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천도 - 생태유아교육적 관점에 기반하여 -

        이가미 ( Lee Ga-mi ),김세곤 ( Kim Se-g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새로운 유아교육으로 실천되고 있는 생태유아교육에 기반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도를 알아봄으로써 숲 체험 활동 중심의 생태유아교육의 방향과 필요성,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숲 체험 활동 중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224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활동 개념에 대한 전체적인 인지도와 유아교사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전체적인 숲 체험 활동 생태유아교육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편이었다. 둘째, 숲 체험 활동 생태유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실천도 또한 높은 편이었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지도와 숲 체험 활동의 실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숲 체험 활동 개념과 교육방향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숲 체험 활동 실천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학력, 경력, 숲 체험 활동 횟수, 숲 체험 교사 연수경험, 연수시간이 높을수록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was aimed to show the needs and the necessity about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the teachers` role. The complied data is based on 224 early childhood teacher subjects who work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eschools around Seoul, In-cheon, and Gyung-gi provinc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for analysis of frequency, t-test, and ANOVA.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perception of the forest activities and general percep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shows high result. General percep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s high result. Second, the perception about vitalizing eco-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ntribution toward forest activity program shows high result. The highest perception on the program and direction of education toward forestry activity leads to the highest contribution. On conclution, teachers` education, career experiences, number of the forest activity, and number of training sessions on forest activity leads to high perception and behavior toward forest activity program.

      • KCI등재

        학교 숲 가꾸기와 특별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운영

        송민영(Song Min-Yo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8 No.1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은 그에 맞는 적절한 환경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 숲은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을 통한 전인교육을 실천하는 매우 좋은 공간이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따뜻하고 바른, 깊이 있는 인성을 갖춘 자신만의 무한한 가능성을 살려 가는 아이들을 육성하고 현 교육이 안고 있는 교육의 총체적인 문제와 사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교 숲 가꾸기’를 제안하며, 학교 숲을 활용한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해 먼저, 학교 숲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학교 녹지 환경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녹지 조성의 방향으로 ‘자연의 숲’ 만들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에, 학교 숲 가꾸기와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전략으로 현행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숲을 활용한 특별·재량활동 교재개발의 실태 및 일본의 학교 숲 가꾸기 사례 제시를 통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lace where educational activities are realized needs to have in stock the suitable environment where it is hit. school forest become the very good space which practice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which leads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it was warm and applied the children who go taking advantage of an infinite possibility in them being raised, and by the method of also solving the problem and social problem of the education which the present education is holding on the whole "school forest decoration" is proposed it is going to carry out the grope to the method proposal of management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which utilized school woods. It is going to propose analyzing previously the actual condition of. which made reference in the necessity for the forest of a school, and the green-tract-of-land environment of a school, and making "natural forest" as a direction of green-tract-of-land reclamation of a school for it.<BR>  Next, it considers as the concrete practice strategy for management of forest decoration of a school and a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nd comes out, and presen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 presen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re analyzed it groped for the method proposal of practical use which leads presentation of the example of forest decoration of the school in the actual condi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discretionary activity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Japan which utilized the forest of a school.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숲체험활동과 산림복지정책의 과제

