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와 해석, 그리고 교육

        정은해 한국하이데거학회 200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0

        이 논문에서는 우선 ‘문화’의 의미가 어원적ㆍ역사적으로 탐구된다. 이어서 문화와 교육의 개념적 연관과 교육에서의 해석의 중요성이 설명된다. 이를 통해 필자는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원래 ‘문화’가 의미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유의미화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미해진 것이다. 유의미화의 행동과 관련해서 볼 때, 인간 본성을 유의미하게 계발하는 교육은 문화에 유비적 인 개념이다. 유의미해진 것, 곧 문화재와 관련해서 볼 때, 교육은 문화의 해석과 동일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교육자는 학생을 위한 문화 해석자이다. 교육의 사안이 문화재의 해석이라고 할지라도, 교육은 그러나 교사에 의한 문화해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교육은 학생에 의한 문화이해에서 비로소 끝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이해는 실존적으로 교사에 의해 해석된 문화의미를 우리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것인데, 이런 적용은 오직 학생 자신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한 적용과 더불어 문화의 의미가 실존적으로 완성되고 구체화된다. 이점을 교육이 문화재의 해석으로서 주의해야 할 점이다. In dieser Arbeit wird zuerst die Bedeutung der 'Kultur' etimologisch und historisch gesucht. Demnaehst werden der begriffliche Bezug der Kultur auf die Erzieung und die Wichtigkeit der Auslegung bei der Erziehung aufgeklaert. Damit versuche ich folgendes zu zeigen: Eigentlich bedeutet 'Kultur' einerseits das etwas-bedeutsam-machen, andererseits etwas bedeutsames. Hinsichtlich des Tuns, das etwas bedeutsam macht, ist die Erziehung, welche die Menschennatur bedeutsam kultiviert, ein der Kultur analogischer Begriff, welche die Kultivierung der aeusserlichen Natur bedeutet. In Bezug auf das Kulturgut, d.h. etwas bedeutsames, ist die Erziehung identisch mit dessen Auslegung. In diesem Fall wird der Erzieher gerade ein Kulturinterpret fuer die Schueler. Wenngleich die Sache der Erziehung eine Auslegung des Kulturgutes ist, endet aber die Erziehung nicht sofort mit der Kulturauslegung durch die Lehrer. Denn die Erzieung endet erst mit dem Kulturverstehen durch die Schueler. Dieses Kulturverstehen heisst existenzial diejenige Anwendung der durch die Lehrer ausgelegten Kulturbedeutung auf unser eigenes Leben, die allein durch die Schueler selbst vollzogen wird. Mit der solchen Anwendung wird die Bedeutung der Kultur existenzial vollendet und verkoerpert, was die Erziehung als Auslegung des Kulturgutes in acht nehmen muss.

      • KCI등재

        플라톤과 하이데거에서의 진ㆍ선ㆍ미의 관계

        정은해 한국현상학회 200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진리와 미의 관계가 탐구된다. 우리가 플라톤에서의 선과 미의 개념을 상기한다면, 이미 선과 미가 동일한 것인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개념들을 더욱 전개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플라톤의 선의 이데아는 하이데거의 존재의 진리에 상응하는데, 하이데거에게서는 존재의 진리가 근거로 이해된다. 하이데거는 또한 미를 존재의 진리의 현상 방식으로 해설한다. 이로써 진리와 미는 하이데거에게서 비록 동등한 것은 아니나, 동-근원적인 것이라는 의미에서 동일한 것이다. 예술의 사유라는 틀속에서 플라톤과 하이데거 사이에는 일정한 역사적 연속성이 놓여 있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수줍음 감소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정은해,김춘경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험하여 이 프로그램이 수줍음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아동 360명을 수줍음(상/중/하), 읽기태도(상/하), 읽기능력(상/중/하)에 기초하여 층화표집하였다. 층화표집을 한 아동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18명씩 무선배정하여, 배정된 18명의 실험집단아동에게 매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본 연구자가 개발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사전검사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배치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수줍음 수준을 감소시키고, 수줍음으로 인해 겪던 문제들을 해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수줍음 타는 아동에게 수줍음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취득하게 하고, 수줍음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행동을 습득케 하여 지속적으로 수줍음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hynes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reducing their level of shyness. The 360 fifth grade students were stratified based on level of shyness,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chievement. There were 18 fifth grade students in each group. Students in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at twice a week in six week period. This program was consisted of ten session(fifty minutes per hour) that include understanding shyness and problem-solving in shyness situation.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shyness scale(Cheek & Melchior, 1990) and reading attitude scale(McKenns & Kear, 1990). The data were analysed by ANCOVA, cronbach's α,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repeated measure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 : The Shyness Reduction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reduced participants's level of shyness.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의 두 주요 개념인 진여와 윤회의 시간론적 해석

