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순장

        김용성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19

        대가야의 순장자는 순장묘의 주곽과 부곽, 순장곽에 매장되었다. 순장곽 순장자에 대한 의문이 있었으나 이 순장곽을 일반 대가야 석곽과 비교할 때, 작은 크기이면서금제수하부이식 등의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고, 목 곽이나 목관이 사용되지 않은 직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순장자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순장곽의 매장자가 어린이와 노인보다 청장년의 비율이 높음은 그들이 강제적 죽음으로 인했을 가능성을 높여주어 순장자로 볼 수 있게 한다. 다만 몇몇의 순장곽으로 인식되던 것은 별도의 장례가 시행되었다든지 봉분과 함께 축조 된 것으로 순장이라기보다는 배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지산동 순장묘를 검토하면 73호분과 75호분에 10인 내외,44호분에 36인 이상, 45호분 에 15인 이상, 30호분에 5인 이상, 74호분에 4인 이상, 32호분과 34호분에 각각 2인, 33호분과 35호분에 각 각 1인의 순장자가 매장되었다. 따라서 순장자 수는 대략 5인 미만은 개별의 수이나 그 이상은 5의 배수와 10의배수가 된다. 지산동의 순장은 5세기 초부터 6세기 초까지의 고분에서 관찰되나 더 이른 시기에출발하여 대가야가 멸망 할 때까지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순장자의 수도 증가하고, 순장묘주의 범위도 확대되 는 특징이 있다. 이는 대가야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지산동 순장묘의 특성은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순장한다는 것과 순장곽을 별도로 축조하면서 순장자 를 매장한다는 점, 무덤에서 순장묘주가 중앙의 가장 아래에 배치되어 순장자가 그를 둘러서서 호위한다는 점에 있다. 순장묘주는 남녀의 구분이 없이대가야의 왕과 왕족, 그리고 최고 귀족에 해당하나 남성의 무덤 에 더 많은 순장이 시행되었다. 순장자는 순장묘주의 근신자로 호위무사, 의례관련자, 재산관리자, 시종, 비 첩 등 주인 생활의 각 방면에서 봉사하던 인물로 상당한 지위를 가진 자들이다. 특히왕의 순장에는 지방의 지배자급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진 자도 있었다. 가족이 대상이된 경우도 상정되고 산채 매장된 것이 아니라 살해된 후에 매장되었다. 대가야의 순장묘는 그들의 사후생활에 대한 관념인 계세사상에 충실하게 고분이 축조되었음을 적극적으로 지적한다. 이는 고분의 입지, 거기서 출토되는 유물의 풍부함등에서도 확인된다. 순장자가 청장년으로 한참 노동으로 주인에게 봉사할 수 있는 연령대라는 점은 사후에도 생전에 봉사하던 인물을 데려가 봉사를 받아 야한다는 순장의 근본 목적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무력적 성격의 지배층 특성에 따른 그들의 사후관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대가야 순장이다.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of Daegaya were buried in the main stoneouter coffin, the subordinate outer coffin, and Sacrificial burial. Sacrificial burial andhuman sacrifices raised a question, bu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is sacrificialburial and the ordinary Daegaya stone outer coffin, it is small and splendor artifacts wereexcavated from it, burial style is not wooden outer coffin or wooden coffin. So this tombcan be recognized by Sacrificial burial. Human sacrifice rates are higher young adults andmiddle-aged people than child and old age men. It is mean that young adults and middleagedpeople were killed by force, they can see human sacrifices. Just, several Sacrificialburial can see subordinate tomb, separate funeral ceremony and was built with the mound. Jisandong Tumulus as this standard, No. 73 and 75 had ten human sacrifices,No. 44 had over 36 human sacrifices, No. 45 had over 15 human sacrifices, No. 30 had 5human sacrifices, No. 74 had over 4 human sacrifices, No. 32 and No. 34 had each 2 humansacrifices, No. 33 and 35 had each 1 human sacrifice. The number of human sacrifice canmultiple of five and ten in case of over five, but in case of below five, human sacrifice caneach of number. Sacrificial burial of Jisandong have observed tomb between the beginning of theFif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Sixth Century, A.D. But it will make an early startand will be sustainable until the wrack of Daegaya. Over time, the number of humansacrifices have increased and is characterized by the scope of Sacrificial burial’s extension. It have relevance to Daegaya’s a progress of development at nation. Jisandong Tumulus have distinct features that is the most number of humansacrifices among the Korean Peninsula, buried human sacrifices at a separate outer coffin,the major person of sacrificial burial, he is placed in edge of center, were escorted burialhuman sacrifices. the major person of sacrificial burial is king and queen, noble of Daegaya. Human sacrifices is guard warrior, shaman, attendant etc. they have a good social position. Particularly, sacrificial burial of the king is such the man as powerful man of region. Everybody is not buried alive, but is buried after get the chop. Sacrificial burial of Daegaya was reflective of Daegaya’s afterlife, is verified positionof tomb and a great store of excavated relics, etc. Sacrificial burial of Daegaya showssacrifices burial’s fundamental purpose well, the human sacrifices serves to master in deathas in life. Especially, force nature of establishment appeared on the Sacrificial burial of Daegaya.

