다. 분석은 크게 詩類 · 文類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詩類에서의 『시경』 원용 관련 연구는 크게 『시경』 詩篇 · 詩句 · 詩語 · 意象 등의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와 體式에의 원용 연구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아울러, 우리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가 현상적 비교를 넘어서 보다 심도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시경』 등의 古典을 운용하여 어떻게 우리 한문학의 미적질감을 풍부하게 하는지를 포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文類에 있어서는 소설 담화 및 역사문헌에서의 원용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상대적으로 연구가 희소했던 文類에서의 『시경』 운용 또한 다양한 연구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나 주석성과를 보다 확장하여, 『시경』의 표현 구조를 변용한 사례까지 확장시켜 고찰할 경우, 소설 등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Shih Ching’s role, as an underlying influence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scrutinizing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a more efficient approach to the modes mentioned above, we collated and re-analyzed the results from existing research across multiple fields. The pap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poetry and prose. In the poetry section, we subdivided the modes of expressions into two subsections: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titles, lines, vocabulary and images, and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formulaic style.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the study of Shih Ching’s poetry beyond a simple comparison, we need to focus on details and minute changes - on how poetry successfully enriched their own literary expression by accepting and changing Chinese Classics. In the prose section, we analyzed the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discourses from traditional fictions and descriptions within historical texts. After collating research, we assured that there were diverse possibilities to extend this paper’s -and future studies’- scope within the prose genre in a manner,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before. We could extend other existing studies, which are mainly limited to typical modes of expression or go further and study transformed modes of expressions, such as narrative-like-prose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