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에 대한 탐구

        이동성 ( Dong Sung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 생애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생애사 연구의 역사적 발달과 개념, 그리고 방법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생애사 텍스트에 대한 정교한 분석을 위하여 분석단위와 분석방법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석적 관점에 기초한 생애사 연구방법론은 역사적으로 부침을 거듭해 왔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전제를 심화하였다. 생애사 연구방법론은 사회적 조건을 탐구하기 위한 창 혹은 입구로써 개인의 이야기에 주목하며, 연구자와 참여자의 공동적인 지식 구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생애사 연구방법론은 ① 맥락성, ② 내러티브, ③ 관계성, ④ 인간화라는 방법론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둘째, 생애사 텍스트 분석에서의 ``시간성``은 시간적 축을 중심으로 총체적 관점을 획득하는데 유용한 분석단위였다. 셋째, 생애사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① 범주적 내용 접근, ② 총체적 형태, ③ 담화분석이 대표적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를 명료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초심자들에게 생애사 텍스트의 분석단위와 분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적 가이드라인과 기법을 안내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alysis method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life history method(LHM) to activate life history research in educ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illuminates historical development, concept,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for scrutinizing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LHM. Also, this paper codifies analytic unit and analysis methods for elaborative analysis of life history text.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HM, which is based on interpretative perspectives had ups and downs according to historical contexts. However, the LHM has deepened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remise because of postmodernism. The LHM has focused on the personal life story as a window and entrance to inquire social conditions. The LHM stressed co-construction of knowledge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Also, the LHM was characterized by contextuality, narrativity, relationality, and humanization. Second, the temporality as axis of time was an useful analytic unit for obtaining holistic perspective. Third, the analysis methods of life history text were composed of categorical-content approach, holistic-form, and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larify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remise of the LHM. Also, this paper will introduce methodological guideline and technique to novice researchers through suggesting analytic unit and analysis methods of life history text.

      • KCI등재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과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의 발전 과정

        박성희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4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ginning of German biograph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to sociological research methods until the 1920s to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biographical research in German literature, history, and pedagogy as a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research. By the 1970-80s, biographical research was finally developed into a study that was recognized as a soci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created its own life by exercis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n individual in society, and the behavioral ability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 complexity of combining various theories. In future biographical research paradigms, autonomy, identity, problem-solving skills, social structural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intensively derived in the analysis process so that the identity of individuals or homogeneous groups can be shown and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oral writer should gradually re-establish his or her identity in a changing society. 생애사는 전통적으로 문학의 한 장르로 여겨졌으나, 역사학, 교육학 등에서 장기간 생애사가 접 목되면서 오늘날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발전하였다. 미국에 정착한 폴란드 이민자의 사회 문 화적 삶의 방식을 폴란드 학자들이 연구하기 시작한 후,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가 수용되면서 생애사연구 방법은 복잡한 이론적 토대 속에서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연구 문제 는 1920-80년대까지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과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 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은 독일 문학, 역사학, 교육학에서 시작된 생애사연구가 사회학적 연구방 법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생애사 연구방법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을 문학적 측면, 역사학적 측면, 교육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970-1980년대 생애사연구는 다양한 이론을 결합한 복잡성을 근거로 하 여, 한 개인이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일련의 생애사적 고통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행 위력을 발휘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 행위력, 경험을 통해 삶을 창출해 가는 스키마를 발견 하는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인정되었다. 생애사연구는”광범위한 개인적 삶의 실체와 사회적 실 체를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측면에서”(Kohli & Robert, 1984), 위기를 극복해 가는 개인의 생 애사성을 새롭게 해석해 보려는 사회학적 경로분석이라 하겠다. 주체적 의식을 갖고 살아가는 사회적 행위자의 총체적인 삶을 연구하는 생애사연구 방법은 이상적 기준과 표상적 기준이란 이분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문 간의 협력을 통해 맥락적 이해를 밝혀 새로운 사실을 도출해 가 는 탐색적인 분석방법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김영천 ( Young Chaen Kim ),한광웅 ( Kwang Wng H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되는 맥락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이런 생애사연구는 맥락성, 구술성, 내러티브적 성격을 갖고 있다. 우선,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 자체보다 이야기의 배경을 이루는 시간적 맥락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연구자는 참여자와 면담에서 생애사 자료를 구술 받는다. 생애사연구의 구술성은 면담할 때 연구자와 참여자 관계의 비구조적 성격으로 이어진다. 연구자는 참여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기술하면서 자료를 수집한다. 연구자가 참여자와 면담에서 수집한 자료의 구술성은 생애사연구의 내러티브적 성격을 강화한다. 생애사연구의 글쓰기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시간적 맥락에 따라 이야기 체로 배열, 배치한다.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 탐구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된 계보를 좆아 그 복잡한 사슬고리를 밝힌다. 이런 측면에서 생애사연구는 교육현상이 생성된 맥락을 참여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research make clear life story`s character and meaning. Life story research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understand context make educational phenomenon by participant`s life`s story. Life story research have contextuality, orality, narrative. First, Life story research focus time`s context form story`s background. So, researcher dictate life story data by interview. Life story research`s orality connect researcher and participant relation`s non-structural character at interview. Researcher describe story participant tell, collect data, and write participant`s life`s story that follow time`s context. Life story research clarify complex a link make educational phenomenon. So, life story research get an opportunity that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on`s context by participant`s life`s story.

