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심리특성이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준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onsumer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ost-purchase emotion was analyzed. Consumption values and self concepts were used as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is stud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and hedonistic consumption value were used separately as sub-values of consumption value, and personality self and social self were used separately as sub-concepts of self concept. For the establishment of hypotheses, prior studies on consumption values and self-concepts were reviewed. For hypothesis testing,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factor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 statistical package. The AMOS 25 package was used in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analyses show that the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but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And while the personality self concep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the social self concept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The hypothesis test results on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post-purchase emotion showed that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does not affect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but hedonistic consumption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Even in self-concepts, personality self concept did not affect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but social self concep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사회심리특성이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심리특성으로는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비가치와 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가치는 실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로 구분하여 사용하였고, 자아개념은 성격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가설의 설정을 위해서는 사회심리특성인 소비가치와 자아개념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수도권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6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AMOS25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실용적 소비가치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쾌락적 소비가치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성격적 자아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자아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가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에서, 실용적 소비가치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쾌락적 소비가치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에서도 성격적 자아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자아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연구

        손기철,엄수진,배혜진,조문경,은옥주,최외선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2002 연구보고서 Vol.6 No.-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내적 통제력,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각 치료의 효과성이 비교·분석되었다. 인천 남구에 위치한 W공업고등학교에서 대조군 15명, 원예치료군 15명, 미술치료군 15명을 주 2회씩 2001년 9월 27일부터 12월 13일까지 원예치료군에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미술치료군에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는 각각 전문 치료사에 의해서 행해졌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아개념(Self-Concept Scale), 내적 통제력 척도(Inner-Control Scale), 특성불안 척도(Trait-Anxiety Scale)을 각 프로그램의 실시전과 실시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치료군에 있어서는 자아개념척도 중 자아수용, 성격적 자아, 총 자아 긍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특성불안척도에서는 우울 및 불안 항목에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미술치료군에 있어서는 내적통제력과 특성불안척도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예치료군은 프로그램 과정중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공동작업을 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된다. 반면, 미술치료군은 치료자와의 개인적인 상담과정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고, 지점토 및 칼라믹스 만들기 등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T (horticultural therapy) and AT (art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concept, inner control, trait anxiety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45 school maladaptive of teena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rapy program at the W high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15 for the horticultural therapy, 15 for art therapy, 15 for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from Sep. 27 to Dec. 13, 2001 as an activity group. Activity group attended twice a week for 1 hour.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therapy, Self-Concept Scale, Inner-Control Scale, Trait-anxiety Scale were used 2 times, that is, before/after HT or AT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 satisfiction, personal self, and total positive self items among Self-Concep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ension and anxiety item among Trait 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 group. On the other hand, in AT group, both inner control and self confidence item in Trait-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clusion, in HT group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could be brought about by being provided the chance of self expression during program and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group therapy program in which joint work have been provided. In case of AT group, it was logically postulated that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personal counselling with AT therapist during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inner control was caused by active program such as painting paper clay, making color mix, and etc.

      • KCI등재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아가치의 관계에서 성격적 자기비난과 내재화 문제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김윤희,박미연,김현경,양주영,서선미,Kristina L. McDonald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아가치의 관계에서 성격적 자기비난과 내재화 문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한국과 미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 3개 도시의 4개 중학교와 미국 Alabama 주 3개 중학교에서 동일한 문항으로 수집된 총 754명(한국 462명; 만 12∼15세)의 자료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성격적 자기비난과 내재화 문제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두 국가 간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자아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완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serial mediation effects of characterological self-blame and internalizing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worth. Data were drawn from 754 adolescents (462 from Korea; ages 12 to 15 years) recruited from four middle schools located in three different cities in Korea and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Alabama, U.S.A.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serial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ological self-blame and internalizing problems on the relation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worth in both Korean and the U.S. adolescents.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evidence for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mitigating the detrimental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on self-worth i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