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교육을 위한 교과교육의 소통과 언어적 창의성 - <농가월령가> 교육을 중심으로 -

        김종철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7 No.-

        본고는 융합교육을 위한 초보적 단계로 ‘교과소통교육’을 제안하고, <농가월령가>를 제재로 한 교과교육의 소통에 ‘소통어’가 요청된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이 ‘소통어’가 교과 사이의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면 이 ‘소통어’는 언어적 창의성을 띤다고 보았다. <농가월령가>는 문학교과와 과학교과, 역사교과, 실업교과 등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제재이며, 특히 이 작품의 화자가 다양하고 이질적인 정보를 결합하여 농민들을 설득하면서 구사한 언어의 특징에 주목하여 교과 사이의 소통에 요청되는 소통어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교과소통교육에서 소통어는 학습 내용에 대한 각 교과의 설명 정보 사이에 상호 전이 가능한 정보를 지칭하는 언어로 잠정적으로 규정하고 <농가월령가>를 제재로 한 문학교과와 과학교과의 소통을 구상해보았다. 나아가 교과소통교육이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의 새로움과 영역의 새로움을 추구함을 검토하고, 이 새로움의 추구 과정에서 소통어가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영역 설정을 가능케 하는‘설명의 틀’을 구축하며, 이 틀은 또한 일종의 ‘서사’를 함축하여 언어적 창의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Assuming that ‘mutual communication of courses’ can be an early stage of convergence education, mutual communication of courses on the subject of Nonggawollyeongga seems to require ‘communication language’. If ‘communication language’ can play a key role in mutual communication of courses, such a ‘communication language’ can be regarded as containing linguistic creativity. Nonggawollyeongga is a subject precipitating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ourses including Literature, Science, History and Agricultural Practicum. Especially, the speaker of this text persuades farmers combining heterogeneous kinds of information. The speaker’s language contains what the ‘communicaion language’ demands for mediating communication of courses. It can be potentially defined as a language denoting information transitive among explanatory contents of various courses. Supposing such conditions, this article tried designing mutual communic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on the subject of Nonggawollyeongga. Furthermore, this article confirmed that mutual communication of courses pursues creativity of recognition and categorization of contents. Communication language functions as a ‘explanatory tool’ for creative recognition and categorization, and such a tool contains linguistic creativity implying a kind of ‘narrative’.

      • Current Conditions and Trend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이혜경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급격하게 전개되고 있는 세계화라는 거부할 수 없는 추세에 따라 국제적으로 공통 의사 소통어로서의 실무적 필요에 의해 영어에 대한 인식이 날로 변화하고 있는 바, 영어는 더 이상 미국과 영국 등의 영어 상용 국가들의 언어로서가 아닌 세계어(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혹은 지구어 (English as a global language)로서의 그 위 상이 확고해 지고 있다(Crystal, 2003).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이러한 세계어로서의 영어 에 대한 실용적인 인식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책적, 영어교육 방법론 적 연구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의 방법이 더 이상 외국어로서의 영어(EFL)로 전제하는 한계를 벗어나 우리나라에서도 ESL로서의 영어교 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때임을 강조하고, 이에 현재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몰입식 언어교육 방법을 영어교육에 점차 적용시킬 것 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y English is a global language and what solutions should be implemented for current English education problems in Korea. As long as English Education remains a part of mainstream foreign language teaching, there is little chance of entering the 'outer circle' in Crystal’s sense (2003). As an alternative, an immers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the Korean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despite of some apparent concerns.