      • KCI등재

        생애사 연구방법 탐구: 생애사 연구 경험의 성찰

        이인경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hare the practical methods on life history study driven while reflecting on my experience in life history research and investigating the literature. Theories of life history and personal experience in performing life history research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mes of life history research are the description of the whole journey of life, important transitions with the formation of personal meaning of specific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construct formation such as identity. Narrative interview with articles, documents and artifacts with analysis notes were important data sources. Second, the analysis is done with chronological and thematic approach. Third, the results section was presented with the narrative data and summary and interpretation from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Finally,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researcher and abductive approach were discussed. 이 글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에 관한 방법론과 발표된 생애사 논문을 검토하면서 동시에 나의 생애사 연구 경험을 성찰하여 생애사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공유하기 위함이다. 생애사 연구단계에 따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사 연구주제는 삶의 전체 여정 묘사, 개인적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원인, 특정 경험의 개인적 의미형성 등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구술 면접자료를 주 자료로 하고, 기사 자료나 기록물 등의 문헌 자료, 인공물, 연구자 메모 등도 함께 수집하여 구술 면접자료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생애사 연구 수행 과정은 자료수집, 분석, 해석이 순환적 반복적인 나선형의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분석방법은 연대기적 분석과 범주 내용적 접근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자의 재해석 과정인 글쓰기는 전형적으로 생애 단계에 따라 주제어를 제시하고, 이 주제를 잘 표현하는 구술자료를 제시한 후, 연구자의 관점에서 요약하고 해석을 제시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생애사 연구의 진실성과 진정성을 위해서 귀추적 접근과 연구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독일 생애사 연구의 인식론적 기반과 분화 과정

