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 및 인위적 처리방법 변화에 따른 순환잔골재의 pH저감

        한천구,한민철,한상윤,Han, Cheon-Goo,Han, Min-Cheol,Han, Sang-Yoo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한 성토 복토용 순환잔골재의 pH 저감을 목적으로 자연적 처리 방법 및 인위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순환잔골재의 pH 저감특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방치된 순환잔골재의 경우는 사람의 호흡 등 대기중 높은 $CO_2$농도로 인해 실외방치된 순환잔골재보다, 또한 쌓기 두께가 얇을수록 pH를 저감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공기투과의 경우 비교적 순환잔골재의 pH저감이 효과적이었는데 이는 고압의 환풍기로 인해 순환잔골재에 원활한 $CO_2$ 공급으로 pH를 저감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살수처리의 경우 미수화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수산화칼슘을 용해시키고, 건조과정중 대기중 $CO_2$에 의한 중성화로 pH를 크게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수처리에서는 pH 저감 효과가 미흡하였다. $CO_2$촉진의 경우 순환잔골재의 pH저감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원활한 $CO_2$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pH 저감성능, 경제성 및 작업성 측면을 고려할 경우 순환잔골재 질량비 1: 0.5 비율로 살수한 다음, 강제적인 $CO_2$가스의 처리로 건습을 반복한다면 순환잔골재의 pH저감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H decrease in recycled fine aggregates for embankment and landfill produced from waste concrete by using natural process and artificial process. The result was as follows In case of recycled fine aggregates left outdoor, it was found that pH level was decreased if the thickness of embankment becomes thinner, or the materials left outdoors owing to high concentration of $CO_2$ in atmosphere caused by respirations of people. When the air was permeated, pH level was decreased more effectively. It was analyzed that this phenomenon was caused by efficient supply of $CO_2$ in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owing to high-pressure ventilators. In case of water spraying treatment, sprayed water facilitated hydration of unhydrated cement to dissolve calcium hydroxides which neutralized $CO_2$ in the atmosphere during desiccation process and decrease pH level by a considerable margin. In case of Immersed treatment, decrease of pH was not sufficient. When facilitating the supply of $CO_2$, pH level of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was decreased by the largest margin. It was analyzed that this phenomenon was caused by efficient supply of $CO_2$.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reducing pH level of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from the aspects of pH reduction performance, economic efficiency and workability was repeated wet-dry cycles of spraying water to the aggregates in the proportion of 1:0.5 by weight and then treating by forcefully blowing $CO_2$ gas into the aggregates.

      • KCI등재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송하영,이상수,이도헌,이종구,김재환,임현웅,Song, Ha-Young,Lee, Sang-Soo,Lee, Do-Heun,Lee, Jong-Gou,Kim, Jae-Hwan,Lim, Hyon-U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2 No.1

        순환잔골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촉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조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배합설계자료로 제시하고자 천연잔골재에 대한 고품질 순환잔골재의 대체율별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상 및 경화성상 그리고 건조수축특성등을 실험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는 대체율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의 건조수축특성은 큰 차이를 요였다.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은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제율 30%까지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오히려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체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30%까지 대체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반면,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구속 및 비구상태에서의 건조수축 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 100%의 경우에는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이 다른 시험체에 비해 급격히 증가되어 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시점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recently it is urgently required that demolition waste concrete has to be recycled on the construction because urban development is accelerated and redevelopment project is rapidly expanded, production quantity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oncrete is being increased. As a results of drying shrinkage test under restrained and unrestrained condition, although workability and mechanical properites of concrete using HQRS were similar to that of concrete using natural sand, there were a great difference in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dry shrinkag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HQRS. And, it makes sure that use of HQRS instead of partial nature sand was effective becaus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30 volume percentage of HQRS was smaller than that using only natural sand. Therefor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bout the re-application as an analysis of the drying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HQRS and it is able to creta a high value-added by using HQRS.

      • KCI등재후보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정호,성종현,이승엽,권구혁,이세현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7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5 No.4

        본 연구에서는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기준에 적합한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을 검토하였다. 물리적특성으로 슬럼프, 공기량, 경시변화, 압축강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순환잔골재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슬럼프 경시변화 실험 결과 순환잔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라 슬럼프 경시변화 감소율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 측정 결과 순환잔골재의 치환율 증가에 따라 공기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시변화의 경우 공기량 감소율은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100% 치환 시 천연골재콘크리트보다 높은 공기량을 나타내 강도저하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압축강도의 실험 결과 순환잔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강도저감이 발생했으며, 24MPa 배합 결과 30% 치환 시 천연골재콘크리트와 동등한 강도발현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순환잔골재 30%치환 시 천연골재콘크리트와 동등한 물리적 특성을나타내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기준에 적합한 순환잔골재 치환 시 목표강도 24MPa의 3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순환골재의 사용 활성화를 위해 순환잔골재 개질을 통한 품질개선이 필요하며, 후속연구로서 개질된 순환잔골재를 이용한순환잔골재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순환잔골재를 혼입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

