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의 동적 평형 위치 예측 모델: 감천-낙동강 합류점 중심 분석 연구

        김민식,신혜인,남욱현,김원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4

        A delta is a depositional landform that is formed when sediment transported by a river is deposited in a relatively low-energy environment, such as a lake, sea, or a main channel. Among these, a delta formed at the confluence of rivers has a great importance in river management and research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ydraulic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Recently,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onfluence area has been disrupted by large-scale dredging and construction of levees in the Nakdong River. However, due to the natural recovery of the river, the confluence area is returning to its pre-dredging natural state through ongoing sedimentation. The time-series data show that the confluence delta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the dredging, but once it reaches a certain size, it repeats growth and retreat, and the overall siz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to explain the sedimentation-erosion processes in the confluence a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fluence delta reaches a dynamic equilibrium. The model is based on two fundamental principles: sedimentation due to supply from the tributary and erosion due to the main channel. The erosion coefficient that represents the Nakdong River confluence areas, was obtained using data from th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to understand how the confluence delta responds to changes in the sediment and water discharges of the tributary and the main channel, respectively. We then used annual average discharge of the Nakdong River's tributaries to predict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Finally, we conducted a simulation experiment on the development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using recorded daily dis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it is a simple model, it accurately predicted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in the Nakdong River, including the areas where the delta had not formed, and those where the delta had already formed and predicted the trend of the response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However, the actual retreat in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was not captured fully due to errors and limitations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The insights through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sediment supply of the Nakdong River through the confluence areas,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basic model for riv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삼각주는 하천이 운반하던 퇴적물이 호수나 바다, 하천의 본류와 같은 상대적으로 저 에너지의 환경을 만나 쌓인 퇴적 지형이다. 그 중 하천의 합류 지역에 생긴 삼각주는 하천 기하와 수리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하천 관리 및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최근 낙동강 내 대규모 준설과 보 건설로 하천 합류 지역의 평형상태가 깨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의 자연 회복성으로 인한 지속적인 퇴적으로, 인위적인 준설 이전의 자연상태로 되돌아가고 있다. 시계열 관측 결과 합류 지역의삼각주는 준설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전반적인 크기의 변화없이 소규모의 성장과 후퇴를 반복하는 동적 평형상태에 이른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 지역 삼각주가 지류의 유사량과 본류의 유량에 따라 체결된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합류 지역의 퇴적-침식 작용을 설명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지류 공급 퇴적물의 퇴적과 본류로 인한 침식 작용, 두 가지 기작을 토대로 한다. 모델에 사용된 낙동강을 대표하는 침식 계수는 낙동강 내 주된 합류 지역을 이용하여 추정했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류 유사량과 본류 유량에 따른 합류 지역 삼각주 평형 위치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고, 이후 주된 합류 지역의 연평균 유량,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들의 동적 평형 위치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천-낙동강에 기록된 일별 유량과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발달에 대한 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델을 통해 각 합류부 삼각주의 형성 여부를 예측하였고,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거동의 경향 또한 잘 예측하였지만, 단순화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와 한계로 인해 감천-낙동강 삼각주에서 실제 발생하는 후퇴를 정확히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합류 지역을 통한 낙동강 본류의 유사 공급량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하천 정비 및 유지에 기초 모델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보령지역 충남 분지 중생대 초기 하조층의 퇴적상 분석

        이신우,정공수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1

        Facies analysis of the Late Triassic Hajo Formation, the lowest stratigraphic unit in the Chungnam Basin,shows that the lower part is composed mainly of breccias or conglomerates; the middle part, conglomerates; and the upper part, conglomerates and sandstones. The formation consists of 13 facies, which include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clast-supported massive breccia,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 or conglomerate, matrixsupported graded conglomerate, massive pebbly sandston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massive sandstone, graded sandstone, inversely graded sandstone, planar cross-bedded sandstone, trough cross-bedded sandstone, low angle crossbedded sandstone, and massive mudstone. These are grouped into 4 facies associations (FA). FA I consisted of clastsupported and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s presumably deposited in the talus or upper fan delta environment. FAⅡconsists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and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of cobble size and it seems to have been deposited in the upper fan delta environment. FAⅢ consisted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of pebble siz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may have been deposited in the middle fan delta environment. FAⅣ consists of massive pebbly sandston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and presumably was deposited in the lower fan delta environment. In general the Hajo Formation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at the talus/upper fan delta environment in early stage; it might have been deposited in the alternating environments of upper and middle fan delta in middle stage; and it seems to have been deposited in alternating environments of middle and lower fan delta in late stage. 충남 보령 지역 트라이아스기 후기 하조층은 충남분지의 최하위층으로서 하부는 주로 각력암이나 역암, 중부는역암, 상부는 역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하조층은 입자지지 수평층리 역암, 입자지지 균질 각력암, 기질지지균질 역암, 기질지지 점이층리 역암, 역질 사암, 평행 엽층리 사암, 균질 사암, 정상 점이층리 사암, 역전점이층리 사암,판상 사층리 사암, 곡상 사층리 사암, 저경사 사층리 사암 그리고 이암의 13개의 암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4개의 상조합을 이룬다. 상조합 1은 테일러스나 상부 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입자지지 및 기질지지 균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조합 II는 기질지지 균질 역암과 수평층리 입자지지 역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II은 기질지지 균질 역암, 평행엽층리 사암 및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중부선상지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V는 균질 역질 사암, 수평엽층리 사암과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하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하조층은 초기는 테일러스와 상부 선상지 삼각주 환경에서 퇴적되고, 중기는 상부 선상지 삼각주와 중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한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말기에는 중부 선상지 삼각주와 하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낙동강 삼각주(洛東江 三角洲)의 지형(地形)과 인간생활(人間生活)