        강이화(Ewha Kang),Peter Alheit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생애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교육에 관한 인간의 주관적 경험과 판단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교육 현상과 거기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둔 학문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생애사 연구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독일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생애사 연구는 흔히 연구방법의 일종으로 생각되는 경향이 없진 않지만 18세기부터 시작된 독일의 생애사 연구는 그 초점을 인식론으로 돌려놓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독일의 생애사 연구는 여러 가지 특수한 현상으로부터 뽑아낸 일반적인 지식에 초점을 두는데에서 시작하여 학습자가 사회적 현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만들어내는 구성적 지식을 부각시키는데로 변화되어 왔다. 오늘날 독일의 생애사 연구의 대표적인 갈래에는 대표적으로 현상학적 사회구성주의, 이념유형적 구성주의, 후기현대성이론, 체제이론 및 생물학적 구성주의, 탈구조주의 등이 있으며, 이들 이론은 개별적 이론이 아니라 그 사이의 긴장과 연계 속에서 다양한 생애사 연구의 산물을 만들어내었다. 독일의 이러한 연구 동향이 앞으로 생애사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나라 학도들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기를 기대한다. Das Ziel dieser Studie ist das Konzept und den historischen Hintergrund der Biographieforschung, an die es auf dem Gebiet der Erziehungswissenschaft in der letzten Zeit ein wachsendes Interesse gibt, und die Beziehung zwischen den gesellschaftlichen Veränderungen in ihrer Geschichte und der philosophischen Erkenntnistheorie in Betracht zu ziehen. Als Ergebnis stellte es sich zunächst heraus, dass die Biographieforschung nicht nur eine Quelle der wissenschaftlichen Erkenntnisse, sondern auch eine Methodologie ist, und darüber hinaus wird sie als Forschungsperspektive zu verstehen. Die typischen Erkenntnistherorien wie Konstruktivismus, Postmoderne Theorie, Systemtheorie, und Dekonstruktion haben einen Einfluss auf die Biographieforschung erzeugt und zugleich die Zweige der Biografieforschung produziert. Diese Studie als eine Grundlagenforschung wird voraussichtlich hilfreich sein, dass koreanische Forscher in Pädagogik, die an Biographieforschung Interesse haben, das Verständnis von der Biographieforschung erweitern und eine angemessene konzeptionelle-theoretischen Grundlagen schaffen könnten wenn sie in einer Art und Weise mit der Biographieforschung ihren irgendwelchen Forschungen führen möchten.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민성은 ( Min Sungeun ),최성호 ( Choi Sungho ),김영천 ( Kim Youngch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적 활용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생애사 연구 방법의 전체적 과정을 하나의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생애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구체적이고 모범적 적용 사례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애사 연구 문제 진술의 형태는 `삶의 전체 여정 묘사`, `개인적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원인`, `특정경험의 개인적 의미 형성 이해`, `특정 단체나 인물의 특징 개념화` 등 4가지로 영역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애사 연구의 주된 방법으로 생애사 면담, 보조적 방법으로 참여 관찰과 문서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세 번째, 생애사 자료 분석은 `연대기적 시간 순서로 분석하기`, `인간관계형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공간 및 소속집단 중심으로 분석하기`, `가치관과 비전 중심으로 분석하기`, `삶의 대응 방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사회적/역사적 맥락 중심으로 분석하기` 등 6가지관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 번째, 생애사 연구의 결과 표현 및 글쓰기 방법에는 연대기적 글쓰기, 중요한 사건 혹은 일화 중심 글쓰기,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글쓰기, 호소적 언어사용을 통한 글쓰기, 표를 활용한 글쓰기 등이 있다. 이러한 생애사 연구 과정에 대한 개념적 모형에 대한 논의는 생애사 연구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지침과 안내자로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ceptual model of life history research in overall way. The concret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research problem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scription of overall life journey`, `the concrete aspects and causes of individual change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meanings on specific experi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rai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personality`. Second, life history interview acts as a main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act as subsidiary research method. Moreover, developing a interview guide would be necessary for effective life history interview. Third, the frames of data analysi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to analyze chronologically`, `to analyze based on modes of human relations`, `configurations of interaction`, `to analyze based on place and affiliated groups`, `to analyze based on personal sense of values and vision`, `to analyze based on changing life attitudes`, and `to analyze based on social/historical context`. Fourth, there are manifold writing methods in life history research including `to write chronologically`, `to write based on critical event of anecdote`, `to write utilizing visual images`, `to write through emotional appealing languages`, `to write utilizing the tables`. These overall outline on life history research can be beneficial to especially life history novice as a guidance to research.

      • KCI등재

        생애사 재구성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양영자 ( Yeung Ja Y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를 위해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해당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이야기된 생애사는 ``독자로서의 의무가 이끄는 삶으로 엮여 들어가"독자 행세"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삶``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 반면, 체험된 생애사는 ``자기주도적인 삶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삶을 살아온 것으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음을 조절메커니즘에 의거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 생애사 간 차이는 생애사적 자기평가와 생애사적 실재성 간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가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학 분야 생애사연구 방법에 함의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biography of a male elderly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based on the narrativ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life as told is constructed in a biographical perspective of life from the only son, who is oppressed by the duties for his role. On the contrary, a life as experienced is constructed with life from a self-determin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as told and life as experienced stand for discrepancies between the biographical self-evaluation and the biographical reality. Some implications from this reconstructing biography, based on the narrativity,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and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welfare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 - 사례재구성을 통한 중년여성의 학습개념을 중심으로