      • KCI등재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김수환 영남고고학회 2010 嶺南考古學 Vol.- No.55

        Dohang-ri tombs in Ham-an are the central tombs of Ara-Gaya. The tombs were excavated by Cha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fter 1990s. The evident clue to the sacrificial burial was confirmed from the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which dated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rough the excavation. Now, the sacrificial burial in Ara-Gaya region is only confirmed in Dohang-ri tombs. This shows various changes and differences in class over time.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structure for full-scale research of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arge size tombs, No. 4, 6, 8, 34 among sacrificial burial tombs of Dohang-ri tombs. The original state of the sacrificial burial was restored by using the dead's bones who buried alive, artifacts belonging to the dead, and the empty space in stone chamber. The progress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present reports and studies related to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in Dohang-ri tombs suggested a diversity of problems. Then, an alternative opinion was suggested based on analysis on size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position of burial, location of burial, and so on. The content of the study came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Th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tombs appeared along with archaeological phenomena, such as the construction of high and large burial mounds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and an increase in quantity and quality of burial goods. Having considered this, the first appearance of the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occurred as a phenomenon upon the introduction of idea of sacrificial burial through sustaining interaction with Geumgwan-Gaya after the 4th century,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The sacrificial burial in this period is a type having the five deads who buried alive li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area of the main body's feet. The burial position continued until the for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The size of the sacrificial burial decreased from five people to two and the position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changed from right angle to parallel upo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This is thought to be a phenomenon which shows an aspect of decline and extinction of the sacrificial burial. The change could b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ut it can not be assured that this is true just with the present data. However, since the same aspect is confirmed from a small size sacrificial burial in the same time, it is evident that sacrificial burial declined with a change of social concept from this point. Later,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changed to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and no more sacrificial burial has been confirmed after this period in Dohang-ri tombs of Ara-Gaya.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of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is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top ruler (king) and it can be known that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re servants who served the main buried bod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s an attendant on the death of their lord, it could be learned that their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earing personal ornament and the burial location in the chamber. From now on, I try to study on sacrificial burial of the highest class as well as that of the second highest class based on this late study. The study will be in progress as conducting a research focused on changes of sacrificial burial over time and differences in class. 아라가야의 순장은 함안 도항리고분군의 5세기 3/4분기~6세기 1/4분기 대형 및 중대형의 수혈식석곽묘에서만 확인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9기 정도의 순장묘가 확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 순장의 존재와 양상은 사회발전단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아라가야의 순장 역시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연구방법의 미확립으로 인하여 동일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이 불일치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시간적인 변화나 계층적 비교, 더 나아가 순장을 통한 지배계층구조의 규명 등 심화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고는 아라가야 순장의 본격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틀 마련을 목적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도항리고분군의 대형 순장묘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보고나 연구를 검토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순장자의 인골(매장자세), 착장유물, 공지 등의 고고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대형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채용 시점과 도입 과정, 대형 순장묘의 순장유형과 전개양상, 주피장자와 순장자의 사회적 성격 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新羅 積石木槨墓의 殉葬

