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비사』에 나타난 숫자의 상징성

        장장식(Jang Jang-Sik),D.Ulziibat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숫자는 수를 가리키는 기호이며 기본적으로 수량을 지시한다. 그러나 숫자는 문화적으로 여러 가지 상징의미로 확장되어 쓰인다. 이 글은 몽골 최초의 문헌기록인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몽골인의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숫자 1은 협력과 강화라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홀로, 멸망, 약화’ 등의 부정적 의미로도 쓰인다. 숫자 4는 공간적, 위치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충성과 신뢰의 의미를 담고 있다. 숫자 7 역시 공간적, 시간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설화에서는 ‘악화, 낙후, 빈곤’의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숫자 13은 샤머니즘의 전통과 관련된 숫자이며, 최고의 신성성을 담는 민속적 상징으로 현재하고 있다.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역사적으로 3과 9에 어떤 상징성을 담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 3은 ‘아주 멀리’라는 공간적 의미와 함께 시간적인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3일로 시간을 정하고, 3일을 두고 약속을 하는 용례들은 3이 지닌 완전성을 바탕으로 특정의 사건을 기술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자리잡고 있다. 둘째, 숫자 9의 쓰임은 역사적으로 B.C. 3세기의 흉노(匈奴, Huns) 유물에서 찾을 수 있듯이 고대의 관념과 연결되어 있고, 신앙적으로는 샤머니즘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다. 숫자 9는 ‘하늘, 천신, 황제’의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최고의 수, 최상의 수, 하늘의 수’로 확대하여 우주적 상징성을 함의한다. 이 글의 주된 대상인 『몽골비사』 외의 민속자료를 들어 숫자 관념 및 상징성을 살핀다면 더욱 풍성한 숫자 상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숫자 3은 몽골인의 일상과 민속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길수(吉數)이고, 3의 3배수인 9는 ‘하늘의 수’ 또는 ‘인간에게 있는 하늘 힘의 최대치’를 상징하여 ‘가장 큰 수’, ‘완전한 수’로 간주한다. 몽골의 겨울추위를 설명할 때, ‘첫 9일’에서 ‘아홉번째 9일’까지 계산하는 셈법(9×9=81)도 이런 상징의 표현이다. 브랴트(Buryat) 족 무당이 행하는 굿 차나르(chanar) 제장(祭場)에서는 81그루의 자작나무를 세우는 것이나 9명의 보조무(yesunchin)를 쓰는 것도 이런 상징성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민속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숫자 상징이다. 99천신의 경우, 9×9가 아닌 99로 읽어야 하며, ‘최대, 최고, 최상의’ 의미를 상징한다. The number is indicating the sign which fundamentally represented the quantity. However, the number culturally is used to expand for the symbol meaning of various culture. This article have focused on the mongolian symbolism through its literature records of the first Mongolia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 1 is used a cooperation and reinforcement on the positive aspects. Also it is used in the negative meaning such as ‘alone, destroy, weaken’. The number 4 is used in a spatial and geographic symbolism that has some meanings such as the loyalty and trust. The number 7 is used a spatial and temporal symbolism as well. The tale has the negative meaning of ‘worse, backwardness, poverty’. The number 13 is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 of shamanism that it is the best divine nature with the ethnic symbol. Through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examples of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s on the 3 and 9 historically discussed what they mean to include for meaning of symbolism. Firstly, the number 3 is ‘very far’ with a spatial meaning which is containing the symbol of time. Especially, the time decide for 3 days which is usual the examples of promise what kind of event description with expression. Secondly, the number 9 is historically related to ancient notion that it can be found the relics from the Huns in the 3rd century B.C. The reason of shamanistic term is based on faith. The number 9 is putting in the symbol of ‘Heaven, God, Emperor’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the best number, the top number, the number of sky’. The main theme of this article is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However, if other folk references go over ideas,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abundant about the symbolism of numbers. For example, the number 3 can easily find the daily routine of Mongolian and the field of folklore. Again, 9 is multiples of 3 which completes the symbol of ‘the number of heaven’ or ‘the maximum force of heaven for human’ about ‘a considerable number’, ‘a complete number’. When the weather of Mongolia explain for the cold winter, those symbols represent to count the calculation(9×9=81) from ‘the first 9 days’ to ‘ninth on 9 days’. To exorcise shaman of the Buryat family for Chanar, the chief priest is used to set up 81 birch trees and Yesunchin of 9 people which is based on symbolism. Those cases can be easily found in the field about the number symbol.

