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九天上帝與明明上帝 : 當代新興宗教「上帝」信仰之研究

        린롱즈어(林榮澤)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4 No.-

        본 논문은 한국 대순진리회의 최고신인 ‘구천상제’와 대만 일관도의 여러 신령들의 참된 주재자인 ‘명명상제’에 집중하여, 두 신을 현대의 대표적인 ‘상제’신앙으로 삼아 그 신앙의 연원, 특색 및 연관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중국고전과 도교경전, 대순진리회의 『전경』과 일관도의 『일관도장(一貫道藏)』 등의 문헌에 의거하여 대순진리회와 일관도의 우주관사상의 특색을 이해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구천상제는 세상이 더욱 혼란해지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하니 이러한 세상을 좋게 변화시키기 위해 신인조화의 세계로 나아갔기 때문에 세상에 내려와 대순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교화하였다. 최종적으로는 한국에 와서 객망리에서 강세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교화를 펼쳤으니 음양합덕, 신인조화하여 해원상생, 도통진경에 이르는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일관도의 말에 따르면 인간의 근원은 ‘리천(理天)’에 있으며, 사람은 명명상제에 의해 창조된 ‘원태불자(原胎佛子)’이며, 속세에 태어나 세상을 살아가면서 온갖 시련을 견디며 최종적으로는 리천의 옛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러나 속세에 미혹되어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상제께서 미륵불, 제공활불 그리고 월혜보살을 파견하여 세상에 강생하여 사람들을 교화하고 어머니를 알게 하며, 본래대로 리천노모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대순진리회와 일관도는 모두 만령진재(萬靈真宰)의 최고신을 ‘상제’라 약칭하였다. 이것은 또한 서양 『성경』 속의 상제와 모종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또한 차이가 있다. 그 연원을 심층탐구하면 구천상제와 명명상제는 은상(殷商)시기에 형성된 중국 고대의 상제신앙과 유사하다고 본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흥미로운 문제이므로 더 심도 있게 비교연구를 할 가치가 있다. This paper primarily focuses on the highest deity, the Upper Thearch of the Nine Heavens (officially translated as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in the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 (NRM) Daesoon Jinrihoe and the true minister of the myriad spirits in the Taiwanese NRM, Yiguan Dao, the Upper Thearch of Manifest Luminosity. As the two both serve as highly representative “Upper Thearch” beliefs in emerging NRMs, I attemp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rce of these beliefs,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links that exist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ancient Chinese classics and Daoist texts, along with Daesoon Jinrihoe’s scriptures and works from Yiguan Dao’s Canon, I try to understand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cosmological ideas from both religious movements. For example, because the Upper Thearch of the Nine Heavens could not bear to see the human realm growing ever more disordered and in order to improve worldly conditions, he traveled to the harmonized realm of deities, and therefore descended into the world to make a great itineration and enlighten the people through his teachings. In the end, he came to Korea and was reborn as Kang Jeungsan (secular name: Kang Il-Sun) in Gaekmang Village. In the Human Realm, he spread his transformative teachings to the people which were later became the doctrines of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Perfected Unification (jingyeong 真境) with the Dao. Yiguan Dao; however, explains that the source of humanity is the “Heaven of Principle” (Litian 理天), and people are “Buddha’s Children of the Original Embryo” (Yuantai Fozi 原胎佛子), created by the Upper Thearch of Manifest Luminosity, who came to world to govern and impart spiritual refinement, before returning to his native place in the Heaven of Principle. Yet, because he became infatuated with the world of mortals, he forgot the path of his return. Therefore, the Eternal Mother sent Maitreya Buddha, the Living Buddha Jigong 濟公, and the Bodhisattva of Moon Wisdom (Yuehui pusa 月慧菩薩) to descend to the human world and teach the people, so that they may acknowledge the Eternal Mother as the root of return, achieve their return to the origin, and go back to the home of the Eternal Mother in the Heaven of Principle. Both Daesoon Jinrihoe and Yiguan Dao refer to their highest deity, the true ministers of the myriad spirits, with the simple title “Upper Thearch.” This phenomenon also has some ties to God in the western Biblical tradition but also has some key differences. In investigating the sources of these two deities, we find that they likely took shape during the Yinshang (殷商) period and have some relationship to the Upper Thearch of Chinese antiquity.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research are quite interesting and deserving of deeper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茶山의 상제에 대한 인식과 인간이해