        심현철 부산고고학회 2020 고고광장 Vol.- No.26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s an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that continued from the ancient society as a form of funeral system. Tombs for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ere confirmed extensively mostly in the Gaya territory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cepts and setting of the types of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e changes in the formats of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for each of the era in the history, etc.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ursuing studies on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the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 in the Silla territory, in Gyeongju in particular, including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tombs for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is is becaus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system of the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 have not been assessed sufficiently and properly to enable the approach to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Silla territory by using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determining whether the living had been buried with the dea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living person buried with the dead has been placed in and the artifacts left with such a pers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the tomb with chamber mounted by stone were presum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tasks of the research on the tomb with chamber mounted by ston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resto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urial facility for the tomb with chamber mounted by stone.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the tomb with coffin mounted by stone could be classified largely into 3 categories, namely, chamber, platform and chamber+platform burials of the living with the dead. Unlike the perception thus far, it was not possible to present the images of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ithin the district at all and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relics confirmed to be related to the living person buried with the dead in the surrounding area have fallen on top of the wooden chamber. Meanwhile, such type of each of these burials of the living with the dead exactly reflected the hierarchy of the dead buried. Expans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urial space for the living person buried with the dead is the evidence of such illustration of the hierarchy of the tomb for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hich is further supported by the scale of the wooden chamber,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lics excavated, and the scale of the burial mound, etc. As such, a clear hierarchy among the tombs for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as confirmed in this manner. In the case of chamber tomb for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presumed to have buried at least 1 living person, it should be noted that its hierarchy among all the tombs with chambers mounted by stones is not that high. Based on the scale of the burial mound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lics excavated, it can be presumed to be a tomb of an aristocrat within the capital city at the least. This indicates that the range of the tomb for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ithin the society for the construction of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 in Gyeongju was quite wide. Lastly, it is currently not possible to conclude whether the culture for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as abolished at once or sustained for substantial period of time in a reduced extent for in comparison to the pas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hibition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by the order of the king in the 3rdyear of the reign of King Gijeung(502AD). However, at around this time in history, there is clear trend of the reduction in the scale of the wooden chambers and burial mounds, reduction in the scale and simplification of funerals ce... 순장은 고대 사회로부터 葬制의 한 방식으로 이어져 온 중요한 문화 현상이다. 주로 가야 권역에서 순장묘가많이 확인되었으며, 순장의 개념·순장 유형의 설정·시기별 순장 방식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신라 권역 중에서도 특히 경주 적석목곽묘의 순장 연구는 순장묘를 설정하는 문제에서부터 많은 어려움이있다. 이는 순장자의 안치 공간과 착장유물을 통해 순장 여부를 판별해 온 전통적인 방법론으로 접근하기에는적석목곽묘라는 묘제의 구조적 특징이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적석목곽묘 순장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적석목곽묘의 매장시설에 대한 구조 복원을 통해 적석목곽묘의 순장 양상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적석목곽묘의 순장 유형은 크게 槨上殉葬, 壇上殉葬, 槨上+壇上殉葬의 세 가지로 확인되었다. 그간의 인식과는 달리 관내 순장의 모습은 전혀 상정할 수가 없었으며, 그 부근에서 확인된 순장자 관련 유물들은 모두 목곽 위에서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러한 각각의순장 유형은 피장자의 위계를 그대로 반영하였다. 순장자를 위한 수직·수평적 매장 공간의 확대가 그 근거이며, 이와 함께 목곽의 규모, 출토유물의 양과 질, 봉분의 규모 등이 순장묘의 위계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이렇듯 순장묘 간의 뚜렷한 위계가 확인되었는데, 최소 1인을 순장한 것으로 추론한 槨上 순장묘의 경우, 적석목곽묘 전체 내에서도 위계가 그렇게 높지 않다는 점이 주목된다. 봉분의 규모나 출토유물의 양과 질로 보아 최소 왕경 내귀족의 무덤으로 상정할 수 있는데, 경주 적석목곽묘 축조사회 내 순장묘의 범위가 상당히 넓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증왕 3년(502) 王令에 의해 순장금지가 실시된 이후에 순장 문화가 일시에 소멸한 것인지, 이전에 비해 축소된 형태로 상당 기간 존속한 것인지 현재로선 단정하기 어렵다. 다만, 이 무렵을 전후로 목곽과 봉분 규모의 축소, 부곽의 소멸 등 장례 규모의 축소화, 간소화 경향이 뚜렷해지는데, 순장금지령 역시 이러한 흐름과 연동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산 임당유적 고총 순장자의 성격