      • KCI등재

        숫자의 상징체계를 기반 한 문묘일무의 의미와 사상성

        김경인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1

        자고이래로 인간은 숫자와 유리될 수 없었으며 이를 통해 자연계와 현상계, 우주계를 이해하고 탐구하려 하였다. 점차 숫자와 자연의 이치, 우주의 섭리를 접목해 기호화하는 ‘숫자언어’가 발생 하였고 이로써 각각의 숫자에는 심오한 철학적 함의가 내재되기에 이르렀다. 문묘일무에는 다양한 숫자들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숫자들은 각 숫자들이 표방하는 의미와 상징성을 담고 있다. 이는 문묘일무가 단순한 표현과 모방의 춤이 아니라 종교이념을 이미지화 한 제례무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수의 상징체계’를 기반 하여 숫자 2.3,4,6,8과 관련한 ‘문묘일무의 의미와 사상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묘일무에 표현되고 있는 숫자의 상징체계는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인간관을 제시하고 나아가 우주관까지도 엿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Since the dawn of history, man and numbers were inseparable, and the man tried to understand and search the nature, the phenomenons, and the universe. Gradually Numeric language was developed which merged and encrypted the rules of nature and universe into the numeric system. Therefore, numbers now have a philosophical underlying meaning to them. Mun Myo Il Moo Dance introduces many numbers, and these numbers have meanings and symbolic importance in them. This comes from the fact that Mun Myo Il Moo Dance is started as a ritual dance which was the imagery of a religious belief. The dance was not just an expression or emulation of natural existenc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eaning and the ideology of Mun Myo Il Moo Dance related to 2,3,4,6,8 based on the symbolic structure of Numbers. The numbers and its symbolic structure of Numbers expressed in Mun Myo Il Moo hints how the philosophy believe a human should be and also peaks into how the philosophy views the universe.

      • KCI등재

        스페인어 속담에 나타난 숫자의 쓰임과 상징

        조혜진(Cho, Hy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8 중남미연구 Vol.37 No.4

        수는 세상 만물에 존재하는 보편적 개념이다. 다만 수의 명칭과 상징적 의미만이 인간에 의해 부여되었을 뿐이다. 비록 숫자의 주요 기능이 대상을 세는 것이지만 숫자는 상징적이고 관습화된 부가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숫자도 언어공동체의 언어나 문화와 분리할 수 없는 언어 요소이기 때문이다. 스페인어의 경우도 숫자를 포함하는 속담들이 다수 존재한다. “En abril, aguas mil”, “Más vale pájaro en mano que ciento volando”, “Boca de verdades, cien enemistades”, “Quien a dos amos ha de servir, a uno de ellos ha de mentir” 등이 그 일례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속담을 매력적인 언어 도구로 인지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특정 언어를 구사하는 화자들이 대대로 자신들이 만들어낸 속담을 매개로 하여 고유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을 은연중에 표출하기 때문이다. 스페인어 속담에서 숫자는 정확한 수량을 지칭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경우, 숫자는 종종 비유적 의미를 함축하고 또한 상징적 가치를 표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속담에 포함된 숫자의 상징적 의미와 특징적 양상의 분석이며, 이로써 스페인어의 문화특수적 또는 문화보편적 양상에 대한 인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스페인어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자 한다. Numbers exist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only the names of number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re given by humans. Although the primary role of numbers is to count things, they have additional meaning, which is symbolic and conventional. Therefore, numbers are inseparable from the languages and cultures of the linguistic communities. In Spanish language there is a wide set of proverbs that contain numbers: “En abril, aguas mil”, “Más vale pájaro en mano que ciento volando”, “Boca de verdades, cien enemistades”, “Quien a dos amos ha de servir, a uno de ellos ha de mentir”, etc. Proverbs are most fascinating, because of what they tell us about the way of thinking and the outlook on the world of the people who speak the language that has produced them. The numbers, in Spanish proverbs, can designate a precise quantity or, mostly, not. In this case, the numbers frequently implies a figurative meaning and present a symbolic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numbers included in proverbs of Spanish language. With this, we aim to emphasize the need to apprehend cultural-specific and cultural-common aspects of Spanish language an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 KCI등재

