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현대수사학(中國現代修辭學)의 수사이론(修辭理論)

        이승훈 한국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文學 Vol.39 No.-

        一般認爲, 修辭是有效地或有說服力地使用語言的一種技巧, ??語言的本質屬性훌無關系, 只是一種矯飾的語言, 甚至是不眞擊的或思想貪乏的語言。 在中國, 有關修辭的記載可以上溯到先奏的文獻, 從那時起, 無論是持積極的還是消極的態度, 對修辭的評評價級爭不斷。本文首先回顧中國現代修辭學上頻繁出現的論爭,以得出中國古典修辭學特征的線索。正確地評?以往的論爭是進一步了解修辭學學術界現狀的必要條件。爲此, 本文采用一種對比法來揭示修辭學獨有的特征, 就是說用我們較爲熟悉的語法或語義學的方法論來相對照,使修辭學的獨有特征更突出和深刻。 中國現代修辭學, 30年代以陳望道的《修辭學發凡》爲代表, 形成了第一次繁榮。不少語言學家認爲, 就《修辭學發凡》的硏究成果和由他形成的樞架而言, 現代修辭學到目前雖然有不同程度的發展和創新, 井不超出《修辭學發凡》的格局。而以王希杰先生爲代表的修辭學學者持着與此不同的看法, 他們認爲現代修辭學一定程度上有了重大的突破, 特別是80年代的中國修辭學是一個全新的階段, 雖然對陳望道的成果有所繼承, 却是與他全然不同的。無論如此, 要解決或理解現代修辭學當前的問題, 我們非回顧中國現代修辭學的簡要曆史不可。本文的主要探討對象如下; 1. 對陳望道先生提倡的積極修辭和消極修辭進行分析。筆者認爲, 這種二分法的想法里面幷存着傳統的“文以載道”和“修飾論”的兩種態度。但是以積極的修辭爲主調我們才能建立獨立修辭學的領域。因爲對消極修辭方面其他語言學在某種程度上已經觸模其多面的稜角。 2. 與語法修辭相比來?托出修辭學的獨有範圍。語法修辭本來出場的目的就是爲語言使用者提供一種標準, 使他們正確地運用和排除不適合語法標準的語言要素。當初作爲一種典範的語法修辭的領域中也存在一系列修辭方面的提示。但是,語法修辭中的修辭與我們提到的一般修辭之間存在一定程度上的差異。前者實際上是以修辭的內容來適應語法的要求, 是一種補助語法的手段。所以, 比較起來, 語法修辭中的修辭在修辭學上的影響還是低于在語法上的影響的。這種對比顯示出我們以語法或語義學槪括不了的修辭學獨有的特征。 3. 對同義手段的硏究成果進行探討。 以王希杰先生對同義手段的論述爲基礎, 進一步闡明?在修辭學上的價値和功能。修辭是對語言的同義手段進行選擇,以求達到最佳表達效果的一種技巧。同義手段是基于某種相似點存在的, 所以我們通過對同義手段的分析進一步了解到比喩在修辭學上發揮的功能。因爲修辭學的最核心問題卽同義手段可以適用于以相似點爲基本要素的比喩。 本文把-般語言現象分爲正言和喩言, 以這兩種語言觀爲分析的依據, 進行考察現代中國修辭學對比輸的各種硏究成果。 把喩言當作一種偏離的語言現象, 這反映出把比喩看做一種修飾技巧的語言態度。相反, 把喩言當作普遍和正常的語言現象, 這就反映出把比喩看做人類語言中無所不在的原理的態度。 4. 修辭學硏究的對象較爲側重于實際和具體的言語方面。 因爲?涉及到的對象大部分局限于結合現實語境的語言現象。因此,修辭學與風格論和得體論密切相關。而且從此我們可以看到目前寫作學繁榮的理由。修辭學對語境過子重視, 由此目前寫作學興起的原因可見一斑。 但是, 寫作學的成果給語言使用者提供某種典型的格式, 這會導致個人作文時柳制自己的想象力。 這就與修辭學本來强調個人發揮自己的言語能力相衝突。 從此, 我們可以看到修辭學隨社會的發展, 時而浮起, 時而沈下的現象。 本文選擇在現代中國修辭學中曆來出現的若干問題,以闡明對修辭學或修辭的認識。因篇福的限制, 不能達到深入的地步, 只作槪括闡述。希望能勾給讀者對現代中國修辭學學術界現狀的了解提供基本的知識。

