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에 나타난 지눌의 선교관

        김방룡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7 No.-

        보조 지눌의 사상은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간화경절문(看話徑截 門) 등 삼문(三門)의 종합적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사상 속에는 돈오점수(頓 悟漸修)와 선교일치(禪敎一致) 및 간화선(看話禪)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고 있다. 지눌은 선사(禪師)임에도 불구하고 선과 교가 일치하는 근거를 찾기 위해 대장경을 열람하였으며, 결국 이통현의 『신화엄론』을 통하여 화엄과 선의 일치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다시 대혜 종고의 간화선을 들여와 실천적인 면에서 선의 우위성을 주장하였다.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은 지눌의 말년 저작으로 그의 화엄사상과 간화선사상이응축되어 있다. 특히 이 두 저서 속에는 지눌의 화엄과 선사상의 핵심내용 및 그의 종합적인 선교관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저서의 저술 동기 및 핵심내용을 소개하고, 이어 각각의 저서에 나타난 선교관을 밝혔다. 끝으로 두 저서에 나타난 지눌 선교관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원돈성불론』이 선교일치의 측면을 중시하였다면, 『간화결의론』은 실천에 있어서 간화선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화엄종이 주류를 차지하던 지눌 당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이러한 지눌의 상반된 관점이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Bojo Jinul(普照知訥)’s thought can be explained by the comprehensive system of Three gates(三門), Seongjeokdeungjimun(惺寂等持門), Wondonsinhae mun(圓頓信解門), Ganhwagyeongjeolmun(看話徑截門). In his though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coinciden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and Ganhwaseon are coexistent in harmony. Eventhough Jinul him self was a Seon master, he had studied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to find the evidence of the coinciden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and finally he identified the correspondence of Huayan and Seon with Lǐtōngxuán(李通玄)’s Sinhw-aeomron(新華嚴論). After that, he had brought Dahui Zonggao(大慧宗杲)’s Ganhwaseon(看話禪), and insisted on the superiority of Seon in practical terms. Jinul’s latter year’s work, Wondonseongbulron(圓頓成佛論) and Ganhwagyeo leuiron(看話決疑論) are condensed with his Hwaeom(華嚴) thought and Ganhwaseon(看話禪) thought. Especially in those two works contain the key contents of Jinul’s Hwaeom thought and Seon thought, and also well characterized with comprehensive features of his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In this study, I introduced the motives and core contents of the two book, and disclosed the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contained in each works. Finall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In this article, we trying to reveal th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iinul’s conflicting perspective in the situation of Goryeo buddhism, where Huayan school(華嚴宗) was mainstream. Wondonseongbulron(圓頓成佛論) put stressed on the aspect of the coinciden 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while Ganhwagyeoleuiron(看話決疑論) emphasized the Ganhwa Seon’s superiority in practices.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veal th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iinul’s conflicting perspective in the situation of Koryeo Buddhism occupied by Huayan school(華嚴宗) as a mainstream.

      • KCI등재

        지눌(知訥)의 이통현(李通玄) 사상 수용과 선교일치(禪敎一致)

