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본고는 향교의 생활상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학의 기본 학령인 <학령>과 지방 향교의 학령인 <경주향교학령>, <안동향교학령>, <복천향교학령>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의 입학시험에 관한 것이다. 儒者나 평민이 향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교생 10인 이상이 입학 할 사람의 志學을 추천해야 했으며, 그 다음에 小學 과목을 講해서 粗通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가능하였다. 두 번째는 수업과 관련하여 향교의 교재, 수업방식과 벌, 휴가와 방학에 관한 것이다. 향교의 교재는 대부분 小學, 四書五經, 近思錄, 性理大全, 朱子家禮 또는 儀禮가 교재로 채택되었으며, 수업은 1교시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講을 통해 복습하고, 2교시는 새롭게 배운 내용을 토론을 통해 익혀 나가는 것이었다. 한편, 수업 중 집중하지 않거나 졸거나 할 때에는 회초리 또는 과제를 부과하는 벌이 가해졌다. 향교의 휴가 횟수는 각 지방향교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방학 도한 정기적인 것이 아니라 농번기나 흉년이 들었을 때 수시로 하고 있었다. 세 번째는 그 밖의 생활상으로 향교 일상생활에서 행해지는 일들을 살펴보았다. 향교에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적인 문묘참배 행사가 있었고, 교생이 起牀하여 아침식사를 하기까지는 세 단계를 거치고 있었는데, 침상에서 일어나는 단계, 의관을 정제하고 독서를 하는 단계, 식당에 가서 식사를 하는 단계였다. 식당을 출입할 때는 식당에 온 차례대로 식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자 순으로 식사를 하여 장유유서가 철저히 지켜지고 있었다. 교생이 守令, 師長, 鄕老, 先達 등을 대할 때는 교관과 동등하게 대우하였다. 이상, 향교에 대한 본고의 소개가 향교의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introducing the lifestyle of confucian school which was called hyanggyo. For this purpose, I considered several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system and regulation of hyanggyo. It includes both national school and regional school. I especially suggested Kyungju, Andong and Bokchun as representative examples for regional school. For the result, I found out some distinct features like following. First thing is about the entrance examination. If scholars or ordinary persons wanted to get into the hyanggyo, they need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rom more than ten scholars, and also need to get a prominent grade in the subject of Sohak(小學). Second thing is about the textbooks, teaching system, reward and punishment, and vacation. Usually, the nine chinese classics, Sohak, Keunsarok(近思錄), Sunglitaejeon(性理大全), Jujakarye(朱子家禮) were selected as primary texstbooks, and most hyanggyo used similar textbooks. The class was devided into two major periods. The first class was focused on reviewing what they learned last time, while the second class was focused on studying new materials by debating. If students didn't concentrate in class or doze over a book, then teachers caned their students or set extra tasks. The regulation holidays were given to the students on the eighth and twenty-third day of every month. However, it could be changed depend on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Third is about some diverse life style in hyanggyo. I looked after the periodical ceremony for Confucian shrine, the table manners, etiquette lessons.