      • KCI등재

        수사학과 변증법의 위상변화에 관한 연구

        손장권,안호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수사학과 변증법은 과학적인 탐구대상에 대한 오래된 논증이론이다. 수사학이 주제의 논증이론으로 제시될 때 변증법은 사실관찰의 방법론적 도구로 활용되었고, 변증론이 주제형성의 논증이론으로 정립될 때 수사학은 사실기술의 합리적 도구로 이용되었다. 이 글은 진리탐구의 주제 제시와 주제논증의 방법론에 관한 수사학과 변증법의 관계적인 위상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전수사학은 진리에 대한 사유체계의 추론으로 변증론의 논리를 수용하였다. 플라톤은 진리의 주제의식을 전제로 하는 수사학은 인정하였으나 선하지 않은 행위합리화를 논의하는 변증적인 수사학은 거부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제제기의 수사학과 논증의 방법으로서의 변증론을 동일시하여 변증론을 수사학의 상대적 대응물로 간주하였다. 한편 고전수사학의 한 부류인 소피스트 수사가들은 진리가치의 추구보다는 설득과 수사적 언술을 구사하는 현실의 상황적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수사학을 본래의 주제가치의 창조성보다는 행위의 당위적 합리화에 이용되는 문예적 장식물로 그 위상을 격하시켰다. 수사학의 위상은 19세기 이후 변증법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전기를 갖게 되었다. 그동안의 철학적 인식론에 풍미하던 형식논리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은 사유인식과 존재의 규명에 논리적 모순이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러나 칸트의 변증론은 형식논리상의 완전성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이 내포하는 모순점을 해명하지 못하였다. 헤겔은 개별자의 인식수준에서 정신 현상학의 변증법적 논증으로 칸트의 모순을 극복하였고, 마르크스는 헤겔의 사유인식에서 작용하는 운동역할을 개인수준에서 집단과 계급수준으로 차원을 확대 적용하여 사회구조의 계급변화를 설명하는 역사발전의 변증론을 제시하였다.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론적 논증은 20세기의 철학사상과 논증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그동안 망각되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수사학과 변증이론이 재조명되어, 오늘날의 신수사학이라는 새로운 논증이론으로 제시되어 있다. 신수사학의 변증논리는 주제가치의 실존성에 대한 논증을 경험적 실증주의 보다는 수사학적 상황에 따른 정신 현상의 인식작용으로 입증한다. 페렐만이 수용하는 변증법은 개인과 집단의 가치갈등과 행위모순을 극복하는 이념적 가치성향 때문에 과학적인 실증주의만큼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아직 수사학과 변증법의 관계위상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현대의 수사학 연구들은 수사학과 변증법을 상호보완적인 개념으로 주제의식의 문제 제기는 수사학 그리고 제기된 문제의 논증은 변증론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on the positional changes of rhetoric relating to dialectic, The relationship between dialectic and rhetoric was characterized differently by Plato's student Aristotle. Aristotle described rhetoric as the count part or the antistrophe, of dialectic. Rhetoric is practical inquiry over concrete propositions and engaged with specificity. Dialectic is speculative inquiry over generalized propositions and tends to move from the alleged facts of particularity to more generalized truths. In the old rhetoric tradition rhetoric takes a priority position over dialectic due to its spurious method of acquiring knowledge. However the line of thought extending from Sophists to the humanist reversed the position of dialectic over rhetoric. Furthermore the alternative approach to dialectic was developed by the German philosopher Gerog Hegel. For Hegel dialectic addresses itself primarily to concepts and is concerned to improve their articulation, whereas traditional dialectic addresses itself primarily to propositions and is concerned to improve their substantiation. Contemporary rhetorical studies takes all of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that have been discussed by the Platonic, Aristotelian, and Hegelian tradi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 and dialectic might be controversial in today's rhetorical studies, but dialectics as a mode of inquiry continues to influence the shape of rhetorical thinking.