        조계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3

        정부는 2020년 1월 27일 코로나19 ‘경계’ 단계 발표 이후 2월 23일 ‘심각’ 단계로 격상하였으며, 누적 확진자가 1만여 명까지 증가하면서 코로나19 사태는 우리사회에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산림교육기관이나 산림 현장에서의 산림교육 및 숲체험활동은 처음 겪는 코로나 여파로 매우 혼란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 연구는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해 새롭게 경험하는 환경에서 숲체험활동에 대한 미래의 방향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숲체험활동 현황과 다양한 문제점들을 분석 하고, 둘째, 코로나19 시대와 코로나19 이후 숲체험 활동과 현장체험지도, 산림복지정 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관련 보고서들과 데이터의 세계 (Our World in Data)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숲체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야외체험학습의 문제들에 대한 분석과 산림교육기관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산림복지정책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대면 산림교육 및 산림체험활동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 은 디지털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실시된 정규 교육이 근간이 되어 산림교육 및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이해화 관련 프로그램에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숲체험활동은 디지털 활동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때 디지털 산림 및 숲체험 활동은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한 대면활동과 비대면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산림 및 숲체험활동과 지도는 산림교육의 중요한 기능으로서의 역할 확장과 재개념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정부 역시 산림 및 숲체험활동과 산림교육을 통한 산림복지정책 시행을 위한 예산 지원 및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country's Crisis Alert Level to 2 on January 27, 2020 and has increased it to ‘serious’ on February 23, 2020 against COVID-19.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has increased to 10,000,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as a whole. In particular, forest education and activities at the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and forest are in a very chaotic situation due to COVID-19 aftereffect that they experienced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uture direction of forest activities in this newly experienced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activities and various problems caused by COVID-19, and the second objective is to explore forest activities, field experience guidance, and forest welfare polic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forest activitie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relevant reports and the website of “Our World in Data.” The research included analysis of the problems of outdoor learning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difficult situations faced by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ggesting forest welfare policies and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In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non-face-to-face system to the forest activities because the formal education had established a digital system. Forest activities after COVID-19 should be changed to digital activities, whereby using digital devices and including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 face activities. Forest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and redefined as important functions of forest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set some budget and policy support to implement forest welfare policies through forest and forest education.

      • KCI등재

        유아숲지도사가 인식하는 유아숲체험활동

        윤정임(Jeongim Yun),이숙희(Sukhee Lee)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유아숲지도사가 유아숲체험활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숲지도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2022년 7월부터 9월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숲지도사가 인식하는 유아숲체험활동의 신념은 ‘유아의 삶과 놀이의 질을 향상시키는 숲 공간’, ‘유아와 뭇 생명을 연결하는 숲체험활동’으로, 실행은 ‘안전 기반 숲활동을 위한 교사 주도적 필수 교육’, ‘시선과 변화에 따라 조율되는 숲활동으로 운영’, ‘축소된 학습과 확장된 놀이 방법으로 접근’으로, 갈등은 ‘놀이중심 숲활동에 관한 지속적인 고민’, ‘역할 변화에 따른 정체성 혼란’, ‘다양한 요구에 따른 어려움’으로, 기대는 ‘숲교육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희망’, ‘교사·부모교육을 통한 숲체험활동 인식 개선’, ‘유아숲체험활동 관련 기준 개선’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하여 유아숲체험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숲지도사의 현재와 노력을 확인하였고,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바탕을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childhood forest instructors perceive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Eight childhood forest instructo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2.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revealed that bchildhood forest instructors recognize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s “forest spac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play for young children,” an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at connect young children and all life.” The implementation of these activities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eacher-initiated essential forest activities for the safety-based forest activities,” “the operation of forest activities coordinated according to viewpoint and changes,” and the “approach to the reduced learning and expanded play methods.” In addition, conflicts were categorized into “continuous concerns about play-centered forest activities,” “identity confusion due to changing roles,” and “difficulty due to various demands.” The expectations of the instructors were categorized into “hope to grow as a forest education expert,” “improvement in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teacher and parent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standards related to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for children.” This study confirms the presence and efforts of the childhood forest instructors involved in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promoting qualitative growth in this field.