      • KCI등재

        『瑣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金聲振(Kim Su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This paper analyzed the living style of the yangban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view of 『Shoaemirok』 , written by Oh Heemoon(1539~1613). 『Shoaemirok』 depicted the trivial and troublesome routine aspects realistically and sincerely, which were experienced in taking refuge during Japanese invasion from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unjo, that is, 1591 A.D. to his 34th year, that is, 1601 A.D. The true value of 『Shoaemirok』 lay in its literary style, even though it could be regarded as too demotic and simple.<BR>  Different food cultures in different periods were not only the constitution of daily lives itself but also their whole body itself, considering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living styles in the premodern times. However, it has not been easy to find much literature which recorded the food culture specifically. From this point of view, 『Shoaemirok』 was the best material for tracing our past living style.<BR>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construct and make inquiries into multifarious lives in view of the food and entertainment culture, and to complement or straighten some imperfections which could be found in previous studies. 『Shoaemirok』 mentioned almost all kinds of diets, but this paper dealt with what is called our traditional foods among them, such as Kimchi, soybean sauce, pickled seafood, tofu, noodle, and roasted fish or meat.<BR>  『Shoaemirok』 was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n itself, as this study reconstructed its records into several frames and sought their meanings. Moreover, the Oh Heemoon family was brought into focus and was analyzed from the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anges in some traditional foods including Kimchi and the living aspects of the yangb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본 논문은 吳希文(1539~1613)이 기록한 『?尾錄』을 통해 조선중기 양반가의 생활상을 살펴본 것이다. 『?尾錄』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선조24년(1591)부터 선조34년(1601년)까지의 생활을 기록한 것으로, 극히 일상적이고 번다한 생활상을 진솔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尾錄』의 글쓰기 방식은 종래의 문장관으로 보면 극히 통속적이고 쇄소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이것이 곧 『?尾錄』의 진정한 가치이다.<BR>  근세 이전 생활상의 복원을 염두에 둘 경우, 각 시대마다의 음식문화는 일상의 골격인 동시에 몸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음식문화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문헌은 그리 흔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식생활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는 『?尾錄』은 과거 생활상의 복원을 위해 더없이 좋은 자료이다.<BR>  본 논문은 『?尾錄』에 담겨져 있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천착하며, 기존의 관련 연구 가운데 다소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조금이나마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된 것이다.<BR>  『?尾錄』에는 거의 날마다 먹거리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김치와 醬醯, 두부와 국수처럼 이미 우리의 전통음식으로 굳어진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BR>  본 연구는 『?尾錄』의 기록을 몇 개의 틀로 재구성해서 그 의미를 찾는 것이므로, 『?尾錄』의 기록 그 자체가 주된 討究의 대상이었다. 또한 가급적 오희문 일가에 초점을 맞추어 놓고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김치를 포함한 각종 전통음식의 변천사나 조선후기 양반들의 삶의 모습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조선후기 庶民의 생활상과 풍속

        이문성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5 No.-

        신재효(申在孝)의 판소리 사설 6마당(춘향가심청가토별가박타령적벽가변강쇠가)은 판소리사(史)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예술과 사회상을 살피는데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특히 심청가박타령변강쇠가는 조선후기 서민의 일상사(日常事), 시절 풍속(時節風俗), 연희 풍속(演戱風俗)을 진솔하게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임노동(賃勞動)유랑생활잡기(도박)사채(私債) 등의 사례들은 고단한 서민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또한 추렴중로보기걸교하기외줄다리기상사소리 등의 어휘들은 당대 미풍과 시절 풍속을 반영하고 있으며, 호남의 농경문화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판소리 문화의 중심지인 호남과 신재효의 생애터전이었던 전북 고창의 풍속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일련의 방아타령은 기층음악의 생명력과 장르 교섭현상을 보여주며, 사당패를 비롯한 유랑예인에 대한 기사들은 조선후기 연희 풍속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신재효 사설은 조선후기 생활지(生活誌)이며 풍속지(風俗誌)라고 할 만하다. 따라서 신재효 사설은 판소리를 비롯한 예술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풍속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조선시대 봉수군의 생활상 고찰

        홍성우 한국문화유산협회 2020 야외고고학 Vol.0 No.37

        외세의 침입을 많이 받은 한반도에서는 오래전부터 봉수가 운영되었다. 봉수는 군사통신제도의 하나로, 주연야화(晝烟夜火)의 신호체계를 이용해 변경의 군사정보를 중앙과 주변지역에 신속히 알림으로써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봉수 연구는 봉수 운영과 봉수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글은 봉수를 운영하였던 봉수군이 연구대상이다. 봉수군이 직접 관리한 유구와 직접 사용한 유물을 중심으로봉수군의 생활상을 고찰하였다. 봉수대 설치 목적과 부합하는 유구는 망대·연대·연조가 있으며, 이는 후망(堠望)과거화(擧火)라는 봉수군의 주임무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봉수군의 주임무 외에 유물을 통해 다양한 생활상을 알 수 있었다. 숯이 담긴 접시를 통해 아궁이에서 연조까지 불씨의 이동방법을 유추할 수 있었고 무기류 중 철촉의 출토가 많은 것은 봉수대 주무기가 활이였음을 보여주며, 수마석은 긴급 상황 시를 대비하여 가장 많이 구비해 두었던 방어물품이었다. 호미와 채전(菜田)은 봉수군이 봉수운영 외에도 자급자족을 위한 자체적인 농업활동을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으며, 솥과 시루는 봉수대에서 직접 취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유물 중 식기류의 출토가 가장 많은 점은 봉수대에 근무하였던 오장 1명과 봉수군 5명의 인원을 감안한 출토량으로 추정되며, 높은 산에 자리한 봉수대에서 생활하는 봉수군들은 필요한 음식들을 비교적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도기나 옹기로 제작된 큰 저장기를 사용하였다. 패각류의 출토는 부식으로 조개를 가지고와 먹었으며, 이는 더운 여름 염분 섭취에도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often invaded by foreign powers, the system of beacon fires had been operated for a long time. The system of beacon fires, as one of the military communications systems, was established to cope with emergencies by rapidly delivering urgent military news at a border area to nearby areas and the central government using smoke during the daytime and torchlight at night. Previous researches have so far been focused on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signal-fire soldiers who operated the system, and aimed to identify how they lived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urviving structures they managed and the relics they used. The structures that survive include watch towers, fire stands, and fire places that met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signal-fire stations, which were related to the soldiers' main duties, surveillance and erecting signal-fires. In addition, the relics indicate and reveal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The way by which they moved embers from the furnace to fire place can be inferred through plates containing charcoal. Iron arrowheads, among weapons possessed, were the most extensively excavated from signal-fire station sites, indicating that the primary weapon used at fire-signal stations was bows, while a large stockpile of pebbles was the most commonly kept in reserve as defence items to prepare for emergency situations. Excavated hoes and kitchen gardens can be considered as evidence that signalfire soldiers engaged in their own agricultural activities for the purposes of self-sufficiency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beacon fires. Pots and steamers suggest that they cooked their meals at signal-fire stations. Tableware was the most excavated item among recovered relics, which seems to indicate that a total number of 5 soldiers worked together at a signal-fire stand; soldiers conducting duties at a signal-fire stand on a high mountain used big pottery items or onggi as a food storage container in order to store the necessary food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 excavation of seashells suggests that they brought shellfish there and ate them as a side dish, helping the soldiers to maintain adequate intake levels of salt in the hot summers.