        이유진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Jinul(知訥, 1158~1210) was a figure who sought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Seon(禪, in Chinese, Chan) and Gyo(敎, in Chinese, Jiao) with his own Seon Gyo Congruence Theory(禪敎一致)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nflict had been intensified. The Fact that Jinul forms his philosophical framework centered on Li Tong-xuan(李通玄, 635?~730?)’s thought is often referred as a unique aspect. It is due to the fact that Li Tong-xuan’s thought is a non-mainstream unlike mainstream such as Fazang(法藏, 643~712). However, if you look at the background of Jinul’s acceptace of Li Tong-xuan’s thought, you can see that there was a natural series fo processes. Li Tong-xuan emphasized the equality between the sentient being(衆生) and the Buddha through the concept of Genben-puguang-mingzhi(根本普光明智, the Fundamentally Clear knowledge of Universal Illumin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his thought showed an affinity with Seon, and was accepted by various Buddhist monks around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975), which Jinul significantly quoted from his early writings, also quoted the Xin-huayan-jinglun(新華嚴經論, The Commentary on New Huayan Sutra) a lot in Zongjing-lu(宗鏡錄, Records of the Source-Mirror). Jinul seems to have been sensitive to trends in Chinese Buddism from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to Song Dynasty through Zongmi(宗密, 780~841) and Yongming Yanshou. That currents were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and the Fusion of Different sects(諸宗融合). Jinul became interested in Huayan(華嚴, in Sanskrit, Avataṃsaka) and also encountered Li Tong-xuan’s thought through the writings of Yongming Yanshou. After reading the Xin-huayan-jinglun, Jinul realized that Seon and Gyo were consistent and insisted on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It was firmly established by writing Wondon-seongbul-lon(圓頓成佛論, The Complete and Sudden Attainment of Buddhahood). Misundertanding of Seon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Huayan-jing are what makes Seon and Gyo at odds. Therefore, the fact that Seon and Gyo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proved by the concurrence of the Li Tong-xuan’s Huayan-jing(華嚴經, the Avataṃsaka-Sūtra) interpretation and Chan school. Jinul actively interpreted and accepted Xin-huayan-jinglun and completed his Seon Gyo Congruence Theory. According to Jinul’s interpretation, Li Tong-xuan’s thought is ‘Dunwu(頓悟,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Xingqi(性起, nature origination)’. This is linked to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mind itself is Buddha(卽心卽佛)’ in Chan school. In short, Jinul’s Seon Gyo Congruence Theory was completed by sublimating the phrase that Jinul found in Li Tong-xuan’s Huayan thought into the language of Chan school. 지눌(知訥)은 선과 교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던 고려말에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선양하며 선교의 대립을 해소하려 한 인물로, 그 사상의 교학적 근거는 당대(唐代) 법장(法藏)과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인물인 이통현(李通玄)의 화엄 사상이다. 지눌이 이통현의 사상을 중심으로 사상체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종종 지눌의 독특한 일면으로 언급되곤 하는데, 이는 이통현의 사상이 법장 등 주류 화엄과는 다른 독자적인 화엄 사상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지눌이 이통현 화엄 사상을 수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여기에는 자연스러운 일련의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통현은 근본보광명지(根本普光明智)라는 개념을 통해 중생과 부처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상 선과의 친연성을 보이며 선교일치 사상이 등장할 무렵에 여러 조사에게 수용되었다. 지눌이 초기 저술부터 중요하게 인용하고 있는 영명 연수(永明 延壽) 또한 종경록(宗鏡錄) 에서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을 다수 인용하고 있다. 지눌은 종밀과 연수 등을 통해 선교일치와 제종융합(諸宗融合)이라는 오대(五代)~송대(宋代) 불교계의 사상적 동향을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리고 연수의 저술을 통해 화엄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통현의 존재 또한 알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신화엄경론 열람 후 지눌은 선과 교가 일치함을 온전히 깨닫고 선교일치를 주장하였다. 이는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을 통해 공고히 정립되었다. 선과 교가 대립하는 건 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화엄경 의 종취에 대한 다른 해석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교가 다르지 않음은 이통현의 화엄경 해석과 선종에서 말하는 바가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다. 지눌은 신화엄경론 을 적극 해석하고 수용하며 선교일치를 완성하였다. 지눌에 따르면, 이통현의 화엄 사상은 ‘돈오(頓悟)’와 ‘성기문(性起門)’이다. 이는 선종의 ‘돈오’와 ‘마음이 곧 부처’[즉심즉불(卽心卽佛)]와 연결된다. 요컨대, 지눌이 선양한 선교일치는 지눌이 이통현의 화엄사상 속에서 찾아낸 구절을 선종의 언어로 승화해냄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 KCI등재