        류재석,송일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순환잔골재가 구조용 재료로서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순환잔골재가 포함하고 있는 미분말이 강도증진 효과와 유동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기충전 콘크리트(Self-Compacting Concrete, 이하 SCC로 표기)에 활용하게 되었다. 즉 순환잔골재가 갖는 미분말이 자기충전 콘크리트 특성인 고강도(40 MPa 이상)와 높은 유동성(JSCE 2등급)을 발현하기에 적당하여 폐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순환잔골재를 일반잔골재 대비 순환잔골재의 혼입률을 25%씩 증가시켜, 총 5수준으로 달리하여 자기충전 콘크리트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경화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내구 특성을 검토하여 순환잔골재를 자기충전 콘크리트 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 결과 물리적, 역학적 및 내구특성의 5수준 배합비율 중 일반잔골재 대비 순환잔골재는 50% 혼입률까지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그 이상의 혼입률에서는 오히려 성능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구조물의 적용성이 차후 검토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ooking to which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from waste concrete have a lot of problems as a material for structure purpose, is apply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 to Self-Compacting Concrete(In the reminder of this paper, it often referred to as SCC) by using the characteristic which the powder contain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can increase strength and liquidity. In this study, that is, the recycled fine aggregate powder is appropriate for developing high strength(over 40 MPa) and liquidity(JSCE 2 grade), the characteristic of the SCC and it was increased the ratio of mix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emerging from waste concrete and the normal fine aggregates by 25%, making differential in total 5 levels and applied to SCC. After all, this study was review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esh concrete, analyz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the hardening concrete and tried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as a material for SCC. As a result, this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among the 5-level replacement ratios of the physical, mechanical analysis and 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the normal fine aggregates could be applied up to a replacement ratio of 50% more than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resulted in a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the replacement ratio larger than 50%. It is judged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real structures should be followed up in order to chec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to real life.

      • KCI등재

        섬유보강 순환잔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및 수축균열저감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규용,남정수,김무한,이도헌,송하영,Kim, Gyu-Yong,Nam, Jeong-Soo,Kim, Moo-Han,Lee, Do-Heun,Song, Ha-You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3

        최근 국내에서는 건설생산현장에서 순환골재 및 이를 활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기 위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제조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순환굵은 골재에 비하여 순환잔골재에 관한 적용 및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환경부하저감형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능 및 수축균열저감 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순환잔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및 수축균열특성에 관하여 실험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향후 환경부하 저감형 섬유보강 순환잔골재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천연잔골재에 비해 순환잔골재의 사용으로 콘크리트의 균열면적이 증가하였으며, W/C비가 증가할수록 균열면적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섬유종류중 PVA 및 Nylon섬유를 혼입한 시험체의 균열면적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균열면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섬유혼입에 의한 균열저감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study is progressing actively about manufacture skill of concrete for promoted recycled aggregate and concrete made into recycled aggregate in the construction production field. But, application and study about recycled fine aggregate insufficient compared to recycled coarse aggregate. So, in this study, it present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fiber reinforcement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by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about engineering properties and shrinkage cracking of fiber reinforcement recycled find aggregate concrete for increasing shrinkage cracking reduction and long term stability of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concrete used recycled fine aggregate. In the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to natural fine aggregate, a crack-extent increased by applying recycled fine aggregate, moreover, as a water cement ratio increased, the crack size increased, as well. In addition, it's shown that the specimen mixed with PVA and Nylon, among all kinds of fibers, showed the smallest crack size, so it's verified that the mix of fiber had an effect on decreasing crack-extent.

      •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용 숙련도 시료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원 ( Ki-won Lee ),여운호 ( Woon-ho Ye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최근 경제발전에 힘입어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발생하는 생활 및 산업폐기물이 크게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산업 폐기물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 열화 및 지역 재개발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 해체에 의해 발생되는 폐콘크리트의 양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처럼 단순 파쇄/선별로 생산가능한 시스템에서 콘크리트용 순환굵은골재나 잔골재처럼 구조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생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잔존하는 부착모르타르의 영향으로 인하여 골재특성 중 중요한 요소인 밀도와 흡수율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리하여 부착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들이 여러연구를 통하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산된 순환잔골재가 콘크리트에 혼입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콘크리트 벽돌과 같은 2차 제품에 혼입되어 사용되었을 때, 구조검토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압축강도시험이 정밀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시멘트 압축강도의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균질한 품질의 재료와 정확한 시험편 제작, 숙련된 시험자에 의한 정밀한 시험장비로의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차요인들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KOLAS 공인시험기관을 포함하여 다수의 시험기관들이 시멘트 압축강도 측정 시험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강도 시멘트의 정확한 압축강도 값을 확인하기 위해선 앞서 언급한 시험기관들의 신뢰성 있는 시험결과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시험기관들의 시험결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숙련도 시험(Proficiency Test)이 한국인정기구(KOLAS) 및 해외 숙련도운영기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시험기관들은 정해진 기간안에 숙련도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 해당 기관의 숙련도 및 신뢰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용 숙련도 시료’ 개발을 최종 목적으로 하여, 숙련도 시료제조에 소요되는 시멘트, 천연잔골재, 순환잔골재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순환잔골재의 혼입율 별압축강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최종 결정된 순환잔골재 혼입율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배합 생산하여 28일 수중양생시킨 후 압축강도 특성을 파악하여 숙련도 시료의 균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된 숙련도 시료의 운송조건을 감안한 단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인된 숙련도 시료를 다수의 시험자들에게 배포하여 시험자간 비교시험을 실시하였고, 각 시험자들의 시험결과를 회수하여 KS Q ISO 13528(시험소간 비교 숙련도 시험용 통계적 방법)을 통해 숙련도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수행도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