        최정묵(Choi, Jeong-Mook)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이 글의 목적은 다산 정약용의 하늘 및 상제에 대한 관점과 인간관을 정리하는 것이다. 다산이 설정하고 있는 하늘 및 상제의 관점은 크게 네 가지의 특징을 지닌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하늘의 관념을 상제의 존재를 전제로 한 것이라 규정하고, 이러한 상제의 성격에 대해 主宰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성리학이 존재의 근거인 하늘을 理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매우 현격한 시각차가 있는 것이다. 둘째, 상제에 대한 인격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섬김 소위 事天을 인륜과의 연계성 속에서 찾고 있다. 이것은 다산이 상제를 단순히 신앙의 대상으로만 인식하고 있지 않음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인간의 윤리적 자율성과 의지발휘의 근거로 상제가 제시되고 있다. 그는 상제가 인간에게 임해 있다고 하여, 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주체성을 인간에 내면화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다산의 상제관은 천주교 및 先秦시대의 유가적 상제관과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성리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理에 대한 부정과 상제를 전제로 하는 존재에 대한 인식은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의 논리와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아울러 성리학 이전의 유가적 상제관에 대한 재인식이라는 의미 또한 함께 지니고 있다. 위와 같은 하늘 및 상제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둔 다산의 인간관은 세 가지의 내용으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을 神·形 妙合의 존재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理와 氣에 기초하여 인간의 존재구조를 밝힌 성리학의 관점에 대한 반론으로 제시한 것이다. 둘째, 다산은 선악과 관련된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있어, 이것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율적 선택권이 부여되었다고 본다. 인간의 도덕적 행위는 선천적이고 고정적인 결정력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에 따른 선택의 자율성만이 주어진 것이라 주장한다. 셋째, 인간의 자주적인 권능을 性이 아닌 心에 의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心의 자율성과 더불어 강조되고 있는 또 하나의 성질은 靈明性이다. 그는 이러한 정신적 작용은 마음에 근거한 것이라 보고 있다. 궁극적으로 다산이 지향하는 생기발랄한 인간상은 바로 心의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ate the knowledge of SangJae and the view on human being in Dasan Jeong Yak Yong"s philosophy.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significant aspects in his knowledge of SangJae as followed. First, the so-called SangJae (上帝, the Supreme Ruler) in Dasan"s view always bears the meaning of a divine personality (主宰者) who controls the world. This way of thinking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e Neo-confucian perception according to which the Heaven ? as the substance of all beings - is determined as "li (理, the principle)". Second, although the thought on SangJae contains the meaning of a personality,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Dasan seeks the worship of Heaven (事天) in the continuity between the Heaven and the human being. It means he does not simply grasp the Supreme Ruler as an object of the religious belief. Third, Dasan suggests the concept of SangJae as the foundation of the display and promotion of human moral autonomy and will. He affirms that SangJae attends inside the human being and thus there exists, inside the human being, the subjectivity in recognizing and realizing the ethics. Fourth, Dasan"s thought on SangJae does not entirely concur with either the Christian conception of God or the idea of SangJae of Confucianism in the Early Qin period (先秦), but still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ose two. Its denial of the conception of "li (理)" stated by the Neo-confucianism and its perception that all beings are based on the existence of SangJae are similar to the arguments presented in Matteo Ricci"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In addition, Dasan"s thought can be regarded as a re-discovery of the idea of "SangJae" that had been argued in periods prior to the Neo-confucianism. Dasan"s view on human being based on the perception of SangJae, generally speaking, covers three aspects as followed. First, human can be seen as an existence combining the spirit with the physical body. This is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Neo-confucian conception according to which the human existence is apprehended based on "li (理, the principle)" and "qi (氣, the energy flow)". Second, in Dasan"s thought on human moral actions which are connected to the issues of the Good and the Evil, it can be seen that those actions are taken under an autonomic right of choice or a self-determination. Human moral actions are neither innate nor pre-determined, but based on the autonomic right of choice, i.e the own will of every individual. Third, Dasan thinks that human ability of autonomy depends on the mind (心) but not the nature (性). Together with that autonomy of the mind, there is also another character that he emphasizes named "holiness (靈明性, the spiritual effect)". He states that this spiritual effect is founded on the min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ivacious human character at which Dasan aims with all his enthusiasm is based on this very character of the mind.

      • KCI우수등재

        退溪 李滉의 理와 上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종우(Jong-Woo Lee)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2 No.-

        退溪 李滉은 理의 體를 無情意, 用을 能發能生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으며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없는 理가 어떻게 능히 발동하고 생할 수 있는 지가 문제이다. 이러한 그의 理개념은 모순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上帝와의 관련 속에서 리를 살펴보면 모순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성급하다. 그는 리와 마찬가지로 無形, 無聲, 無臭한 上帝도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을 능동적으로 主宰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능동적이라는 점에서 리와 상제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리가 곧 상제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상제의 주체를 理, 그 작용을 돕는 것을 氣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리는 기를 주재한다. 따라서 상제의 주재는 곧 리가 기를 타고 주재하듯이 만물을 주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러한 리와 상제의 능동적인 주재는 주희의 리, 상제개념과 구별된다. 그러나 리의 능동을 상제와 관련시켜 본다고 해도 감각으로 느낄 수 없는 상제가 인간은 물론 만물을 주재한다는 것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마치 존재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절대자라고 하여 믿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하지만 이황이 감각으로 느낄 수 없는 상제를 능동적인 주재자라고 여겼던 것은 적극적으로 善을 실천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다고 할수있다. 본래 리가 기를 주재한다고 이황은 말한다. 純善한 리가 兼善惡한 기를 주재하기 때문에 본래 인간의 행위는 항상 善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인간은 선 보다 악이 더욱더 드러나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 이 때문에 상제는 인간의 악한 행위에 대하여 震怒하고 재앙을 내린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상제를 마주 대하듯이 衣冠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며 敬을 강조했다. 이 때문에 상제를 능동적인 존재로 상정했고 상제의 주체가 되는 리를 능동적인 존재로 생각했던 것이다.

