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자 끌라스 스킬더의 초기(1890-1933) 생애와 저술

        이상웅 ( Lee Sang 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4 No.-

        끌라스 스킬더는 카이퍼(Kuyper)와 바빙크(Bavinck)를 이어 화란개혁교회와 신학에 여러 가지로 지대한 공헌을 한 신학자이다. 그는 심원하고, 독창적이고, 현실적합한 많은 저술들을 출간했고, 목회자와 신학교 교수로서 개혁교회의 갱신을 도모했던 교회의 신학자이기도 하다. 후기에 그는 한 교단과 한신학교의 설립자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중요한 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과 생애에 대한 논구 작업이 그동안 희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스킬더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점증되기를 소망하면서, 본고를 통해 스킬더의 공적인 이력과 저술에 대한 개관 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그의 공적인 이력을 개관하는 일만 해도 논문 한 편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의 초기성장과정과 목회기간에 집중해서 천착해 보았다. 2절에서는 스킬더의 출생과 성장 과정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나 자란 스킬더는 어렵게 김나지움에 들어가게 되었으나 6년간 고전어들, 현대어들, 화란사 등에 집중적을 면학정진했다. 이러한 학업 과정은 이어지는 깜쁜신학교에서의 신학수업을 위해서 크게 유익하였다. 김나지움을 졸업한 후에 깜쁜신학교에 진학하여 4년 반의 목사 훈련 과정을 우수하게 이수하였다. 신학뿐만 아니라 철학과 문학에 대한 방대한 독서를 하였으며, 학생회 활동에도 열정을 다했다. 3절에서는 스킬더의 개혁교회 목회자로서의 사역 기간을 개관해 보았다. 1914년 암트-폴른호브 소재 개혁교회 목사로 사역을 시작한 스킬더는 로테르담-델프스하브에 이르기까지 총 6개 교회를 연속해서 19년 동안 목회를 했다. 스킬더의 목회 사역기를 특징짓는 것은 그가 구속사적 설교에 집중 했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간 동안 각종 교회 신문들에 글들을 기고하거나 주간지 「개혁」지의 편집을 맡으므로 화란개혁교회 내에 영향력있는 인사가 되어갔다. 그리고 마지막 목회지에서는 독일 에얼랑엔대학교에서 박사과정 공부를 진행하여 철학 박사학위를 받기에 이른다. 그리고 1933년 총회에서 그는 깜쁜신학교 교수로 임명을 받는다. 여기까지가 그의 초기 생애 혹은 제1시기에 속한다. Klaas Schilder (1890-1952) was a theologian who made various contributions to the Dutch Reformed Church and theology after Kuyper and Bavink. He had published many works characterized by profundity, originality and relevance. He was a pastor as well as a seminary professor - the theologian of the Church - who aimed at the renovation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the latter days, he became the founder of a new denomination and a Theological Seminary. Despite his significance as a theologian, his works and life have been rarely examined academically in Korea. In this regard, I tried to overview his public career and writings in this paper, hoping that the research and discussions on Schilder will increase. Since it is impossible to examine entirety of his life and works in a brief paper, I focused on his early development and his pastoral period in this paper. In section two, I examined on the birth and early development of Schilder. Although Schilder grew from a poor family and hardly advanced to Gymnasium, he concentrated to study on classical languages, modern languages, and Dutch language for six years. This course of study was very beneficial for the subsequent studies in Theological Seminary. After graduating from Gymnasium, he went to the Theological School in Kampen where he prosecuted the training course for candidates of would-be Reformed pastors about four and a half years. While attending seminary, he did extensive reading on philosophy and literature as well as theology. There, he was passionat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clubs as well In section three, I examined the period of Schilder’s ministry as a pastor in Reformed Churches. In 1914, Schilder began his first pastoral work in the Amt-Vollenhove and to his last ministerial place at Rotterdam- Delfshaven had he ministered in the six churches for 19 years. During his pastoral ministry, Schilder was known for his focus on redemptive preaching. On the other hand, he also became an influential opinion leader in his denomination by contributing so many articles to various church newspapers or editing the weekly magazine De Reformatie. At his last pastoral place, he had prosecuted his doctoral coursework in Erlangen University and finally he received Ph. D. degree in philosophy. In the 1933 General Assembly,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his alma mater. So far, I examined the early development of Schilder.

