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문병상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인과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는 상호호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수행접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접근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가 수행접근목표의 원인이며,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수행접근목표도 높아진다. 그리고 수행회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회피목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행회피목표가 내재적 동기의 원인이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도 낮아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effects between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4(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 temporal stability were very high during three years. Second,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prior performance-approach goal did not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predicted posi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rior performance-avoidance goal did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predicted nega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voidanc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motiv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중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성격요인 간의 관계분석

        이소영,김영미,이상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성격요인(16PF)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학생들이 ‘단일’ 혹은 ‘중다’ 성취목표를 가지고 있는지와 각기 다른 성취목표 동기유형을 가지게 되는 이유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의 삼분법적인 성취목표 동기구조 하에서 중다 성취목표 성향이 있을 학생들을 고려한 실제로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성취목표 동기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군집분석을 통해 파악된 4가지 성취목표 동기유형을 구분하는 성격요인들이 무엇인지 판별분석을 통해 집단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동기, 16성격요인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군집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숙달목표동기는 온정성, 자아강도, 지배성, 정열성, 도덕성, 대담성, 사변성, 실리성, 진보성, 자기통제성에서 정적 상관이, 수행접근목표는 자책성, 진보성, 불안성, 지배성, 민감성, 사변성, 실리성과 정적상관이, 수행회피목표는 자책성과 불안성, 자기결정성과 정적상관이, 온정성, 자아강도, 도덕성, 대담성, 실리성, 자기통제성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성취목표 동기의 구성에 따른 4개의 군집은 ‘저동기 집단’, ‘수행동기현저 집단’, ‘숙달동기현저 집단’, ‘고동기 집단’이라고 명명하였으며, 4개의 성취목표 동기유형 집단을 구분하는 성격요인으로 자아강도, 대담성, 자기통제성의 순으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students have multiple achievement goals and the reasons for having such different goal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ypes of achievement goals and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We used the cluster analysis method in order to categorize the motivation types of goal achievement that students actually have although the standard is not yet confirmed under the three-way classification: mastery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Moreover,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we tri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by observing if the four motivation types of goal achievements brought about meaningful differences. In order to run the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the motivation of achievement goal &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s given to our subjects, 285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tivation of mastery goa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rmth,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liveliness, rule-consciousness, social boldness, abstractness, privateness, openness to change, and perfectionism;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rehension, openness to change, tension, dominance, sensitivity, abstractedness and privateness; and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pprehension, tension and self-reliance,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th, emotional stability, rule-consciousness, social boldness, privateness and self-reliance. The four clusters divided by the motivation of achievement goal are the ‘low motivation group’, ‘mastery motivation salient group’, ‘performance motivation salient group’, and ‘high motivation group’.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personality factors that categorize motivation types of achievement goals: emotional stability, social boldness, and perfectionism, in that order.

      • KCI등재후보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정례 ( Jung Rye Park ),한상훈 ( Sang Hoon Ha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몰입 요인들을 성취목표지향 요인들, 참여동기 요인들, 자아개념 요인들로 구분하였고, 성인학습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에서 학습자들이 보이는 경향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에 대해 하위척도들 간의 평균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자아개념 및 학습몰입수준의 하위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 개념 및 학습몰입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 및 학습몰입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아개념과 학습몰입, 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상관도가 높았고 그 다음은 참여동기와 성취목표, 자아개념과 참여동기, 성취 목표와 학습몰입, 자아개념과 성취목표 순으로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개념, 참여동기, 성취목표 순으로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 그 자체에서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자아개념을 높여준다면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world of education, the 21 century can be defined as the era of lifelong and open education. For today`s people, continuous self-develop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is considered critical not just for personal happiness and survival in society but also as a source of competence in knowledge-based society. As the world enters the era of limitless competition with the spread of globalization, people`s interests in human resources are growing and professional education is gaining more importance. The structural transition into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rise in living standards has contributed to various needs for adult education and an increasing call for learner-oriented leaning activities. To meet such needs, the focus should be on what adult learners consider is practical and what they want to learn in daily lives because adult learners tend to become more passionate and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when they feel that they are actively developing their abilities through learning and reaching goals. In this study, the author i) examined four factors - goal orientation, motivation, self-concept and learning flow -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i) analyzed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and iii) identified the effect of go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learning flow in adult learners by using an empirical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t the age of 20 or over who were tak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ifelong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quality of life, social exchange and skill development in adult learners, and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the learning flow. It was also found that go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earning flow and the effect of self-concept was the clearest followed by motivation and goal orientation. In adult learners,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ronger self-concept they had, the better immersed they were in learning. And people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ended to make relatively more efforts in self-development and have more interests in and a stronger sense of achievement from learning compared with the rest.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 인관관계 검증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인과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는 상호호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수행접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접근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가 수행접근목표의 원인이며,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수행접근목표도 높아진다. 그리고 수행회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회피목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행회피목표가 내재적 동기의 원인이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도 낮아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effects between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 (2006)-T4 (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goal or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 temporal stability were very high during three years. Second,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prior performance-approach goal did not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predicted posi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rior performance-avoidance goal did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predicted nega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voidanc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motiv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의 학습동기 변화 연구