        용성진종 선교관의 특징

        김호귀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40 No.-

        불교가 출현한 이래로 붓다의 가르침을 선과 교학의 관계로 나누어 논의 해온 것은 중국불교에 와서 두드러졌다. 그것은 한자문화권에서 종파 내지 학파가 형성되던 남북조시대부터 논의되어 전승되었다. 그것이 교학 자체의 측면에서는 교판이론으로 제시되었는가 하면, 수·당의 시대에 선종이 출현 하고 발전하면서 기존의 교학과 선의 관계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후로 선 과 교의 관계는 점차 상대를 비난하는 지경에 이르자, 그것을 화회하려고 당 의 종밀은 도서에서 선의 삼종(三宗)과 교의 삼교(三敎)를 대비시켜서 논의 함으로써 선교융합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중당 이후부터 선종이 크게 득세하면서 선교관은 선종의 우월주의 에 입각한 주장으로 제기되었다. 곧 교학에 의거하여 선의 종지를 해명하는 [卽敎明宗]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주장이 크게 출현하였다. 그로부터 선종사 에서는 선과 교학의 관계가 선교차별, 선교일치, 선교융합의 세 가지 유형으 로 전개되었다. 이들 세 가지 입장은 공통적으로 선종의 일방적인 차원에서 논의한 것들로서 선주교종의 견해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선과 교학의 관계에 대하여 용성진종의 견해는 교학과 선의 독립 성을 인정한 바탕에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입장에 해당하는 종교립선(從 敎立禪)에 해당한다. 선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깨달음은 경전의 기 준에 근거하여 그 점검을 확인하는 인가를 보증할 수가 있었는가 하면, 불법 의 사회화 운동으로 교화에 나서는 방편으로는 반드시 경전을 근거로 하는 올바른 안목을 갖추고 대중의 교화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용성진종의 종 교립선은 선과 교학의 관계가 선은 교학에 의거하여 보증받고, 교학은 선에 의거하여 연설됨으로써 완성을 지향하는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Doctrinism has been discussed and handed down since the days of the South and North dynasty in China. The South and North dynasty in China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sects or schools were formed in Chinese Buddhism. In Doctrinism, it was presented as a chess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Doctrinism emerged as Zen-sects emerged and developed in the days of Sui(隋) and Tang(唐). Guifeng-Jongmi(圭峯宗密, 780~841) tried to harmonize Zen and Doctrinism in DuXu(都序), saying Zen corresponds to Buddha's mind and Doctrinism corresponds to Buddha's word by contrasting the three cores of Zen and three kinds of doctrine of Doctrinism. However, since Mid-Tang, Zen and Doctrinism have developed greatly, and view-points of Zen and Doctrinism have almost unilaterally flowed into claims based on Zen-sects. For example, Shejiaoruchan(捨敎入禪)'s argument, which explains the core of Zen based on Doctrinism, has appeared largely. This trend appeared mainly after studying Doctrinism and moving toward Zen-sects. Since then, in the history of Zen-s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Doctrinism has been developed into three types: Chanjiao-chabie(禪敎差別), Chanjiao-yizhi(禪敎一致), and Chanjiao-ronghe(禪敎融合). Chanjiao-chabie is a claim that Zen and Doctrinism are discriminated, Chanjiao-yizhi is a claim that Zen and Doctrinism are unified, and Chanjiao-ronghe is a claim that Zen and Doctrinism are fused. These three positions are all discussed at the one-sided level of Zen sects, which strongly reflects the view that Zen is central and Doctrinism is helping Zen. However, regarding these view-points of Zen and Doctrinism, Yongsung-Jinjong(龍城震鐘, 1864~1940) acknowledged the independence of Zen and Doctrinism and put forward the view of Congjiao-lichan(從敎立禪). Congjiao-lichan is that Ze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Doctrinism, and Zen is complete on the basis of Doctrinism. This was a unique perspective demonstrated by Yongsung-Jinjo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points of Zen and Doctrinism.

      • KCI등재

        허응 보우(虛應普雨)의 선교일체관(禪敎一體觀)

        한선옥 ( Han Sun-O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1 禪文化硏究 Vol.30 No.-

        선교의 태동은 신라 법랑의 선법 전래로 시작되어 교와 선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대각 의천이 교종일색이던 때에 천태를 선종으로 하는 교주선종(敎主禪從)의 교선일치(敎禪一致)를 본격적으로 주창하여 교선융합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후에 보조 지눌은 이통현의 화엄사상 중에서 원융사상에 기반 한 선주교종(禪主敎從)의 선교일치를 수용함으로서 교주선종에서 선주교종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허응 보우는 이러한 선교차별의 양상을 극복하고자 ‘선 중심의 교’나 ‘교 중심의 선’의 차별을 전제로 하는 일치가 아니라 선과 교는 본래 평등한 일체라는 상즉의 원리와 원융무애사상 그리고 선교불이의 관점에서 ‘선교일체관’을 주창하여 변혁하려 하였다. 허응 보우의 ‘선교일체관’의 사상적 기반은 화엄사상 중에서 상즉원융관(相卽圓融觀)과 본래성불사상(本來成佛思想)에 근거하고 있다. 내용상으로 『화엄경(華嚴經)』의 돈교(頓敎)와 원융무애에 입각한 불이사상(不二思想)과 묘체와 묘용이 곧 하나의 체이면서 용이라는 상즉원리에 근거한 선교일체론을 주창하고 있다. 선교일체의 관점의 변화는 대각 의천의 교선일치에서 보조 지눌의 선교일치의 불일치를 넘어 선·교가 원융무애한 일불의 평등관계로 합일하는 원융불이, 체용일체의 관점으로 방법상 원관의 상즉원융관의 입장에서 주창하는 특징은 완성적 의미를 담고 있다. Heo Eung Bow's an ideological foundation of Seon - Gyo Ilchegwan(禪敎一體觀) is Won - Yung - Mu - Ae(圓融無碍) and an idea of being Buddha originally(本來成佛思想). Heo Eung Bow explained the Buddhist ideas based on Don - Gyo(頓敎), Won - Yung of Hwaeom - Gyeong (華嚴經, Buddhāvataṃsaka - mahāvaipulya - sūtra), and an original nature(本性). In the thought of Seon and Gyo, While Daegak Uicheon(大覺義天, 1055 - 1101) advocated the Gyoju - Seonjong(敎主禪從), Bojo Jinul(普照知訥, 1158 - 1210) advocated Seonju - Gyojong(禪主敎從). However, The change in Bow's view of Seon - Gyo - Ilchi(禪敎一致) is not an inconsistency on Union of Seon - Gyo claimed by Bojo Jinul, but rather an equal relationship that harmonizes with each other. As such, his ideas are Won - yung - Bul - ie(圓融不二), Che - yong - Il - che(體用一體). In addition, Sang - Jeuk - Won - Yung - Gwan(相卽圓融觀) in the methodology have a complementary meaning.

