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灌圃 朴弘美의 한시 연구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24 東洋古典硏究 Vol.- No.94

        본고는 관포 박홍미의 생애와 시세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박홍미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젊어서부터 뛰어난 文才를 지니고 있었다. 그가 당대 저명한 문장가들인 李植, 權韠, 任錪, 鄭弘溟과 이름을 나란히 했고, 원접사 종사관으로서 「淸江賦」를 지어 명나라에까지 문명을 떨쳤으며, 양양부사 때 지은 응지상소가 賈誼의 치안책에 비유되었던 점은 박홍미의 뛰어난 문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박홍미의 환로생활은 내외직을 두루 거치면서 대체로 무난했다고 할 수 있었다. 다만, 광해군대에는 중앙관직을 중심으로 文才에 비해 낮은 관직을 역임했고, 인조대에는 창원부사, 경주부윤, 삼척부사, 양양부사 등 지방관직을 중심으로 역임하였다. 광해군대에 낮는 관직을 맡은 것은 박홍미가 강직한 성품으로 直諫을 하여 북인정권으로부터 정치적으로 소외되었기 때문이며, 인조대에는 질병이 있어 중앙관직에 오래 머물 수 없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박홍미의 시세계를 광해군대와 인조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광해군대의 정치현실을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는 弱肉强食,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爛羊의 현실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박홍미는 不正의 현실 속에서도 자신의 소신을 지키며 광해군에게 直諫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강직한 태도는 북인들로 하여금 박홍미를 鷄肋과 같은 존재로 받아들여지게 했고, 그 결과 낮은 관직을 전전하였다. 환로생활에 염증을 느낀 박홍미는 1622년 원접사 종사관의 임무를 마지막으로 귀거래 하였다. 박홍미가 인조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긍정적이었다. 그는 인조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고 시종신이 되어 군주 옆에서 直諫을 통해 군주를 聖君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병으로 인해 지방관직을 전전하게 되었고 양양부사 때 얻은 병으로 인해 결국 관직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박홍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 瑞山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삶을 詩化하였다.

      • KCI등재

        旅軒 漢詩에 나타난 대나무(竹)의 이미지 -現實認識과 삶의 志向을 중심으로-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1 No.-

        본고는 旅軒 張顯光의 한시 속에 등장하는 주요 이미지인 ‘대나무(竹)’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은거의 계기로서 여헌의 현실인식과 출처관을 살펴보았다. 여헌은 당대의 현실을 ‘綱常이 失墜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여헌이 살았던 선조, 광해군, 인조대는 4번의 전란과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치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 사회경제구조의 변화, 지배질서체제의 이완 등 대내외적으로 불안정하고 어려운 시기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위로는 위정자로부터 아래로는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이 인륜의 근간이 되는 강상윤리를 무시하고 일신의 안위와 이익만을 추구하기에 급급하였다. 따라서 여헌은 강상이 실추된 현실 속에서 출사할 마땅한 의리를 찾지 못하고 은거를 선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여헌이 은거 후에 지향한 삶의 태도는 대나무의 이미지를 통해 드러나고 있는 바, 완성된 인격을 바탕으로 綱常의 師表로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라 할 수 있다. 여헌의 시에는 일반 대나무와 길재가 심은 대나무가 그 의미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낸다. 일반 대나무는 불변함과 고결함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지만, 여헌이 지향한 삶의 태도로서 길재의 대나무는 백이숙제의 고죽과 기욱의 대나무의 이미지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즉, 백이 숙제의 고죽은 부정한 현실에 동참하지 않고 변함없이 은거하는 삶을 살아가겠다는 은거에의 확고한 의지를, 기욱의 대나무는 학문 수양을 통해 완성된 인격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었다. 여헌이 금오산 정상에서 길재가 심은 대나무를 찾아보고는 ‘어느 곳인들 대나무가 없겠는가마는 나는 선생이 심으신 이 대나무를 사랑한다오’라고 하며 대나무의 이미지를 빙(氷), 철(鐵), 옥(玉) 등의 더 차갑고, 더 단단하고, 더 강인한 것으로 강화시킨 것도, 단단해진 인격을 바탕으로 강상의 사표로 살아가고자 삶의 지향이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image of bamboo from Chang Hyun-kwang's poetry. Especially I focused on defining the symbolic meaning of bamboo as a poetic material. To achieve this, I inspected his view of world and politic life. He considered his contemporary period as 'ethically corrupted' world. During his life time, he served for three kings and also suffered from the fires of war four times. That means, he had to undergo the political unrest and national crisis during his life time. Due to the chaotic state of affairs, all the people were busy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It made Chang had no choice but retiring from active life. While Chang revealed his attitude to life through writing poetry, he used the image of bamboo as a completion of one's mature character. And the image of bamboo what he used was somewhat different from general one. Chang used the image of bamboo in two ways. The one is seeking live in retirement, and the other is chasing completion of his own mature character in academic way.