      • KCI등재

        개혁신학자 끌라스 스킬더의 후기(1934-1952) 생애와 저술

        이상웅 ( Lee Sang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2 No.-

        끌라스 스킬더(Klaas Schilder, 1890-1952)는 카이퍼와 바빙크 사후 화란 개혁교회를 주도한 주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다. 신학교 교수, 저널 편집인, 설교자와 강연자, 저술가 등으로 많은 업적으로 남겼지만, 한국 내에서는 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고, 학문적인 논의도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현황에서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고 있는데, 초기 스킬더(1890-1933)에 대해서는 이미 공표했다. 이제 본고에서는 후기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해 논의를 했다. 이러한 논구는 보다 더 깊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이라는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II에서는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활동했던 1934년부터 1944년까지의 시기를 논구해 보았다. 그는 신학교 교수로서, 「개혁」지의 편집과 주필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화란 개혁교회 목회자들과 교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시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동은 H. 카이퍼와 V. 헤프 같은 카이퍼리안들과의 갈등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은 1940년 독일 침공과 화란 점령 기간 동안에 더욱더 극단으로 치달아서 마침내는 스킬더의 정직과 면직에 이르게 되고, 그 여파로 해방파 또는 31조파 교회라고 하는 새로운 교단이 생겨나게 되었다. III에서 우리는 새로이 출범한 해방파(혹은 31조파) 교단의 지도자와 브루더벡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스킬더의 활동과 주요 저술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이 시기는 1945년부터 시작해서 1952년 갑작스러이 소천할 때까지의 비교적 짧은 기간이다. 스킬더는 새로 설립된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교단 내 문제점들을 풀어나가야 하는 과제를 수행했고, 신학교 강의와 1940년에 폐간당했던 「개혁」지의 재발행과 편집 책임을 다시 맡아 많은 글을 공표하기도 했다. 이 후기에 스킬더는 『그리스도와 문화』(1948),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해설 1-4』(1947-1953), 그리고 『수난당하시는 그리스도 1-3』 2판 수정증보판(1949-1952) 등을 출간하기도 했다. 스킬더는 독창적이고 풍성한 개혁신학의 유산을 우리에게 남겨주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그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소망한다. 특히 학술적인 전기가 출간되어야 하고, 그의 주요 신학적인 기여들(언약, 교회, 종말론, 역사관, 문화관, 신론, 변증법적 신학 비판)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laas Schilder (1890-1952) was one of the leading theologian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after the death of Kuyper and Bavinck. Although he left many achievements as a Seminary professor, journal editor, preacher, lecturer, and prolific writer, he has not yet been introduced much in Korea, and academic discussion about him has not been activated yet. In this context, I am introducing Schilder’s life and major writings, and the paper dealing with the early Schilder (1890-1933) has already been published. Now,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life and major writings of later Schilder(1934-1952). I think that this introduction paper has significance as a basic work for more in-depth research of him. In section 2, I examined the period from 1934 to 1944, when he was active as a professor at Kampen Theological School. He was active as a seminary professor and editor of a weekly named De Reformatie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pastors and member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However, such activities have also sparked conflicts and disputes with Kuyperians such as H. Kuyper and V. Hep. These conflicts became more and more extreme during the period of the German occupation of Holland, eventually leading to the suspension and dismissal of Schilder, and in the aftermath, a new denomination called the Vrijgemaakte (Liberated) was born. In section 3, I examined Schilder’s activities and major writings as a leader of the newly launched Vrijgemaakte Churches (or Maintaining 31 st article) and a professor at Bruderweg Kampen Seminary. This period is relatively short, from 1945 to his sudden death in 1952. Schilder ha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new denomination, to solve problems raised within the denomination, and published many articles in De Reformtie Journal along with lectures at seminaries. Moreover, in this period, Schilder published Christ and Culture (1948), Commentary on the Heidelberg Catechism 1-4 (1947- 1953), and the second edition of Christ in his Suffering 1-3 (1949-1952). Since Schilder has left us with an original and rich legacy of Reformed theology, we hope that research on it will be activated. In particular, an academic biography should be published, and in-depth research work is needed on his major theological contributions (covenant, church, eschatology, view of history, view of culture, theology proper, criticism on dialectical theology).