        신태섭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1

        Motivation to lear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ege students’ learning. Among many motivational constructs, achievement goals, objects or outcomes that college students pursue,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various aspects of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ability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s in a large-scale general education class by applying a 3 X 2 achievement goal model. A total of 158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completed the same achievement goal surveys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i.e., beginning, middle, & end of semester). At the end of semester, an extra survey that measure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goal structure was condu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tial continuity (correlational analysis) suggests that six sub-scales of achievement goals were relatively stable. This implies that six achievement goals are stable as psychological constructs. Second, the result of mean-level change analysis (dependent samples t tests) suggests that task approach, self approach, self avoidance goals increased over the semester. This result shows that as a group, students enrolled in the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reported changes in goal intensity of each achievement goal throughout the semester. Third, the result of individual-level change analysis (RCI) provides evidence that students’ achievement goals change over time.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 students reported changes in their goal intensity of each achievement goal throughout the semester. Finally, there were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between six achievement goals and three sub-scales of classroom goal structures.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enrolled in a large-scale general education class change their achievement goals over time.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ositive classroom goal structures that can promote mastery goals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학습동기는 학습과 관련된 노력 및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학생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지를 의미하는 성취목표는 주의집중, 노력, 끈기, 학습전략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생의 성취목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한 가지가 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이다. 교실목표구조란 특정 성취목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학습환경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들의 성취목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H 대학교에서 대형 강의식으로 운영된 심리학개론 교양강좌 수강생 158명을 대상으로 학기초, 중간, 학기말에 3 X 2 성취목표모형에 기반하여 성취목표를 측정한 후 지속성 차이, 평균수준변화, 개인수준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기말 학생의 성취목표와 지각된 교실목표구조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시점 간 상관분석을 통해 6가지 성취목표유형의 지속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가지 성취목표유형 모두 심리구인으로서 안정성을 띄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수강생들의 성취목표 평균수준변화를 집단수준에서 각 측정시점 간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과제접근, 자기접근, 자기회피 등의 성취목표유형에서 학기가 지날수록 평균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수강생 6가지 성취목표유형에서 시간에 따라 성취목표수준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셋째, 학기 중 개인수준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6가지 성취목표유형에 대하여 RCI를 산출한 결과, 모든 성취목표유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학기 동안 수강생 개개인마다 성취목표가 변화할 가능성이 큼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성취목표와 지각된 교실목표구조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과제 및 자기목표의 경우 숙달목표 교실목표구조와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타인목표의 경우 수행목표와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수업을 통해 학습환경을 어떻게 지각했냐에 따라 개인별 성취목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 학기 동안 반복측정을 통해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들의 학습동기가 다양한 변화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교육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업 운영에서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

        박진선,김정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is students’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burnou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has a moderating eff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rd, the achievement goal of performance-approach goa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cademic burnou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is respect, the study has discussed limitations and the needs to find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performance-approach goal that can control the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 연구배경 및 목적많은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미래와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주요 활동으로 심리적으로 하나의 업무로 규정된다(Schaufeli & Taris, 2005). 이로 인해, 고등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좌절감 회의감을 느낄 수 있으며 지속되면 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이영복, 2009; Gan, Shang & Zhang, 2007; McCarthy, Pretty & Catano, 1990; 문화진, 2017). 더욱이 우리나라는 소진을 경험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학업소진이 중요한 타인과 조성된 특정 환경에 의해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소진을 더 느끼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이은영, 2014; 백미숙, 2011; 윤희정, 2016; 차영남, 2006; 권예지, 2016), 부모가 자녀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면 자녀들의 다양한 학업동기변인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상우, 2010; Soenens & Vansteenkiste, 2005; Grolnick & Ryan, 1989; 김아영, 2008).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확인을 통해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학업소진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5개 고등학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총 48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84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484부의 질문 중 무작위 응답을 했거나 하나 이상의 척도에 응답하지 않은 47부를 제외한 총 437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자료로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학업성적의 집단별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소진, 자기조절학습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è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기조절학습동기, 학업소진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조절변인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회귀선의 기울기 검증(Aiken & West, 1991)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첫째, 각 변인들이 성별과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살펴본 결과 학업소진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좀 더 많이 느끼며 학업성적이 하위권이라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성취목표지향성도 마찬가지로 하위권이라고 보고한 학생들이 많이 느끼고 있었다. 반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는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동기로 인해 상위권학생들이 학업소진이 다른 학업성적 집단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