      • KCI등재

        大巡真理会“九天上帝”信仰与 道教“普化天尊”信仰比较研究

        위꿔칭(于国庆)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3 대순사상논총 Vol.21 No.-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다산 상제관의 경세론적 해석

        박광철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Dasan who develops mental theory with ‘Balance(權衡)’, Exercise(行事) and hi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assume the high god(上帝) as an absolute standard for good. Is such a his idea of high god same as the external or inherent transcendence that appears in Four Books and Old Classics? or is it a religious conception of god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The controversy has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iew that Dasan's interpretation of high god is reestablishing Confucianism. This view regard Dasan does not deviate the category of Neo-Confucianism, but is far from the doctrines of Zhu Zi. And assert that the influence of Catholicism is absolute. Despite these discussions, however, the question still remains whether the ancient chinese high god is consistent with Dasan's high god. This essay seeks to see what other meanings are in the concept of high god from the view point of Dasan 's statecraft through comparison of Dasan' s interpretation of high god and high god in the scriptures. Dasan's high god is a transcendent being. But it is not an absolute existence set apart from human beings. Dasan 's high god is a strict ethical observers revealed by morality. In other words, he regard high gad as the basis for judging the final value of morality. There is merely a high god as the object of the gathering of the people, which is necessary for pursuing the common happiness of society, and there should be strictly courtesy and laws of society for this gathering. Through this, we try to overcome the imperfection of the premise which heaven(天) is located as a working principle of man and all things and human is able to do good from the beginning. As Dasan said, human beings always have a morality and greed, so that they can go on both sides at any time. In order to overcome this imperfection, Dasan emphasizes courtesy and laws through the practice of Cautious in privacy and the realization of the 'Shu(恕)' from the family unit to the nation. Chinese ancient high god is meaning from outer transcendental existence to monarch's inner transcendental thing. But Dasan’s high god is the object of the rudder towards good for man and the fear of doing evil. He presume high god as standard of ethical practice assuming autonomous choice of human good and evil. ‘성기호설’과 ‘권형’, 그리고 ‘행사’로 인간의 심성론을 전개하는 다산은 선을 지향하는 절대 기준으로 상제(上帝)를 상정한다. 이러한 다산의 상제는 사서와 고경에 등장하는 외재 혹은 내재 초월성과 같은 것인가? 아니면 서학의 영향 아래 형성된 종교적 신관인가? 하는 논쟁은 오랫동안 진행되어왔다. 한편 다산의 상제관이 유교 사상의 재정립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러한 입장들은 다산이 성리학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지만, 주자학과는 거리가 있다고 보는 시각이다. 그리고 다산의 상제는 천주교의 영향이 절대적임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아직 고대 중국의 상제가 다산의 상제와 일치하는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본 글은 다산의 상제관과 경전에 등장한 상제와의 비교를 통해, 다산의 경세론 관점에서 상제의 개념상 다른 의미는 무엇인가 보고자 한다. 다산의 상제는 초월적 존재이다. 그러나 인간 밖에 따로 설정된 절대 존재가 아니다. 다산의 상제는 도심으로 드러나는 엄정한 윤리적 감시자이다. 즉, 상제를 도덕률의 최종적 가치판단의 근거로서 상정해 놓았을 뿐이다. 사회의 공통된 행복을 추구함에 필요한 민심의 결집 대상으로서의 상제가 있을 뿐이고, 이 결집을 위한 사회의 예와 법이 엄정히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인간과 만물의 작동 원리로서의 천이 위치하고 원래부터 선을 행할 수 있는 인간이라는 전제의 부실함을 극복하고자 한다. 다산 자신이 밝혔듯이 인간에게는 항상 도심과 인욕이 병존하고 있어서 언제든지 양쪽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불완전성의 극복을 위해 다산은 개개인의 신독을 통한 도덕 윤리의 실천과 가족 단위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서’의 실현으로서의 예와 제도를 강조한다. 중국 고대의 상제가 처음에는 외적 초월 존재에서 군왕의 내적 초월적 상제로서의 의미까지였다면 다산의 상제는 모든 사람에게 선을 지향하는 방향타의 역할과 악을 행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의 대상으로 변화한다. 인간의 선악에 대한 자율적 선택을 전제하고 윤리적 실천의 기준으로 상제를 상정하고 있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天’ 개념에 대한 재고찰