      • KCI등재

        그리스도, 교회 그리고 문화 : 끌라스 스킬더와 디트리히 본회퍼를 중심으로

        김재윤(Jae Youn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그리스도인의 세상적 삶의 기초는 무엇인가? 밴드루넨(Vandrunen)은 구속과 창조를 구분하고 창조를 세상적 삶의 기초로 본다. 북미의 신칼빈주의자들은 창조-타락-구속의 구도속에서 세상의 변혁을 구속안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정리하자면 밴드루넨은 구속이 배제된 창조를, 북미의 신칼빈주의자들은 지나치게 구속안에서 그 동기를 찾으려고 한다. 이 논쟁에 대한 대안을 스킬더(Schilder)와 본회퍼(Bonhoeffer)의 기독론적 통합에서 발견할 수 있다. 스킬더는 일반저주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세상 문화 속에 존재하는 죄악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문화적 삶의 기초는 철저히 구속자 그리스도에 있다. 그러나 그는 단지 기독론에만 한정하지 않고 그리스도안에서의 문화사명을 결론적으로 제시한다. 세상 전체가 그리스도 주권 아래 있어야 한다는 점도 동시에 붙든다. 본회퍼는 먼저 그리스도의 현존으로서의 교회를 주목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와 단절할 수 없는 관계성 속에서 규정된다. 세상의 현실은 그리스도의 현실로서 끊임없이 수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교회는 하나님의 현실로서 그리스도를 통해서 시작된 새로운 현실의 중심이다. 따라서 교회에 속한 성도의 세상적 삶도 그리스도의 현실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 두 신학자를 통해서 세상적 삶의 기초는 철저히 기독론적어야 한다는 점과 그리스도안에서 구속과 창조는 통합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철저히 기독론적이지만 동시에 창조세계를 포괄하는 대안적인 그림을 제시하게 되었다. What is the basis for Christian life in the world? Vandrunen makes a distinction between redemption and creation. Further, he sees creation as the basis of cultural life ourside church. Neo-calvinists in North-America want to include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in redemption insisting on the framework of creation-depravity -redemption, An alternative to this debate can be found in the Chritological integration of Schilder and Bonhoeffer. Schilder uses the concept of general curse to emphasize the sinful nature that exists in the culture of the world. Therefore, the foundation of cultural life is thoroughly in Christ the Redeemer. However, it also holds that the whole world should be under Christ s sovereignty by concluding the cultural mandate in Christ. Bonhoeffer notices the church as the presence of Christ. The reality of the world must converge constantly as the reality of Christ. As a result, the church is the center of the reality of God which is a new reality founded by Christ. Therefore, the worldly life of the christians belonging to the church must be understood in the reality of Christ. Through these two theologians we confirm that the foundation of worldly life must be christologically defined. In Christ, redemption and creation must be unified.