      • KCI등재

        허응당 보우의 사상 구조

        이병욱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2 No.-

        이 논문에서는 허응당 보수의 사상에 대해 선교일치(禪敎一致)와 유불일치(儒彿一致)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선교일치에서 보자면 허응당 보우는 선(禪)과 돈교(頓敎)인 『화엄경』의 일치를 주장하였고, 나아가 『화엄경』에 근거해서 유교불교도교의 일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유불일치에서 보자면, 유교와 불교의 일치에서 더욱 진전해서 유교와 불교의 결합을 시도하였고, 그것도 유교의 언어와 관점으로 불교의 내용을 서술하였다.

      • 혜암 이장식의 화해와 일치의 신학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 글에서 필자는 혜암 이장식(惠岩 李章植)이 추구한 화해와 일치의 신학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혜암이 제시한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를 규명하고, 그다음에 화해와 일치에 관한 혜암의 주장을 분석하고, 끝으로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 속에서 혜암이 화해와 일치의 관점을 일관성 있게 지키며 제시한 의견을 살핀다. 첫째,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에 관련하여 필자는 혜암의 논증방식이 철저하게 기독론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는 성육신 사건의 해석을 통하여 하나님이 개입하는 역사의 현실성을 강조하고,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역사의 궁극적 의미가 화해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하나님이 펼치는 역사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을 부각시켰다. 이와 동시에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연합하는 방식으로부터 하나님 나라와 세상의 차이와 변증법적 긴장관계를 설득력 있게 논증했다. 둘째, 화해와 일치에 관하여 혜암은 먼저 화해의 종말론적 차원과 우주적 차원을 강조했다. 하나님 나라에서 완성될 화해의 비전을 품고서 교회는 오늘 이곳의 현실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온 피조물 사이의 화해를 위해 일해야 한다. 그다음, 혜암은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화해의 사역을 수행하는 교회는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굳게 견지했다. 그는 종교개혁 이후에 확립된 교파주의의 현실 속에서도 신학의 차이가 교회의 통일성과 일치를 깨뜨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다양성 속에서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다. 신앙의 차이 때문에 사랑의 친교에서 실패를 하는 교회가 세상에서 화해의 사역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혜암의 지론이었다. 끝으로, 혜암이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하면서 정의를 위해 투쟁하는 교회의 일치를 강조하였고,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교회의 분열을 경계하였다. 필자는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가장 첨예한 논제들, 곧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교회와 국가, 선교의 자유 등에 관한 첨예한 논쟁에서 혜암이 취한 입장을 분석했다. 1)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에 관해 혜암은 둘이 불가분리적이어서 동시에 추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2)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해서 혜암은 어거스틴과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을 받아들여 하나님의 통치를 위해 세워진 두 기관의 사무적 분립과 협력을 강조하였고, 3) 선교의 자유에 대해서는 미국 헌법의 모델에 따라 국가가 교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신앙의 자유와 선교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unity of Chang Sik Lee and evaluate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I examine his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then analyze his articulation of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lastly point out that he kept a consistent view of reconciliation and unity in his opinions to conflicts and debates about the missio Dei (Mission of God). First, concerning the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I pay attention to that his arguments were thoroughly Christological-oriented. From the Incarnation he drew the reality of history in which God intervenes. He identified that reconciliation is the ultimate meaning of the history that God rules by providence. He emphasized that mankind as God’s image cooperate with God in history. At the same time, he convincingly inferred the difference and dialectical tension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world from the mysterious mode in which the divinity and the humanity of Christ are distinguished, but not separated, and united, but not confused. Second, regarding reconciliation and unity, he first emphasized the eschatological and cosmic dimensions of reconciliation. The church, which has her vision of reconciliation to be completed in the kingdom of God, must work now and here for reconciliation among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creation. Then, he firmly believed that the church should stay in unity in her work for reconciliation in the world according to God s will. He accepted the reality of denominationalism established after the Reformation, but he argued that the difference in theology dares not to break the unity and catholicity of the one church. In this sense the church should seek unity in diversity. His main thesis is that, if the church fails in love communion because of differences in faith, she cannot properly perform the work of reconciliation in the world. Third and lastly, he emphasized the unity of the church in the struggles for justice in the mission of God. He was wary of that the debates on the following issues related to the mission of God could lead to division and schism of the church: personal salvation and/vs. social salvation, church and state, and freedom of mission. These issues broke ou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hurches in Korea in 1970s. In such a situation he intended to maintain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o articulate prudently his opinions to the three hot issues. 1) He argued that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both must be pursued simultaneously. 2)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he accepted the position of Augustine and the Reformers Luther and Calvin.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two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God s reign in the world. The two institutions have their own mission, one dares not to intervene in the other’s mission, but must cooperate for the reign of God. 3) Concerning the freedom of mission, he followed the model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nd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entence should be written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 state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religion. In that way, so he claimed, the state should guarantee freedom of faith and freedom of mission, including the freedom of the church to join the mission of God.