        숫자 상징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김낭예 ( Nang Ye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한국 문화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상징은 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가 함축되어 있는 상징을 통해 한국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상징체계 중에서 숫자 상징을 중심으로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상징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숫자 상징을 활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한국 문화 이해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숫자 상징 교육 내용을 신화, 민속,금기, 한국어 표현의 4개 범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이를 통해 추상적인 상징이 아닌 우리 일상생활에서 작용하고 있는 구체적인 숫자상징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어 교사와 외국인 학습자 사이의 문화 간의사소통 및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 사이의 문화 간 의사소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specific numerical symbols that are present in our daily lives, rather than regarding them as abstract symbols. The symbol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for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teachers and foreign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 symbol that intensively shows Korean culture can be applied efficiently to cultural education. This is because Korean identity can be understood by means of symbols that represent Korean thoughts and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education, centering on numerical symbols amid far-reaching symbol systems.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pplication of numerical symbols i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intent to organize the symbols into 4 categories of myth, folklore, taboo, and idiomatic expressions, which might be actually helpfu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 KCI등재

        한국 한시에 나타난 수사(數詞)의 수사학(修辭學)

        김성언 ( Sung Un Kim ) 한국한시학회 2011 韓國漢詩硏究 Vol.19 No.-

        한국 전통사회의 문인들이 한시를 창작할 때 가장 고심했던 것이 대구를 제대로 짓는 일이었다. 대구 창작 능력은 일상의 문화생활에서도 꼭 필요한 것이었으며 비평가들은 한시의 우열을 평가할 때 흔히 대구의 대응법이 정확하고 기발한가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곤 했다. 이런 중요성을 가진 대구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 시어의 하나가 바로 숫자다. 숫자는 그 자체가 지닌 기호언어로서의 특성들, 즉 구체성과 상징성과 간결성 때문에 대구에서 사용되는 대응어로 적합한 시어였다.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숫자는 하나하나마다 인문적인 복합성과 다의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시어로서의 숫자가 내포한 장점이었다. 시인들은 숫자를 사용해 경제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주장을 전달할 수 있었으며, 특히 노련한 시인들은 다양하게 변용된 숫자를 통해 절창으로 손꼽히는 작품들을 생산할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보아 각종 연회나 시회에서 귀족 계층이 향유했던 중요한 지적 유희의 도구의 하나로 기능해온 한국 고전 한시의 경우, 숫자는 말놀음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된 시어였다. 또한 조정에서 문한의 일을 관장한 신하들이 관각풍의 시를 쓸 때 숫자의 사용은 반드시 엄수해야할 준칙이었다. 적절히 사용된 숫자가 장엄미의 구현과 군주의 찬미에 가장 적합한 도구였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 시각과 청각 등의 대응을 보여주는 대구의 창작에서 숫자는 가장 효율적인 도구로서의 기능을 다했다. 증별시나 만시 등 다양한 종류의 시작에서 한시 시인들은 여러 가지 숫자와 유사 숫자를 대응시킴으로써 시적효과를 높이는 한편 자신의 메시지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Investigating Hansi, a poetry which wa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in ancient Korea, we will find out so many numbers in every stanza and line. Especially, such poetic composition emerges in a antithesis. In the ancient Korean customs, capacity of making a antithesis was regarded very important skill, because that skill was necessary to carry on a cultural living and so was the only way to gain a court office. Numbers was used in the Hansi because of its substantial virtues as a concreteness, symbolism, laconism. Many poets like Jisang Jeong who lived in the middle Koryo Dynasty used diverse numbers in his works, as a result he was admired a great literary master in spite of personal career of treason. In this essay, I describe distinguishing marks of number as a instrument of literature and take several examples. First, Number was inflected as a object of joke because of its playable character. Second, most court poets used numbers for make eulogies admiring rulers. Three, numbers used in a poem made diverse rhetorical funtions as a correspondence, for example in the countermeasure of time and place, visual and auditory sense.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 수의 상징적 의미 비교 연구-숫자와 날짜를 중심으로-