      • KCI등재후보

        개혁신학이 추구한 ‘보이는’ 보편교회에 대한 일고찰: 칼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신칼빈주의에서 ‘가시적’ 보편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김재윤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2 No.-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is one of the four attributes of the church, but it is practically forgotten. Historically, the Roman Catholicism and denomi- nationalism have been a crucial background of this neglecting. However, the catholic church was most emphasized in the Presbyterian Westminster Con- fession and especially the 'visible' universal church is the most impressive fea- ture of this confession. Calvin explains that the catholic church exists where there is a concrete unity with Christ. This union is “shown” to us in the prac- tice of teachings(doctrina), realized in preaching and sacraments. This is con- sistent with the “visible” catholic church concept presented by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s a neo-calvinist theologian, Herman Bavinck basically embraces Calvin’s visible catholic ecclesiology, but extends and understands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as the catholicity of Christianity, meaning that all creation is reformed according to God's Word. Another neo-calvinist the- ologian Schilder saw that there was catholic church only where there was a living and dynamic covenantal obedience. In this regard, Skiller also succeeds Calvin’s ‘visible’ catholic ecclesiology. One concrete local church should pursue this ‘visible’ catholic church, but not as the local churchism. At the same time, this visible catholic church has to devote to build op each other, within the denominations as well as in the whole christian churches. Further- more, this concrete catholic church should also contribute to the universality of Christianity emphasized by Bavinck. 교회의 보편성은 교회의 네 가지 속성 중 하나이지만 로마 천주교회의 보편주의(Catholicism) 주장과 교파주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는 망각되고 있다. 그러나 보편교회는 장로교 신앙고백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교회론에서 가장 강조되었고특별히 ‘가시적’ 보편교회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회론의 가장 인상적인 특징이다. 칼빈은 보편교회가 그리스도와의 구체적인 연합이 있는 곳에 존재하며 이연합은 설교인 가르침과 성례가 시행되고 있는 것에서 우리에게 ‘보인다’고 설명한다. . 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제시하는 ‘가시적’ 보편교회개념과 일치한다. 신칼빈주의 신학자로서 바빙크는 기본적으로 칼빈의 가시적 보편교회론을 수용하면서도 교회의 보편성을 모든 창조세계가 하나님의 말씀대로 개혁되는 의미하는 기독교의 보편성으로 확대해서 이해하고 있다. 바빙크를 잇는 신칼빈주의 신학자 스킬더는 ‘증언’하는 교회, 곧 살아 있고 역동적인 언약적 순종이 있는 곳에서만 보편교회가 있다고 보았다. 이런 점에서 스킬더도 교회의 보편성 이해에서 칼빈의 ‘보이는’ 보편교회론을 계승하고 있다. 한 구체적인 교회는 이런 ‘보이는’ 보편교회를 추구하되 개교회주의가 아니라 교단들 안에서 그리고 전체 기독교회가 이런 보이는 보편교회로 세워져 가는 것에 복무해 나가면서 교회의 보편성을 추구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런 구체적인 보이는 보편교회는 바빙크가 강조한 기독교의보편성에도 기여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회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한 고찰-일반은혜(카이퍼), 물화명령(스킬더), 두 왕국론(밴드루넨)을 중심으로-

        김재윤 ( Jae Youn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3 조직신학연구 Vol.19 No.-

        루터파와 개혁파의 신학은 은혜의 방편으로서의 성경의 교리를 설명함에 있어 견해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한 차이는 루터파는 ‘말씀을 통하여’를, 개혁파는 ‘말씀과 함께’를 사용함으로 드러났다. 루터파가 보기에 개혁파는 성경을 은혜의 방편으로 받지 않은 잘못을 범하고 있으며, 반면에 개혁파가 보기에 루터파는 하나님의 말씀을 열매 맺도록 하시는 성령의 주관적 사역을 소홀히 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러나 루터파와 개혁파 모두 성경이 은혜의 방편이라는 견해에 완전히 일치를 한다. 루터파와 개혁파 모두 천주교회의 신학에 대항하여 전통이 아니라 성경이 신앙의 토대와 내용을 결정하는 것임을 공고히 하면서, 또한 재침례파와 같은 시령주의자들에 맞서서 성경을 배제한 성령의 직접적인 인도와 사역을 부인하였다. 한국 교회는 ‘오직 성경’ 이라는 종교개혁신학의 교훈을 마음에 새기고, 은혜의 방편인 ‘성경’을 가르치며 그 교훈에 순종하는 일에 더욱 힘을 써야할 것이다 The Lutherans and the Reformed disagreed in regard to the doctrine of the Bible as ‘the means of grace’. When the Lutherans used the expression, per Verbum, for explaining this doctrine, while the Reformed did cum Verbo.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Lutheran, on the one hand, the Reformed view is not so strong as to convince others of taking the Bible as the means of grace. On the other hand, to the eye of the Reformed, the Lutherans make an error of neglecting the subjective operation of the Holy Spirit who works efficiently the fruits of faith. Both the Lutherans and the Reformed, nevertheless, agree on the doctrine of the means of grace in each respect of their own. Againt the Roman Catholics, all these two traditions solidified the theological argument according to which it is not the tradtion but the Bible which determines the foundation and contents of faith. In addition, against spiritural fanatics or some Anabaptists, they refuted and idea on the Holy Spirit of which the direct and immediate guidance and work wll be give apart from the Bible. The Korean church ought to keep in mind the teacings of the Reformation. And endeavor harder to teach the Bible as the means of grace and obey its doctrines.