      • KCI등재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선교일치 십소이(十所以)에 드러난 규봉종밀의 선교관(禪敎觀)

        嚴美鏡 ( Um Mi-k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종밀은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에서 선문의 근원을 설하는데 있어서도 경론을 관련지어 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선문의 모든 수행의 근본은 경론을 근거하여야 함을 밝히고 있다. 경론을 이끌어서 선과 일치시키고자 하는 이유를 설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십소이(十所以)’에서 교문의 경론에서 설하는 요지에 근거하여야 선의 가르침도 정통성을 갖는다는 논리를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으로써 선문을 융섭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를 볼 수가 있다. 이는 당시 마조의 홍주종이 흥세함에 따라 교학의 약세로 말미암아 화엄종의 제5조였던 막중한 위압감으로 인해 화엄교학을 선문과 일치시키고자 함을 알 수 있고, 선문 가운데에서도 그가 속한 하택종의 교의로서 여타의 선문과 비교하여 그 우위를 설함으로써 하택종의 제5조로서 당시 흥성하고 있던 홍주종을 의식한 면도 엿볼 수가 있다. 종밀은 선종의 ‘달마가 전한 심(心)의 의미’에 대해 선종 내 4종의 종파에 전해 내려오는 가르침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심천득실을 판명함으로써 달마의 ‘심’은 결국 하택종으로 흘렀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당시 종밀의 시대적인 문제의식이 반영되었다. 당시 갈등을 빚고 있던 선종 내 여러 종파 간의 대립을 해소시키고자 한 그 나름의 해결방식을 사용하여 선문을 통합하려고 하였다. 또, 선문의 가르침도 결국 교문의 경론에서 의거하기 때문에 선과 교가 다를 바 없음을 설파하는 것으로서 선과 교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종밀의 깊은 심중에는 선문의 하택종의 정통성과 약해져가는 교문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일환으로 선교일치의 이론을 펴게 된 것이다. 선문의 입장에서 화엄종을 융섭하고자 한 보조 지눌과는 반대 입장이었던 종밀의 선교일치의 주장 속에는 선이 흥성해감에 따라 화엄종 제5조로서 화엄교를 지키고자 하는 그의 입장이 엿보인다. 또한, 선문의 하택종의 제5조이기도 한 그는 선문의 4종 가운데에서도 하택종의 종지가 우위가 됨도 논하고자 하였다고 본다. Zongmi also described the source of the Chan school in the 『SeonWonJeJunJipDo Seo(ChanYuanZhuQuanJiDouXu; 禪源諸詮集都序) 』, and in the end, it is clear that the basis of all the practice of Chan school should be based on the Sutra. The Buddha through the logic that the teaching of Chan has legitimacy only if it is based on the gist of the scriptures of the Doctrine school in ‘Ten reasons of harmonious integration of Chan and Doctrine’, which explains the reason to lead the scriptures to match the good. You can see his intention to cultivate Chan school through the teaching of. It can be seen that, as Mazu’s Hongju Order became prosperous at the time, due to the weakening of teaching, he wanted to match Huayan doctrine with the Chan school. By explaining its superiority compared to Chan school, it is possible to glimpse the consciousness of Hongju Order, who was prospering as the 5th Great Master of the Heze Order. Zongm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s passed down to the four sects of the Chan school on the meaning of ‘the heart(心) conveyed by the Damo(達摩)’ of the Chan school, and found teaching of the deep and shallow, gains and loss. By proving that, Zongmi’s consciousness of problems of the times was reflected. In order to resolv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sects within the Chan school that was causing the conflict at the time, he tried to unify the Chan school by using its own solution. As a result, Zongmi’s deep intention was to unfold the theory of missional unity as part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Heze Order of Chan school and its weakening posi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n school, in the argument of the missionary unity of Zongmi, who was opposed to Jinul, who tried to cultivate the Huayan Order, his position to protect the Huayan Order as the 5th Great Master of the Huayan Order is seen as the Chan school rise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he, who is also the 5th Great Master of Heze Order of Chan school, wanted to argue that the ending of Heze Order became the dominant among the four sects of Chan school.