        설계기준강도별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연구

        윤상혁,이세현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2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0 No.4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른 압축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별 보통콘크리트 대비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라 유사하거나 다소낮은 강도 발현을 보였으며,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령일이 증가할수록강도저하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설계기준강도 대비 강도 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환 잔골재 15 %, 20 %, 25 %로혼합비율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및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특성은 보통콘크리트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의 비율은 총 골재량의 25 %(총잔골재의 50 %)까지 적용하면 슬럼프 및 공기량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판단되며, 설계기준강도에 따른 분체량과 단위수량 및 공기연행제량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및 압축강도 추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상헌,전찬수,이세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2 No.2

        This study was a basic research for actual produc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change of water cemen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ith fixed slump. Results were as follows.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 were required increased water to maintain the target slump, and the recycled fine aggregate are necessary more increased water more than the recycled coarse aggregate.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e aggregate be less than 60%, would be possible to obtain the air content volume that did not deviate from the concrete quality specifica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placement of recycled aggregate, and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by 25% when 100% recycled fine aggregate were replac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mixing factors of concrete, it was found that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 water cement ratio> air content volume were influenced in order. 본 연구는 콘크리트 산업에 있어 자원 고갈, 환경 문제 등을 대처할 수 있는 순환골재의 활용을 촉진하며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레미콘 실생산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순환골재 사용량에 따른 슬럼프 고정 순환골재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변화 및 물리적 특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단위시멘트량, 순환골재의 사용량, 물시멘트비 등 레미콘 생산 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목표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위수량 증가가 요구되며, 순환굵은골재보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에 더 많은 단위수량의 증가가 필요하였다.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은 60%이하는 레미콘 품질기준에 벗어나지 않는 공기량 확보가 가능하였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순환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순환잔골재를 100% 치환한 경우 압축강도는 25%정도 저하하였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배합인자에 따른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순환잔골재>물시멘트비>공기량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순환(循環)굵은/잔골재(骨材)를 사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特性)

        최기선,유영찬,김긍환,이도헌,Choi, Ki-Sun,You, Young-Chan,Kim, Keung-Hwan,Lee, Do-He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3

        본 연구는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을 파악하고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을 조합하여 설계압축강도 30MPa의 콘크리트를 제작하였으며, 공기량 및 슬럼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공기량 및 슬럼프 경시변화를 통하여 순환잔골재의 재료적 특성이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골재의 흡수율 차에 따른 품질성능 저하를 고려할 수 있도록 현장 도착 슬럼프를 기준으로 전체 배합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골재 종류(천연, 순환)에 따른 표면수 보정을 통해 1시간 후 현장도착 슬럼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순환골재의 사용에 따른 압축강도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표면수 보정을 통한 전체 배합수의 관리를 통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nd fine aggregates. Four different kinds of aggregate with natural, recycled aggregates were prepared. The concrete mixtures were produced with test parameters of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 The properties of the fresh concrete were measured by means of slump and air content according to elapsed time. Quality control method to maintain the constant total mixing water for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as suggested. The all concrete mixtures were produced with approximately the same slump on the job site after an hour. Test results indicated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constant slump is not affected by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 Also the practical way for the quality control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is to maintain the constant total mixing water.

      • KCI등재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제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문대중,최재진,Moon, Dae-Joong,Choi, Jae Ji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1

        모재콘크리트의 품질이 각기 다른 순환잔골재의 특성을 모르타르 시험에 의해 비교 고찰하였다. 모재콘크리트 강도가 클수록 밀도가 컸으며, 부착 시멘트페이스트의 공극량이 감소하므로 흡수율은 작게 나타났다.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 특성은 신모르타르의 계면영역과 순환잔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의 강도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며, 모재콘크리트의 강도가 작을수록 다공성 재료가 되므로 강도발현이 작게 나타났다. 재령 180일에서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건조수축은 약 $1800{\sim}2000{\mu}m/m$ 정도로 천연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보다 1.5배 정도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순환잔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가 다공성으로 흡수율이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동결융해시험에서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내구성은 천연골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모재콘크리트의 강도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hich had different source concrete were examined by mortar test. With higher strength of source concrete, specific gravity of recycled fine aggregate was higher and absorp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 was lower due to reduction of the volume of adhered cement pas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ible strength of mor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were affected by the interface boundary of new mortar and the strength of adhered mortar. Strength development of mor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reduced because recycled fine aggregate become a porous material with the smaller strength of source concrete. The drying shrinkage of mortar was about$800{\sim}2000{\mu}m/m$. It was about 1.5 times than that of mortar with natural fine aggregate.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as a similar level with that of mortar with natural fine aggreg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