      • KCI등재

        白麓 辛應時의 삶과 詩世界

        권혁명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2 No.-

        In this paper, I examined Shin Eung-si's poetry and his life. For this purpose, I looked into notable records in his life, and also examined his way of life and outlook from his poetry. First of all,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is literary talent. A poem which was written in age 6 made people surprised. And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16. Moreover he won the first place 8 times in examination conducted by the King. These are the facts that he was one of great writers at that time. Besides, his poetry were published in poetry collection such like 『Kukjosisan(國朝詩刪)』, 『Songgyemanlok(松溪漫錄)』, 『Osanseollim(五山說林)』,『Jibongyouseol(芝峯類說)』, 『Seopomanpil(西浦漫筆)』. This also means that critics regarded him as an important writer. He showed his ability during the King Myungjong reign as the King Myungjong encouraged literature. However, he got driven out due to the factional strife between the Dongin party and the Seoin party. His remaining works are mostly written since after the King Seonjo. He understood his time as a corrupted world. Thus he tried to free from the real world, and wanted to live indifferently in nature. And his will was represented as the image of unworldliness. 본고는 白麓 辛應時의 삶과 詩世界를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신응시의 생애에서 주목할 만한 기록들을 중심으로 삶의 전반을살폈고, 한시 작품을 통해 신응시의 현실인식과 그에 대응한 삶의 자세를 살펴 보았다. 신응시의 생애 중 주목할 만한 사실은 그가 천부적인 文才를 지니고있었다는 사실이다. 6세 때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고, 16세 때알성시에 급제했으며, 출사 후에 7번이나 庭試에서 장원을 차지한 것은이를 방증한다. 뿐만 아니라 그의 시는 『國朝詩刪』, 『松溪漫錄』, 『五山說林』, 『芝峯類說』, 『西浦漫筆』 등의 시선집이나 시화집에 다수 실려 있었는데, 이를 통해 신응시의 시적 성취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신응시의뛰어난 문재는 출사 전반기 문예취향이 있었던 명종의 知遇를 얻음으로써 극대화되었으나, 선조 7년 이후부터 東人과 西人간의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신응시는 文才를 펼치지 못하고 외직을 전전하다가 생을 마쳤다. 현재 남아 있는 신응시의 시는 선조 이후의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이 시들을 분석한 결과, 신응시는 당대 현실을 시비곡직을 가릴 수 없는혼탁한 세계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신응시는 이러한 현실을벗어나 자연 속에서 담박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었는 바, 이는 脫俗의 시세계로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현황과 그 발전 방향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강의를 중심으로-

        권혁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0 No.-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check and writing education college to seek a way forward, focusing on "Thinking and Expression" of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education lecture, is aimed at.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lecture 'Thinking and Expression' Introduce to operational status, and based on the data, books, lectures, student guidance and related issues raised in three aspect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First, textbooks and writing materials in regard to consider the timeliness reading text, writing assignments, discussion assignments the ne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were mentioned. Second, with regard to teaching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instructor of the major content derived from a textbook on the basi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urse each in course content and objectives that you must configure discussed. Third, in regard to correction correction considering the time spent on physical play professionally in the correction researchers to find a place in the direction that the improvements were noted. 본고는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인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과목 운용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강의, 학생지도와 관련된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재와 관련해서는 글쓰기 교재는 시의성을 고려하여 읽기 지문이나 쓰기 과제, 토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고, 둘째 강의와 관련해서는 강의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사들의 전공 위주의 강의 내용을 지양하고 교재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래의 과목 취지와 목표에 맞게끔 강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셋째 첨삭과 관련해서는 첨삭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첨삭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연구원을 두는 방향으로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문 단편 소설 <崔猿亭畵諷南台說>의 서사적 특징