      • KCI등재후보

        선교신학 : 에큐메니칼 선교의 "선교 내용" 이해

        안승오 ( Seung Oh Ah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선교란 “종교를 널리 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선교란 한 종교가 진리의 전파를 통해 그 종교를 확장해 가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선교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독교는 전통적으로 전달해야 할 내용을 비교적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었으며, 구원의 도리인 복음이 그 내용이라는 데 큰 이의가 없었다. 에큐메니칼 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1910년 에딘버러 대회는 “이 세대 안의 세계의 복음화”를 목표로 삼았고, 다만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협력’이라는 주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었다. 즉 에큐메니칼 신학 역시 그 출발 지점에서는 선교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었고, 다만 선교의 방법 즉 협력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후부터 에큐메니칼 선교는 선교의 내용에 대해서도 점차 다른 관점을 갖기 시작했다. 1968년에 모인 웁살라 총회는 선교의 목표를 ‘복음화’에서 ‘인간화’로 바꾸면서 선교에서 전해져야 하는 내용은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복음’ 이기 보다는 ‘인간다운 삶’이었고, 1973년의 방콕 CWME 대회에서 ‘오늘의 구원’을 외침으로 말미암아 단순히 영혼이 거듭나는 구원이기보다는 삶의 전 영역이 해방되는 통전적 의미의 구원을 말하게 되었다. 즉, 선교의 내용이 영혼 구원의 협소한 개념에서 영과 육, 개인과 사회, 인간과 모든 피조물을 포함하는 아주 폭 넓은 의미의 구원 개념을 지니게 되었다. 선교 내용과 연관된 이와 같은 변화된 이해는 선교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선교는 단순한 복음 전도 위주의 활동에서 인간의 모든 부분, 사회 구조, 그리고 전 피조세계를 변화시키는 활동으로 이해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에큐메니칼 선교에 있어서 선교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먼저는 에큐메니칼 선교의 내용이 전통적인 선교의 내용과 달라진 배경을 살펴보았는데, 여기에는 세계에 대한 폭 넓어진 관심,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 그리고 창조신학적 이해 등이 있음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조성된 에큐메니칼 선교의 내용은 전통적인 선교에서 전달된 내용과 비교하여 통전적 구원 이해의 경향, 만유의 화해와 일치, 생명 살림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해는 협소한 전통적 구원의 개념을 통전적으로 이해하게 하고, 구원을 인간에게만 적용하던 이해에서 인간 뿐 아니라 모든 피조물에게 적용하게 하고, 생명의 의미를 영적인 측면 뿐 아니라 육적인 차원과 관계적인 차원까지 확장한다는 점에서 많은 기여를 한 면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강점은 동시에 그림자를 또한 지니고 있는데, 구원 개념의 확장은 전통적으로 선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전달되어야 하는 내용인 회개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고, 만유의 화해는 선교에서 가장 핵심 사항 중 하나인 전도의 필요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넓어진 생명 개념은 구령 열정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에큐메니칼 선교는 그 내용을 전달함에 있어서 이러한 점을 잘 보완해 갈 때 바람직한 방향의 선교 내용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In a general sense, mission means "widening a religion broadly." In other words, mission is an activity of widening a religion through propagation of truth. In carrying out this mission, in the past, Christianity was able to express the content that should be transmitted in a concise way. It was no other than the Gospel, the way of salvation. The Edinburgh Assembly, a first meeting of ecumenical movement, also made a purpose of its goal as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 It means that the assembly also considered the contents of mission as ‘the gospel,’ though it had a deep interest in the way of cooperation in transmitting the gospel to the world. Howev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ecumenical mission started to have a different view of its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to evalu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cumenical view. In carrying out this paper, the first thing that I was interested was the major background of this difference. What were the major reasons of this difference? I found out the motivation as the widened interest in the world due to Missio Dei, a new and broad understanding about human, and an understanding of creational theology.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e contents of ecumenical mission show traits of the concept of wholistic salvation,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hole universe, and emphasizing wholistic life. This kind of understanding has various strengths. It helps us to view the meaning of salvation in a more comprehensive way. It also makes us to apply the meaning of salvation not just to humanity but also to whole creation. In addition to these, it widens the meaning of life from just a spiritual dimension to a broader dimension which includes physical and universal aspects. However, these kinds of strengths contain various weaknesses as well. The widened view of salvation can weaken the necessity of repentance which is a core of content of mission. Also the reconciliation of the whole universe can weaken the necessity of evangelism which is a core duty of mission. Lastly, the widened understanding of life has a possibility of weakening the enthusiasm of saving souls. It seems ecumenical mission needs to compensate these weaknesses to make it more appropriate and powerful in carrying out its mission.