      • KCI등재

        유아숲체험 활동에서 학부모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연구

        강영식 ( Kang Young-si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는 유아 숲 체험 활동에서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밝히기 위해 유아 학부모 264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들의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자녀들의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보다 다양한 체험활동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들의 숲 체험 활동에 따른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에서도 학부모들의 우려와 관심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의 높은 관심과 우려 속에 유아들의 숲체험 활동을 적극 호응하면서도 반복되는 미세먼지 예보로 안전을 우려한 중단 요구나 대체 학습을 주장하는 요구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들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누리교육과정과 연계한 탐구적 숲놀이 중심의 학습에서 미세먼지 예보시 유아의 숲 체험 활동에 노출될 때 학부모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우려로 활동에 대한 제한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따른 예보 발령시 숲체험 교육에 대한 정확한 유아들의 영향과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보다 활발한 숲 체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홍보와 관리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 and demand for fine dust in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264 early childhood parents. The findings showed that parents had a high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y made a demand for more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y had a high worry and concern about fine dust in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y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ith their high concern and worry, but they made many demands to stop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r claim alternative learning out of concern for their children's safety due to the forecast of repeated fine du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y made a demand for the restriction on activities due to their concern for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exposed to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for the fine dust forecast at the center of Nuri curriculum-linked exploratory play to facilitate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ir children. Consequently, there is need for the promotion and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ir children have no difficulty in doing more activ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y clearly establishing and applying the accurate influence and standard of children o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the issuance of fine dust forecast.

      • KCI등재

        숲 체험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변화 탐색

        황지애(Hwang, Ji-Ae),김성재(Kim, Sung-Jae),김대명(Kim, Dae-M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교직준비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숲 체험활동을 적용하고, 정서지능에서 어떤 변화과정을 겪는지를 양적, 질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S시 소재 S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인 ‘숲 교육’ 강좌를 수강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87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활동을 주 2시간 12회, 총 24시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 척도와 심층면접 자료, 반성적 저널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 체험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영향을 준 내용으로 ‘숲 그냥 기분이 좋아져요: 고마운 숲 활동’, ‘온몸으로 활동해요: 감각이 깨어나는 숲 활동’, ‘숲은 소중해: 생태적 감수성이 살아나는 숲 활동’, ‘내가 해냈어요: 성취감을 맛보는 숲 활동’, ‘내 마음이 보여요: 감성충전소로서의 숲 활동’, ‘친구 마음이 느껴져요: 공감과 이해의 확장으로서의 숲 활동’ 등이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범주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articipating in forest experiencing activity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eparation peri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 third grad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had taken a non-subject educational lecture on forest education from S college in S city, Jeonnam province. Forest experienc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2 hours 12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4 hour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in-depth interview data and reflective journal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forest experienc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following positive results were categorized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forest that just feels good: thankful forest activity, playing with whole body: forest activity that awakens senses, precious forest: forest activity with ecological sensitivity, i made it: forest activity with a sense of achievement, knowing my feeling: forest activity as an emotional charging station, knowing friend’s feeling: forest activity as an extension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 숲 체험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변화 탐색

        황지애,김성재,김대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교직준비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숲 체험활동을 적용하고, 정서지능에서 어떤 변화과정을 겪는지를 양적, 질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S시 소재 S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인 ‘숲 교육’ 강좌를 수강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87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활동을 주 2시간 12회, 총 24시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 척도와 심층면접 자료, 반성적 저널을 분석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 체험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영향을 준 내용으로 ‘숲 그냥 기분이 좋아져요: 고마운 숲 활동’, ‘온몸으로 활동해요: 감각이 깨어나는 숲 활동’, ‘숲은 소중해: 생태적 감수성이 살아나는 숲 활동’, ‘내가 해 냈어요: 성취감을 맛보는 숲 활동’, ‘내 마음이 보여요: 감성충전소로서의 숲 활동’, ‘친구 마음이 느껴져요: 공감과 이해의 확장으로서의 숲 활동’ 등이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범주화되었다.

      • KCI등재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신영 ( Lee¸ Shin 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정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심, 놀이 중심의 음악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의 숲유치원 유아 60명과 비교집단의 일반유치원 유아 55명, 총 115명이며,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은 8주간 총 16회기에 걸쳐 실행되었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였고,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의 검사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흥미의 하위요인인 음악적 즐거움, 음악적 호감도, 음악적 지속정, 음악적 적극성, 음악적 주의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비교집단의 결과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의미한다. 둘째,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상상력, 독창성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입증한다. 결론적으로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공간 및 놀이자료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또한, 유아․놀이 중심의 음악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o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orest kindergarten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5 general kindergarten inf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16 sessions for 8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as analyzed by covariate analysis(ANCOVA) using SPSS version 2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al interest. The musical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of musical interest such as musical enjoyment, musical preference, musical persistence, musical activism, and musical att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al creativity. The musical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imagination, and origina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usic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ar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practice of music education centered on young children and play.