        권혁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5 No.-

        본고는 한문 단편 소설 <崔猿亭畵諷南台說>을 분석하여 서사적 특징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崔猿亭畵諷南台說>의 서사적 특징을 살피기 위한 기저단계로서 <崔猿亭畵諷南台說>의 단락별 내용과 전체 이야기 구도를 살펴보았다. <崔猿亭畵諷南台說>은 전체 15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것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소설의 도입부로서 ①~⑤단락까지이다. 도입부에서는 최수성의 전반적인 삶을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두 번째 부분은 소설의 본론부로 ⑥~⑬단락까지이다. 본론부에는 ‘최원정이 그림으로 남태를 풍자하다’라는 제목이 시사하듯, 그림과 관련된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었다. 마지막 결론부는 ⑭~⑮단락으로 최수성이 은거지에서 펼친 교화의 효험과 猿亭의 유래, 百行兼備의 군자로 최수성을 칭송하고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崔猿亭畵諷南台說>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歷史的 事實의 屈折과 常識에 違背된 陳述’이다. 작가는 不義의 세력에 동조하지 않았던 최수성의 節操를 통해 ‘善은 결코 惡에 패배하지 않는다.’는 ‘善類 世界에 대한 志向과 熱望을 담아내려고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을 屈折시키고 常識에 違背된 陳述을 할 필요가 있었다. 역사적 사실을 크게 굴절시켜 죽은 최수성을 살려 놓음으로써 선악의 대결에서 善이 승리할 수 있었고, 약간 굴절시켜 최수성을 洗馬職에 앉힘으로써 선악의 대결장인 제도권 내로 최수성을 편입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常識에 違背된 陳述 또한 무인과 남곤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 남곤이 최수성을 죽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善類 世界에 대한 작가의 志向과 熱望을 담아내고자 했던 것이다. 둘째, 事實과 虛構의 配合이다. 사실과 허구의 配合은 소설 전체 구도 상의 배합과 실존인물과 허구적 인물의 배합이 있었다. 소설 전체 구도 상의 배합은 도입부(사실)→본론부(허구)→결론부(사실)라 구도에서 작가가 역사적 사실인 도입부와 결론부 사이에 사실적 단서를 기반으로 한 개연성 있는 허구를 배합시킴으로써, 正人君子로서의 최수성의 삶을 구체적으로 복원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허구적 인물을 실존인물과 配合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는데, 허구적 인물인 무인의 입을 통해 나라를 망친 남곤의 실체가 드러나고 동시에 不義에 동조하지 않았던 최수성의 강직한 절조가 드러나기 때문에, 최수성 절조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었던 것이다. Eagle is aimed to study narrative features by analyzing short story novel <Choewonjeonghwapungnamtaeseo>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ontents of <Choewonjeonghwapungnamtaeseo> and the overall story composition.It is 15 paragraphs 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gain.The first is the introduction of the novel.The second is the main part of the novel. The third is the conclusion part of the novel.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narrative features of novel in Chapter 3. First, it distorts historical facts and makes statements that are out of sync with common sense. This is the belief that the artist confronts good and evil to win the good. The second was a mixture of fact and fiction. The reason is because I wanted to restore the life of a person named Choi Soo Seong specifically. Another is because I wanted to restore the fidelity of the person named Choi Soo-sung specifically. I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you understand the novel, Choi Soon-sung's <Choewonjeonghwapungnamtaeseo>

