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느웨 상상력: (비인간) 동물 신학 정립을 위한 구약성서 연구

        이종록(Lee Jong Loc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이 연구는 비인간 동물에 대한 성서적 연구를 통해, ‘비인간’ 신학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둔다. ‘비인간’ 동물 신학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서를 바르게 읽어야 하며, 그 작업을 위한 성서 독해 방법으로 <생명 해석학>적 방식이 적합하다. 지금까지 신학은 지나치게 인간중심적이었지만, 비인간 존재들도 신학적 대상임이 분명하다. 요나서 3장을 보면, 하나님은 니느웨 공동체가 인간들과 비인간 가축들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하셨고, 인간들과 비인간들이 영적으로 동등한 회개 공동체이며, 신적 구원의 대상임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나는 이러한 사고를 ‘니느웨 상상력’이라고 부른다. 요나서는 하나님이 인간뿐만 아니라 비인간 생명체들에게도 동일한 관심을 갖고 계심을 보여준다. 그리고 나단이 다윗에게 들려준 암양 이야기는 당시 사람들이 비인간들을 가족으로, 즉 인간과 거의 동등하게 대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이다. 창세기 2장에 나오는 창조 선학에 큰거해서 보면, 비인간 존재들이 인간을 위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이 동등하고 평등하게 신의 영광을 위해 창조된 ‘네페쉬 하이야’들이며, 노아 계약은 비인간 동물들이 인간과 동등하게 하나님과 계약을 맺는 존재들임을 입증한다. 예언서들은 인간보다 비인간 존재들이 훨씬 더 신앙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라고 평가한다. 인간 동물은 물론이고 비인간 동물들도 동등한 회개의 주체이며, 신적 구원의 대상인가? 그렇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on-human animal theology through biblical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nonhuman animal theology properly, first of all, we should read the Bible correctly,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the Hermeneutics of Life. Until now, our theology has been too anthropocentric, but now, it became clear that nonhuman beings also are the object of the theological study. Chapter 3 of the book of Jonah clearly shows that Nineveh community consists of humans and non-human animals, and in that community, humans and non-humans are equal in spiritual repentance and the same object of the divine salvation. I call this thought as Nineveh imagination. The book of Jonah shows that God has the same interest to human animals and non-human animals. And the story that Nathan told to David is a clear evidence that in that time, people considered non-human animals as one of their family. They treated non-human animals as same as human. Creation theology in Genesis shows that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re the same nephesh hayyah, the living creatures, nonhuman beings are not created for humans, and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re equal and created for God s gloty. Noah Covenant demonstrates that non-human animals are the same people of the covenant of God. Prophets evaluated that non-human animals are more faithful and more rational than human animals. Is Human animals and non-human animals also the equal subject of repentance, and the equal subject of divine salvation? Yes!

      • KCI등재후보

        동물을 생물학적인 최대 수준까지 강화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는가?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강철(Kang, Cheul) 숙명인문학연구소 2020 횡단인문학 Vol.5 No.1

        동물을 생물학적인 최대 수준까지 강화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는가? 동물강화(animal enhancement)에 속하는 이 문제를 본 논문은 삶의 의미(the meaning of life)라는 주제를 통해서 접근하고자 한다. 사례로는 장님 닭과 뇌사 닭 사례를 논의할 것이다. 동물윤리에 있어서 핵심적인 범주 중 하나는 알다시피, ‘인간-동물(human animal)’과 ‘비인간-동물(nonhuman animal)’이라는 구분이다. 그런데 이 구분은 종차별주의 내지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 하고 있다고 필자는 주장한다. ‘인간’중심주의를 진정으로 탈피하고자 한다면, 의미론적인 그리고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인간-사람’과 ‘비인간-사람’이라는 구분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 따르자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동물이란 ‘비인간 동물’이 아닌 ‘비인간 사람’이다. 필자의 이 구분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짝을 이루는 우리말들을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에서 ‘생명’과 ‘삶’, ‘인간’과 ‘사람’은 대부분의 경우에 교환될 수 있는 말이지만, 중요한 의미상의 차이도 존재한다. 그리고 고유어인 “삶”과 “사람”은 한자어인 “生命”과 “人間”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학술어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으며, 깊이 있는 이론적인 관심과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유어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미론적이고 존재론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천적이고 도덕적인 차원에서도 중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Can it be allowed to enhance an animal to its biological maximum? In this paper, this issue is approached through the theme of the meaning of life. Examples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include blind or brain-dead chickens. One of the well-known categories of animal ethics is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animal’ and ‘nonhuman-animal’. This distinction, however, stems from the purpose of overcoming “speciesism”, but I do not think that purpose has been fully achieved. I insist that if we really want to break away from anthropocentrism, we should introduce the semantical and ontological distinctions of ‘human-person(인간-사람)’ and ‘non-human-person(비인간-사람)’. To justify my distinction, I will look closely at the pairing of Korean words, ‘생명’ and ‘삶’, ‘인간’ and ‘사람’. These words are often used as terms that can be exchanged in everyday life, but there are also several significant semantic differences. In addition, the native languages “생명” and “사람” have not been recognized as academic jargon when compared to the Chinese characters “生命” and “人間”. This paper seeks to develop those words into theoretical terms. In conclusion, overcoming anthropocentrism and speciesism requires significant changes in human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s animals.