        반용부(Ban Yong-Boo) 동남어문학회 2006 동남어문논집 Vol.22 No.-

        ??This study concern with landform development and human lives in the Nak-Dong River Delta region. It is attempt to geographycal approach clarifying the region where the KaYa dynasty were with geomorphology and the people"s lives and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KaYa dynasty the Nak-Dong delta was under the sea level, adjacent areas surrounding the delta were not as present extent and unsuitable for agriculture due to the tide with saline water, flood and typoon which have been occurred regularly. Patterns of settlements and shape of houses which locate at mountain slope near the delta and locate at small hillside within the delta, even though they are engaging agriculture, represent fishing settlement rather than agricultural settlement. From the view point of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settlement within the study area it is seems that basic economy of KaYa dynasty was fishing and trade and it"s different from now.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윤한삼,유창일,강윤구,류청로 한국해양공학회 2007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1 No.2

        We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research topics and closely examine the existing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by analyzing various studies of the area, including ocean engineering, coastal engineering, ocean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udies. We first defined the general concepts related to the estuary and delta and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over the past 100 years. We then examined the origin and core elements of the estuary deposits that constitute the delta. In addition, we scrutinize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delta and analyzed existing research on delta development mechanisms by core researchers.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y barrage is one of the main factors effecting estuarine circulation and has altered the physical oceanic environment, area of deposition, atmospheric environment, and vegetation community of the delta. These factors affect the estuary circulation in turn, altering the delta. Along the Nakdong River, an unsteady-state sandy barrier appears at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distance of the wavelength of incident offshore waves, and this terrain forms approximately 10-15 years after reclamation in the interdistributary upper stream and transforms the shoreli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to predict terrain change that reproduces the erosion and accumulation of estuarine deposit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and variables necessary to reproduce this system, continuous on-site monitoring is necessary. The existing research did not fully examine the terrain changes in Nakdong River Estuary or the periodic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future process of estuary delta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두만강 삼각주 국제관광합작구 건설에 관하여

        림금숙 통일연구원 2015 統一 政策 硏究 Vol.24 No.2

        The 4 Congress of the 12 th session of Jilin Provincial People’s Congress has passed a bill on the construction of the Tumen River Delta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Zone 12 th February 2015. The construction of Tumen River Delta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Zone is the need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border areas. The project is consistent with the GTI Tumen river development planning objectives, and thus can obtain the active assistance of international agencies, but also conducive to promoting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the North Korea. Tumen River Delta region is rich in ecological tourism resources and cultural tourism resources. China’s Hunchun region has a great change in the basic facilitiesin 1990s, and the region has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zone so far. Common understanding and mutual trust between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are the prerequisit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area in Tumen River Delta region. The capital raising is the key, the construction of common management system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preferential policies are important safeguards.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cooperation zone in the Tumen River Delta region is the concrete practice of South Korea to realize the Eurasian initiative, and it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mprove the South Korea with North Korea relations. South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umen river area with Chinese and Russian companies jointly. T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gional tourism infra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ourist attractions,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ourism products, and the training of the tourism industry futhermore. 2015년 2월 12일 길림성 제12기 4차 인민대표 대회에서 두만강 삼각주에 국제관광합작구를 건설할데 관한 결의안을 정식으로 통과하여 현재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섰다. 두만강삼각주 국제관광 합작구 건설은 변경지역 경제발전에 필요하며 두만강지역 인접국들의 경제발전 목표 및 광역두만강 개발계획 목표와 일치함으로써 국제기구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을 수 있는 사업이고 북한의 경제 활성화와 개혁 개방 촉진에도 유리하다. 두만강 삼각주 지역은 풍부한 생태관광 자원과 인문관광 자원을 소유하고 있으며 중국 훈춘지역의 인프라 여건은 1990년대 초에 비해 현저한 발전을 가져왔고 지난 1990년대 이후 두만강 지역의 변경관광 협력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국제관광 합작구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여건들이 마련되어 있다. 두만강 삼각주 국제관광 합작구 건설에서 중, 북, 러 3국의 공동한 인식과 상호 신뢰가 우선이며 인프라 건설의 자금 마련이 관건이고 공동관리체제 구축과 각종 우대 정책이 중요한 보장이다. ‘두만강 삼각주 국제관광 합작구’ 건설은 한국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목표 실현과 남북관계 개선과 경제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로 될 수있다. 한국은 중국과 러시아자본과 공동으로 두만강 지역 인프라 건설에 참여, 두만강 지역 관광지, 관광 코스, 관광 상품 개발과 운영에 참여, 두만강지역 관광 홍보와 관광인원 육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난 800년 동안 진행된 루이지애나 남부 삼각주의 형태역학 및 지질진화 연구