      • KCI등재

        한시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서울 남산지역의 문화유적과 한시 지도-

        권혁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1 No.-

        A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using Chinese poems, the school aims to introduce cultural relics in Namsan area of Seoul around Chinese poems and present maps of Chinese poems. A summary of the main points is as follows. In Chapter 2, we explor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atus of Namsan area. Namsan Mountain was a sacred mountain for national rituals, a reception area for envoys, and a key communication hub for the nation's beacon stations. In addition, the scenery was so beautiful that the people of the capital city enjoyed the view of Namsan Mountain, and the houses and pavilions of the noblemen were crowded. Therefore, Namsan area had a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Chapter 3, based on Chapter 2, the site of Guksadang, Bongsudae, Jamdubong, Hujodang, Supyogyo, A monument to a long letter to Paris, Lee an Nul House, which are the cultural relics of Namsan Mountain, were examined around Chinese poems and presented a map of Chinese poems. Introducing the cultural relics of Namsan Mountain with Chinese poems.If the work is scaled up,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single-person view of Namsan Mountain. This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s the cultural relics of Namsan Mountain to Seoul citizens and tourists in depth. 본고는 한시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시 남산지역의 문화유적을 한시 중심으로 소개하고 한시 지도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남산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위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남산은 국가적 제례를 행하는 신성한 산이자, 사신들을 응대하는 접대공간이었으며, 전국의 봉수가 집합하는 통신의 요충지였다. 뿐만 아니라 남산은 경치가 뛰어나서 도성 사람들이 남산의 경치를 감상하고 사대부들의 집과 누정들이 즐비하였다. 따라서 남산지역은 조선시대 역사적·문화적으로 위상이 높았다고 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을 토대로 남산의 문화유적인 국사당 터, 봉수대, 잠두봉, 후조당 터, 수표교, 파리장서비, 이안눌 집터를 한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시 지도를 제시하였다. 남산 정상에는 국사당 터와 봉수대가 있고 남산 정상에서 북악산을 바라보면서 북쪽으로 100미터 정도 내려가면 잠두봉이 있다. 그 아래 통감관저 터에는 후조당이 있었다. 장충단 공원 쪽으로 내려오면 수표교와 파리장서비가 있으며 장충단 공원에서 위쪽으로 올라가 동국대학교 경내에는 이안눌 집터가 있다. 이러한 지점들을 현재 남산구간 및 주변지역을 설명하는 지도에 표시하여 한시지도를 만들 수 있다. 향후 남산의 문화유적들을 한시와 함께 소개하는 작업들이 축척된다면 단독으로 된 남산의 한시지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남산의 문화유적을 서울시민들이나 관광객들에게 심층적으로 소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尙友堂 許琮의 삶과 시세계

        권혁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Heo Jong. In Chapter 2, we explored Heo Jong’s life.Notable in Heo Jong’s life is the fact that he initially pursued a career in civil service, starting as a scholar-official, but due to his broad-minded character and martial abilities recognized by King Sejo, he was appointed to both civil and military positions.As a result, Heo Jong lived a life as a official with dual expertise in both civil and military affairs. In Chapter 3, we delved into Heo Jong’s bureaucratic poetic world. Heo Jong’s poetic world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themes. Firstly, it focuses on his aspirations f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and his attitude of loyalty. Heo Jong harbored ambitions to establish his career through his military and political achievements, ultimately becoming a prime minister who served and advised the monarch in governing the nation. These ambitions were expressed through imagery such as comparing himself to Bān Chāo and anticipating green plum to align the affairs of the state. However, his aspirations as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 were ultimately driven by his desire to repay the monarch’s favor, leading him to demonstrate the attitude of loyalty as a subject, which is evident in his magnanimous poetic style. Secondly, Heo Jong’s poems also touch upon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duties of a military official and the emotions of worry and melancholy. While Heo Jong acknowledged that a military career was necessary to achieve fame, he often expressed the physical hardships and anxieties he faced during his long and dedicated service in this role. These emotions stemmed from the separation between his public and private selves and were revealed through poems expressing homesickness, the fleeting nature of life, lamenting his wandering status, and regret for pursuing contribution and fame.