      • KCI등재

        인간과 동물과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동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책임

        김은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Theological foundation ofphristian ecological ethics is ‘life’. And the specific place with numerous lives is the Earth.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I think the reconstruction of earth planetary ethics, which recognizes the sky and land that make up the life system, humans, animals, plants, and material environment as God’s world of creation, is an urgent mission of the church. In particular, thorough reflection on the anthropocentric theological tradi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that has been newly illuminated since the pandemic. This paper reflects on the absence of Christians’ awareness of animal rights and deep-rooted human superior thoughts inherent in traditional theology and proposes a theoretical alternative to Christian animal ethics. It aims to emphasize the intrinsic value of animals from the creation theological perspective by more fundamentally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beyond the discussion of the moral status or severity of animals based on human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urge Christians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on animals by reflecting on the reality of theological ethics of animals that are still too insignificant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humans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odern theology and scientific progress. 기독교 생태윤리의 신학적 토대는 ‘생명’이며 수많은 생명을 품고 있는 구체적 장소는 ‘지구’다. 기후위기의 시대에 생명계를 구성하는 하늘과 땅, 인간과 동식물 그리고 물질적 환경 전체를 하나님의 피조세계로 인식하는 새로운 지구행성 윤리(earth planetary ethics)의 재구성이 교회의 긴급한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 다. 특별히 팬데믹 이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의 신학적 정립을 위해 인간중심적 신학전통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번 코로나로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동물권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인식의 부재와 전통신학에 내재한 뿌리 깊은 인간 우월적 사유를 반성하고 기독교 동물윤리의 이론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별히 창조신학적 관점에서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정립할뿐 아니라 동물의 본유적 가치를 강조한 고백자 막시무스의 신학을 통하여 동물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화하는 기독교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전히 너무나도 미미한 동물에 대한 신학이론의 현실을 반성하고 근대 신학의 발전과 과학의 진보의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온비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구축함으로 동물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을 촉구할 것이다. 이러한 동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전환은 동물의 고통과 학대에 무관심하거나 무디어진 그리스도인들이 창조 시에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본유적 가치에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인간만아 아니라 동료 피조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묘씨생」의 자본주의 생태 속 새로운 관계성