        이경희(Lee Gyeoung-Hee),박성희(Park Seong-Hi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의 평생학습은 남성과는 다른 생애사적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평생학습은 삶의 주인공인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위기를 극복하는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성인학습자는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면서 교육의 목표와 학습의 과정을 자신의 생애사 속에서 스스로 결정하면서 자신을 완성시키는 자기주도적 학습자이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제도를 통하여 학위과정을 이수하는 00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에 수학하는 중년여성 10명의 학습개념과 그 동안에 이루어진 생애사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졌다. 내러티브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수집된 자료에서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은 자기조직적으로 학습하는 혁신적 행위자이며 자기 재생적인 잠재력을 소지한 학습자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이 나타내는 패러다임은 학교교육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사회화의 개념이 평생교육에서는 생애사의 개념으로 바꾸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생애사는 개인의 개별성을 중시하며, 인간형성의 과정을 연구한다. 개인은 우연적이며, 비연속적인 교육의 현상을 통하여 그들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생활세계인 생애사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려있는 미래를 준비하며, 자신의 삶을 조직화하고 능동적으로 행위하는 성인학습자 연구는 사회화의 개념대신 생애사의 개념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다.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lifelong learning of women is done in the context of biographical way. Their lifelong learning is mad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especially such as overcoming adversities in their daily life environment. The middle-aged women are self-leading adult learners who can control their lifetime and become the master of their own lives.<BR>  This paper researches the biography of 10 middle-aged women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to 00 university. The research data are collected by an narrative interview, and the core category based upon the so-called ground theory is derived from these data.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iddle-aged women are found to be self-organized, innovative learners who have self-refreshing potentialities.<BR>  The paradigm represented by these main phenomena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used for explaining school-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the concept of biography in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 of biography values personal individualities and analyses the process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building. Through the accidental and intermittent educational phenomena, the middle-aged women have imposed meanings upon their own life and made their biograph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we should study adult learners who are self-organized and positive for the promising future, through the concept of biography, instead of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가연,홍송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alysis of the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on the Life History of Married Immigrant WomenGayeon Kim & Songhee Hong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 among life history research conduct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For this study, I selected 33 research articles (15 of master doctorate dissertations, 18 of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22 and analyzed them based on 6 criteria. The life history research relat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was first published in 2008 and since then, it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until June 2022. By major, there were 17 research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opic, it was grouped to as follows: studies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dentity and adaptation, marriage and divorce, etc. The national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 different countries and 22 research were conducted on 1 to 5 people. In conclusion, I found that the life history research is an important study that can consider the l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diverse viewpoints.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trend in various topics related to life history research be carried out continuously. Key Words: Married Immigrant Women, Life History, Life History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Trend Analysis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김 가 연*ㆍ홍 송 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생애사 연구물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2000년 1월-2022년 6월까지의 논문 중 총 33편(석・박사 15편, 학술지 18편)을 선정하여 6가지 기준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내용: 결혼이주여성 관련 생애사 연구는 2008년-2022년 6월까지 꾸준히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공별로는 사회복지학과 다문화 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가 17편이었다. 주제별로는 결혼이주여성의 학습 경험, 기타, 정체성과 적응, 결혼과 이혼 관련 연구가 많았다. 연구 참여자의 국적은 총 11개국이었고 1-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2편이었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생애사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삶을 다각도로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로 수행된 생애사 연구물의 동향 분석이 이어지기를 제언한다. 핵심어: 결혼이주여성, 생애사, 생애사 연구,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접수일: 2022년 8월 17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Ewha Womans Univ., Email: goingparis@naver.com)** 교신저자,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객원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Myongji Univ., Email: hongsong21004@hanmail.net)

      • KCI등재

        청소년 환경단체 활동 참여 경험이 기후 시민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생애사 연구를 바탕으로

        하지훈,윤순진 한국구술사학회 2022 구술사연구 Vol.13 No.1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환경단체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기 후변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유지하고, 사회 제도와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행동 하는 ‘기후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청소년 환경단체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능동적이고, 적극 적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 가장 근접한 개념인 ‘기후 시민성’을 분석틀로 활용하였으며, 청소년 환경단체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내러티브를 활용한 생애사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청소년 환경단체 활동 참여 경험이 삶 전반에 걸쳐 기후 시민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능동적이고, 체험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또래들과 관계를 형 성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등 당시의 활동 참여는 ‘의미 있는 경험’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인이 된 현재는 기후 시민성 특징을 고루 갖춘 연구 참여자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청소년 환경단체는 청소년들의 관심과 흥미를 끄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이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 기후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견인하는 역할은 해내 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청소년 환경단체 활동 참여 경험의 영향이 청소년 시기에 머무르지 않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청소년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 인 환경교육과 전 국민 대상 평생 환경교육, 환경단체 운영방식 개선을 통한 사회적 신뢰 확보, 다양하고 균형잡힌 정보 제공과 토론 중심의 교육 방식, 전국 단위의 청소년 환경기후 모임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what role youth environmental organizations should play to grow into 'climate citizens' who consistently maintain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act to bring about changes of social systems and policies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To this end, 'climate citizenship,' the closest concept to understanding people who actively solve the climate change problem, was adopt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four adult subjects with experience in youth environmental organization activities were chosen. Then, by adopting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using narratives, it was analyzed how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youth environmental organization activities affected the formation of climate citizenship throughout their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could acquire 'meaningful experiences' such as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through various hands-on activities. However, as an adult, no research participants had climate citizenship characteristics. Youth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ere successful in attracting youth attention and interest bu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youth members to grow into climate citizens after they become adults. Therefore, this study synthesized th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ed five improvements to ensure that the influence of youth environment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stays in the youth period and continues throughout adulthood. It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s of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youth members, nationwide lifelong environmental education, operational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o secure social trust, provision of various and balanced information and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methods, and activation of national youth gath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