        정은해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6

        이 글은 하이데거의 시간론에 의거해 불교의 두 주요개념인 진여와 윤회를 시간론적으로 해석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시간-지평은 이중적 부재의 현존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인데, 이 시간-지평이 존재자를 그 현존(현존성)에 있어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같은 시간-지평은 그런데유식불교가 말하는 원성실성, 곧 진여(진공묘유)의 이해도 역시 가능하게 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중적 부재의 현존이라는 시간-지평에의거해 사물에서 무(無)와 유(有)가 동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지평을 이루는 지평적 도식들의 상호 관계와 관련해서보면, 하이데거는 역사의 가능성을 위해 (과거의 지평과 미래의 지평인) 이중적 부재에 대한 (현재의 지평인) 현존의 우월성을 인정하면서 부재의 현존가능성을 해명하는 반면에, 불교는 열반의 가능성을 위해 현존에 맞선 이중적 부재의 우월성을 인정하면서 현존의 부재가능성을 관조하려는 것 같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일상적 자기이해의 시간성인 ‘망각하고-현재화하며-예기함’은 현존재의 일상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그것은 불교의 윤회도 역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때의 윤회는 업보에 따른 육도윤회를의미하지 않고, ‘생각이 꼬리를 물고, 생각이 왔다갔다 하며, 갖가지 일에 집착하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윤회에 있어서 사람들은 의타기 연관 전체를 보유하지 않고 망각하며, 다만 자기에게 유익한사물들이나 사건들만을 현재화하고 또 예기한다. 현존재의 일상적 자기이해의 시간성은 하이데거가 말하는 일상성과 현전성은 물론 불교가 말하는 윤회와 변계소집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요약하면, 이중적 부재의 현존인 시간-지평에 의거해 해석되었을 때, 불교의 진여나 공은 모두 진공묘유를 가리킨다. 이 경우 불교도에게 있어서는 부재가 현존보다 우위를 갖는다. 그리고 불교의 윤회는 일상적 자기이해의 양상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것은 변계소집성을 가능하게 하는 ‘망각하고-현재화하며-예기하는’ 시간성에 근거를 둔다. This essay interprets the central concepts of Buddhism, Tathata (眞如, suchness) and Samsara (輪廻, continuous flow) on the basis of Heidegger’s time-theory. Heidegger characterizes time-horizon as a presence of double absence and regards it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beings in their presence. This time-horizon is to be regarded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Tathata as ‘the marvelous being of true emptiness’ (眞空妙有), for time-horizon as a presence of double absence can be that upon which both the being of things and their nothingness are to be simultaneously understood. However, as for the correlation among the horizontal schemes which constitute time-horizon, Heidegger acknowledges, for the possibility of history, the superiority of presence (the horizontal scheme of the present) over double absence (the horizontal schem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He also explicates absence’s possibility of being presence, while Buddhism seems to acknowledge, for the possibility of Nirvana (the absence of attachment), the superiority of double absence over presence and contemplates presence’s possibility of being absence. According to Heidegger, the temporality (Zeitlichkeit) of everyday self-understanding is characterized as ‘forgetting-making-present-expecting.’ This temporality is to be regarded as that which makes Samsara possible. In this case, Samsara is not the continuous flow of a human being through six worlds, but the continuous flow of one’s thinking from here to there. In the life of Samsara, human beings do not maintain the interdependent connection of things, that is, the Buddhist world; rather they forget it, make only profitable things and events present, and expect their possible future which might result from profitable things and events. The temporality of everyday self-understanding is that which makes possible not only ‘Alltäglichkeit’ (everydayness) and ‘Vorhandenhei’ (presence-at-hand), but also Samsara and ‘the imagined nature of things.’ (遍計所執性) In short, when Tathata or Sunyata is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ime-horizon, which is a presence of double absence, they all point to nothing but ‘the marvelous being of true emptiness’; in this case, double absence for Buddhists seems to have superiority over presence. And Samsara is to be explicated as the modality of the everyday self-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ch is based on the ‘forgetting-making-present-expecting’ temporality that makes ‘the imagined nature of thing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