        송다금(Dageum Song),백문임(Moonim Bae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is paper explores how the borders between humans/nonhuman species are deconstructed today through the short stories featuring animal narrators in the 2010s. For this purpose, I critically review the four short stories “Fly, Od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Today s Origin,” “Confession of Rango” 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and analyze Hwang Jeong-eun’s 2010 short story “Lives of Cats.” Appearance of animal tellers is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anthropomorphism to evade the anthropocentrcism in representation, which are conducive to build the post-human/animal relationship. Above four short stories with animal narrators 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not only shed light on animals mobilized for war, animals recognized only as eating in meat-eating, healthy animals that have to end their lives at animal welfare farms, and wildlife displayed at zoos, but also criticise dichotomy between humans/animals. However, these narratives fail of the attempt of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 human and ‘inferior’ nonhuman species. This is because in terms of methodology, by presuming dominating/dominant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or dichotomously contrasting the properties of vulnerability/cruelty. Eventually, they cannot escape from the dichotomy of animal/human and nature/culture. On the other hand, in “Lives of Cats”, deconstructs the dichotomy between humane human and nonhuman animals, as when a stray cat recounts how he/she and an old man survive by foraging for food in the capitalist environment, but li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ddition, “Lives of Cats” differs from other animal novels and animal narrators’ short stories in that it simultaneously pays attention to the life of animals as a specific entity and the alienated humans. With effective use of rhetorical strategies of anthropomorphism, “Lives of Cats” shows possibility of the post-humans/animals even in the tragedy of capitalist environ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short stories with animal tellers in the context of critical humanism and pointing to the current state of animal discourse today. Through this, my work lay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discussion on fictional narratives with animal narrators and analyzed in detail “Lives of Cat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in the posthuman context. This study is able to find tha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animals only in the phenomenon of familyization of companion animals, or to separate humans from the narrative where animals are unilaterally sacrificed in the reality where everything is capitalized and therefore animals and humans are inseparable. Next, the present analysis stresses animal narrators as anthropomorphic strategies is helpful to lowe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Finally, the old man’s “Becoming-Animals” caught by the cat’s eye of “Lives of Cats” requests readers to think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all kinds of animals in “here and now” social surroundings. 본고는 『무민은 채식주의자』에 수록된 동물화자 소설인 「날아라, 오딘」, 「무민은 채식주의자」, 「오늘의 기원」, 「랑고의 고백」과 황정은의 「묘씨생」을 통해 2010년대 이후 인간과 비인간종의 경계가 해체되고 착종되는 양상을 비교·분석한다. 『무민은 채식주의자』의 동물화자 소설은 전쟁에 동원되는 동물, 육식주의에서 ‘식용’으로만 인지되는 동물, 동물복지농장에서 생을 마감하는 동물, 동물원에 전시되는 야생동물에 주목하고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 네 편은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성찰하고 관계 재편을 시도했음에도, 방법론의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지배/피지배 관계를 전제하거나 취약성/잔혹성이라는 성질을 이분법적으로 대비하고, 동물에 대응되는 자연/인간에 대응되는 인위적 공간의 이분화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다시금 인간과 동물을 이분화한다. 반면 「묘씨생」은 자본주의의의 생태환경을 공유하는 가운데 독립적 삶을 영위하는 길고양이와 노인을 등장시키고, 길고양이의 시선으로 ‘동물-되기’를 하는 노인을 포착하게 함으로써 동물/인간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난다. 또한 「묘씨생」은 구체적 실체로서의 동물이 처한 삶과 소외되는 인간을 동시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동물소설 및 동물화자 소설과 차이가 있다. 이 연구는 비판적 휴머니즘의 맥락에서 동물화자 소설을 분석하여 오늘날 동물담론의 현주소를 짚음으로써 동물화자 소설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포스트휴먼 맥락에서 깊이 논의된 적 없는 「묘씨생」을 상세히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로써 모든 것이 자본화되어 동물과 인간이 분리 불가능한 존재로 착종되고 있는 현실에서는 동물의 존재근거를 더는 반려가족화 현상에서만 찾거나 동물이 일방적으로 희생되고 있는 서사에서 인간을 분리해내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하는 동물’을 도입한 의인화 기법을 잘 활용한 텍스트로서 「묘씨생」은 동물로서의 인간을 취약하게 하는 자본주의의 생태의 비극이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독자차원의 사유와 실천까지 종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전쟁과 (비)인간 동물의 감수력 - 김도영의 희곡 『왕서개 이야기』, 『금조 이야기』를 중심으로 -

        양근애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1

        이 논문은 김도영의 희곡 『왕서개 이야기』와 『금조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쟁으로 인한 파국이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감수적 행위성을 이끌어내는 국면과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김도영의 희곡은 전쟁 피해자 혹은 희생자로 여겨졌던 인간과 비인간 동물이 행위자성을 담지한 감수력(感受力, patiency)을 지닌 존재임을 보여준다. 『왕서개 이야기』와 『금조 이야기』에 등장하는 비인간 동물은 자연에 속해 있다가 전쟁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존재로 등장한다. 그러나 수동적인 것처럼 보이는 인간과 비인간의 고통과 견딤은 주체의 의미를 재고하게 만든다. 김도영은 전쟁으로 인한 변화가 인간뿐만 아니라 비인간 동물에게도 막대함을 살피는 한편, 인간과 비인간의 마주침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다시 쓴다. 최근 인류세 담론의 영향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연극적 성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김도영의 희곡을 통해 감수자이자 행위자로서 극의 인물이 지닌 역량을 탐색하고 인간 이후 연극의 미래를 그려보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Kim Do-young's plays A Hawk and Gold Bird,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 devastation caused by war brings out the patiency and agency of humans and nonhuman animals. Kim's plays show that humans and nonhuman animals, who have been considered victims of war, possess a patiency that encompasses agency. A Hawk and Gold Birds, nonhuman animals are shown as belonging to nature and being harmed by war. However, the seemingly passive suffering and endurance of humans and nonhumans makes us reconsider the meaning of subjectivity. Kim examines the enormity of the changes caused by war, not only for humans but also for nonhuman animals, and rewrites the meaning of war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Recently, theatrical reflections on nonhuman beings have been made under the discourse of the Anthropocen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pabilities of the theater character as a patiency and agency through Kim Do-young's plays and considers the future of post-human theater.