      • KCI등재

        학업성취에 대한 자기결정성 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이질적 효과

        정준욱(Junwook Jeong),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과 성취목표지향성이론의 통합적 관점에서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의 이질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5~6차년도 데이터(고2~고3)를 사용하여 회귀혼합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고2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이 고3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고외재 중다목표, 균형 중다목표, 저외재 중다목표, 및 내재 숙달목표의 네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다. 외재적 조절동기와 내재적 조절동기가 평균적인 수준에서 균형을 이룬 균형 중다목표 계층에서는 숙달접근목표의 학업성적 예측효과가 학업성적을 유의미하게 예측했지만 내재적 조절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내재 숙달목표 계층)과 외재적 조절동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계층(저외재 중다목표 계층)에서는 성취목표의 수준과 관계없이 수행접근목표가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결정성 동기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Regression mixture model was applied using KELS 2005 longitudinal data of fifth and sixth wav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s were measured at 11th grade and their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scores were collected one year lat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mixture analysis identified four latent classes with differential effect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high extrinsic regulation with multiple goals, low extrinsic regulation with multiple goals, balanced regulation with multiple goals, and high intrinsic regulation with high mastery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s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it is accompanied by low extrinsic regulation (low extrinsic regulation with multiple goals) or by high intrinsic regulation (high intrinsic regulation with high mastery goals), whereas mastery-approach goals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intrinsic regulation and extrinsic regulation were balanced (balanced regulation with multiple goal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achievemen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ir self-determined motivations.

      • KCI등재

        중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른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김청자 ( Chung Ja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중등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취목표 동기유형별로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또한 4분법적인 성취목표 동기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반응이 가장 많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생 492명에게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상관관계, 중다 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성취목표 동기와 창의적 사고력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없었다. 한편 창의적 인성하위요인에서 "유머"만 제외하고 나머지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 합계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숙달 회피 동기는 호기심, 개방성과 상관이 있고, 수행접근 동기는 호기심, 자기 확신, 인내, 유머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수행회피는 부적으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 동기는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 독창성만을 유일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하위요인 유머를 제외하고. 7개요인과 창의적 인성합계를 설명해 주는 요인은 숙달접근 동기로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높은 동기 유형이었다. 수행회피는 자기 확신, 유머, 모험심, 창의적 인성 합계를 부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었으며, 수행 접근 동기는 독립심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성취목표 동기를 6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 점수와 합계 점수는 의미 없는 점수를 나타냈다. 6가지 동기 집단 간의 창의적 인성 합계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점수에서는 상상력과 유머를 제외하고 나머지 6개의 하위인성 점수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TTCT)``,``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492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7.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second, mastery-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third, 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교대생의 자의식과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성취목표성향 및 내적동기의 구조적 관계

        방신웅,전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교대생들을 대상으로 자의식과 성취목표성향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부권에 위치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28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의식과 성취목표성향 그리고 내적동기 간 구조모형을 수행접근, 수행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의 네 가지 성취목표성향에 따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사적 자의식은 숙달접근목표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행회피목표성향과 숙달회피목표성향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적 자의식은 숙달접근목표성향을 제외한 수행접근, 수행회피, 숙달회피 목표성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 차원의 성취목표성향인 수행접근목표성향과 숙달접근목표성향은 내적동기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 차원의 성취목표성향인 수행회피목표성향과 숙달회피목표성향은 내적동기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분석

        박성익(Seong Ik Park),유경훈(Kyoung Hoon Lew)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과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 아울러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해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군집분석을 통하여 4분법적 성취목표 동기구조 하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나타내는 6가지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이들 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인성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4학년 73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목표 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창의적 사고력 및 그 하위요인들은 숙달접근동기와 독창성, 추상성, 창의적 사고력 평균과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인성은 수행접근 동기, 숙달접근 동기와 의미있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창의적 인성 평균과 그 하위요인인 독립심, 모험심과 수행회피, 숙달회피동기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동기유형은 숙달접근 동기유형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동기유형의 구성에 따른 6개 집단 간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정교성이, 창의적 인성에 있어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 theor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TCT)`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738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by SPSS 14.0 program. The core of the new conceptualization lies in two dimension of goal orientation: orienting content (mastery vs performance) and orienting attitude (approach vs avoidance). Four goal orientations such as of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2)mastery -approach is the best predictor of creativity among the motivation typ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second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ity. 3)six groups, by using the clustering analysis, h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creativity.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ity than any other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achievement goal motivation on enhanc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will be adapted by the various types of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