        김대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5 No.-

        In main space and subordinate space, there were lots of cases of about 1~2 Human Sacrificial Burials and sometimes, more than them. If considering sex, age and excavated relics of Human Sacrificial Burials, Human Sacrificial Burials of main space were maid of old tomb owner, doxy of male tomb owner, nanny of young tomb owner, etc. In subordinate space, Human Sacrificial Burials were guard of tomb owner, warehouse guarder or assets manager, professional technicians such as metal worker, maid, etc. And, Human Sacrificial Burials wore ancient earings, ceramics, etc. and ancestral rites for Human Sacrificial Burials were conducted. In this sense, class of Human Sacrificial Burials was not so low and there was social equipment lamenting and consoling the death of Human Sacrificial Burials. 이 논문은 영남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임당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성별과 연령 분석을 토대로 임당유적 고총에 매장된 인골의 매장양상과 순장자의 성격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임당유적 고총 주곽에는 1~2명 정도 순장되는 것이 많으며, 3명이나 5명이 순장되는 경우도 있었다. 부곽에는 2명이 순장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1명이 순장되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이러한 순장에 대한 습속은 횡혈식석실묘에도 적용된다. 순장자들의 성과 연령을 통해 이들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주곽 순장자들은 생전에 주피장자를 가까이에서 모시고 있었던 시동이나 시녀 외에도 주피장자의 첩이나 소실도 순장되었다. 주피장자가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그의 보모나 유모도 순장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부곽 순장자는 주인의 안전을 수호하는 호위무사나 재산을 지키고 관리하던 재산관리자나 창고지기, 집안일을 돌보거나 부엌일을 맡아하던 식모로 추정할 수 있다. 또 철기를 다루거나 단야장 같은 전문 직능인도 순장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주곽과 부곽에는 부부나 부모와 자식, 형제와 자매 등 가족이 함께 순장된 것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순장자들이 태환 또는 세환의 금동이식이나 도자 등을 착장하였고, 순장자를 위해서도 고배, 연질발, 대부완, 장경호, 대부장경호, 단경호 등 제사토기가 부장되고 있다. 이는 순장자에게도 제사를 지냄으로서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고 위로하는 사회적 장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韓半島 古代社會의 殉葬文化