      • KCI등재후보

        현대 한국 종교의 ‘생태 영성’과 의례

        유기쁨(Yoo, Ki Bbe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3 생명연구 Vol.29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생태운동의 현장에서 형성되는 생태영성의 내용과 생태 의례들의 기능 및 효과를 특히 비인간 동물에 대한 생태적 감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우선 종교생태운동의 현장에서 다양한 생태 의례들이 활용되면서 생겨나는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였다. 특히 생태 인류학과 생태 심리학의 연구 성과들과 의례이론을 검토하고, 종교생태운동의 현장에서 생태환경 속에서 수행되는 의례들에서 참여자들이 오감을 통해 경험하는 내용이 인간-비인간 동물 연속성에 대한 감수성과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새만금 삼보일배운동, 천성산 살리기운동 등 2000년대 초기에 종교계가 주도했던 생태운동, 두물머리미사와 구럼비살리기운동 등 지역밀착형 생태운동, 그리고 구제역 가축 생매장 사건 이후 종교계의 대응 등으로 나누어서 각각 살펴보고, 생태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수행되는 의례가 비인간 동물을 ‘발견’하거나 스스로가 생태계의 일부임을 느끼게 하는 등의 부수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moves the theme of eco-spirituality from armchair arguments to the field of Korean Ecological Movements where the diverse kind of eco-rituals are practiced, focusing on the sensibility to non-human animals. After a survey of theoretical grounds that challenge scholars to explore the effective function of eco-rituals for cultivating eco-spirituality, it proceeds to the case-studies of remarkable patterns of ecological movements since 2000. Finally, I suggest that eco-rituals generate the various subordinate effects which could help the practitioners to ‘find out’ non-human animals or to admit themselves as parts of ecosystems.

      • KCI등재

        우리도 그들처럼: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에서 보는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

        이지은(Rhee, Jie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5 No.-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에게 닥쳐온 급격한 기후변화와 생태계의 멸종위기, 그리고 최근 인류가 직면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은 이제껏 환경과 비인간 존재들을 지식의 대상이나 자원으로 보아왔던 우리의 인식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불러왔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류세라 불리는 이런 시대의 변화에 반응하여 일군의 동시대 미술가들 역시 인간중심주의에 대해 비판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묻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2019년 베니스 비엔날레 기간 동안 비인간 존재에 대한 사유를 풀어낸 두 작가,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을 살펴보고, 이들 미술 작품이 보여주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와 이를 통해 작품이 시사하는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도전을 드러내려 한다. 사라세노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국가관이 들어선 자르디니 공원에 거미/거미줄 파빌리온을 세워 인간과 거미가 함께 만들어가는 작품을 선보였다. 조나스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등장하는 비디오와 퍼포먼스 작업을 통해 문명과 자연, 인간과 비인간의 이분법에 대항했다. 논문은 인간과 비인간이 교류하고, 의인화된 허구를 통해 관계를 확장하는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보고, 최근 인류세 논의를 이끄는 저자들 중 캐롤라인 존스, 도나 헤러웨이, 자크 데리다의 비인간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이들 작품의 의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들의 작업은 우리에게 인간과 비인간 존재를 가르는 경계가 허물어질 때에서야 비로소 우리가 갖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의 편협한 시각을 와해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For decades we saw an unprecedented surge of environmental troubles from climate change to the depletion of biodiversity, and now we are facing the threat of Covid virus. Living in the age of the Anthropocene, we are forc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humans have been incessantly turning the planet into an object of knowledge and exploitation. Among the noteworthy practices of criticism is the challenge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carried out by a group of contemporary artists.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two artists who presented during the 2019 Venice Biennale, Tomás Saraceno and Joan Jonas. Saraceno opened the Spider/Web pavilion at the Giardini in marked contrast to other pavilions representing respective nation states. He provided works that both humans and spiders can participate. Jonas invited marine creatures in her works, challenging the binary opposit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paper will explore their works in the light of the recent anthropocene discourses of major authors such as Caroline Jones, Dona Haraway, and Jacques Derrida. The works of Saraceno and Jonas provide insights that we could overcome the narrow perspectives of anthropocentrism only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the binary opposition of human and nonhuman.