      • KCI등재

        노상추일기로 본 조선후기 군호(軍號)에 담긴 생활상 연구

        김윤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한국학 Vol.46 No.2

        본고는 조선후기 군호 작명과 생활상의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해 법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궁성 방위와 야금 순찰에 활용된 군호의 시달 체계를 살펴보고, 조선후기 무관인 노상추의 일기에 기록된 군호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조선시대 순작(巡綽)은 개국 초부터 시행되었고 경국대전에도 군호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군호 조목은 속대전에 이르러 추가되어 담당관, 제출시간, 기밀 누설 시 형별, 교외 거둥 시 재가 방법 등이 수록되었다. 특히 군호보고와 전달은 궁성문 폐쇄 시간과 관계되어 매일 신시(申時, 오후 3~5시)에 업무가 이루어졌으며, 국왕 부재에 따른 2가지 군호 재가 방식은 왕세자 책봉과 관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대조례에는 대상(大喪)을 당했을 때 전날계하한 군호를 공제(公除)까지 사용한다는 조항이 추가되었으며, 노상추일기에는 정조 국장 중 군호 계하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이 밖에도 승정원일기를 통해 사례를 검토하여 피아식별용 암구호의 활용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노상추일기를 통해 정조~순조 연간인 1790년부터 1811년에 사용된 군호 422건을 목록화하였다. 군호는 모두 2글자 단어로 이루어졌으며, 사용 횟수에 따라 일회성 단어 234개, 2회 이상 사용된 단어는 55개로 총289개의 단어로 나타났다. 군호로 쓰인 단어는 왕실 행사, 무관 업무와 관련되며, 이 밖에도 비・눈・바람에 대한 관찰, 기우제 기간 중 강우 기원, 파종과수확, 24절기, 연월일의 순환, 자연 생태 순환 인식을 담은 물후, 탄일과 속절, 세시풍속 등과 관계된다. 따라서 각각 날씨, 농사, 월력, 기념일의 주제로 분류하여 군호에 반영된 생활상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신라장식토우의 특징을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김현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4