      • KCI등재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본고는 향교의 생활상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학의 기본 학령인 <학령>과 지방 향교의 학령인 <경주향교학령>, <안동향교학령>, <복천향교학령>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의 입학시험에 관한 것이다. 儒者나 평민이 향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교생 10인 이상이 입학 할 사람의 志學을 추천해야 했으며, 그 다음에 小學 과목을 講해서 粗通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가능하였다. 두 번째는 수업과 관련하여 향교의 교재, 수업방식과 벌, 휴가와 방학에 관한 것이다. 향교의 교재는 대부분 小學, 四書五經, 近思錄, 性理大全, 朱子家禮 또는 儀禮가 교재로 채택되었으며, 수업은 1교시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講을 통해 복습하고, 2교시는 새롭게 배운 내용을 토론을 통해 익혀 나가는 것이었다. 한편, 수업 중 집중하지 않거나 졸거나 할 때에는 회초리 또는 과제를 부과하는 벌이 가해졌다. 향교의 휴가 횟수는 각 지방향교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방학 도한 정기적인 것이 아니라 농번기나 흉년이 들었을 때 수시로 하고 있었다. 세 번째는 그 밖의 생활상으로 향교 일상생활에서 행해지는 일들을 살펴보았다. 향교에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적인 문묘참배 행사가 있었고, 교생이 起牀하여 아침식사를 하기까지는 세 단계를 거치고 있었는데, 침상에서 일어나는 단계, 의관을 정제하고 독서를 하는 단계, 식당에 가서 식사를 하는 단계였다. 식당을 출입할 때는 식당에 온 차례대로 식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자 순으로 식사를 하여 장유유서가 철저히 지켜지고 있었다. 교생이 守令, 師長, 鄕老, 先達 등을 대할 때는 교관과 동등하게 대우하였다. 이상, 향교에 대한 본고의 소개가 향교의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introducing the lifestyle of confucian school which was called hyanggyo. For this purpose, I considered several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system and regulation of hyanggyo. It includes both national school and regional school. I especially suggested Kyungju, Andong and Bokchun as representative examples for regional school. For the result, I found out some distinct features like following. First thing is about the entrance examination. If scholars or ordinary persons wanted to get into the hyanggyo, they need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rom more than ten scholars, and also need to get a prominent grade in the subject of Sohak(小學). Second thing is about the textbooks, teaching system, reward and punishment, and vacation. Usually, the nine chinese classics, Sohak, Keunsarok(近思錄), Sunglitaejeon(性理大全), Jujakarye(朱子家禮) were selected as primary texstbooks, and most hyanggyo used similar textbooks. The class was devided into two major periods. The first class was focused on reviewing what they learned last time, while the second class was focused on studying new materials by debating. If students didn't concentrate in class or doze over a book, then teachers caned their students or set extra tasks. The regulation holidays were given to the students on the eighth and twenty-third day of every month. However, it could be changed depend on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Third is about some diverse life style in hyanggyo. I looked after the periodical ceremony for Confucian shrine, the table manners, etiquette lessons.

      • KCI등재

        蓮軒 李宜茂의 한시 연구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Yeon-heon Leeuimu'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in life.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Leeuimu'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of life in The reign of King Songjong, and Chapter 3 examines Leeuimu'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of life in The reign of Yeonsan-gun. The reason why this paper divided The reign of King Songjong and The reign of Yeonsan-gun into two and three chapters is because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reign of King Songjong and The reign of Yeonsan-gun has changed, so Leeuimu's political situa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have changed. Chapter 2 examines The reg of King Songjong'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of life. Leeuimu recognized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reg of King Songjong as a peaceful wa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is is because Leeuimu had an outstanding talent enough to win first place in three consecutive tests at the palace and was favored by Songjong, who focused on Moon Chi-ism. Leeuimu has been on a roll with The reg of King Songjong, serving in many key positions centered on Hongmungwan. Chapter 3 examines The reg of Yeonsan-gun'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of life. Leeuimu negatively recognized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reg of Yeonsan-gun. Nevertheless, he continued to participate in reality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it or leaving it. After Haebae, whe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was not favorable, he volunteered to go to Hongju County, a local government office. Leeuimu lef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because he thought that both central and local officials w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king and perform the same duties of loyalty and benefiting the people. However, the reason why Leeuimu negatively recognized the reality of The reign of Yeonsan-gun but continued to participate in reality is that Leeuimu had the attitude of Yuhaye's life to participate in reality by straightening his principles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dirty reality.