        이성준,김수환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81 No.-

        이 글은 ‘사람의 희생’을 전제로 사회적 안녕을 추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던 人身供犧와 殉葬의 개념을 검토해 보고, 순장이 사회적 규범으로서 제도화되었던 고대사회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순장은 ‘어떤 죽음을 뒤따라 다른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강제로 죽여서 주된 시체와 함께 묻는 장례 습속’이라 정의되고 있으나,국내 학계에서는 墓祭와 관련된 인신공희 또는 犧牲과 큰 구분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순장은 來世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사람의 희생’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을 경우, 차별적인 신분제도에서 主被葬者의 소유 및 사역의 대상으로 봉사의 책임이 있던 종속관계자를 동시에 매장했던 葬制이다. 따라서 순장의 대상은 사람이던동물이던 사후에도 주피장자를 위해 봉사의 역할을 충실히 담당해야 하는 이데올로기적 의무가 있기 때문에, 신체의훼손 등이 수반되는 매장행위는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사람을 순장할 경우 내세에서 주피장자에 대한 봉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近侍者 중심의 경력집단에서 대상을 선정했을 가능성도 크다. 순장은 中國과 고대 이집트 등 약5,000년 전부터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주피장자에 대한 ‘자발적 또는 강제적 죽음’과 ‘동시매장’의 특성으로 인해 국내 학계에서는 ‘지배-피지배관계를 넘어 초월적 절대권력자의 존재를 뒷받침하며, 절대권력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정당화되고 있었던 당시의 사회상을 극명하게 보여 주는 자료’로 평가해왔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戰國時代 중기 이후 순장이 급격히 소멸하는데, 특히 周代 諸侯國의 하나였던 秦의 秦獻公은 기원전 384년에 법률로 순장제도를폐지하였다. 그리고 기원전 97년 로마 元老院 역시 인신공희를 법률로 금지한다. 한반도의 경우 신라나 가야보다 국가체제가 일찍 정비되었던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순장에 대한 구체적인 고고학・문헌자료는 확인되지 않는다. 특히 순장제도를 시행하였던 신라에서도 502년 순장을 법률로 금지시켰다는 것은 제도화된 ‘사람의 희생’이 반드시 절대권력과관계된 것이라 단정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결국 율령・조세・윤리・신분제도・종교 등 보다 체계화된정치・경제・사회・사상적 도구들로 고대사회의 정치권력이 확대・재생산되면서, ‘사람의 희생’을 바라보는 사회구성원의 태도와 사상이 변화됨에 따라 그 사회적 합의가 무너지면서 순장은 사라지게 된다.

      • KCI등재

        순장바둑의 쇠퇴와 한국기원의 설립 -일본적 규칙과 제도의 보편화에 관한 일 고찰

        남치형 ( Chihyung Nam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한국에서는 짧게 잡아도 1300년 이상 바둑이 두어졌다. ‘순장바둑’이라 불리는 한국의 전통바둑은 대부분의 현대 한국인들이 ‘바둑’이라고 인식하는 ‘일본식 바둑’과는 규칙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보인다. 일본식 바둑은 19세기말 무렵부터 조금씩 조선에 알려지기 시작하여 식민지기가 되면 전통의 순장바둑과 경합을 벌인다. 이미 16세기 말부터 전문화가 이루어진 일본 바둑계는 전문기사를 교육하고 선발하는 제도, 기업이나 신문사의 후원을 얻어 개최하는 기전, 그리고 취미로서의 바둑을 위해 기꺼이 소비를 할 수 있는 대중 등 선진적인 조건들을 갖추고 있었다. 반면, 오랜 동안 양반들의 소일거리로 머물러 있던 순장바둑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전문화되기 시작한다. 이름 있는 기사들의 대국보(對局譜)가 신문에 연재되고, 바둑만을 소재로 한 잡지나 책들이 출판되었으며, 입장료를 받는 기원이 생겨났다. 그러나 이처럼 조금씩 외연을 넓혀나가던 순장바둑은 1937년, 당시 가장인기가 높았던 기사들에 의해 그 폐지가 선언되면서 신문지면이나 바둑대회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다. 하지만 해방 후 한국전쟁 직전까지도 민간에서는 일본바둑보다 순장바둑이 더 많이 두어졌으며, 순장바둑을 두는 이들의 집합소였던 경성기원은 조남철이 세운 한성기원이나 조선기원보다 훨씬 인기가 높았다. 본 논문은 이처럼 식민지기를 거쳐 해방 후까지도 확실한 존재감을 가졌던 순장바둑이 한국기원이 설립되는 것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완전히 쇠퇴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추론해 본다. 바꾸어 말하면, 일본식 바둑규칙과 제도들이어떻게 식민지로부터 해방 된 이후의 한국 땅에서 전통의 순장바둑을 쇠퇴시키고보편성을 얻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식민지배가 바둑과 같은 문화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특정 규칙과 제도가 다른 경합하는 규칙과 제도를 물리치고 보편화되는 과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다양한 해석 중 하나를 제시할 것이다. Baduk has been played for at least 1300 years in Korean Peninsula. The traditional baduk of Korea, called ‘Sunjang’ is, however, quite different in playing rules from what most of the contemporary Korean people think ‘baduk’ which is actually Japanese. The Japanese style of baduk got known to Korean people little by littl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began to compete with Sunjang as Japan colonized Korea. Baduk in Japan became professionalized as early as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re has been a system to educate and select professional players for centuries, newspapers and corporations started holding professional tournaments right after the Meiji Restoration, and people who loved baduk were willing to pay for various baduk related services. On the contrary, Sunjang remained as a pastime for the yangban for long time. It wa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at newspapers published baduk game records of famous players, books and magazines only on baduk started was printed, and public baduk clubs where people payed the entry fee to play games and take lesson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However, as the most famous players of colonized Korea announced the disuse of it in 1937, Sunjang disappeared from newspapers and tournaments. Nevertheless, even until the eve of Korean War, it was Sunjang that was far more played among the people. This paper considers the process that made Sunjang disappear after the liberation and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Hankuk Kiwon and the degeneration of Sunjang. In other words, it examines how the Japanese rules and institution could weed out Sunjang and get the universality in liberated Korea. This would show one of the various ways how the colonizing culture wins the power over the tradition of the colonized and also how a certain rules and institution acquire the universality among other competing ones.