        과거 우리선인들의 정신과 생활상이 담긴 신라토우는 고대인들의 현실과 내세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조형물로써 비록 10cm정도 밖에 되지 않은 작은 크기의 유물이지만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과 기원 등의 제작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신라인들은 그들이 관심을 가지는 부분,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선별해서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이러한 상징을 위해서 인체의 과장이나 강조, 왜곡, 단순화 등의 조형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산과 풍요 및 신라인들이 바라는 바를 주술적으로 표현하거나 죽음에 대한 생(生)에 영속적인 세계관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주로 토속적인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소박한 정서와 생활상을 자연스럽고 개성 있게 표현하고 있다. 현대에 들어 과거 단순히 생활방편으로써 요구되어졌던 도자기의 조형작업이 그 범위를 벗어나 다양한 형태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인체를 주제로 하는 도자예술도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인체를 주제로 한 도자조각의 시원이 고대토우에서 비롯되었다고 봄으로써 신라 토우에 담겨진 미적 가치와 상징성, 조형성을 규명하는 것은 현대 도예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 전통도예의 참된 의미와 가치를 되새긴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자는 신라토우가 고대인들의 정신과 생활상을 표현하였듯이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의 모습과 그 속에 내재되어진 다양한 감정을 10cm 크기의 토우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우리의 전통미를 이어가고자 하였다. Shilla's clay icons reflect the spirit and life of our ancestors and further their concept of the present and life after death. Although they are small in size being 10cm or so, they fully deliver the artists' emotions and wishes. The Shilla people granted meanings only to the parts they were interested in or in need of. For purposes of symbolization, they adopted such formative techniques as exaggeration, emphasis, distortion, and simplification. Shilla's clay icons are the incantation of the Shilla people's wish for fecundity, prosperity and other wishe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ir permanent world view of life through death. It is the usual case that they present the Shilla people's simple emotions and lifestyle in a natural and distinctive manner based on folk beliefs. In modern days, the formative works of pottery, which was a simple vessel for everyday living in the past, have grown in scope and diversity of shape. Ceramic art on the theme of the human body has also started to take an important position. Considering that the origin of ceramic sculpture of the human body was ancient clay icons, it will be highly essential to examine the clay icons excavated in many countries and Shilla's clay icons in terms of aesthetic values, symbolism, and formative nature to the growth of modern ceramics and the revival of the true meanings and values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s. The investigator decided to represent the modern people and their diverse inner feelings in small clay icons of 10cm just as ancient people represented their spirit and lifestyle in their clay icons. I also intended to inherit and continue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 by modifying Shilla's clay icons in modern senses.

      • KCI등재

        나라시대奈良時代 목간과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차금借金·차물借物 기록을 통해 본 고대일본의 사회상과 생활상

        홍성목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동서인문 Vol.- No.24

        본고는 일본에서 발견된 목간 중 돈과 물건을 빌리는 차금借金과 차물借物 기록에 주목하여 목간이 사용되었던 나라시대의 사회상과 일본인들의 생활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설화를 중심으로 정창원正倉院 보물고의 차용증을 참고하여 고찰해보고자 한 논문이다. 목간에 기록된 차전借銭, 월차전月借銭, 차전借銭청구서식, 차물借物과 관련된 부분은 단편적이고 결손된 부분이 많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는 힘들다 판단했기에 정창원正倉院 보물고의 차용증과 일본영이기日本霊異記 의 설화를 참고하였다. 이는 설화가 당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과 풍습 등 사회상과 생활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가 주로 목간이 사용되던 나라시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자료를 확인하고 검토한 결과 나라시대에는 차금借金과 차물借物이 사회적으로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이한 것은 절이나 승려가 관여한 이야기가 상당히 많다는 점인데 이는 당시 사회상과 무관하지 않다. 나라시대 후반에는 덴지 천황계天智天皇系와 덴무 천황계天武天皇系의 황통 다툼과 쇼무 천황聖武天皇 붕어에 따른 황실의 약화와 정국 불안, 쇼무 천황聖武天皇이 적극 추진한 불교 사업으로 인한 경제적 피폐, 신라와의 관계 악화, 재해와 기근 등 수많은 문제로 인하여 율령제는 붕괴하였고 사회는 혼란스러워졌다. 불교 역시 세속 권력과 결탁하여 현저하게 세속화되어 그 기능을 거의 상실하였고 조정에서 절과 승려에게 지원하던 여러 경제적 혜택을 축소 또는 철폐하자 재정충당의 일환으로 차금借金·차물借物업을 했으리라 생각된다. This paper focuses on debt and borrowing records of money and objects among Mokkans found in Japan and refers to the borrowing certificates in the Shosoin Treasury, centering on the stories in the “Nihon ryoiki,”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ety and the lifestyle of Nara period when Mokkans were used. Since many of the parts recorded on Mokkans regarding loan certificates, monthly loan certificates, loan request forms, and borrowed items were fragmentary and missing, it was difficult to ascertain their exact contents, this paper refers to the loan certificates from the Shosoin treasury and the discourses in “Nihon ryoiki.” This is because the tales often reflect the society and lifestyle at that time, including their daily lives and customs, and “Nihon ryoiki” contains stories from the Nara period when Mokkans were mainly used. Reviewing and examining various documents confirms that borrowing and loaning were frequently practiced in society during the Nara period. A unique point to be noted is that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stories involving temples and monks, which is not unrelated to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In the late Nara period, the Ritsuryo system collapsed and society fell into chaos due to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a struggle between the imperial lineages of Emperor Tenchi and Emperor Temmu, the weakening of the imperial family and political instability following the fall of Emperor Shomu, economic exhaustion caused by the Buddhist projects that were actively promoted by Emperor Shomu, deteriorating relations with Silla, disasters, and famine. It is quite plausible that Buddhism was also significantly seculariz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ular power which led to the loss of most of its functions and the various economic benefits that the imperial court had supported temples and monks being reduced or eliminated and, therefore, borrowing and loaning business was conducted as a part of a process to restructure its financial provision.