      • KCI등재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현대적 경향 연구 - 현대 러시아 수사학 교육의 방법론 측면에서 -

        권용재 한국수사학회 2023 수사학 Vol.- No.46

        This article is devote to generalization about the trends of rhetoric research by leading academic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ussia that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of modern russian rhetoric in the era of media communication and the methodological concept in rhetorical education they conduct.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of rhetoric dealing with speech and communication culture in Russia in the 70s and 80s of the last century, today in many Russian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original academic and educational concepts have been created that preserve the classical traditions of rhetoric and provide new type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modern Russian rhetoric schools, which are described in this paper, provides an educational methodology to develop accurate, persuasive and perfect speech skills through their influential and original concepts on the role and meaning of Russian speech. After all, modern rhetoric, as conceived by the Russian rhetoric community, is not only the practice of public speech, but also a specific mentality and lifestyle. In other words, it is defined as a means that can promote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all aspects of our lives that proceed from verbal interaction.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현대 수사학 형성에 기여한 러시아 내 유력한 학술-교육기관들의 수사학 연구 동향과 이들이 수행하는 수사학 교육에서의 방법론적 개념을 개괄한다. 지난 세기 70-80 년대 러시아에서 담화와 의사소통 문화를 다루는 수사학이 복원된 결과로 오늘날 러시아의 여러 대학 혹은 교육기관에서 수사학의 고전적 전통을 보존하고 새로운 유형의 의사소통 능력을 제공하는 독창적인 학술적, 교육적 개념이 생성되었다. 본고에서 기술하고 있는 현대 러시아 수사학파는 러시아 말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자신들의 영향력 있고 독창적인 개념들을 통해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완벽한 담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방법론을 제공한다. 결국 러시아 수사학 공동체가 생각하는 현대적 수사학은 공적 담화의 실제일 뿐만 아니라 특정한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이다. 다시 말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우리 삶 모든 양식의 변화와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의된다.

      • KCI등재

        A Basic Outline of Greco-Roman Rhetoric

        Manfred Kraus(만프레트 크라우스) 한국수사학회 2015 수사학 Vol.0 No.22

        이 글은 그리스-로마 수사학의 기본을 소개하는 강의 자료이다. 강의는 기본적으로 그리스-로마 수사학의 이론적 체계의 정확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수사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수사학의 여러 하위 이론 분야들을 체계적으로 엮어서 소개하는 것이 강의의 기본 목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강의는 먼저 수사학이 하나의 이론적 체계로서 하나의 학적 기술인지를 따진다. 다음으로 강의는 수사학을 하나의 기술(art)로 인정한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의 입장들을 차례로 소개한다. 여기에, 강의는 그 동안 한국의 독자들에게는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던 <알렉산드로스에게 보내는 수사학>도 포함한다. 이상의 소개를 바탕으로, 강의는 수사학의 다섯 하위 분야인 발견(inventio), 배치(dispositio), 표현(eloctio), 기억(memoria), 전달(actio)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소개한다. 이상의 소개를 통해서 강의는 한편으로 서양 고대 수사학의 이론 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시도하고 다른 한편으로 서양의 전통과는 다른 설득 전통과 수사 현상에 대한 탐구를 촉구한다. 수사학은 기본적으로 “문화”의 무엇이고, 그러는 한에서 수사학은 인류를 하나로 묶어주고 다른 문화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무엇이기 때문이다. (요약: 안재원)

      • KCI등재

        초기 수사학 평론에서 흑인 인권운동 수사학 평론으로 변천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통합과 주류의 수사학’에서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으로

        이상철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6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ole of rhetorical criticism of Black Human Rights Movement in the U.S. It examine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early rhetoric criticism studies before and after World War I and II, based on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It argues that the rhetorical scholars of the US have developed rhetorical criticism as a new field of study, which goes beyond the rhetorical theory and practice of the European traditions and the Greco-Roman classics. It explores speech criticism of the Black Human Rights Movement in the late 1960s as rhetoric of confrontation and protest. It demonstrates that the early rhetoric criticism focuses on integration and mainstream in its analysis while rhetorical criticism of Black Human Rights Movement emphasizes civil rights, power and identity of ethnic minorities. It investigates the ethical aspects of rhetorical criticism in relation to tolerance and diversity in democracy. Finally, it concludes that rhetorical criticism of the confrontation and protest not only extends the objective and method of the rhetorical criticism, but also underlies the importance of the speech criticism in human inquiry. 이 논문은 양차 세계대전 전후 시작한 미국의 초기 수사학 평론의 태동 과정을 살피며 그것의 장·단점을 논의하고, 1960년대 흑인 인권운동에 관한 스피치 비평을 시작으로 비주류 집단의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 평론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첫째, 미국에서 초기 수사학 평론이 천착하는 정치·사회적 배경을 살피며 초기 수사학 평론의 역할과 한계를 논의한다. 둘째, 흑인 인권운동 관련 스피치 비평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검토하며, 통치와 통합을 강조한 주류 연설가들의 초기 수사학 평론에서 비주류나 소수집단의 연설가를 다룬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 평론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탐구하며 수사학 평론이 학문 분야로서 체계화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셋째,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 평론을 통해 지배적 담론과 주류 문화에 가려져 있는 소수자들의 스피치나 비주류 집단의 담론 연구가 민주주의의 관용성과 다원성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 평론이 소수자나 반대파 시민의 권리와 권력 그리고 정체성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한다. 1960년대 미국에서 전개된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 평론으로 전환은 수사학 평론의 목적과 지향점을 재고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나아가 수사학 전반의 지평을 넓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고전수사학의 탐구대상으로서 바울 - 고린도전서의 상황을 바탕으로 -