      • KCI등재

        고전 인물 발굴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나주 초동 팔현을 중심으로

        권혁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8 No.-

        본고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고전 소스를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羅州 草洞 八賢’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가 초동 팔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초동 팔현이 당대적 위상이 높았기 때문에 이를 원소스로 나주지역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콘텐츠로서 성공확률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고가 도출한 내용을 요약하고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필자의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초동 팔현 연구의 필요성으로서 초동 팔현의 당대적 위상을 검토하였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대중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원소스 자체가 흥미와 가치를 지녀야 하기 때문이다. 초동 팔현은 초동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여덟 명이 동시대에 문과 급제했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각 개인별 위상 또한 높았다. 孝友가 뛰어난 인물들이 있었고, 文才가 뛰어나거나 혼란한 정치현실에서 절조를 지킨 인물들도 있었다. 귀거래 후에는 여덟 명이 힘을 합쳐 마을에 보산정사를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군량미를 대거나 의병을 모집하여 전투에 직접 참가하기도 하였다. 이로 볼 때 초동 팔현의 위상은 ‘忠’, ‘節’, ‘孝’, 文才 등의 측면에서 자못 높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전통 주제 하에 위상을 갖춘 초동 팔현을 원소스로 문화콘텐츠를 개발한다면 대중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초동 팔현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魏伯珪의 평가를 중심으로 초동 팔현 생애에서 특징적인 국면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李惟謹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孝友와 文章, 지방관으로서 善政이다. 둘째, 張以吉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官吏로서의 경력과 임진왜란 때의 의병활동이다. 셋째, 鄭詳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학자로서의 면모와 임진왜란 때 이순신을 도와 한산도 대첩을 승리로 이끈 사실이다. 넷째, 柳澍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智略있는 선비로서의 모습과 학문적 연원의 정통성이다. 다섯째, 崔希說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혼탁한 현실을 떠난 과감한 은거와 임진왜란 때의 활약상이다. 여섯째, 李彦詳의 생애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유교의 근본윤리를 강조한 학문수양과 뛰어난 文才이다. 일곱째 柳溵의 생애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기대승의 뛰어난 제자라는 점과 선계변무사의 일원으로서 세운 공적이다. 여덟째 崔四勿의 생애에서 주목해야 부분은 상당한 학문적 조예와 관리로서 능력이다. 이상에서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필자의 提言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동 팔현 관련 미디어 콘텐츠 제작이다. 현재 초동 팔현에 대해서는 보산정사를 중심으로 팔현의 이름과 생몰년 정도를 소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장과 3장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초동 팔현은 忠, 節, 孝, 文才 등에 있어서 그 위상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역사저널 그날’과 같은 시사교양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나주의 역사, 문화를 홍보하는 동영상을 제작한다면 새로운 문화경험의 소개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초동 팔현의 생애를 통해 새로 알려진 사실들을 토대로 기존의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새로운 문화재는 복원하여 초동 마을을 관광코스화하는 것이다. 현재 초동 팔 ... This paper aims to study classical 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For this purpose, I have studied ‘羅州草洞八賢’ as a research subject.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studying ‘草洞八賢’ is as follows: ‘羅州草洞八賢’ had a high status at that time, so if you study them, you are likely to succeed as a content.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nd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the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status of '羅州草洞八賢' in order to study '羅州草洞八賢'. This is because the content itself must be of interest and value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attract public att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羅州草洞八賢' had a high status in terms of 'Loyalty', 'integrity', 'love for one's parents' and literary talent. Therefore, if cultural contents are developed by using 草 洞 八 賢 with this status, it will attract the public interest. In Chapter 3, I looked specifically at the life of '羅州草洞八賢'. Based on the evaluation by 魏伯珪,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t of Lyugeun'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the accomplishment as love for one's parents and brotherly love, sentence, and achievement of caid. Second, Jang-igil'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his career as a bureaucrat and his military servic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rdly, the part of Jeongsang'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excellent appearance as a scholar 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e helped general Yi Sun-shin and won a great victory in Hansando. Fourth, the part of Yuju'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a scholar with wisdom and inherited orthodoxy in his studies. Fifth, tthe part of Choehuiyeol'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a bold move away from chaotic politics, and he did a lot of work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ixth,the part of Lyeonsang'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the discipline of scholarship emphasizing Confucian fundamental ethics and outstanding literature. The seventh the part of Yueun'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a prominent disciple of Gidaeseung and Achievements made as a member of Seongyebyeonmusa. In the eighth the part of Choesamul's life to pay attention to is Significant academic depth and outstanding ability as a bureaucrat. Based on the conclusions, I would like to present my opinion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as follows. First, it is producing media contents related to 草洞八賢. I will make videos and current events programs that promote the history and culture of 'Naju' centering on the contents revealed in this article. Second, based on the life of '草洞八賢', we will actively promote existing cultural assets and restructure new cultural assets to make 'ChoDong village' a tourist course.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in Naju area and enhance the cultural status of Na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