        정일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2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천天’, 즉 ‘상제上帝’ 개념은 일찍부터 다산학茶山學 연구에 있어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반추反芻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째, 필자가 이해하고 있는 정약용의 ‘천’, 즉 ‘상제’ 개념의 내용을 제시하고, 둘째,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다룬 국내외의 대표적인 선행연구의 내용과 경향을 개관한 다음, 셋째,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다산학 연구에서 상제 개념을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주요쟁점들 및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차례대로 제시하였다. 이에 결론적으로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둘러싸고 기존연구에서 제기된바 주요쟁점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약용의 상제 개념의 ‘사상적 기원’에 대해서 필자는 ① 일찍이 보유론補儒論을 표방했던 『천주실의』로 대표되는 서교의 영향이란 기실 ㉠ 정약용 자신이 젊은 시절(21세)부터 견지했던 학문적 문제의식과 내용 및 방향에 대한 확신을 재확인ㆍ보강하는 동시에 이를 구현할 몇 가지 새로운 표현을 발견하는 계기이자, ㉡ 무엇보다 이를 통해 그 자신이 몸담고 있었던 유교전통儒敎傳統을 대자적對自的으로 조망할 수 있는 객관적 안목을 획득함으로써 자신의 문제의식에 따라 이것이 함축한바 사상적ㆍ이론적 가능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재해석할 단서적 통찰력을 제공받은 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② 이로써 정약용 의 상제 개념에 대한 서교의 영향을 완전히 부정하는 입장은 물론이려니와, 반대로 그 영향을 배타적으로 과도하게 평가하는 입장 역시 모두 정곡에서 벗어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정약용의 상제가 가진 권능으로서의 ‘조화造化의 의미’와 관련해서 필자는 ① 정약용은 ‘조화’란 용어를 천지만물에 대한 상제의 ‘재제宰制ㆍ주재主宰ㆍ통어統御ㆍ발육發育ㆍ번성蕃盛’ 등을 동시에 함축하는 ‘운행’뿐만 아니라 나아가 ‘창조’까지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인식ㆍ사용했던바, ②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상제를 곧 ‘우주의 창조자가 아닌 주재자the ruler of the cosmos, not its creator’라거나 ‘만물을 생성하고 소멸하게 하는 대자연의 이치를 드러내는 것’으로 주장하는 기존연구는 재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정약용의 상제가 가진 또 다른 권능으로서의 ‘재제宰制(主宰)의 의미’, 즉 상제가 이 세계에 개입하는 방식으로서의 ‘재제가 과연 계시啓示까지를 포함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필자는 ① 상제는 인륜人倫의 실천을 요구하는 자신의 명령, 즉 천명天命을 다름 아닌 인간의 ‘도심道心’과 ‘복서卜筮’를 통해 끊임없이 계시啓示하는, 다시 말하자면 상제란 이러한 교감장치를 통해 인간과 능동적으로 상호감응相互感應하는 유작위有作爲의 인격적 존재인바, ② 이러한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물 가운데서 특히 상제를 단순한 ‘도덕적 힘a moral force’, ‘계시를 찾을 길 없는 벙어리’, ‘이신론적理神論的 주재자’ 또는 ‘세계에 대한 비인격적이며 이법적인 관여방식’ 등으로 일면적으로 평가ㆍ인식하는 일련의 입론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약용의 상제가 그의 철학적 세계관과 학문체계에서 차지하는 ‘개념적 위상’과 관련해서 필자는 ① 정약용이 도입한 상제는 그의 세계관 및 경학經學과 경세학을 아우르는 ... Tasan Jeong Yak-yong’s concept of ‘Cheon(天, Tian, Heaven)’, that is, ‘Sang-je(上帝, Shang-di, Lord on High)’ has been a matter of grave concern in Tasan studies from early on. In this paper, the very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is ruminated on. Hereupon, in this paper, firstly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that is understood by this writer is presented. Secondly, the contents and the tendencies found in precedent Tasan studies that have been dealing with the above-mentioned concept at home and abroad are outlined. Thirdly, based on above discussions, the main points of issue that have been raised in preceding Tasan studies around the above-mentioned concept and this writer’s opinions about these main points of issue are presented in turn. In conclusion, this writer’s stands about the main points of issue that have been raised in precedent Tasan studies around the above-mentioned concept are as follows. Firstly, concerning ‘the origin’ of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① the influences of Catholicism that are represented by Cheon-ju Sil-eu(『天主實義』, Tian-zhu Shi-yi,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hich had claimed to stand for the accommodationist explanations of Confucianism ⓐ served in reality as a major momentum that reconfirmed and reinforced Jeong Yak-yong’s critical mind about the then current learning and his confident belief in his early scholarship held on since 21 years old and made him capable of finding some new expressions to embody it, ⓑ above all, gave him an objective eye enable to take a survey of the whole Confucian traditions in which he himself had been included and via this provided him some insights and clues to dig out and reinterpret the Confucian traditions. ② In view of these facts, a standpoint that denies Catholic influences on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entirely, not to mention a standpoint that overemphasizes Catholic influences on that exclusively, is not to the point. Secondly, regarding ‘the meaning’ of Jeong Yak-yong’s term of ‘Jo-hwa(造化, Zao-hua, the cre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that was recognized as one of Sang-je’s powers, ① Jeong Yak-yong used this term in a broad sense, namely, as a term that included not only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that implied the meanings of ‘the exercise of authority over heaven, earth and all things, the control and the management over them, the growth of them’ at the same time, but also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them’. ② In this context, some studies which maintained that Sang-je is ‘the ruler of the cosmos, not its creator’ or it means only ‘the Mother Nature’s principle of producing and extinguishing all things’ may have room for reconsideration. Thirdly, referring to ‘the meaning’ of Jeong Yak-yong’s term of ‘Jae-je(宰制, zai-zhi, the control and the management of the universe)’ that was also recognized as one of Sang-je’s powers, especially a question of ‘ Does Jae-je involve the meaning of revelation?’, ① Jeong Yak-yong answered this question that Sang-je reveals its own order, that is, Cheon-myeong(天命, Tian-ming, Heaven’s decree) through ‘Do-sim(道心, Dao-xin, mind of the Way)’ and ‘divination by Ju-yeok(『周易』, Zhou-yi or Yi-jing, Book of Changes)’ to human beings continually. ② In this sense, among the existing Tasan studies, some arguments that appraise and recognize Jeong Yak-yong’s Sang-je merely as ‘a moral force’, ‘a dumb existence without revelation’, ‘a deistic supervisor’ or ‘an impersonal and an abstract existence’ may be problematic. Lastly, respecting ‘the conceptual position’ of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occupying in his philosophical world view and his learning system, ① Jeong Yak-yong’s ‘Sang-je’ can be seen at least as a core and an indispensable ca...