      • KCI등재

        한국 전후문학의 생태문학적 가능성 -황순원의 『일월(1964)』과 김원일의 『노을(1978)』의 백정 재현을 중심으로-

        구자연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1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aekjeong” in Hwang Soon-won’s novel “Sun and Moon” (1964) and Kim Won-il’s novel “Sunset” (1977), which is included in the Korean post-war literature. It examines the ecological literature common in both works. Both works are ecological texts that make the reader experience reading as a "vigil" in that they describe the scene of slaughtering cattle in detail and perform the work of visualizing the violence of "carnism". In Hwang Soon-won’s “Sun and Moon,” he protests that people are humans through the image of “red blood,” while simultaneously depicting the animal nature of humans. Through In-cheol and Bondol Yeong-gam’s dreams, the author produces the effect of “becoming an animal.” In-cheol’s symbiosis with human species and his house-building present aspects of ecological life. “Sun and Moon” depicts the humanistic struggle of the “Baekjeong” to be recognized as human and blur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y depicting the “Baekjeong” and his grandson becoming a cow. In “Sunset,” Kim Won-il depicted the violence of the father, a “Baekjeong,” from the perspective of a boy. It reveals that violence against animals and humans are executed through the same manner, closely related, and operate in a relationship.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Baekjeong” who commits this chain of violence is an accomplice, perpetrator, and victim. He takes on the “dirty work” as the weakest and most despised character in such a structure. Both authors’ representation of the “Baekjeong” shows people who similarly struggle to become human a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s blurring. They made the “Baekjeong,” who was the closest to non-human among humans, slaughter non-human animals. It raises significant questions present in post-war Korean novels, such as “What is a human being?” Furthermore, the “Baekjeong” character in Hwang Soon-won and Kim Won-il’s novels show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tructure and phenomena of violence against humans and animals. This article focuses and emphasizes ecological questions. 이 글은 한국 전후문학의 계열로 분류되어 왔던 황순원의 장편소설 일월 과 김원일의 장편소설 노을 에 그려져 있는 백정 인물에 주목하여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생태문학적 독해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작품은 모두 소를 도축하는 장면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로 하여금 ‘비질(vigil)’로서의 독서 체험을 하게 만들며, “육식주의(carnism)”의 폭력성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생태주의적 텍스트이다. 황순원의 일월 에서는 ‘붉은 피’의 이미지를 통해 백정도 인간임을 항변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동물성도 드러낸다. 또한 인철과 본돌영감의 꿈을 통해 작가는 ‘동물-되기’의 정동을 생산하며, 인문의 반려종들과의 공생과 인철의 집짓기는 생태적 삶의 모습들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일월 은 백정 인물의 입을 빌어 백정 역시 인간으로 인정받고자 했던 휴머니즘적 고투를 그려냄과 동시에, 백정 인물과 그의 후손의 ‘소-되기’를 그려냄으로써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텍스트로 재독해 할 여지가 있다. 한편, 노을 에서 김원일은 소년 화자의 시선으로 백정인 아버지 인물의 폭력성을 그려냄으로써, 동물에 대한 폭력과 인간에 대한 폭력이 동일한 구조를 통해 수행되며, 긴밀하게 연동하며 작동하는 관계임을 드러내준다. 그러나 그러한 폭력의 연쇄 구조 속에서 이를 행하는 백정 인물 역시 공범인 가해자이기만 한 것은 아니고, 그러한 구조 속에서 가장 약하고 천대받는 자들로서 “더티 워크”를 떠맡은 것이라는 점에서 희생자임을 분명히 밝힌다. 결국 두 작가의 백정 재현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에서 인간으로 인정받기 위해 몸부림쳐야 했던 백정과 같은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과 동시에 인간 중 가장 비인간에 가까웠던 백정으로 하여금 비인간동물을 학살하는 일을 도맡도록 했다는 사실을 소설화한 것으로 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전후 한국소설의 휴머니즘적 질문은 황순원과 김원일의 소설 속 백정 인물의 재현을 통해 인간에 대한 폭력과 동물에 대한 폭력의 구조와 양상이 전혀 다를 바 없음을 상기시킴으로써 인간중심주의에 균열을 내며 생태주의적 문제제기로 나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생태적 공존을 향한 ‘번역’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을 중심으로