      • KCI등재

        교과의 소통과 융합에서의 언어의 문제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A clas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of subjects is expected to construct an polyphonic world due to the mixture of different knowledges and it’s linguistic representations. So it is necessary for teacher and learners who should reach the goal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of subjects to set up an communication terminology designating information which could be transferred between subjects. Through the medium of this communication terminology teacher and learners could translate and convert knowledge and terminology of one subject into those of another subject. On this process of mutual translation and conversion, learners come into cognitive operation connecting knowledges of subjects and take part in conversations representing the cognitive operation. And at this time, learner’s terminology is on the way to approach a conceptional terminology representing a knowledge constructed by mutual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of subjects on the one hand, and approach an accurate designation of things which consists of the object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of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is approximate terminology reflects the developing level of cognition and emotion in the learning process, so teacher should refine this approximate terminology by careful dialogue with learner. 교과의 소통과 융합은 상이한 지식과 그 언어 표상들의 만남이어서 이 교실은 필연적으로 다성(多聲)의 세계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와 학습자가 이 다성의 세계 속에서 소통과 융합의 목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과들 사이의 상호 전이(轉移)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지칭하는 언어적 표현 또는 기술(記述)로서의 소통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소통어를 매개로 교사와 학습자는 소통과 융합에 참여하는 교과들의 지식과 언어를 상호 번역하고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이 상호 전환과 번역 과정에서 학습자는 복수의 교과 지식을 연결하거나 통합하는 새로운 인지 활동을 하게 되고, 그 인지 활동 과정을 표상하는 언어를 구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학습자가 구사하는 용어는 소통과 융합의 대상 세계의 사물에 대한 정확한 지칭이나 소통과 융합으로 구축하는 지식을 추상적으로 표상하는 개념어에 근접하는 표현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근접 용어’는 학습 과정에서의 인지적‧정의적 발전 수준을 드러내는 것이므로 교사는 이를 수업 담화를 통해 정련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 세계화의 실상과 링구아 프랑카의 가능성

        전성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2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the phase of Korean as international language and its future prospect. The present phase of Korean as international language is not rosy either gloomy. Frankly speaking, the position of Korean as a international language is seventh or eighth in world, but English has strong power as a international language. At present, we have to effort to make Korean as a powerful international language. The first step for Korean globalization is Korean to be a Lingua Franca in East Asia area. It is difficult for Korean to be a international language. And the way till destination is too far and tough. And also, Korean in East Asia area is close to the position of Lingua Franca. The second step try to b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world. For this purpose, we hav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Korean as a international language. This means that the future of Korean as international language should be needed the objective cognition about position of Korean in the world language. And then, persons who concerned Korean-globalization, teaching-Korean educators, officers working at government organization, have to effort to accomplish for Korean-globalization 본고는 한국어 세계화 현황과 그 가능성을 점검한 것이다. 한국어 세계화에 대한 낭만적 전망이나 일방적 폄시(貶視)는 모두 문제가 있는 연구 시각이다. 이에 본고는 두 시각을 지양하고 한국어 세계화의 실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토대로, 한국어 세계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다수의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관련자는 최근의 급속한 양적 성장을 근거로 한국어 세계화 가능성을 낙관하고 있다. 그 구체적 근거로, 한국어가 실질적으로는 세계 8~9위의 언어 위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이 정식 학문 분야로 자리를 잡았고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 교육 방법, 정책 등이 정비되었음을 지적한다. 하지만 객관적인 판단에 따르면 한국어의 세계화는 아직은 갈 길이 멀다. 한국 내 영어의 지위, 영미 유럽권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정보화 영역에서 한국어가 차지하는 위상 등의 측면을 고려하면 한국어 세계화는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현 단계에서는 국제어, 광역소통어로서 한국어의 위상을 확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세계화 전략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동아시아 권역 내부에서 한국어가 링구아 프랑카의 지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관련 정책 당국, 민간 기구, 그리고 한국어 연구자의 교수 학습법 개발과 실천 의지를 지닌 한국어 교원이 삼위일체(三位一體)가 되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표준화, 현지화를 이루어야 한다. 아울러 한국 언어와 문화의 변이형을 허용하는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한국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수용을 도모해야 한다. 요컨대,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정서적이고 추상적인 낙관적 전망을 구체화하고, 한국어 세계화 전략을 선택적으로 집중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DaF-교재에 나타난 독일어 입말의 규범 파괴에 대한 교수법적 제고- 『Menschen A1』와 『das Leben A1』를 중심으로