      • KCI등재

        茶山의 鬼神論에 대한 고찰 -中庸講義補·中庸自箴을 중심으로-

        박찬호(Park, Chan H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이 논문은 다산 귀신론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 검토한다. 다산의 문제의식은 주재의 가능성이 적은 理를 귀신의 대상으로 삼는 것에서 출발한다. 다산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上帝라는 독특한 개념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제는 形質이 없다. 다산은 이 지점에서 고경과 서학에서 연원한 자신만의 독특한 귀신론을 전개시킨다. 다산은 주자가 제시한 귀신에 대한 명제인 ‘두 기의 良能’, ‘천지의 功用’, ‘조화의 자취’의 세 가지 명제를 비판한다. 다산은 음양으로 귀신을 설명하는 것에 대해서도 음양이 우주의 순환에 일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각이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만물이 생겨나는 근원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말한다. 또한 ‘천’을 ‘리’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서도 ‘리’는 주재의 기능이 없기에 ‘천’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한다. 상제는 형체와 바탕이 없지만 귀신과 유사한 작용력을 가졌다. 귀신 또한 형체가 없지만 작용은 신묘한 힘을 가졌기 때문에 귀신이라고 한다. 상제는 군주처럼 만물 위에 주재하지만 실질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전적으로 귀신의 역할이다. 이렇게 본다면 귀신과 상제가 별개의 실체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귀신은 상제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 다산의 의도는 상제의 작용력에 대해서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어떤 개념을 필요로 했기에 고경에서 사용되는 귀신개념을 차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다 산의 귀신은 상제와 같은 덕을 지니고 있지만, 상제의 대리인으로써 천지만물을 조화하는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인간이 귀신을 체현할 수 있는 이유는 靈明性에 있다. 상제는 인간에게만 영명성을 부여하여 상제와 직접 대면할 수 있게 하며, 도덕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제는 인간에게 어떠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인간은 기본적으로 상제에 대한 종교적인 믿음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은 신독에 의해 더욱 굳건해진다. 다산의 신독은 어두운 곳에 홀로 있으면서 행동을 검속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귀신을 대상으로 하며 절실한 마음으로 귀신이 마치 임해 있는 것처럼 행동했을 때 진정으로 귀신을 체현하는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and features of Dasan guishen(鬼 神) theory. Dasan s problem-consciousness starts from making Li(理), who is unlikely to be the host, a guishen target. To overcome this, Dasan proposes a unique concept of sangje(上帝). However, Sangje has no form, no basis. At this point, Dasan develops his own unique guishen theory, which was inspired by ancient scriptures and Catholicism. Dasan criticizes the three propositions presented by the runner: ‘the innate ability of two ki’, ‘the meritorious virtues of heaven and earth’, ‘traces of harmony’. As for explaining guishen with yin-yang, Dasan also says that although yin-yang is true to contribute to the cycle of the universe, it is impossible to influence the source of the resulting creation of all things because it has no perception. It also proves that the reference to Li cannot be made of cloth because Li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host. Sanje has no shape and base, but has a similar action as guishen. guishen are also said to be guishen because they have no shape, but they have mysterious powers. Sangje presides over all things like monarchs, but it is entirely the role of guishen to act in substance. In this way, guishen and saangje may appear to be separate entities. However, ghosts are just another name for Sangje. Thus, Dasan s guishen has the same virtue as Sangje, but as an agent of Sangje, he has taken on the role of harmonizing heaven and earth. The reason why humans can display ghosts lies in their spirituality. humans The reason why ghosts can be displayed is in spirituality. Sangje gives only man a sense of spirituality so that he can face himself and make moral activities possible. But Sangje does not offer any concrete methods to humans. That s why humans basically need religious beliefs about Sanje. And this belief is strengthened by shindok (愼獨). Dasan s shindok is not about being alone in the dark and censoring behavior. It is aimed at guishen and truly embodies them when they act as if they are in a desperate state.