        ( Swe Swe A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수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여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 한국어와 미얀마어 수의 상징 의미를 비교하여 두 언어 간에 보이는 수의 문화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 단위에 속한 하나(1), 셋(3), 넷(4), 다섯(5), 일곱(7), 여덟(8), 아홉(9)을 수의 기본적인 단위로 보고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상징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에서 명절을 치르는 날짜를 통해서도 수의 상징을 비교하여 문화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비교한 결과 양국에서 하나(1)와 셋(3)은 의미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는 양국에서 기피하는 숫자이지만 기피하는 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숫자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는 두 언어 간에서 서로 다르다는 점을 파악된다. 전체적으로 숫자가 갖고 있는 상징 의미가 다른 이유는 각 나라의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의 차이 때문이라고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날짜를 통해 수의 상징적 의미를 비교할 때 한자어권 나라인 한국에서는 중양, 보름날, 그 외의 날짜로 명절날을 정하는데 반해 미얀마 명절의 경우 전부 불교문화를 토대로 한 명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수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로서의 출발점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yanmar by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umerals in those languages so that Myanmar Korean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numbers and accurately use in Korean. First, one(1), three(3), four(4), five(5), seven(7), eight(8) and nine(9) belonging to 'one' unit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nd compared their symbolic meanings. Next, the symbolic meanings of numerals by holiday dates in both countries were also compared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s. As the results, 'one' and 'three' have similar meanings in both languages as well as 'four' is the number to avoid in both languages, but the way of avoiding was different. And the rest numbers have th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in each languages. Overall, the reason why the symbolism of numbers can be understoo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When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umbers through holiday dates, it was found that in it was found that in Korea with Hanja culture, the holidays were set on the basis of ‘Double Ninth Festival’, Full moon day and the others days whereas all of the Myanmar holidays were based on Buddhist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were pointed out by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both languages focused on numbers and the date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numbers and to avoid the misunderstandings by Korean learners in Myanmar.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of research that can help Myanmar Korean learners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numbers.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 수의 상징적 의미 비교 연구 -숫자와 날짜를 중심으로-

        쉐쉐아웅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yanmar by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umerals in those languages so that Myanmar Korean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numbers and accurately use in Korean. First, one(1), three(3), four(4), five(5), seven(7), eight(8) and nine(9) belonging to 'one' unit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nd compared their symbolic meanings. Next, the symbolic meanings of numerals by holiday dates in both countries were also compared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s. As the results, 'one' and 'three' have similar meanings in both languages as well as 'four' is the number to avoid in both languages, but the way of avoiding was different. And the rest numbers have th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in each languages. Overall, the reason why the symbolism of numbers can be understoo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When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umbers through holiday dates, it was found that in it was found that in Korea with Hanja culture, the holidays were set on the basis of ‘Double Ninth Festival’, Full moon day and the others days whereas all of the Myanmar holidays were based on Buddhist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were pointed out by comparing the symbolic meanings of both languages focused on numbers and the date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numbers and to avoid the misunderstandings by Korean learners in Myanmar.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of research that can help Myanmar Korean learners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numbers.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수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여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 한국어와 미얀마어 수의 상징 의미를 비교하여 두 언어 간에 보이는 수의 문화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 단위에 속한 하나(1), 셋(3), 넷(4), 다섯(5), 일곱(7), 여덟(8), 아홉(9)을 수의 기본적인 단위로 보고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상징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에서 명절을 치르는 날짜를 통해서도 수의 상징을 비교하여 문화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비교한 결과 양국에서 하나(1)와 셋(3)은 의미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는 양국에서 기피하는 숫자이지만 기피하는 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숫자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는 두 언어 간에서 서로 다르다는 점을 파악된다. 전체적으로 숫자가 갖고 있는 상징 의미가 다른 이유는 각 나라의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의 차이 때문이라고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날짜를 통해 수의 상징적 의미를 비교할 때 한자어권 나라인 한국에서는 중양, 보름날, 그 외의 날짜로 명절날을 정하는데 반해 미얀마 명절의 경우 전부 불교문화를 토대로 한 명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수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로서의 출발점이 된다.