      • 묵곡리 유적지의 지형변화 특성과 유적지의 생활상

        전영권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00 地理學論究 Vol.- No.20

        낙동강 지류인 남강의 중 · 하류 일대에는 선사시대의 유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은 거주지로서 뿐만아니라 지형학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본 연구는 남강개발계획에 의하여 조만간 수몰지로 변하게 될 경남 산청군 단성면 일대에서 발굴된 신석기 유적지를 대상으로 유적지 일대의 지형변화와 생활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형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 지표로부터 450cm에 이르는 심도까지의 퇴적물에 대한 입도분석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심도 450cm에 위치하는 하부 역층으로부터 지표면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지역에서 하상, point bar, 배후습지 또는 자연제방, 배후습지, 자연제방, point bar 등으로 지형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수 천년 동안에 걸쳐서 유로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유적지가 발굴된 토층인 D층은 토양의 비옥도와 홍수로부터의 보호차원에서 고려할 때 최적의 주거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군된 유적 또는 유물을 토양학적인 관점과 연관시켜 보면때 당시 주민들은 하천에서 어로를 하거나 비옥한 토양을 이용하여 농경생활을 하였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어획물과 농작물은 불을 이용하여 익혀먹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절구통은 작물을 찧는데 이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river channel change and geomorphic change in Muggogri area ( Kyungnam province), and then to trace back geomorphic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living conditions in those days at Muggogri ruins, the late Neolithic era(3,000 B.P.Y.). Deposits grain size analysis is employed as a study metho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have been various geomorphic changes in the study area ; river bed-point-bar-back marsh or natural levee-back marsh-natural levee-point bar. This also means that river channel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have been changed in long tern running into the year of thousands. 2. Because of fertile soil and safety from flood, D soil layer that Muggogri ruins is excavated is the most suitable habitation site in all soil layers ranging A soil layer to P soil layer. 3. With the remain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al features, the resident's living conditions in Muggori are assumed as follows; they fished in neighboring river and engaged in farming. Also, they used cooking stove, and mortar in order to pound grain.

      • KCI등재

        신문자료로 보는 일제강점기 장애인 생활상

        정창권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article is comprehensively reviewed by dividing the types of the life of the disabl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specially in this article, I sorted though newspaper materials, which is loaded in vivid lifes of disabled people at the time and social situ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a increased number of disabled people, education, job and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was not forthcoming. Because they don't know what they to do support themselves, the disabled at the time lived on beggars on the street and commit crimes for subsistence. And therefore social awareness toward disabled people changed negative as days go by, consequently the disabled basically were pathetic and useless, when hazardous materials that might commit a crime, and terror, persona non grata and the butt of jokes that ordinary people should not be closed them. So disabled people at the time were very difficult to get married. Furthermore, even if married, they were divorced in any way. And in terms social, they became target for various criminals, like fraud, robbery, assault, murder and so on. Even they were killed deliberately from family or neighbors, otherwise they had got to hang up their own lif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period of suffering to common people as well, but the disabled under the worst conditions had to suffer a severe pain. And problems with disability that we are going through now can confirm again that was formed in earnest from Japanese colonial period. 본고는 일제강점기 장애인 생활상을 각 유형별로 나누어 포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특히 본고는 당시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처지가 비교적 생생히 담겨 있는 신문자료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장애인의 수는 급증해가는 반면, 그들을 위한 교육이나 직업, 복지 정책 등은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당시 장애인은 먹고 살 길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거리로 나가 걸인생활을 하거나 생계형 범죄를 저지르기도 했다. 그와 함께 날이 갈수록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부정적으로 변하여서, 장애인은 기본적으로 불쌍하고 쓸모없는 존재이자 놀림의 대상이었으며, 언제 범죄를 일으킬 지 모르는 위험인물이요 일반 사람들과 가까이해서는 안 되는 공포와 기피의 대상이 되었다. 그래서인지 당시 장애인은 결혼하기가 무척 힘들었을 뿐 아니라 설령 결혼해도 어떤 방식으로든 이혼을 당하곤 했다. 또 사회적으로도 사기나 강도, 폭행, 살인 등 각종 범죄의 대상이 되었다. 심지어는 가족이나 이웃들로부터 의도적으로 살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 목숨을 끊어야 했다. 일제강점기는 보통 사람들에게도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그보다 열악한 처지의 장애인은 더욱 심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장애 문제는 이러한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규합한훤>을 통해 본 전통시대의 생활상 연구