      • KCI등재

        다산 교육론의 두 과녁 : 성인聖人과 상제上帝

        정순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what kinds of new prospect and edu-cational conception Tasan had after seceding from the world of Neo-Confucianism(the doctrines of Cheng-Chu, 程朱學). First of all, Tasan refined new educational conception by reinterpreting the real mean-ing of Saint(Shengren, 聖人). While Saint(Shengren, 聖人) in Neo-Confucianism(the doctrines of Chu-tzu, 性理學) means a model of the Mind(Xin xue, 心) studies which can be achieved by recovery of the original nature, Tasan’s view of Saint(Shengren, 聖人) is close to a model of Practice(Xing shi, 行事) which can be revealed by practical lives in the reality. One of the next important factors which define Tasan’s educational theory is the concept of God(Shang-ti, 上帝). It was the concept of ultimate reality that Tasan chose after casting aside Principle(Yi, 理) conceptual¬ized in Neo-Confucianism(the doctrines of Chu-tzu, 朱子學). A human being needs the attitude of sincerity(愼獨) to meet God(Shang-ti, 上帝). In that course, he and God sympathize with each other through spirituality(靈性). Tasan’s educational theory advanced further towards the modern age by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Saint(Shengren, 聖人) and God(Shang-ti, 上帝). However, it is not certain how different the ethics of filial piety & fraternal love(Xiao ti, 孝悌) that he stressed most in his educational theory was qualitatively from the argument of filial piety & fraternal love(Xiao ti, 孝悌) which the contemporary Neo-Confucian(the doctrines of Chu-tzu, 性理學) scholars had. It is believed that this uncertainty must be one sign of unstable modernity that his educational theory had. 유자들이 꿈꾸는 교육의 목표는 ‘성인聖人’에 있다. 16세기의 조선사회는 퇴계와 율곡을 거치면서 이러한 목표가 가능할 수 있다는 낙관론에 고무되어 있었다. 율곡은 “배우는 사람은 성인되기를 목표로 삼고서 한 터럭만큼도 스스로 포기하거나 물러서고 미루려는 생각을 가지지 말 것”을 주문하고 있다. 퇴계와 율곡이 제시한 궁리와 거경의 공부론은 평범한 학인들에게 성인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들은 도문학과 존덕성의 공부를 통해 리理를 체인하면서 언젠가는 성인의 문턱으로 진입할 수 있으리라 보았다. 퇴율의 문도들은 성인이라는 상달上達의 세계는 쇄소응대와 같은 소소한 일상생활에서의 하학 공부를 통해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임란을 경과하면서 소수의 학자들은 주자학적 공부론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기존의 신념에 의문을 품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각성은 양명이 경험했던 용장의 깨우침처럼 극적인 것은 아니었으나 변화의 바람은 명백하게 감지할 수 있었다. 소학류의 하학공부를 통하여 상달의 세계에 이른다는 성리학적 기획은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지루하여 활기 없는 유자들만 양산하였다. 그들은 사소한 삶의 이치理를 깨우쳐 종국에는 세계에 대한 근원적 이해가 가능하리라는 낙관론이 매우 비현실적이라는 사실을 감득하기 시작하였다. ‘성인’이라는 외부적 준거가 삶의 구석구석을 통어하고 인간의 소소한 욕망을 금제하는 것을 회의하게 되었다. 성리학의 세례를 받은 수많은 선비들이 명멸하고 사후 그들은 서원 향사의 영광을 누렸지만 성인의 문정에 들어간 인물은 거의 없었다. 17세기 이후 등장하는 탈주자학적 해석 육경고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 등은 성리학적 공부론이 지닌 한계를 돌파하고자 하는 학문적 노력이었다. 다산은 성리학의 공부로는 성인을 성취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그는 그 이유를 우선 천을 리理라 하고 인을 만물을 살리는 리라 하고 중용의 용庸을 평상平常이라고 하는 세 가지 점으로 지적한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사실상 기존의 성리학의 공부론이 한계에 다달았음을 선언한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다산의 사유에서는 성리학에서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상제 개념이 가장 중핵적인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는 도처에서 성인과 상제가 그의 선의지를 확인시켜 주는 주요한 동인임을 밝히고 있다. 이제 우리는 그의 교육론에서 상제는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밝혀 보아야 할 때이다. 우리는 곧잘 리동설理動說에 근거한 퇴계의 ‘상제上帝’개념과 신독愼獨에 기초한 다산의 종교적 상제론 사이에서 강한 사상적 연대성을 발견하고자 하나 이는 다산의 고유한 사상적 특질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다산이 정주학적 세계를 ...