        류중형,리우 캄비우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astal morphodynamics and geological evolution during the last 800 years in a coastal wetland behind Bay Champagne near Port Fourchon, Louisiana. Multi-proxy analyses (losson-ignition, X-ray fluorescenc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conducted on a 200cm sediment core retrieved from a small pond on a mangrove-dominated island. The study area has experienced significant morphodynamic and geological changes due to delta-lobe switching, relative sea level rise, and hurricane events over the last 800 years. An increase in sediment supply and fluvial processes led to the development of marsh ~ 600cal yr BP during the Bayou Lafourche delta progradation, marked by elevated terrestrial elements (K, Ti, Zr). After that, land subsidence and sea level rise accelerated saline water incursion and coastal retreat after the abandonment of the Bayou Lafourche delta ~ 100cal yr BP, marked by elevated marine concentrations (Ca, Sr). 본 논문은 루이지애나 남부의 해안 습지에서 지난 800년 동안 진행되어온 해안 형태와 지질역학적 진화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호소성 염습지 내에서 채취한 200cm 퇴적물 코어에 대하여 멀티프록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이 지역은 지난 800년 동안 삼각주 진화와 상대적 해수면 상승 및 허리케인 등과 관련한 지형학적 및 지질학적 변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호수성 지형인 Bayou Lafourche 삼각주는 육성퇴적물(K, Ti, Zr)을 이동시키며 약 600cal yr BP까지 발달시켰다. 그 후, 육지 침강과 해수면 상승의 결과 약 100cal yr BP경 삼각주는 퇴화과정을 겪으며 해양성 퇴적물(Ca, Sr)을 축적했다.

      • KCI등재

        범람원과 삼각주

        이의한 ( Eui Han Lee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2

        한국의 범람원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960년대 후반에 발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한국의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권혁재(고려대학교 명예교수)와 조화룡(경북대학교 명예교수)에 의해 주도되었다. 권혁재는 그러한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조화룡은 충적지형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정체 상태로 접어들었다. The first paper on the floodplain in Korea was published in the late 1960s. In 1970s and 1980s the study on the floodplain and delta of Korea was led by Hyuck Jae Kwon(emeritus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and Hwa-Ryong Jo(emeritus professo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won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study and Jo analyzed the alluvial landforms microscopically. Since 1990s, the study on the floodplain and delta has entered a phase of stagnation.

      • KCI등재

        중국 광저우(廣州)도시경관의 역사문화 관광자원

        오일환,이미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2

        중국 광동성의 광저우는 문화강대국 ‘중국의 꿈(中國夢)’을 실현하기 위한 ‘일대일로(一帶一路)’정책에서21세기 해양실크로드의 중요한 핵심지역이다. 광저우는 홍콩과 마카오 그리고 내륙의 7개성과 함께 ‘범주강삼각주경제구(泛珠江三角洲經濟區)’의 중심도시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과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광저우는 급속하게 도시화가 진행되자 역사문화 관련의 법률제정을 통하여 정책적으로 관광자원을 보호하고 있다. 구도심경관과 신도시의 고층빌딩지역이 어울리는 역사문화관광의 국제무역중심도시라는 ‘신영남중심도시(新嶺南中心都市)’의 상징체계 확립과 이미지건설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Guang-zhou in Guangdong Province is an important area in Xi Jinping’s 21st Century Maritime Silkroad to achieve the dream of cultural superpower ‘China through (China Dream中國夢) ‘one belt one road’ policy. Guang-zhou, once a central city of ‘The Pan Pearl River(Zhujiang) Delta Economic Zone(泛珠江三角洲經 濟區)’ with Hong Kong and Macau, is now expanding to play a more important economic role in Zhujiang river delta. In the face of a rapid urbanization, Guang-zhou is implementing policies to protect tourism resources through legislation on history and culture. The city is endeavoring to establish the symbolic system of a central city in international trade with history and cultural tourism and to enhance the image of such visions for ‘New Lingnan Central City(新嶺南中心都市)’.