      • KCI등재

        탯줄과 숫자 3 연구

        김영균(Kim Young-Kyoon)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엘리아데(Mircea Eliade)는 신성한 시작의 이야기가 신화라고 했는데, 대우주의 창조 이야기에 대하여 소우주인 인간 생명이 태어나는 이야기도 바로 신성한 시작의 신화이다. 고대인들이 인체의 생리와 해부학에 깊은 관찰과 사유를 누적시켰고, 그 과정에서 인체의 신비는 신화의 세계와 민속제의에 투영되었다. 고대인들은 변화하는 달의 모습과 임산부의 복부 변화를 동일시하여 어머니를 달의 여신으로 만들었으며, 태아는 영웅이 되었다.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면서 겪는 양수의 파열은 홍수신화가 되고, 산도를 통과하는 과정은 영웅의 역정이 되었다. 탄생은 어두운 자궁 속 지하세계에서 빛나는 지상세계로 재생하는 통과의례로, 그 상징과 이미지는 세계의 설화와, 전설과, 신화와에 투영되고 종교적 제의나 민속의례를 통해 반복 재생되었다. 그렇다면 인간 탄생의 극적인 순간이라 할 탯줄의 절단을 통해 탯줄과 탯줄의 해부학적 구조 역시 고대인의 사유를 일으킨 동기가 되었을 개연성이 있다. 본고는 이를 바탕으로 신화, 민속, 고고유물 등의 문화형태에 나타난 ‘줄’과 ‘뱀’의 조형과 묘사, 상징과 이미지를 통해 탯줄의 ‘숫자 3’이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그 메커니즘을 탐색해보고, ‘탯줄코드’로 대변되는 ‘줄-뱀-탯줄’의 코드가 ‘탯줄-생명’을 읽는 해석도구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몇가지 예에 적용하여 논리적 타당성을 엿보았다. 탯줄은 고대로부터 인종이나 역사적 환경, 문화적 지역주의와 무관하게 동서양의 모든 인류에게 자연 발생한 ‘생명’의 이미지와 상징의 원형이었으므로, 동서양을 불문하고 고대문화를 일관되게 읽어내는 하나의 코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Tantra Buddhism think that humans are micro-cosmos, a miniature of infinite macro-cosmos and that the two may have a connection and something in common. Ancient people regarded the mother as Goddess of Moon, equating the changing shapes of the moon with the swelling abdomen of a pregnant woman.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human umbilical cord and its anatomical structure as seen on the cutting plane of the cord with awareness of the dramatic moment during birth, might act as a motive for the ancient’s thinking system. The appearance of the umbilical cord resembles a rope or a serpent, having the shape of an entwined rope or mating snakes. From a cross-section, the cord consists of three blood vessels. General human blood vessels consist of an artery and a vein, but interestingly, the umbilical cord during the fetal life shows a set of three blood vess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at such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projected onto several forms of culture and to present a hypothesis that the code of “rope-snake-umbilical cord” represented by the Umbilical Cord Code (nominated and established by the author) can be a tool to interpret diverse symbols of “umbilical cord - life,” and to review its logical validity by applying it to three specific cultural examples. The author in this paper explained inductively the process by which the motif of “umbilical cord ? life” was symbolized and the symbols were differentiated by expansion of thoughts in cultures around the world, and provided a symbolic system within which rope and snake would be one ultimately even when they are described to be an entwined pair or one strand, apart from the real structure of the umbilical vessels. A diagram presenting organic mechanism of this process is suggested in this paper for understanding. Conclusive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umbilical cord had been the archetype of images and symbols of “life” for all human beings since the ancient times, a universality that may make the umbilical cord a code for consistent readings of ancient cultures regardless of races,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regionalism.

      • KCI등재

        게마트리아

        장우형 ( Woohyung Chang ) 민족음악학회 2017 음악과 민족 Vol.0 No.54

        게마트리아는 그리스어의 배경을 가진 히브리어로 음소에 숫자를 배정하여 이를 계산하여 다른 의미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게마트리아의 정의와는 별개로 그 계산법은 다양해서 언어와 배열에 따라 같은 단어라도 서로 다른 게마트리아 값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바흐의 경우 게마트리아라는 음악외적인 방법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의도는 이미 많은 연구결과를 이루어 내었으나 이에 대한 반론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 게마트리아의 방법론을 직접 거론하였던 바흐의 토마스교회 후임 쿠나우의 경우에도 자신의 작품과 게마트리아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게마트리아를 음악과 연결해서 설명하려는 의도는 지금까지 명백하게 밝혀지거나 증명되지는 않았다고 말 할 수 있다. Gematria is a Hebrew which has the background in Greek. It means that there is a way to produce a different meaning by counting the numbers which assign to alphabet. In spite of definition of Gematria,there are various systems of measuring which cause different Gematria value, even though it is from same word. Especially in bach's case,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for finding the meaing of works by using Gematria which is a method for external music, it is not easy to deal with its objection. In case of Kunau who was a successor to Bach's Thomas Church mentioned the methodology of Gematria directly, He didn't prov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his worsks and Gematria. As a result, we can say that it has not been succeeded yet to explan the connection between Gematria and music.