        민향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1 獨語敎育 Vol.80 No.80

        Handelt es sich um fremdsprachliche Kompetenz in der alltäglichen Kommunikation, steht die gesprochene Sprache in verschiedenen Situationen ständig im Vordergrund des wissenschaftlichen und praktischen Interesses, weil sie als natürliche und alltägliche Kommunikation verstanden wird. Im Zuge dieses praktischen Bedarfs finden sich im Lehrwerk auch umgangssprachliche Äußerungen, die von der Standardsprache grammatisch und lexikalisch abweichen. In diesem Aufsatz werden zwei Lehrwerke ‘Menschen A1’ und ‘das Leben A1’ zur didaktischen Analyse ausgewählt. Die Untersuchung ergab, dass sich die sprachlichen Inhalte der beiden Lehrwerke stark voneinander unterscheiden. Während in das Leben A1 kaum umgangssprachliche Ausdrücke zu finden sind, enthält Menschen A1 hingegen relativ viele Ausdrücke, die gegen die sprachliche Konvention verstoßen. Deutschlernende Schüler in Korea lernen etwa seit den 90er Jahren nicht mehr für eine schulische Prüfung, sondern für das Leben in einem deutschsprachigen Land. Aus diesem Grund sollten koreanische DaF-Lehrwerk-Autoren in Erwägung ziehen, ob auch die im Alltag gesprochene Sprache ins koreanische Lehrwerk und in den Unterricht für DaF eingeführt werden sollte, damit koreanische Deutschlernende ihre kommunikative Kompetenz verbessern und erweitern können. 본 논문에서는 독일에서 발행되고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독일어 학습교재에 입말이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그 범위는 언어의 체계적인 측면인 발음 Phonetik, 형태 Morphologie, 문장 Syntax 그리고 의미 Semantik 중에서 발음을 제외한 정서법, 문법 그리고 의미의 변이를 고찰하고, 화용적인 측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해당 언어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언어사용의 추이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재는 『Menschen A1』와 『das Leben A1』 로 두 교재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한다.

      • KCI등재

        아르싸흐 공화국의 언어상황 연구

        정경택 한국러시아문학회 2019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6 No.-

        The Nagorno-Karabakh region, which belonged to Azerbaijan SSR during the Soviet period declared its independence as the Republic of Artsakh in 1991. Currently, the region is internationally regarded as Azerbaijani territory, but in reality it is a part of Armenia. Therefore, Armenian language policies are applied, and Armenian language is defined as a state language. Even though the Azerbaijani population of Nagorno-Karabakh and the number of Azerbaijani speakers have increased during the Soviet period, the Armenians have not learned and used Azerbaijani language. This becomes the basis for Russian language to maintain its solid position as a lingua franca in the Nagorno-Karabakh region. Also, Russian language is a required subject for all Artsakh’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ary and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just like in Armenia. It is because the Azerbaijan war from 1991 to 1994 was virtually supported by Russia, and Armenia recognized Russia as its most important volunteer and protector. In the Republic of Armenia, Russian is regarded as a language of communication among ethnic minorities, and the use of Russian language continues to be active.

      • KCI등재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의 민족-언어 분규 비교

        정경택 한국러시아문학회 2023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82 No.-

        The ethnic-language conflicts in the post-Soviet space were examined using four regions as example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ethnic-language conflicts in Caucasus, a relatively small area inhabited by many ethnic groups, resul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an indigenous-led nation-centered state after independence. The Baltic region showed extreme discrimination against Russians and Russian language in Latvia and Estonia, which have about a quarter of Russian residents, and Lithuania, which has relatively few Russians, showed flexibility, but turned anti-Russia from 2022 year. Moldova, surrounded by Ukraine and Romania, has until recently been a pro-Russian state, but has shifted to pro-Western and anti-Russian policies since the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and the future of Pridnestrov’e (Transdenstria) and the autonomous region of Gagauzia is of great interest. Finally, with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the civil war in Donbas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onetsk and Lugansk People's Republics) and Russia's special military operation in February 2022 found that long-suspected disputes over ethnic and language turned into bloody wars. These four regions were all Soviet Federal Republics of the Soviet Union and had significant influence from Russians and Russian language, but their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slightly, and the degree of affinity and fear for Russia differed according to national sentiment, tradition, and economic dependence.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nfluence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the post-Soviet space as a whole, Russia's culture, information accumulation, and Russian influence, that is, ‘Soft power’, could be predicted to fall sharply. Since the founding of the Soviet Union, Russia and the Russian people have made great efforts to secure Russian as a means of eradicating illiteracy, spreading communism around the world, and expanding and preserving its function and role as the most basic means of communication for more than 130 multi-ethnic countries. Thus, Russians, Russian-speaking residents, and Russian protection in four regions, including Ukraine, clearly imply the possibility of Russian intervention, but the Russian Federation is unlikely to achieve its goal, which will seriously damage Russia's international status in the post-Soviet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