      • KCI등재

        조선중기 선교관의 변천과 특징 고찰

        김호귀 ( Kim Ho-gu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한국불교에서 선종은 큰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한국선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불교를 이해하는 하나의 입장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선과 교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중국선보다도 그리고 일본선보다도 특히 한국불교에서 선종의 성격이 비교적 강하게 전개되어 왔기 때문이다. 고려중기 이후부터는 선교융합 내지 선을 우위에 둔 선교관이 팽배하였다. 이와 같은 전통은 조선의 전기 및 후기까지도 전반적인 추세는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는 선과 교의 관계에도 변화된 모습이 드러난다. 16세기 휴정은 전반기의 저술인 『선가귀감』에서 부분적인 선교융합의 자세를 보였지만, 후반기의 저술인 『선교석』과 『선교결』에는 선교차별의 모습을 보였다. 이것은 단순한 선교차별이라기보다는 교학을 바탕으로 하여 선에 들어간다는 從敎入禪의 모습으로 발견된다. 나아가서 17세기에 출현한 『선교총판문』에서는 일찍이 종밀의 선교관을 충실하게 수용하여 선교융합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곧 불법의 전체적인 구조속에서 선과 교의 위상을 제시하여 결국 선과 교가 차별이 아닌 상호 보완적이고 차제적인 관계임이 드러난다. 그러나 18세기에 출현한 『선교대변』에는 다시 기존의 선교차별의 입장이 강하게 제시되었다. 『선교대변』에서는 첫째로 선교에 대한 대의가 차별이라는 점으로부터 출발하였고, 둘째로 다양한 문헌을 인용하여 선교차별의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셋째로 선교관에 대한 몰이해에 대한 비판을 가하여 선교차별을 넘어서 禪主敎從의 입장을 지향하였다. 이와 같이 선교관에 대하여 조선 중기에 출현했던 선교일치, 선교융합, 선교차별, 종교입선, 사교입선 등의 몇 가지 특징적인 모습은 선과 교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다양하게 등장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가 있다. 그것은 보다 넓게 보자면 불법의 체계에 대하여 전적으로 선종의 관점에서 평가된 것이었기 때문에 일정 부분 그 한계는 남아 있다. We can see that the view of zen and doctrinism begin from China zen sects. Since the advent of zen thoughts from China in the end of Shilla and early Koryo era, so called, the quickening period of Korean zen, there are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of Korea Buddhism. Namely, Jinguizosaseol(眞歸祖師說) by Mooyeom(無染) and Mooseoltoron(無舌土論) by Bumil.(梵日) The appearance of these opinions was owing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in beginning ear of Korean Zen. In other time, we can consistency or harmonize or complex of zen and doctrinism. But, generally speaking the tradition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was remaind since then. For that reason, the concept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fixed idea in Korean zen through development period. But, in the middle age of the Choson dynasty(16c), come in evidence complex of zen and doctrinism by CheongheoHyujung(淸虛休靜) based on Seongaguigam(禪家龜鑑) his the first half year. On the other hand, come in evidence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by CheongheoHyujung based on Seongyoseok(禪敎釋) and Seongyogyeol(禪敎訣) his the second half year. Since then, in the middle age of the Choson dynasty(17c), come in evidence harmonize of zen and doctrinism based on Seongyochongpanmoon(禪敎摠判門) by unidentified person. Thereafter, there are come in evidence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of Korea Buddhism in the middle age of the Choson dynasty(18c) based on Seongyodaebyeon(禪敎對辨) by Moogyeongjasu(無竟子秀). In the Later age of Choson dynasty, The tradition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was succeed to in the Later age of Choson dynasty. MoogyeongJasu compared the relations with zen and doctrinism. The relations with zen and doctrin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is the view of practices in zen and doctrinism. Second is the view of enlightenments in zen and doctrinism. Third is the view of educational movement in zen and doctrinism.

