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여학생의 무용학습경험이 친구 간 의사소통과 수줍음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은영 ( Eun Young Chen ),이강용 ( Kang Young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에서는 여학생의 무용학습경험이 친구 간 의사소통과 수줍음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10개교를 임의 선정한 후, 각 학교에 무용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 365명을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 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의 무용학습경험은 친구 간 의사소통, 수줍음, 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학습 형태는 기타 무용이 한국무용보다 발표수줍음, 낯가림수줍음, 대인수 줍음, 경쟁 행동이 높고, 반면 사교 행동은 낮다. 무용학습 기간은 2년 이상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친구 간 의사소통과 사회적 행동 중 사교, 경쟁이 높고, 반면 발표수줍음, 대인수줍음은 낮다. 둘째, 무용학습에 참여한 여학생의 친구 간 의 사소통은 수줍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친구 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발표수줍음, 낯가림수줍음, 그리고 대인수줍음 은 낮다. 셋째, 무용학습에 참여한 여학생의 친구 간 의사소통은 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친구 간 의사소 통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은 낮으며, 경쟁 행동은 높다. 넷째, 무용학습에 참여한 여학생의 수줍음은 사회적 행동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친다. 발표수줍음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은 높고, 사교 행동은 낮으며, 낯가림수줍음이 높을수록 경쟁 행동 은 낮다. 그리고 대인수줍음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은 낮다. 다섯째, 무용학습에 참여한 여학생의 친구 간 의사소통과 수 줍음 및 사회적 행동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즉 여학생의 친구 간 의사소통은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치며, 수줍음을 통해 사회적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nce learning experience on communication in friendship on shyness and social behaviors of girl``s students.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from 327 girl``s Students in sa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in friendship and shyness and 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tent of dance of girl``s students in dance. Second, communication in friendship significantly affects shyness of girl``s Students in dance. Factors under communication in friendship such as all sub-factors of shyness. Third, communication in friendship significantly affects social behaviors of girl``s students in dance. communication in friendship ability influences on delinquency and competitive behaviors of girl``s Students in dance. Fourth, shyness significantly affects social behaviors of girl``s Students in sance. Shyness about announced and interpersonal relation and being displeased on delinquency and competitive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of girl``s Students in dance. Fifth,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 friendship, Shyness, and social behaviors of girl``s Students in dance. Both communication in Friendship and Shyness directly affected social behaviors, and exercise alone indirectly affected social behaviors by affecting Shyness

      • KCI등재

        차별적 민감성 모델에 기초한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조절효과 검증

        한정규(韓正奎),이동형(李東炯),김진숙(金鎭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4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안녕감(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차별적 민감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 아동의 안녕감과 수줍음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줍음의 차별적 민감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측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 양상을 Johnson-Neyman 유의영역(RoS) 검증 방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수줍음은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수줍음은 어머니의 의사소통이 안녕감과 안녕감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사회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영역 검증 결과,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수줍음의 상호작용양상은 차별적 민감성 모델의 예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줍음이 높은 아동은 어머니의 의사소통을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수줍음이 낮은 아동에 비해 안녕감을 더 낮게 지각하였지만, 어머니의 의사소통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면 오히려 수줍음이 낮은 아동에 비해 더 높은 안녕감을 지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흔히 부정적 기질로 간주되는 아동의 수줍음이 긍정적 양육환경(i.e., 어머니의 긍정적 의사소통)에서는 심리적 취약성이 아니라 도리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의 교육적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shy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ommunication and well-being (i.e.,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734 5th or 6th grade students, including 385 boys and 348 girl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Gyeong-gy Province in South Korea. They completed the self-report measures of well-being (i.e.,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ternal communication, and shyness. Hypothesized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were tested by way of moderated regression models and the Johnson-Neyman’s region of significance(RoS) method. Shy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ommunication and well-being, and the patterns of interaction examined by the RoS method supported the predictions from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 shyness was more reactive, or susceptible, to maternal communication,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It was concluded that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shyn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our findings.

      • KCI등재

        한국판 수줍음 척도(RCBS) 타당화 연구

        이서희,안정광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heek-Buss Shyness scale, which measures the shyness of individuals. A total of 320 online panels were recruited.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on half of the randomly se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on the remaining half. According to the EFA results, the K-RCBS had a 7-item two-factor (circumscribed shyness, general shyness) structure. As a result of CFA, the two-factor model showed a suitable model fit. The K-RCBS had good reliability validity and adequate convergent/concurrent validit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K-RCBS could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shyness and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on shynes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inverse scoring item of the K-RCBS and identif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hyness.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수줍음 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만 18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32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내적 일치도, 요인 구조, 수렴 및 동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한국판 수줍음 척도는 총 7문항의 2요인(상황적 수줍음, 보편적 수줍음) 구조로 분류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해당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의 내적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관련 변인인 사회불안, 수줍음, 수치심, 죄책감을 측정하는 척도들과의 동시/수렴 타당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표적인 문화 심리적 변인인 자기관 척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대상성 자기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 주체성 자기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자율성 자기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결과가 도출되어 선행연구를 지지함으로써 전반적인 타당도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줍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수줍음의 구성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척도의 역채점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줍음의 문화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자신감 형성 프로그램이 아동의 수줍음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숙경 원광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生活硏究 Vol.- No.25