      • KCI등재

        구속의 언약: 사무엘 러더포드 사상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본 논문은 사무엘 러더포드 사상을 중심으로 구속의 언약 교리가 성경에 뿌리를 둔 것인지를 탐구한다. “구속의 언약”은 창세 전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성부와 성자 사이에서 맺어진 구속적인 언약을 일컫는 신학적인 용어이다. 이 교리가 성경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인 사람들로 바르트, 스킬더, 로벗슨의 주장을 소개하고 온건한 입장을 취하는 네델란드 학자들의 견해도 소개한다. 논지전개 방식은 먼저 구속의 언약에 대해 다수의 부정적인 입장들과 온건한 입장들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부정적인 입장과는 달리 이 교리가 성경의 토대위에 세워진 것임을 논증하되 러더포드 문헌에서 발견되는 열두 가지의 논거들을 요약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러더포드라는 인물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구속의 언약을 신학적 전통이나 신학자들 사이의 합의에 호소하지 않고 구속의 언약을 지지하는 성경 텍스트를 선별하여 소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주석적인 논증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성경에 기초하여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맺어진 언약과는 다른 성부와 성자 사이에 맺어진 언약의 존재는 우리의 구원을 원하시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과 온전한 성취를 강하게 교훈한다. 이 논문의 기여도는 성경이 어떻게 구속의 언약을 지지하고 있는지를 12가지의 각도로 조명함에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whether the covenant of redemption is rooted in Scripture, by examining the thought of Samuel Rutherford. This word “Covenant of Redemption”(pactum salutis) is a theological term that signifies the covenant between God the Father and God the Son. There are some scholars, such as Barth, Schilder, and Robertson, who argue that this doctrine does have the support of biblical evidences. There are other scholars like Dutch theologians (Bavinck, Kuyper, and Berkouwer) who have a mild view on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procedure of discussing this topic is, first, to introduce the negative and the mild views on the pactum salutis, and then to suggest twelve arguments that, unlike the former, prove there to be this covenant in Scripture, arguments that are keenly made by Samuel Rutherford on the scriptural ground. The reason for choosing Rutherford as an advocate of the pactum salutis is that he does not appeal to a theological tradition and the doctrinal consensus of his contemporaries but to the concrete texts in the Bible firmly supporting the doctrine. The existence of the pactum salutis in the Bible teaches the eternal love of God and its firm accomplishment.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probably, to illuminate how the Bible supports the doctrine of the pactum salutis by presenting the twelve biblical arguments.