      • KCI우수등재

        『몽골비사』 다시 읽기 ― 일곱 콩코탄 기사의 재검토 ―

        안현재 동양사학회 2024 東洋史學硏究 Vol.167 No.-

        According to the records in sections 244 to 246 of th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hereafter SHM), Činggis Qahan's brothers, ǰoči qasar and Temüge Otčigin, were beaten and insulted by the “Seven Qongqotan.” The so-called “Seven Qongqotan” refers to the seven sons of Mönglik ečige of the Qongqotan clan. This family became a family of meritorious servi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ngol Empire due to their achievements. However, they suddenly attacked Qasar and forced Otčigin to kneel, thereby insulting the royal family. In addition, another son of Mönglik, Teb Tenggeri, a shaman, revealed to Činggis Qahan the ambition of Qasar to covet the Qahan’s position, thereby deepening the divisions and mistrust within the family of Činggis Qahan. Despite ǰoči qasar and Temüge Otčigin being subjected to insult and attack, Činggis Qahan did not take measures to protect them. Instead, he displayed an indifferent attitude towards both and collaborated with the Seven Qongqotan. While interrogating Qasar and depriving him of most of his people, Činggis Qahan also did not provide a positive response to Otčigin's complaints. Although Otčigin eventually killed Teb Tenggeri to quell the disturbance, this action, while not Činggis Qahan’s wish, was tacitly accepted as a result. This narrative underscores the complex dynamics within Činggis Qahan’s family and his approach to internal dissent and challenges to his authority. The incident involving the Qongqotan’s instigation and insult against the family of Činggis Qahan covers a broad range of individuals, thus holding significant research value. The key lies in the central figure of the seven Qongqotans themselves and their actions in gaining the support of Činggis Qahan to pressure ǰoči Qasar. This study focuses on the attachment of the number 7 to the seven Qongqotans, a figure that is well known. Despite the actual number of Monglik’s sons possibly being only three or four, they are consistently referred to as the “Seven Qongqotans” in the SHM, where the number 7 carries negative connotations in Mongolian folklore. The author of the SHM intentionally used the number 7, a digit with negative implications, to mark them as antagonistic characters. The author of the SHM uses the creation of the antagonist “Seven Qongqotan” to divert and conceal Činggis Qahan's restraining actions against ǰoči Qasar. During the unification of the Mongolian Plateau, Qasar's achievements were highly significant, naturally arousing Činggis Qahan's caution and forcing him to take measures to restrain him. Činggis Qahan’s indifferent attitude when Qasar was beaten by the Seven Qongqotan, along with his quick action to strip Qasar of most of his people after hearing Teb Tenggeri’s prophecy, indicates that there was some form of cooperation or understanding between Činggis Qahan and the Seven Qongqotan in dealing with Qasar. This reveals Činggis Qahan's strategies and schemes in the internal power struggle. The entity of the “Seven Qongqotan” is indeed vague, and the name appears only in the SHM. Although the “Seven Qongqotan” are described as partaking in rebellious actions, in reality, no one besides Teb Tenggeri, who was killed for his offense against the Qahan, was punished. Rashid al-Din’s “Collector of Chronicles” notes that only Teb Tenggeri was executed for his transgression. Furthermore, Mönglik’s son Tolui, despite being listed as one of the Seven Qongqotan in the SHM, seems to have actions that do not align with the rebellious actions of the Seven Qongqotan and was even rewarded later. The entity of the “Seven Qongqotan” is indeed vague, and the name appears only in the SHM. Although the “Seven Qongqotan” are described as partaking in rebellious actions, in reality, no one besides Teb Tenggeri, who was killed for his offense against the Qahan, was punished. Rashid al-Din’s Jami’al-tawarikhnotes t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