        본 연구는 자신감 형성을 위한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줍음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줍음 수준을 파악한 후, 수줍음 수준이 높은 학생들을 1차 대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학생들 중, 담임교사의 관찰, 본인의 희망 여부를 조사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설계는 사전-사후-추후 통제집단 설계로서, 실험처치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종속변인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에 6주에 걸쳐 6회기의 자신감형성을 위한 집단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와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을 측정하였다. 수줍음 수준의 사전, 사후, 추후 검사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소감문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감 형성을 위한 집단 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수줍음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형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수줍음 수준이 감소하였고, 추후검사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도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중·일 대학생들 간의 정서 차이에 관한 연구

        조수진(Cho, Su-Jin),이재은(Lee, Ja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 인접한 국가로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하고 한다고 하더라도 한국 · 중국 ·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서는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간의 기본 정서 중에서 문화적으로 형성된 ‘수줍음’과 ‘친밀감’이 한국 · 중국 · 일본인들 간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한국 · 중국 · 일본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중국이 수줍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감의 표현은 낮게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수줍음이 중국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지만 친밀감은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수줍음은 가장 낮지만 친밀감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대상에 따른 수줍음과 친밀감은 낯선 사람과 이성, 연장자, 여러 사람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한류의 영향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국가 간 소비자들의 정서적 차이에 대한 연구로 한국어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문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emotions would differ much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while staying next to each other in East Asia. Also it is considered that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which are formed culturally as the basic emotions of human,may be shared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 group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indicat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shyness the least and expressions of sense of closeness the most. As for Japanese students, they expressed less shyness than Chinese, but higher sense of closeness. Among Korean students, shyness was the lowest, but sense of closeness was found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s of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differ depending onwhether they arewith stranger, opposite sex, older person or amongmultiple people. Recently as hanryu Korean wave grew prevalent, more and more foreigners want to learn Korean, and as a result, spreading Korean culture through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as become very importa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a study on the emotional differences of consumers among nations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research of culture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ho inten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 인접한 국가로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하고 한다고 하더라도 한국 · 중국 ·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서는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간의 기본 정서 중에서 문화적으로 형성된 ‘수줍음’과 ‘친밀감’이 한국 · 중국 · 일본인들 간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한국 · 중국 · 일본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중국이 수줍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감의 표현은 낮게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수줍음이 중국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지만 친밀감은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수줍음은 가장 낮지만 친밀감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대상에 따른 수줍음과 친밀감은 낯선 사람과 이성, 연장자, 여러 사람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한류의 영향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국가 간 소비자들의 정서적 차이에 대한 연구로 한국어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문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emotions would differ much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while staying next to each other in East Asia. Also it is considered that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which are formed culturally as the basic emotions of human,may be shared among Koreans, Chinese and Japanese". Results of comparing the average group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indicat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shyness the least and expressions of sense of closeness the most. As for Japanese students, they expressed less shyness than Chinese, but higher sense of closeness. Among Korean students, shyness was the lowest, but sense of closeness was found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s of shyness and sense of closeness differ depending onwhether they arewith stranger, opposite sex, older person or amongmultiple people. Recently as hanryu Korean wave grew prevalent, more and more foreigners want to learn Korean, and as a result, spreading Korean culture through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as become very importa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a study on the emotional differences of consumers among nations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research of culture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ho inten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윤은진,박인전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3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를 아동의 성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밝혀봄으로써 지나치게 수줍음이 많은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발달 및 이들의 사회적 적응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아동들은 대체로 수줍음을 크게는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적응이 하위영역 중 가장 점수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가족 적응이고 가장 낮은 영역은 대인 적응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수줍음을 많이 느끼는 아동일수록 가족들과의 적응, 대인들과의 적응, 자기 자신에 대한 적용, 정서적 적응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아동이 수줍음을 많이 느낄수록 사회적인 적응이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대인적응과 정서 적응에서 상관이 높게 나타나 아동이 수줍음을 느낄수록 대인 적응이나 정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아에 비해 남아들이 수줍음을 많이 탈수록 자아 적음과 정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가정이나 학교, 사회에서 정상적이며, 사회의 유능한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며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어나갈 수 있도록 수줍음 극복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아동의 정서상태에 관한 보다 발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수줍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재희,최창조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줍음을 경험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줍음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하여 연구함으로써 연구 대상아동의 수줍음 경험의 구체적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아동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중, 수줍음을 자주 느끼는 것으로 관찰되고 스스로도 수줍음을 느낀다고 보고한 아동 10명을 심층면담 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수줍음 경험의 핵심적 의미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세상과 거리두기’로 드러났다. 이러한 핵심범주를 기반으로 수줍음을 경험하는 아동들은 다양한 부정적인 인지패턴을 보이고 있었으며, 신체-정서적인 측면에서는 만성적인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수줍음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회피 지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대인관계 면에서는 상대방에게 무기력하게 지배당하거나, 타인을 일방적으로 도와주고, 갈등을 피하기 위해 비위를 맞추어주는 식의 의존적인 관계패턴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는 대상과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원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줍음을 경험하는 아동들은 인지, 정서, 행동, 대인관계의 측면의 전반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두려움은 아동의 부정적 사고의 핵심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부정적 사고는 만성적 불안과 의존적 관계형성 그리고 회피지향적인 태도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in-depth interview of elementary schoolers in the upper grades to check their shy experiences. It's basically meant to examin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ir shy experiences in a bid to provide them with quality counse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 selected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who were found to be often shy and found themselves to be shy as well. After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hy children feared that others might look at them in a negative way, and such a fear affected all their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ear was the core of their negative thinking, and the negative thinking interacted with chronic anxiety, dependent relationship and avoidance attitude. In a word, their shy experiences could be defined as ‘keeping distance from the world due to fear for possible negative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아동의 수줍음 감소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정은해,김춘경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험하여 이 프로그램이 수줍음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아동 360명을 수줍음(상/중/하), 읽기태도(상/하), 읽기능력(상/중/하)에 기초하여 층화표집하였다. 층화표집을 한 아동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18명씩 무선배정하여, 배정된 18명의 실험집단아동에게 매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본 연구자가 개발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사전검사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배치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수줍음 수준을 감소시키고, 수줍음으로 인해 겪던 문제들을 해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수줍음 타는 아동에게 수줍음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취득하게 하고, 수줍음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행동을 습득케 하여 지속적으로 수줍음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hynes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reducing their level of shyness. The 360 fifth grade students were stratified based on level of shyness,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chievement. There were 18 fifth grade students in each group. Students in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at twice a week in six week period. This program was consisted of ten session(fifty minutes per hour) that include understanding shyness and problem-solving in shyness situation.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shyness scale(Cheek & Melchior, 1990) and reading attitude scale(McKenns & Kear, 1990). The data were analysed by ANCOVA, cronbach's α,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repeated measure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 :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reduced participants's level of shyness.