      • KCI등재후보

        A. T. 피어선의 문화관

        안명준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7 피어선 신학 논단 Vol.6 No.2

        Abstract A. T. Pierson’s Understanding of Culture Myung Jun Ahn, Ph.D. Professor, Pierson School of Theology Pyeongtae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A. T. Pierson’s Understanding Culture. It investigated the culture of the grace of giving, the culture of serving and volunteer, and transforming culture on the perspective of Piersonʼs ministry of culture. Especially, Pierson did his faithful works during his life in the hope of Lordʼs parousia. He reformed the wrong tradition of the church with the Word of God and corrected the appointed seat of the church, making the sermon simple, and lowered the church threshold. Pierson insisted on abolishing slavery system, protected the right of the workers, was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of woman. Although there was limited in transforming the society, he did his best to practice Christian culture in his life context. 한국어 요약문본 논문은 아더 T. 피어선의 기독교 문화론의 형성과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피어선을 문화의 사역자로 조명하여 그가 주장한 베푸는 은혜의 문화, 섬김과 봉사의 문화, 교회와 사회에 대한 철저한 변혁적 문화관을 탐구하였다. 특별히 피어선은 전천년주의에 근거하여 주님의 재림을 바라보며 소망하는 가운데 그의 삶의 현장에서 변혁적 문화사역에 충실하였다. 피어선 당시 교회의 잘못된 전통을하나님의 말씀으로 개혁하였다. 지정좌석제를 폐지하고, 설교를 단순하게 예배의식을 단순하게 하였고 교회의 문을 낮추었다. 사회를 위해서는 노예제도의 폐지를 주장하고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여성들의 사회활동에 관심을 보였다 . 비록 이런 기독교 문화의 사역은 사회를 변화시키는 일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복음화를 위한 수단으로써 그의 삶의 현장에서 실천적 문화관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구속사적 설교에 대한 신학적, 교회론적 고찰: 1930년대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재윤 개혁신학회 2024 개혁논총 Vol.68 No.-

        구속사적 설교는 1930년대 네덜란드 개혁교회 안에 있었던 논쟁이었다. 북미에서는 게할더스 보스(Gerhardus Vos)의 성경신학의 계승자들이나 시드니 그레이다너스(Sidney Greidanus)에 의해서 여전히 구속사적 설교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구속사적 설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설교학에 국한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구속사적 설교를 성경론, 기독론, 교회론과 같은 신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속사적 설교는 성경을 하나의 일치된 계시역사, 구속역사로 보고자 했던 개혁주의 성경관을 주해와 설교에까지 일관되게 적용하고자 하였다. 구속사의 중심인 그리스도 중심 나아가 하나님 중심의 신학을 설교에서도 관철하고자 하였다. 그리스도는 설교를 통해서 몸인 교회를 자신에게 더욱 더 깊이 연합하게 하신다. 구속사적 설교는 그리스도, 교회, 설교의 연관성을 속에서 설교를 고찰하고자 하는 개혁주의 교회론을 잘 부각시키고 있다. 반면에 구속사적 설교는 설교가 단지 그리스도만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도들의 다양하고 풍요로운 측면들을 포괄해야 한다는 질문에 항상 직면하였다. 이 점에서 구속사적 설교는 불가시적 보편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구약 성도와 지금 설교의 청중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권면과 교제를 간과한 측면을 지적해 볼 수 있다. 구속사적 설교는 설교가 가진 신학적 측면들에 고려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우리에게 환기시고 있다. 이런 점에서 구속사적 설교가 제기한 문제제기는 현재의 설교를 고민하는 우리에게 여전히 의미를 가진다. Redemptive-historical preaching was a debate within the Dutch Reformed Church in the 1930s. In North America, redemptive-historical preaching is still influential. Gerhardus Vos and his inheritors on the one hand and Sidney Greidanus on the other hand are main figures who have drawn attention to this method of preaching. However, until now, research on redemptive-historical sermons has been mainly limited to homiletics. In this paper, I mainly attempted to examine redemptive-historical sermons from theological aspects such as biblical theory, Christology, and ecclesiology. Redemptive-historical preaching sought to consistently apply the Reformed view of the Bible, which sought to see the Bible as a unified history of revelation and redemption, to exegesis and preaching. He also sought to carry out Christ-centered, God-centered theology in the sermons. Through preaching, Christ unites his body more deeply into himself. Redemptive-historical sermons well highlight Reformed ecclesiology, which seeks to examine preaching in the context of the connection between Christ, the church, and preaching. On the other hand,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has always faced the question that the sermon should encompass not only Christ, but also the diverse and rich aspects of the christians life in Christ. In this regar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redemptive-historical sermon overlooks the exhortation and fellowship that takes place between the people of God in Old Testament and the audience of the present sermon within the invisible catholic church. In this respect, the issues raised by redemptive-historical sermons still have meaning for those of us who are concerned about current serm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