      • KCI등재

        삼국시대 순장묘 내 뼈대보존의 차별적 양상과 그 의미

        서민우,김대욱,우은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4

        고고유적에서 나온 사람뼈의 보존상태는 생전 개인의 성, 연령, 질병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 매장지의 기후, 토양의 산성도와 같은 자연환경적 요인, 분묘의 깊이와 종류, 매장 위치, 그리고 장례 풍습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집단 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사람뼈의 보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요인들과 보존상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과거 집단의 생활상을 복원하고자 하는 생물인류학 및 고고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삼국시대 순장묘에서 출토된 사람뼈 자료를 토대로 성별, 연령, 피장자의 매장 맥락에 따른 뼈 보존상태의 차별적 양상을 확인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재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출토 주피장자 사람뼈 13개체와 순장자 사람뼈 42개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자료로는 동일 묘역 내에서 주피장자와 순장자 사람뼈가 동시에 확인되는 분묘에서 나온 개체들 만을 이용하였다. 사람뼈의 보존상태 점수는 사람의 뼈대에 있는 80개의 계측치 및 해부학적 표지점에 점수를 부여하여 0에서 1사이의 보존상태 점수를 산출하는 Stojanowski 등(200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임당유적 전체에 대한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0.169점으로 확인되었다. 임당집단 남성의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0.219점, 여성은 0.254점, 추정불가 집단은 0.122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아이 집단은 0.147점, 청소년 집단은 0.334점, 어른 집단은 0.152점으로 확인되었다. 임당유적 전체에서 피장자의 매장 맥락에 따른 보존상태 점수는 주피장자 집단은 0.160점, 순장자 집단은 0.17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영동 고분군 순장자 집단의 평균 뼈 보존상태 점수는 0.178, 주피장자 집단은 0.076으로 약 0.1점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수준이었다(p<0.05).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 주피장자의 죽음부터 최종 매장까지의 기간 동안 주피장자의 시체를 특정 장소에 안치 혹은 임시 매장한 풍습인 빈장(殯葬)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연 환경에 일정기간 노출된 주피장자의 시체는 최종 매장의 시점에서 상당부분 부패된 상태인 반면, 순장자들의 경우 주피장자와 함께 최종 매장될 시점에 희생되었기 때문에 순장자들의 뼈 보존상태가 더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임당유적의 사람뼈를 통해 추론한 빈장의 습속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고학적으로 순장이 확인된 신라와 가야 지역 내의 대형 고분에서 출토된 사람뼈의 매장 맥락 간 보존상태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Skeletal preservation from archaeological sites can differ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biological, natural-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features. For this reason,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can offer a key to reconstruct the state of ancient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patterns by sex, age, and the context of buried individuals from the sacrificial burials of Three Kingdoms period (5~6th Century AD). Especiall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owners and sacrificial victims would be differently treated based on ancient burial customs by the individual’s social clas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reservation score for the 55 individuals(13 owners and 42 sacrificial victims) from Imdang site, Gyeongsan. The preservation score was calculated for the 80 skeletal landmarks, consisting of 35 paired and 10 unpaired cranial and postcranial features, following the method of Stojanowski et al. (2002).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score by sex and age was compared by using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score by the individual’s social class was compared by using nonparametric MannꠓWhitney test. The result show that the average preservation score for the entire Imdang population was 0.169. Skeletal preservation score for female (0.254) was the highest compared to male (0.219) and undeterminable (0.122). By age, adolescent (0.334) were the most well preserved group among child (0.147) and adult (0.152). By the context of buried individuals, preservation score for the sacrificial victims was 0.172, which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wners (0.160). Especially in Joyeong ancient burials,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owners (0.076) and the sacrificial victims (0.17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between two groups may be related to ancient Korean burial customs of placing the owners in a specific place during funeral prepara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owners are even more poorly preserved because of their longer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than the sacrificial victims, who would have been sacrificed just before the burial was covered.