        백우인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은 비인간-동물을 도구와 수단으로 삼는 기술과학의 발전에 대해 포스트 휴먼 사유로 이끈다. 이 연구는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에 나타난 그러한 내용을 ‘그로테스크 리얼리즘’과 ‘의인관’, ‘생물학적 진화론’ 등의 행위자로 ‘번역’하여 ‘생태적 공존의 행위자 연결망’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뤼노 라투르의 ‘번역’은 여러 가지의 행위소(행위자)를 구부리고 회유하여 동맹군을 만들어서 권력으로 등장시키고, 하나의 진리와 사실을 구성해내는 과정이자 방법이다. ANT 기반의 영화분석은 인지 인문학의 한 양식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즉, 학제 간 융합적 분석모형으로 기술과학 시대에 대두되고 있는 비인간-동물의 도구화 문제에 대해 다층적으로 숙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 비인간-동물과 인간의 존재론적 동등함을 알리며 생태적 공존을 실천하는 상상력을 제안하는 데 유용하다. The movie ‘Guardians of the Galaxy 3’ leads to a post-human reasoning abou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that utilizes non-human animals as tools and means. This research aims to construct an ‘ecological coexistence actor network’ by translating such content presented in the movie into ‘grotesque realism’, ‘anthropomorphism’, ‘biological evolution’, and other elements as actors. Bruno Latour's concept of ‘translation’ involves bending and coaxing various actors to form alliances, empowering them to appear as authorities, and constructing a single truth and fact. Movie analysis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ANT)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presenting a form of cognitive humanities. In other words, it provides an interdisciplinary analytical model that enables multi-layered contemplation of the issue of the instrumentalization of non-human animals, which is emerging in the era of technology and science. Moreover, it is useful for proposing a vision for ecological coexistence by advocating for the existential equality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humans.

      • KCI등재

        ‘실내 우주’의 SF 에톨로지 : 사물-동물-식물의 애니메이팅 인터페이스에 관한 일고찰

        권두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동물과 식물에게, 이주노동자에게, 그리고 도시빈민에게 비닐하우스는 상이한 ‘비닐하우징’의 정동을 이끌어낸다. 이와 같은 정동은 비닐하우스와 그 내부의 존재자들이 분리불가능하게 뒤얽힌 물질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그 물질성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관계적이고, 관계적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 불균등하다. 한편, 베란다와 발코니마저 확장해서 실내화시키는 유리 온실에는 인간과 동물, 더 나아가 식물이 함께 한다. 유리 온실은 비닐 온실과는 다른 물질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정동을 배양시키고, 더 나아가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의 사물을 통해 아상블라주로서의 정동적 전이를 수행한다. SNS와 웹툰 등 디지털화된 경로를 통해 유리 온실의 식물과 동물은 탈물질화된 조형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물질적 관계 맺기를 유도한다. 이러한 행위유도성(affordance)이 물질성을 대면케 한다고 했을 때, 아상블라주의 정동은 이를 돌봄의 책임으로 정향시킨다. 김초엽의 SF 『지구 끝의 온실』은 이와 같은 한국 사회의 상이한 온실 정동을 교차시키며 그 텍스트를 직조해낸다. 또한 텍스트는 온실의 정동을 매개로 제임스 러브록과 애나 칭의 담론을 엮어내며 물질적 관계의 정동정치적 가능성을 창발하는 장치가 된다. 잠재적인 변화의 기호들을 탐색하는 사변적 우화(Speculative Fabulation)로서의 과학 소설(Science Fiction)은 중층의 연결망을 만들어내는데, 그것이 바로 실뜨기(String Figures)다. SF는 과거와 미래를 새로운 배열로 함께 가져와 구제의 가능성을 엮고 짜는 것이다. 정동적 관점은 생태위기 또는 기후위기의 해법을 개체의 연명에서 공동체에서의 존재와 되기의 인식, 즉 ‘오염’의 재인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공존-공생-공산의 조건이 사적 소유의 폐쇄된 실내일 수만은 없음을 깨닫는 일은 긴요하다. 실내는 잠재적 공유지로서 다중적인 공간성과 시간성이 있는 위상학적 우주 공간으로 열려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