        채규식(Chae, KyuSik)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5

        바울은 수사가인가? 이는 ‘바울 서신을 고전수사학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가’의 물음과 같다. 이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상반된 의견이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울의 자기진술과 성장배경 사이에 간극은 이런 대립을 견고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울의 자기진술은 바울을 수사가로 볼 수 없게 한다. 바울은 “자신이 유대식 교육을 받았고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라” 고백한다. 바울의 자기진술은 바울이 그리스-로마 교육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바울 서신을 고전수사학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바울의 성장배경은 다르다. 바울은 그리스-로마 문화의 영향권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특별히 바울은 그리스-로마 교육에 철저히 열려 있었다. 그리스-로마 교육의 중심에는 수사학이 자리 잡고 있었다. 수사학은 고대 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수사학 교육이 그의 삶의 자리와 관련되어 있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다. 본 논문은 바울이 수사가임을 지지한다. 바울 서신을 고전수사학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다. 바울의 자기진술은 표면적으로 바울이 수사학을 거절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수사학 자체의 거절이 아니라 소피스트적 수사학의 거절이다. 소피스트들은 고린도와 같은 공동체에 문제를 야기시켰다. 따라서 바울은 의도적으로 수사학을 거절하였다. 하지만 바울의 거절은 수사학 자체가 아니라 소피스트적 수사학이었다. 오히려 바울은 소피스트 수사학을 거절하기 위하여 반어법과 같은 수사학적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는 이런 전략을 성장과정에서 수사학 교육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획득하였음에 틀림이 없다. 바울은 훌륭한 수사가이며 바울 서신은 수사학의 탐구 대상이다. Is Paul a rhetor? In other words, can we approach the Pauline Epistl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lassical Rhetoric? It is not easy to resolve this issue, as there are contradicting opinions involved in this debate. The gap between Paul’s narrative of his own life and the facts of his adult life seems to strengthen the tension between the two poles of the debate. Paul’s autobiographical statements make it impossible to think of him as a rhetor. He confesses he was educated through Jewish pedagogical methods and was a strict Hebrew. As a result, he did not receive a Greco-Roman education.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Pauline Epistles through the prism of Classical Rhetoric. However, Paul’s adult life reveals a different picture, as he was never free of the influence of Greco-Roman culture. In particular, he was thoroughly open to Greco-Roman education, at the center of which Rhetoric was situated. Therefore, it would be inaccurate to say that Paul was unfamiliar with the rhetorical tradition. In this paper I advocate the view that Paul was indeed a rhetor, and that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Pauline Epistles on the base of Classical Rhetoric. Outwardly, Paul’s autobiographical statements show that he didn’t accept the role of Rhetoric in life and in education, specifically that of sophistical Rhetoric. Sophists had caused problems to communities such as the Corinths, so Paul rejected the tenets of this form of Rhetoric, but not of Rhetoric per se. Rather, he used rhetorical strategies like irony to defeat sophistical Rhetoric. He must have assimilated this strategy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rhetorical education he underwent in the process of his growth. Paul was a great rhetor, and the Pauline Epistles are an appropriate subject of rhetorical inquir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분석과 설교학적 적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APIΣΤOΤΗΛOΥΣ ΤΕΧΝΗΣ ΡΗΤΟΡΙΚΗΣ)을 중심으로 -