      • KCI등재

        경기순환 국면별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설명력 비교

        이재진,박창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4 회계와 정책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변동에 따른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설명력을 비교하고, 1998년의 자본시장위기 전후의 주가설명력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1980년대 이후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관련성의 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4단계로 구분한 경기변동 국면별로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1998년의 자본시장 위기 전·후 사이에 회계수치의 주가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넷째, 1998년의 자본시장 위기 전·후의 경기변동 국면별로 회계수치의 주가설명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설명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둘째, 순장부금액과 이익은 전체기간 및 경기변동국면별로 주가설명력에 차이가 있었으며 순장부금액모형의 설명력이 더 컸다. 셋째, 자본시장위기 전후에는 순장부금액과 이익의 주가설명력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순장부금액과 이익 각각의 주가설명력은 경기변동국면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explanatory powers of net book values and earnings on stock prices across the business cycles on the period of 1981 through 2009, and between cycles before and after the 1998 capital market cri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powers of net book values and earnings on stock prices increased as time pass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lanatory powers of net book values and earnings on stock prices in all periods and business cycle stages, and those of net book value were greater then earnings. Third,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the explanatory powers of net book values and earnings on stock pri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apital market crisi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lanatory powers of net book value and earnings across the business cycles.

      • 新羅 智證王의 卽位過程에 대한 硏究

        박성천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3 慶州文化硏究 Vol.6 No.-

        지증왕은 炤知王을 이어 집권한 이후에도 여전히 葛之王을 칭하고 있어 그의 執權에는 정치적인 사정이 있었다. 이는 소지왕 말년의 정국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소지왕의 捺已郡 행차 시 納女問題가 개입됨으로서 국왕의 지위와 관련된 문제와 이후 소지왕이 왕위를 이를 아들을 남겨 두지 못하고 죽은 정황과 관련된다. 이에 왕위계승문제를 두고서 정치세력들 사이에 더 한층 이해를 달리한 것으로 보인다. 왕위계승과 관련하여 당시의 중요한 정치세력으로는 내물직계의 王室勢力과 미사흔계를 중심으로 하는 炤知王母勢力 그리고 내숙이벌찬을 중심으로 하는 炤知王妃勢力들이 있었다. 이들의 정치적 向背는 지증왕의 집권과 무관하지 않았다. 지증왕의 執權基盤으로는 먼저 그의 家系가 바탕이 되었다. 지증왕의 가계는 葛文王직을 할아버지와 아버지 대에 걸쳐 역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증왕가계는 마립간기에 유력한 정치세력이 될 수 있었다. 한편 지증왕은 지지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發使三道'하여 牟梁部 朴氏族과의 혼인을 맺어 연대하였고 이 과정에서 다른 6部에 거주하는 세력들과도 정치적인 연대를 모색하여 그 지지세력을 강화했다. 또한 소지왕 사후에 소지왕비세력의 지지와 내물왕계에 속하는 異斯夫를 중심으로 하는 그의 가계의 지지를 받아 정치적인 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지증왕은 소지왕대의 神宮설치에 관여할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갈문왕에 임명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소지왕의 죽음에 따른 최대의 수혜자로서 집권 할 수 있었다. 지증왕은 집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개혁조치의 하나로서 殉葬制를 폐지하였다. 순장 폐지는 非禮, 舊俗, 不良이라는 사회 개혁적인 명분을 내세워 취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가장 실질적인 순장제 폐지의 정치적인 이유는 내물직계의 정치적인 위상에 타격을 주기 위한 조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의 성공으로 지증왕은 집권 4년에 全 新羅를 아우를 수 있는 명실상부한 신라국왕의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고 보여 진다. 