      • KCI등재

        정약용의 윤리사상에서 도덕적 자율성과 상제의 문제

        이영경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4 No.-

        다산 정약용은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규정하면서 도덕적 자율성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는데, 그는 ‘理’를 통해서가 아니라, ‘上帝[天]’를 통해서 인간의 윤리적 존재 문제를 해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점, 다산이 인간을 윤리적 주체로 규정하고,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을 논함에 있어서 상제를 연관짓는 입장을 분석하였다. 다산의 윤리사상에서 상제는 인간에게 도덕적 자율성을 부여하는 근거이면서, 도덕 실천을 위해 인간의 의지를 강력하게 추동하는 존재로 이해된다. 다산은 인간이 상제를 의식하고, 섬기는 愼獨을 통해서 中庸의 德과 仁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신독이 함의하고 있는 인간관계적⋅실천윤리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산은 또 도리를 각성하고 규범을 실천하는 ‘윤리적 성찰과 실천’은 상제와 소통하는 道心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인식한다. 천이 부여한 靈明性을 가진 도심은 도덕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고, 도덕적 실천 의지를 가지며, 또 自主之權이라는 도덕적 자율성을 지닌다. 도덕적 자율성을 주장하는 다산의 윤리사상에서 상제의 감시와 경고가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을 훼손하는 측면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다산의 궁극적인 입장은 상제가 인간에게 부여한 도덕적 자율성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선하거나 악한 행위에 대하여 상제가 상벌을 내린다고 하는 선언적 언급도 인간이 자율적으로 도리[人倫]를 실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책임성이 온전히 인간 자신에게 있음을 전제로 한 상벌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의 윤리사상에서 인간에 대한 상제의 威能은, 선을 행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인간의 실존적 상황에서 도덕적 감성과 성찰 그리고 실천의 노력이 투철하게 수반되도록 각성시키는 데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산은 인간이 상제의 감시와 경고에 귀를 기울이고 따라야 한다고 말하지만, 그 명령과 감시가 무조건적으로 인간의 행위를 강제하는 절대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상제의 감시와 경고는 인간이 품부받은 도덕적 자율성을 바탕으로 도덕적 가치와 도덕적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도덕적 가치를 실천케 하는 조력적⋅강화적 위능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nalysis on the ethical theory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s moral autonomy and SangJae(上帝). Jeong yak-yong insists that the human has moral autonomy and moral will, so human's behavior has the moral responsibility. Also Jeong yak-yong studied that the the SangJae, social ethics problem, Individual self-discipline, moral practice problem in the context of the moral autonomy.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yak-yong' thought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Therefore in this thesis, we study the problem of moral autonomy and SangJae In the Jeong yak-yong's ethical thoughts. First, we discuss the Several issues related to SangJae, which is the non-determi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mind, recognition of moral values, ability to judge moral issues. Second, we analysis the limit characters to the moral autonomy, that is the SangJae's watch and warning problem. Third, we discuss the ethical implications on the theory of Dosim(道心), also elucidate the meaning between moral autonomy of human and command of SangJae. In the Jeong yak-yong' thought, the ethical reflection and practice are possible to communicate to SangJae. So, we can say that the ethical virtu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erve on the SangJae, but his command is not an absolute, so selection will be available. In conclusion, the command of SangJae is just to have the assistance and strengthening meaning.