        강문종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숙대본 <규합한훤>과 이본 관계에 있는 텍스트는 <규간>과 <녀자언문간독>이 아니라, 그 안에 들어가 있는 ‘규합한훤’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이칭(異稱)의 <규합한훤> 이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규합한훤>에 실린 가장 대표적인 송·수신자의 관계는 여성사돈으로 파악되었다. 이 자료는 여성 사돈끼리 주고받는 편지의 서식집으로 규정해도 될 정도이다. <규합한훤>에서는 편지를 써야 하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혼례를 치르는 상황이었다. 그 외의 상황을 정리하면 연말과 연초에 발생하는 안부 상황, 사돈의 집안에 위로가 필요한 상(喪)의 발생과 회갑 등 축하를 해야 하는 상황, 축하를 위해 선물을 보내야 하는 상황, 그리고 각 절기에 맞게 각종 물품을 보내야 하는 상황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들은 여성들이 주로 편지를 써야 하는 가장 중요한 상황임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신분이나 나이 등과 같은 서열을 넘어 성별(性別)의차이가 위계의 차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우위에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각종 용어를 설명하는 소자주(小字註)에 반영된 생활상이 잘 드러난다. 사돈 관계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존칭을 써야 했고, 상(喪)을 당했을 때는 별도의 용어를사용해야 예의에 어긋나지 않았다. 겨울 추위인 경우는 지금과는 달리 첫 추위에 해당하는 ‘초한(初寒)’, 가장 심한 추위를 의미하는 ‘지한(至寒)’, 연말 추위를 의미하는 ‘납한(臘寒)’으로 겨울의 추위를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봄추위 역시 ‘춘한(春寒)’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지금의 ‘꽃샘추위’를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음력 4월을 ‘맥추(麥秋)’라는 용어를 통하여 계절적 정체성을 초여름보다는 ‘보릿가을’이라는 수확의 계절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장모가 사위를 부를 때 사용하는 지칭과 딸이 친정식구들에게 남편을 소개하는 지칭으로 ‘성씨+서방’과 ‘성씨+관직명’은 오래된 전통임을 문헌으로 증명해 주고 있다. <Gyugan> and <Nyeoja-onmun-gandok> is not the differentversions of <Gyuhab-hanhwon>. The <Gyuhab-hanhwon> in <Gyugan> and<Nyoja-onmun-gandok> is the different versions of <Gyuhab-hanhwon>The most represent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der and receivers in<Gyuhab-hanhwon> is the in-laws relationship. In <Gyuhab-hanhwon>,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writing a letter was the situation ofhaving a wedding. Other examples include “safety situations that occurat the end of the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year,” “the occurrenceof a funeral in need of comfort in the family of in-laws and celebrationof their 60th birthday,” “the situation in which gifts must be sent tocelebrate,” and “the situation in which various items must be sentaccording to each season.”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sesitu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situations in which womenusually have to write letters. The difference in gender is made up ofdifferences in hierarchy, and it shows that men are superior to wome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in-laws, regardless of age, they had to usehonorifics, and when they were funeral, they had to use separateterms. Winter cold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y include “初寒”corresponding to the first cold, “至寒” meaning the most severe cold,and “臘寒” meaning the year-end cold. The spring cold also used theterm ‘flower spring cold’ as ‘春寒’. And in April of the lunar calendar, the term ‘麥秋’ was used, and the identity of the season is understoodas a harvest season called ‘Barley-utumn’ rather than early summer. In particular, ‘family name + Seobang’ and ‘family name + the nameof one’s official post’ were used by mother-in-law to call herson-in-law and by daughter to introduce her husband to her family. The literature proves that this is a very old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