        이현웅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수사학은 오늘의 기독교 설교와 어떤 연관을 가질 수 있는가? 역사적으로 고대 시대에서 출발해 발달하였던 수사학은 그 후 차츰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커뮤니케이션학의 발달은 다시 한 번 수사학에 대한 관심과 학문적 연구를 촉발하도록 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입장에서 보면 수사학은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다. 따라서 수사학이야말로 최초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체계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 설교 역시 설교자와 청중 사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런 점에서 설교와 수사학은 공통분모를 갖는다. 놀라운 사실은 기독교 최초의 설교학 이론이 당시 유행하고 있던 수사학을 채용하여 쓰여졌다는 사실이다. 성 어거스틴이 저술한 『기독교 교설』은 최초 기독교 설교학 교재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고대 수사학 이론과 방법론이 그 바탕에 깔려있다. 무엇보다 어거스틴 자신이 수사학을 가르친 교사였다는 점은 오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기독교 설교와 수사학의 이런 역사적 연접성을 생각하면서, 수사학의 고전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오늘의 설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의 핵심 개념인 ‘에토스-파토스-로고스’를 기독교 설교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How can rhetoric relate to today's Christian preaching? Historically, the rhetoric that originated and developed in ancient times gradually became out of people's minds. But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cience since the 20th century has once again prompted interest in rhetoric and its academic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on, rhetoric is a form of communicat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rhetoric is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first communication theory and practice. Christian preaching is also a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audience. In this regard, preaching and rhetoric have a common denominator. What's surprising is that the first Christian preaching theory was written using rhetoric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On Christian Doctrine, written by St. Augustine, is the first Christian preaching textbook, based on ancient rhetoric theories and methodologies. Most of all, Augustine himself was a teacher of rhetoric, which means a lot to us today. Thinking of this historical connection between Christian preaching and rhetoric, this article looked at Aristotle's classic of rhetoric from today's preaching point of view. And based on this, I wanted to apply the core concept of Aristotle's rhetoric, 'ethos-pathos-logos,' to Christian preaching.

      • KCI등재

        수사학이 유용한 이유들에 대한 검토 - 아리스토텔레스『수사학』, 1355a20-1355b7을 중심으로 -

        하재홍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4

        Four reasons for which Aristotle claims the usefulness of rhetoric in his Rhetoric are so implicitly explicated that they require a comprehensive re-examination of their meaning. This paper is a further study beginning from critiquing Seok Hwan Han’s explanation, which heavily relies on Christof Rapp’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Rhetoric. This paper attempts to supplement Han’s limits with William Grimaldi’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ristotle's own position on the usefulness of rhetoric is shaped from the context of the debate that begins in Parmenides and goes through Gorgias, Protagoras, and Plato. As to rhetoric and truth, Plato argues that if there is a necessity to constitute the political world, we should resort to philosophy, not rhetoric, as the means. However, Aristotle points out that rhetoric does not deal with truth or justice itself, but entails a necessary means to politics insofar as the world of politics is that of opinions and beliefs. Second, Aristotle’s position is to express his introspection and stance on the aspect of practices centering on the logos in his day. In this precise regard, discussion on the usefulness of rhetoric for us today should not simply be restricted to an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Rhetoric, but extended to the practice of language and the very way in which the meaningful and useful practice of language is named. 이 글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서 수사학이 유용하다고 든 네 이유들에 관해 살펴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든 이유들은 대단히 함축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한석환의 연구가 상세한데, 랍(Christof Rapp)의 견해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석환의 연구에서 출발하여 그리말디(William Grimaldi)의 해석을 통해 보완을 시도했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이 진리에 대해 갖는 관계는 오랫동안 철학과 수사학의 영역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주제라 할 수 있는데,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은 파르메니데스에서 시작되어 고르기아스, 프로타고라스를 거쳐 플라톤에까지 이어지는 논쟁을 배경으로 하면서 동시에 아리스토텔레스 나름의 입장으로 귀결된 점과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수사학과 진리에 관해서는, 플라톤의 입장은 정치세계가 구성되어야 한다면 그 수단은 수사학이 아닌 철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은 진리나 정의 자체를 다루지 않지만, 정치세계는 의견의 세계라 이해했으며, 따라서 수사학은 정치세계에 필수불가결한 수단이 된다. 둘째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은 그의 시대에 말을 중심으로 한 실천양상에 대한 성찰과 입장의 표명이었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에게 수사학의 유용성에 관한 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한 단락에 대한 해석 차원에서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말의 실천양상이 어떠하며 또 의미 있고 유용한 말의 실천이 있다면 그것을 무엇으로 불러야 하는가와 관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 KCI등재후보