      • KCI등재

        서산시의 토지이용 변화와 간월호 삼각주의 발달

        손명원 한국사진지리학회 201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resulted from urbanization in Dodang-cheon drainage basin and the size of Ganwolho delta. From 1996 to 2016,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in Dodang-cheon drainage basin changed 4.45% to 8.74%. The most increased land use is road(from 1.85% to 3.89%), next is site(from 2.27% to 3.85%). The delta size showed a tendency to mostly increase after Ganwolho lake 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in Dodang-cheon drainage basin and the size of Ganwolho delta. Bu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is regression line is relatively small(67%) owing to low confidence level of data such as direct application of Statistical Yearbook, time interval between land use changes and statistical recording, and troubles of delta definition.

      • KCI등재

        제주도 동북부 월정-행원지역 시추공 내 유리질 각력암의 특성과 성인

        고창성,윤석훈,황세호,신제현 대한지질학회 2020 지질학회지 Vol.56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fractured glassy breccias interlayered with thick lava-flow units from boreholes in the Woljeong-Haengwon coastal area, NNE Jeju Island, Borehole cores and optical televiewer (OTV) logs were analyzed in terms of mineralogy, lithology, and texture to characterize the stratigrphy and lithofacies. Major lithological units of the borehole cores are divided into basaltic lava flows, sedimentary deposits, paleosoil, and glassy breccias. The glassy breccia units consist of unsorted breccias with low pore contents. The color of breccias is mostly black owing to high proportion of volcanic glass, except for the outer light brown rim covered by palagonite. In OTV log images, glassy breccia units are composed not only of glassy breccias, but of matrix which is mixture of palagonite and volcanic glass. These lithologic features are interpreted as hyaloclastites which were formed by quench fragmentation along the contact between the lava flow and the seawater. Based on the size, shape, color, and developmental proportion of glassy fragments over the matrix, 3 types of lithofacies (i.e. semi-fractured basalt (SFB), clast-supported breccia (CSB) and matrix-supported breccia (MSB)) are classified in the boreholes, and are interpreted as the topset, foreset, and bottomset of the lava-fed delta, respectively. The paleo-coastline of the lava-fed delta has moved seaward from 1.0~1.5 km inland to the current location by progradation of the lava-fed delta. 제주도 동북부 월정리-행원리 해안저지대의 7개 시추공에서 회수된 시추코어의 일부 구간은 파쇄된 형태의유리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특성과 성인을 밝히고자 암상에 따른 시추코어 층서분석, 유리질 각력암 암상분석, 광학영상검층(optical televiewer log) 영상에서의 유리질 각력암 세부 암상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코어는 주요 암상에 따라 현무암질 용암류층, 퇴적층, 고토양층, 유리질 각력암층으로 구분되며 서로 교차하며 2매씩 발달해 있다. 유리질 각력암층은 다양한 크기의 분리된 각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력은 기공이거의 없는 치밀한 조직을 보인다. 광물조성은 눈에 띠는 반정 광물은 없으며, 주로 침상장석의 미세결정과 화산유리로 구성되어 있어 암색 또한 대체로 검정 계열을 보이나, 각력의 외곽에는 밝은 갈색의 팔라고나이트가 얇게 피복해 있기도 한다. 광학영상검층에서 해당 구간은 유리질 각력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각력화된 유리질현무암과 더불어 팔라고나이트와 유리질 파편으로 이루어진 기질도 함께 확인된다. 이는 용암류와 해수의 접촉에 따른 급냉파쇄작용에 의한 결과로서, 이때 형성된 각력들은 유리쇄설성 각력암으로 해석된다. 유리쇄설성각력들과 기질 구성물의 크기, 형태, 색상과 함께 이들의 발달 비율 배열양상을 통해 반파쇄 현무암(SFB), 역지지 각력암(CSB) 및 기질지지 각력암(MSB) 등 3개의 세부 암상이 구분되며, 각각 용암 삼각주의 표면층(topset), 전면층(foreset), 그리고 기저층(bottomset)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용암 삼각주 암상의 공간적 분포양상를 통해 그 당시 연구지역의 해안선은 현재보다 약 1.0~1.5 km 내륙에 발달되어 있었으며, 이후 용암 삼각주의형성과 전진퇴적으로 현재 해안선 지역까지 육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