      • KCI등재

        無竟子秀의 선교관 및 그 주제에 대한 고찰

        김호귀(金鎬貴)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중국선에서 선과 교의 관계에 대한 입장은 선교일치 내지 선교융합의 자세를 통하여 선교의 차이가 논의되기도 하였다. 중국 조사선의 가풍을 수입한 한국선에서도 선법의 수입시기부터 토착화를 이루고 전개되며 전승되었던 모든 시대에 걸쳐서 선교에 대한 입장은 지속되어 왔다. 선법의 전승시기에는 특수한 상황으로서 의도적인 선교차별을 통해 선법의 토착화가 모색되었다. 이후 본격적인 선법의 전개시기인 고려 중기에는 지눌에 의하여 선교의 일치 융합의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지만, 그것도 선의 우월성과 관련된 것이었다. 조선시대 교와 선의 통합시대에 청허휴정의 경우에도 여전히 교에 대한 선의 우위가 강조되었다. 조선후기의 무경자수는 임제종을 계승한 선자이면서 조사선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선교에 대한 비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선교대변」이라는 글을 통해 납자들에게 선교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촉구하였는데, 여기에서 교에 상대한 선의 우월성을 주장하였다. 선교에 대한 오해의 네 가지 사례를 비롯하여, 선교의 다섯 가지 대비점 등에 대하여 근거로서 전래한 선의 문헌을 중심으로 선교차별에 대한 입장을 보여주었다. 여기에서는 수행의 성취와 깨침의 속성과 교화의 방식이라는 세 가지 유형을 통해 선교에 대한 우월 나아가서 차별의식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무경자수의 선교관은 선법의 수입시기부터 지속되어 왔던 한국선의 선교에 대한 입장의 계승이기도 하다. We can see that the view of zen and doctrinism begin from China zen sects. Since the advent of zen thoughts from China in the end of Shilla and early Koryo era, so called, the quickening period of Korean zen, there are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of Korea Buddhism. Namely, Jinguizosaseol(眞歸祖師說) by Mooyeom(無染) and Mooseoltoron(無舌土論) by Bumil.(梵日) The appearance of these opinions was owing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in beginning ear of Korean Zen. In other time, we can consistency or harmonize or complex of zen and doctrinism. But, generally speaking the tradition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was remaind since then. For that reason, the concept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fixed idea in Korean zen through development period. Later of Joseon dynasty, his complex and consistency of zen and doctrinism was found in CheongheoHyujung, namely, a high priest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rough Seongaguigam(禪家龜鑑). But his ultimate contention was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This contention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recorded in his works, Seongyosuk(禪敎釋) and Seongyogyul(禪敎訣). These tradition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was succeed to in the later of Joseon dynasty, the high priest MoogyeongJasu in Seongyodaebyun(禪敎對辨). MoogyeongJasu compared the relations with zen and doctrinism. The relations with zen and doctrin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is the view of practices in zen and doctrinism. Second is the view of enlightenments in zen and doctrinism. Third is the view of educational movement in zen and doctrinism. MoogyeongJasu analyzed the relations of zen and doctrinism. In the end, the studies about view of zen and doctrinism were concluded that they are discrimination. These opinions of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originated and expanded from one’s own superiority, so called, zen sects have a sense of his own superiority over doctrinism, and best way transmit about the Highest Supreme True Enlightenment(正法眼藏) of Buddha. We concluded that the discrimination of zen and doctrinism in the history Korean zen was a distinctive fe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