결국 순장제 페지는 葛文王을 칭하고 있었던 지증왕의 입장에서 執權을 보다 공고히 하고 國王으로 卽位하는데 하나의 정치적인 조치가 되었다. Even after succeeding to Kong So Ji(炤知王), King Chi Jung was represented by the title of Gal Mun Wang(葛文王) that was called until given an honorable title of King of Silla. So we can suppose that there were political situation and implications in his enthronement. It was near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Nal Yi country(捺已郡). Because the problem of this was inserted into the visiting to Nal Yi country, the conflict of power was beginning in the influential groups with the different political interest about the status of King. And in this situation, after two months King So Ji had dead without formal successor. With this situation, we can suppose that there are three important political groups. They are the direct line of King Nae Mul(奈勿王), the queen dowager So Ji(炤知王母勢力) and the queen group including the line of Gi BO(炤知王妃勢力). And then, Each groups had no alternative to assert a legitimacy because King So Ji had dead without successor. And so, we can ,easily guess that the enthronement of King Chi Jung was related deeply with the political attitude of each groups. The power of King Chi Jung was first based on his paternal line. We can find two Gal Mun Wang in his paternal line. So, the group of King Chi Jung had become an influential power during Ma Lip Gan period. The other side, In oder to take hegemony-, King Chi Jung had dispatched his envoy into three district and connect to the Park clan in Mo Lyang Pu(牟梁部) with marrige. In this process fing Chi Jung had tried to get political union with Yuk Pu(六部) in another area, and he intensified his political background. And the group of I Sa Pu(異斯夫) closly taking blood ties the line of King Nae Mul, and the group of queen So Ji that had the right of successor to the throne after death of king So Ji. With supporting group and hs active move, King Chi Jung was able to enthrone with he bigger benefitor after death of King So Ji. And on this basis, King Chi Jung was designated to Gal Mun Wang in particip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God palace(神宮) during King So Ji. He also could taken the support from groups that was in influential position during Ma Lip Gan period. But his enthronement was nor perfect. So, King Chi Jung had taken one measure in oder to decrease the influence of anti group. That is the removal of human Sacrifice(旬葬) in the funeral of lord. This removal of human sacrifice was taken with title of social reform that human sacrifice was not fit to ritual, old fashioned and do harm to human society. As King Chi Jung was not direct line of royal family and not superior in the right of successor, He was doing well with the slogan of social reform. And his real political interest in the removal was oriented toward the group of Nae Mul Ma Lip Gan for commenting the king of Nae Mul Ma Lip Gan. He could denied the legitimacy of the Nae Mul line. It was his ultimate end for King Chi Jung to remove the human sacrifice. And application of removal had included also the central aristocracy and the leader of local area. And with the success, King Chi Jung was enthroned to the true king to control the whole Silla kingdom after 4 pears of enthron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