      • KCI등재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과 교사의 역할

        심상미,이영애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1

        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uilding experience experienced by children and their homeroom teacher in a typical daycare center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forest education has increased and become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by reconsidering the experiences of making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forest activities and reconsidering the role of teachers in carrying out forest activities. This study involved 16 children aged 4 to 5 years with their homeroom teacher and was directly observed in the sites of the forest activities. For the data collection, videos were filmed and recorded as well as field notes, and non-style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education plans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 The research material was classified, organi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rough forest activities can be characterized into sharing help in harsh environments, the discovery and sharing of unplanned natural objects, the sharing of challenges in an unstructured environment, and the sharing of comfort and caring through nature. These grew and developed through interrelationships. In addition, since forests are not a planned environment, the teacher’s role in forest activities has been shown to be the following: protection and safety through forest activities, respecting the process and nature over the results of the forest activities, acceptance and support for expanding forest activities, and the use of nature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forest activities. 본 연구는 일반 어린이집의 한 학급 유아들과 담임교사의 숲 활동 시 나타나는 관계 형성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교사의 역할을 알아보는 질적 연구이다. 숲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은 거친 환경을 통한 도움의 공유, 계획되지 않은 자연물에 대한 발견과 탐구의 공유, 비구조적 환경에서의 도전을 공유, 자연에 의한 위로와 돌봄의 공유로 상호 관계성을 갖고 성장하며 발전하고 있었다. 또한 숲은 실내와 다르게 계획에 의한 환경이 아니므로 숲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은 숲 활동의 보호와 안전의 주체이자 대상, 숲 활동 결과물보다 과정과 본성 존중, 숲 활동 확장을 위한 허용과 지원, 자연을 숲 활동의 교육매개로 활용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숲에서 교사와 유아는 동등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관계성을 갖고 서로 협력하며 발전을 이루므로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숲 활동을 실천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해 숲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체험형 유아 숲 활동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원,박진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3

        This study suggests method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hands-on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and prerequisite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uch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ight forest education experts and nin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a Delphi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fores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greed on the following seven prerequisites: (1) Relevant observation tools and experience equipment need to be provided. (2) Hands-o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require evaluation and monitoring. (3) Sites for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need to be established and expanded, and information sharing and promotion are required. (4) Manager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mus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5) To secure management independence of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y need to be centered on play activities rather than simple knowledge transfer. (6) Safety criteria need to be presented clearly because these activities are intended for young participants who are still undergoing physical development. (7) Finally, the helpers (teachers and parents) of learners (children) need to perceive forests posi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ference for method and promotion strategies for hands-on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본 연구는 체험형 유아 숲 활동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체험형 유아 숲 활동의 현황 및 선행요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산림교육 전문가 8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델파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림교육 및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선행요건에 의견이 일치되었다. 첫 번째, 관찰도구 및 체험장비가 제공되어야 한다. 두 번째, 체험형 유아 숲 활동을 위한 평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세 번째, 유아 숲 체험활동장의 조성 및 확대, 정보의 공유와 홍보가 필요하다. 네 번째, 숲 체험 활동의 운영자는 유아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다섯 번째, 유아 숲 활동의 운영 자율성 확보를 위하여 단순한 지식전달 보다는 놀이활동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여섯 번째, 유아 숲 활동은 활발하게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 된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일곱 번째, 숲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를 돌보고 관찰하는 조력자(교사 및 학부모)는 숲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체험형 유아 숲 활동에 대한 선행요건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