        수사학의 기독교적 전회

        문영식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논집 Vol.20 No.-

        아우구스티누스는 수사학을 세속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이상인 영원한 지복과 “진리”를 가르치는 것(docere)에 사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수사학의 사용 범위를 “그럴듯한”과 관계된 세속적인 관점에서 구원과 관계된 기독교적 “진리”를 가르치는 것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를 가르칠 때 수사학적 기술인 능변뿐만 아니라 신적인 지혜를 겸비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수사학에 대한 구상은 그의 저서 &#61440;기독교 교육론(De Doctrina Christiana)&#61440;에서 구체화된다. 이 책이 기독교 수사학을 정립한 최초의 책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다.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이제까지 유지해왔던 고전 수사학의 사용을 기독교적 사용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수사학은 고전 수사학과는 차별화되거나 특성화 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기독교 교육론』의 Ⅳ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혀질 수 있다. Ⅳ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가 말하는 기독교 수사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을 어떻게 명시하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수사학은 ‘설교’라는 새로운 연설의 형태를 낳았다. 기독교 수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설교’라는 형식을 통해 수행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이르러 세속의 수사학이 인간의 구원에 봉사하는 기독교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연설’은 ‘설교’라는 장르로, ‘수사가’ 또는 ‘연설가’는 ‘설교자’ 또는 ‘교사’라는 이름으로 대체된다. 또한 공론의 장이었던 ‘공회장’(forum)이 ‘교회’로 바뀌게 되며 다루는 사안도 ‘한시적인 것’들이 아닌 ‘영원한 지복’, 즉 성서라는 텍스트로 바뀌게 된다.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기독교 수사학

        문영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수사학적 논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먼저 아우구스티누스 당시 자유학예를 살펴볼 것이다. 바람직한 인간의 구현을 위한 그리스의 자유학예를 아우구스티누스가 기독교로 수용하는 과정을 살필 것이다. 당시 수사학은 이교문화로 치부되어 많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거부되었다. 기독교는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문화인 지유학예를 전적으로 거부하든지 아니면 수용하여 제 것으로 만들어낼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하는 시기에 도달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학예 중 수사학을 기독교 수사학 장르인 설교로 활용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중세 초기 수사학은 성서의 해석과 주석, 그리고 교리의 가르침이라는 영역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사학의 사용을 정당화했다. 중세 초기 수사학은 수사학의 기독교화를 통해 기독교와 이교도 사이의 논쟁이라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기독교가 로마제국 내에 신흥종교로 유입되어 성장하면서 외부적으로는 다른 종교와의 갈등을 겪게 되었고, 내부적으로는 기독교 내에서 교리에 대한 분쟁에 시달리게 되었다. 더 나아가 기독교도들에게 교리를 확립하고 가르쳐야 하는 문제가 당면과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지도자들이 봉착한 내·외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수사학을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기독교의 진리를 왜곡하는 마니교도들, 도나투스주의자들, 그리고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논쟁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이단들과 논쟁을 한 이유는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수사학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수사학이 기독교로 정착하게 됨을 드러낼 것이다. 또한 진리를 변증하고 설득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가 수사학의 원리들을 어떻게 적용시키는지를 드러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Augustine’s argument of rhetoric. First, I’m going to take a look into liberal arts at the time of Augustine. I’ll examine the process of Augustine’s having accepted liberal arts of Greek into Christianity so that he might embody desirable human. In those days, rhetoric was rejected by lots of leaders in the church because they regarded it as the culture of pagan. Christianity confronted the time that they had to decide whether they would entirely reject or accept the culture of education of Greek and Roman, liberal arts. Augustine provided a start of applying rhetoric of liberal arts in Christian sermon.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rhetoric became developed into interpretation and comments on the Bible and the areas teaching Christian doctrines, and for this purpose, Augustine justified the application of rhetoric. And rhetoric got occupied an important part of an argu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pagan through Christianization of rhetoric. Christianity got into the conflict externally with other religions, after being introduced to the Roman Empire as a new religion, as developing, and internally got bothered by disputes on doctrine in Christianity. Further, many questions about establishment of Christian doctrines and the problems teaching them to Christians were raised. Augustine made use of rhetoric to resolve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leaders in the church had been faced with. In this paper, I will look into the precess of arguments with Manichaeism, Donatism, and Pelagianism that distorted Christian truth. I will show why Augustine struggled against pagans, in the process of such debate how rhetoric was used, and how it was taken root in Christianity. I’ll, also, prove how Augustine worked out the strategy and put it into action to demonstrate and persuade Christian truth, and how he applied rhetorical principles to Christi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