      • KCI등재

        귀신의 공공성과 제사의 정치 ─ 정약용의 상제-귀신론과 정치사상

        백민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4 다산학 Vol.0 No.44

        이 글은 정약용의 상제-귀신론을 국가의 제사의례와 관련해 분석한것이다. 『춘추고징』에서 제시된 길례와 흉례 등을 살펴보면 다산이 상정한 초월적 상제와 천신들, 인간 혼령의 성격과 의미를 엿볼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상제ㆍ천신ㆍ인귀가 개인적인 종교적 섬김의 대상이기보다는 다산이 구성한 국가례의 핵심적인 제사 대상이며, 왕조의 정치적 기획과 운영을 통해서 그 전모를 이해할 수 있는 존재였다는 점이다. 다산은 초월적 영역에서 상제ㆍ천신ㆍ인귀의 형이상적 위계질서를 제시함과동시에 세속에서 인군ㆍ인신ㆍ만민의 정치적 위계를 동일한 논리로 구조화했다. 그리고 형이상학적 세계에서 혼령을 천신에 배향할 때 그들의 정치적 공과 덕을 기준으로 삼았고, 이런 인귀의 공덕을 세속 정치에서군신들이 백성에 대해 베풀어야 할 정치적 치적으로 삼았다. 요컨대 상제-귀신론은 다산의 정치 형이상학으로 기능했으며 특히 귀신의 공과덕이라는 공적 가치, 즉 귀신의 공공성을 강조했던 점이 중요한 특징의 하나다. 나는 다산의 귀신론에서 인귀, 즉 망자의 혼을 다루는 그의 생각이 흥미로웠다. 다산은 인간이 상제ㆍ귀신과 동일한 영명을 가졌다고보고 인간의 영명한 마음을 영체라고 표현했다. 다산에게 영체(영명)는 상제가 부여한 것이기에 특정한 발생 시점을 가지고 사후에도 상존하는 고유한 실재(인귀)로 상정되었다. 다산은 사후의 혼이 뒤바뀔 수 없는 개체적 특성을 간직한다고 보았고, 고유한 영체가 저마다 선악의 가능성을 내장한다고 이해했다. 다산은 영체가 자신의 의지적 공부를 통해 상제의 명령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른바 그의 도심이란 것이 바로 그런 마음이다. 영靈의 기원과 실재성에 대한 다산의 믿음은 그의 제사의례와도 직결되며, 서학과의 지적 교섭에서도 주목받았던 주제이다. 다만 다산이 오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완성한 저작들 상당수가 예학서라는 점에 주목할 때, 인간의 영명과 사후 혼에 대한 그의 관심은 결국 예학, 특히 국가와 문중의 상제례와 깊은 관련을 가진다고 할수 있다. 특히 다산은 국가 제사와 문중의 상제례를 중시했으며 상제뿐만 아니라 조상 혼의 의미를 깊이 성찰했다. 제천의례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다산 『춘추고징』의 주요한 특징은 조상혼의 이해 그리고 조상보본의 뜻을 더 큰 공적 가치에 결부시킨 체제사의 의미를 승화시킨 데 있다. 그것은 다산 사유의 핵심이 조상제사를 바탕으로천신과 상제로 이어지는 유대의 긴 과정을 복원하는 데 있었다고 보기때문이다. 이런 형이상학적 세계의 재구성이 그가 지향했던 세속 정치의 공공성을 제고하고 확장하는 데 궁극적 목적을 두었음은 물론이다. 이 점에서 다산의 상제-귀신론도 그가 구상한 인륜질서와 왕도정치라는 전체 기획을 통해서 비로소 온전한 의미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pen name: Dasan(茶山)]’s theories on the Sangje(上帝, Supreme Emperor) and Ghosts(鬼神, ghosts and spirits) in relation to the official rituals of the state(國家禮). The auspicious and unauspicious occasions of rituals presented in Chunchoogojing(『春秋考徵』) give us a glimpse into the characters and meaning of the transcendent Sangje, heavenly spirits(天神), and the human soul after death(魂靈; 人鬼) that Jeong envisioned. It is noteworthy that, rather than being objects of personal religious worship, the Sangje, heavenly spirits and human spirits were central to official rituals of the state organized by Jeong, and can be understood in their entirety through the political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dynasty.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metaphysical hierarchy of the Sangje, heavenly spirits and human spirits in the transcendental realm,Jeong structured the political hierarchy of monarchs, subjects and people in the secular world with the same logic. In the metaphysical world, Jeong considered the political contribution(功) and virtues(德) of human beings to be an important criterion for offering the human soul after death to the Sangje and heavenly spirits, and he regarded these human spirits’ contribution and virtues as exemplary political achievements that monarchs and subjects should bestow on their people in secular politics. In short, the theories of Sangje and ghosts operated as a political metaphysics for Jeong Yak-yong, and his emphasis on the public value of ghosts’ contribution and virtue, or the public nature of ghosts, is an important feature of his remarks about the spiritual entities. I have been intrigued by Jeong’s ideas about dealing with the spirits of the dead in his ghost theory. Jeong viewed humans as possessing the same spiritual intelligence(靈明) as the Sangje and heavenly spirits, and he characterized the human mind with this spiritual intelligence as a spiritual body(靈體), or spiritual intelligent body. For Jeong, the spiritual body was bestowed upon humans by the Sangje and therefore had a specific point of origin, and this spiritual body was envisioned as a unique entity that exists even after death. Jeong believed that spirits retain distin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altered after death, and he understood that each unique spiritual body contains within it the potential forgood or evil. He believed that the spiritual body can understand the commands of the Sangje through its own volitional study, the so called Dao-Mind(道心). Jeong’s belief in the origin and existence of spirits after death is directly related to his theory on ancestor rituals, and it is a topic that was also of interest in his intellectual engagement with Western Learnung(西學). However, the fact that so many of Jeong’s long and laborious works are related to Confucian rituals suggests that his interest in human spiritual intelligence and spirits after death eventually led him to the study of Confucian rituals(禮學), especially state and family level rituals and ancestral rites.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national and family rituals and ceremonies, which led him to reflect deeply on the meaning of not only the Sangje but also the individual ancestral spirits. Rituals to Supreme Emperor had alread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nd interest even before Jeong. I believe that Jeong’s increased attention in Chunchoogojing was an intellectual task that expanded and deepened the meaning of ancestor rituals in a more public way. The core of Jeong Yak yong’s thought was to restore the deep process of bonding with heavenly spirits and Sangje based on exemplary ancestor rituals. This reconstruction of the metaphysical world was ultimately aimed at raising the potential public value of Jeong’s secular politics and expanding it. In this respect, Jeong’s theory of ghosts can only be fully 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