      • KCI등재

        유아의 수줍음,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간의 관계: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명재 ( Myung Jae Yang ),방희정 ( Hee Jeong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수줍음 기질,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유아의 인지능력을 통제한 뒤 유아의 수줍음과 위축 및 불안·우울의 관계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의하게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2∼3세유아 104명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발달평가(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를 통해 인지능력을 측정하였고, 유아의 수줍음 기질,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로 구성된 어머니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아의 수줍음은 위축 및 불안·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인지능력과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변인 중, 적극적참여는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과 부적으로, 방임적허용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 효과 분석 결과, 양육행동 하위변인 중 적극적 참여는 위축과 우울·불안에 대하여 수줍음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유아의 인지능력, 수줍음, 어머니의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의 주효과 뿐 아니라, 수줍음과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대해 도표와 단순주효과 분석을 통해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어머니의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이 낮을 경우에, 유아의 수줍음이 위축과 불안·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how a toddler`s shyness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and the way he/she was nurtured by their mothers affect the toddler`s level of withdrawal as well as anxie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subject`s cognitive ability was controlled first.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 of 104 children, at the age of 2∼3 residing either Seoul or Kyungki province.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shyness and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was found,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witnessed between the toddler`s cognitive ability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 nega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active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d anxiety/depression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witnessed between non-interventional allowance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cluding the toddler`s shynes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s interactional variables was carried out after controll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 Active involvement, a component of parenting behaviors proved to have a similar interactional effect as shyness on the level of with 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not only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 shyness and active involvement of the mother shared similar consequences of a parenting behavior but also did they have a similar effect. The moderation effect of a parenting behavior was further confirmed by follow-up analysis of graphs and simple main effect. As a result from this analysis, when the level of the mother`s active involvement was low, shyness of the child proved to be a meaningful indicator of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 KCI등재

        청소년의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효과검증

        양효선,김영혜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 수줍음을 극복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써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수줍은 청소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3개 중학교 2, 3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줍음, 자아탄력성,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줍음은 우울과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수줍음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우울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수줍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고, 매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즉 자아탄력성은 수줍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덧붙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and scrutinizes the role of ego resiliency as a protective factor among shy adolescents. Four hundred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 Gyeonggi-do, South Korea,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of shynes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hile the relations of shyness-and-ego resiliency and ego resiliency-and-depression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Second,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analyzed to see what role ego resiliency plays while shyness is influencing depression. The analysis shows that ego resiliency seems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depression, but it did not seem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ego resiliency was found to be a protective factor that buffers the effect of shyness on depression.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tated in the concluding para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